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세가와 요시미치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하세가와 요시미치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하세가와 요시미치
일본(日本) 제국(帝國) 의 제(第)2대(代) 조선(朝鮮) 총독(總督)
임기(任期) 1916년(年) ~ 1919년(年)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지(出生地) 스오국(誤國) 구가군(謳歌群) 이와쿠니 령(令)
사망지(死亡地) 일본(日本) 제국(帝國) 도쿄
정당(正當) 무소속(無所屬)
기타 이력(履歷) 제(第)2대(代) 조선총독(朝鮮總督)
군사(軍事) 경력(經歷)
복무(服務) 일본(日本) 제국(帝國) 육군(陸軍)
복무기간(服務期間) 1871년(年) ~ 1916년(年) 5월(月) 10일(日)
근무(勤務) 이와쿠니령(令) 정의대(精義隊), 일본(日本) 제국(帝國) 육군(陸軍)
최종계급(最終階級) 대장 대장(大將)(大?)
지휘(指揮) 일본육군사관학교(日本陸軍士官學校) 5번대대(番大隊), 일본군(日本軍) 보병(步兵) 제(第)1연대(聯隊), 보병(步兵) 12여단(旅團)
주요(主要) 참전(參戰) 보신(補身) 전쟁(戰爭)
세이난 전쟁(戰爭)
청일(淸日) 전쟁(戰爭)
러일(日) 전쟁(戰爭)
상훈(賞勳) 일본군 원수

공1급 금치훈장 공3급 금치훈장

하세가와 요시미치 ( 일본어(日本語) : 長谷川好道 , 1850년(年) 10월(月) 1일(日) ~ 1924년(年) 1월(月) 27일(日) )는 일본(日本) 의 군인(軍人), 정치인(政治人), 외교관(外交官)이다. 일본(日本) 제국(帝國) 육군(陸軍) 원수(怨讐)를 역임(歷任)했고, 1916년(年) 부터 1919년(年) 까지 제(第)2대(代) 조선총독(朝鮮總督) 을 지냈다.

하급(下級) 군인(軍人) 출신(出身)으로 보신(補身) 전쟁(戰爭) 에 참전(參戰)하였으며 오사카 군사학교(軍事學校) 를 졸업(卒業)하고 육군대위(陸軍大尉)가 되었다. 이후(以後) 세이난 전쟁(戰爭) 청일(淸日) 전쟁(戰爭) 에 참전(參戰)하였다. 러일(日) 전쟁(戰爭) 에도 참여(參與)하여 압록강(鴨綠江) 회전(回戰) 랴오양 회전(回戰) 에서 승리(勝利)하고 남작(男爵) 이 되었으며, 1904년(年) 육군(陸軍) 대장(隊長)으로 진급(進級)한 뒤에는 조선주둔(朝鮮駐屯) 일본군(日本軍) 사령관(司令官)을 역임(歷任)했다.

1907년(年) 자작(自作) 으로 승작(陞爵)되었고, 1912년(年) 1월(月) 20일(日) 일본군(日本軍) 육군참모총장(陸軍參謀總長) , 1915년(年) 육군(陸軍) 원수(怨讐) 를 거쳐 1916년(年) 제(第)2대(代) 조선총독(朝鮮總督) 으로 부임(赴任)하였다. 하세가와는 전임인(前任人) 데라우치 마사타(打)케 의 뒤를 이어, 재임(在任) 기간(期間) 동안 무단(武斷) 통치(統治)를 행(行)하였다. 재직(在職) 중(中) 3·1 운동(運動) 이 일어나 진압(鎭壓)하였지만 결국(結局) 교체(交替)된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젊은 시절(時節) [ 편집(編輯) ]

하세가와는 1850년(年) , 스오(誤) 이와쿠니 번사(燔師) 하세가와 도지(賭地)로 (長谷川藤次郞)의 장남(長男)으로 태어났다. 초대(初代) 조선총독(朝鮮總督)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타(打)케 와는 동향(同鄕) 출신(出身)이다. 어려서 검술(劍術) 사범(事犯)이었던 아버지로부터 검도(劍道) 를 배웠다. 가난한 하급무사(下級武士)의 자제(自制)였으나 군인(軍人)으로 임관(任官)하여 병사(病死)로 복무(服務)하다가 장교(將校)가 되었다.

1871년(年) 8월(月) 일본군(日本軍) 육군(陸軍) 소위(少尉)가 되었다. 보신(補身) 전쟁(戰爭) 때에는 조슈번 정의대 소대장(小隊長)으로 참전(參戰)하였고, 메이지 시대(時代) 에 접어들면서 오사카 군사학교(軍事學校) ( 일본(日本)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 의 전신(前身)) 학생(學生)이 되고, 같은 해 12월(月)에는 육군(陸軍) 대위(大尉)와 5번대대장(番大隊長)을 맡기도 했다.

군대(軍隊) 경력(經歷) [ 편집(編輯) ]

하세가와 요시미치 (장군(將軍) 시절(時節))

다음 해인 1872년(年) 4월(月)에는 육군(陸軍) 소좌(少佐)에 올랐고, 다음 해에는 보병(步兵) 제(第)1연대장(聯隊長)에게서 실력(實力)을 인정받아 1873년(年) 6월(月) 중좌(中佐)로 승진(昇進)했으며, 세이난 전쟁(戰爭) 에 종군(從軍)하기에 이르렀다. 하세가와는 세이난 전쟁(戰爭) 후(後), 일본군(日本軍) 육군(陸軍) 히로시마 진(眞)다이 (鎭台) 보병(步兵) 제(第)11연대장(聯隊長), 히로시마 진(眞)다이 참모(參謀), 오사카 진(眞)다이 참모장(參謀長), 중부(中部)감군부(軍部) (中部監軍部) 참모(參謀) 등(等) 여러 직책(職責)을 거쳐 고속(高速)으로 승진(昇進), 육군(陸軍) 대좌(臺座) 에 올랐다.

1885년(年) 에는 프랑스 파견(派遣)을 명령(命令)받아 주차(駐車) 프랑스 주재(駐在) 일본대사관(日本大使館) 무관(武官)으로 근무(勤務)했고, 다음 해인 1886년(年) 12월(月)에는 육군(陸軍) 소장(所長)과 보병(步兵) 제(第)12여단장(旅團長)에 임명(任命)되었다. 특히(特히) 보병(步兵) 12여단장(旅團長)이었던 1894년(年) 에는 청일(淸日) 전쟁(戰爭) 에 참전(參戰), 뤼순을 공격(攻擊)하여 공(功)을 세웠다.

1895년(年) 군공(軍功)으로 남작(男爵) 의 지위(地位)에 올랐다. 1896년(年) 6월(月) , 육군(陸軍) 중장(中將)으로 진급(進級)하여 일본군(日本軍) 육군(陸軍) 제(第)3사단장(師團長)을 지냈지만, 1898년(年) 에 근위사단장(近衛師團張)으로 옮기게 된다. 하세가와는 근위사단장(近衛師團腸)을 맡을 당시(當時) 참전(參戰)한 러일(日) 전쟁(戰爭) 에서 여러 작전(作戰)으로 선전(宣傳)하였다.

조선(朝鮮) 주둔군(駐屯軍) 사령관(司令官) [ 편집(編輯) ]

그 공(功)을 인정(認定)받아 1904년(年) 6월(月) 에는 육군(陸軍) 대장(隊長)으로 진급(進級), 같은 해 9월(月)에는 조선(朝鮮) 주둔(駐屯) 일본군(日本軍) 사령관(司令官)으로 임명(任命)되었다. [1] 러일(日) 전쟁(戰爭) 중(中) 압록강(鴨綠江) 회전(回戰) 랴오양 회전(回戰) 에서 승리(勝利)를 거두고 돌아왔으며, 조선(朝鮮) 주둔(駐屯) 중(中) 대한제국(大韓帝國) 정부(政府)로부터는 대훈위(大勳位) 금척대수장(金尺大首長) , 대훈위(大勳位) 이화대수장(李花大首長) 을 수여(授與)받았다. 1905년(年) 을사(乙巳) 보호(保護) 조약(條約) 이후(以後)에도 계속(繼續) 유임(留任)되었다.

또한, 하세가와는 각각(各各) 1906년(年) 1908년(年) 에 임시(臨時) 통감(統監) 대리(代理)와 군사(軍事) 참의관(參議館) 직책(職責)을 지냈고, 1906년(年) 1월(月) 1급(級) 금계훈장(金鷄勳章)을 수여(授與)받았다. 1907년(年) 9월(月) 자작(自作) 으로 승진(昇進)했으며, 한일(韓日) 합방(合邦) 이후(以後)인 1912년(年) 1월(月) 20일(日) 에는 참모(參謀) 총장(總長)으로 취임(就任)하였다. 1915년(年) 육군(陸軍) 원수(怨讐) 로 승진(昇進)하였다.

조선(朝鮮) 총독(總督)과 최후(最後) [ 편집(編輯) ]

하세가와 요시미치 ( 1924년(年) )
서울 탑골 공원(公園) 에 위치(位置)한 3·1 운동(運動) 서판(書板)

백작(伯爵) 으로 승작(陞爵)된 직후(直後) 1916년(年) 10월(月) 14일(日) , 하세가와는 데라우치 마사타(打)케 의 후임(後任)으로 조선(朝鮮) 총독(總督)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총독(總督) 재임(在任) 중(中) 한국(韓國)에서 일어난 3·1 운동(運動) 을 무자비(無慈悲)하게 진압(鎭壓)하는 등(等), 무단(武斷) 통치(統治)로 비판(批判)을 받아 토지(土地) 조사(調査) 사업(事業) 을 완료(完了)시켰는데도 불구(不拘)하고 불과(不過) 3년(年) 만에 사이토 마코토 (齋藤實)와 교체(交替)되었다. [2]

처음에 그는 무력(武力) 강경진압(强勁鎭壓)을 계획(計劃)했지만, 3·1 운동(運動) 당시(當時) 그는 강경책(强勁策)과 유화책(宥和策)을 동시(同時)에 썼다. 조선인(朝鮮人) 중(中)에서도 만세시위(萬歲示威)를 자제(自制)하자는 운동(運動)이 있어 이를 지원(支援)하기도 했다. 박중양 등(等)은 자제단(自制段)을 만들어 만세시위(萬歲示威)를 해산(解散)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제암리 학살(虐殺) 사건(事件) 등(等) 기독교(基督敎) 인(人) 학살(虐殺) 사건(事件)으로 일본인(日本人) 기독교(基督敎) 도(徒)들의 비판(批判)을 받게 되었다. 결국(結局) 3·1 운동(運動) 의 유탄(流彈)을 맞고 해임(解任)된 뒤 귀국(歸國), 요직(要職)에 등용(登用)되지 못하고 여생(餘生)을 보냈다.

이후(以後) 정계(政界)에서 은퇴(隱退)해 있다가 1924년(年) 1월(月) 27일(日) 사망(死亡)했다. 죽은 뒤에는 도쿄도(都) 아오야마 영원(永遠) 에 묻혔다.

3·1 운동(運動)으로 인해 총독부(總督府) 정책(政策)의 변화(變化) [ 편집(編輯) ]

초대(初代) 총독(總督)인 데라우치 시절(時節)에는 총독부(總督府)의 지배(支配) 정책(政策)은 무단(武斷) 통치(統治) 였다. 헌병(憲兵)을 배치(配置)하고 치안(治安)을 바로 잡는 강력(强力)한 초기(初期) 단계(段階)의 지배(支配)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1차(次) 대전(大戰) 이후(以後), 미국(美國) 대통령(大統領)의 발언(發言)인 민족(民族) 자결주의(自決主義)의 영향(影響)을 받은 조선(朝鮮) 민중(民衆)들에 의(依)해 3·1 운동(運動)이 일어나자 기존(旣存) 지배(支配) 시스템의 한계(限界)와 허점(虛點)을 파악(把握)하고 이를 절충(折衷) 보완(補完)한게 문화(文化) 통치(統治) 다. 하세가와 시절(時節) 이후(以後)로 총독부(總督府)는 문화(文化) 통치(統治) 로 지배(支配) 시스템 전환(轉換)을 꾀한다. 문화(文化) 통치(統治) 란 조선(朝鮮) 시민(市民)들을 문화적(文化的)으로 설득(說得)시켜 일제(日帝) 시스템에 융화(融和)시키는 일명(一名) 회유책(懷柔策)으로 조선(朝鮮) 민중(民衆)들의 저항(抵抗) 의지(意志)를 분열(分裂)시키고 약체화(弱體化)하는 정책(政策)이었다. 이러한 회유책(懷柔策)으로 변절자(變節者)가 된 친일파(親日派)가 수치적(數値的)으로 대거(大擧) 늘어나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역대(歷代) 총독부(總督府)의 정책(政策),일제(日帝)의 조선(朝鮮) 지배(支配) 방식(方式) 변천과정(變遷過程) [ 편집(編輯) ]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890년대(年代) 경부철도(京釜鐵道) 부설권(敷設權), 동학난(東學亂) 진압등(鎭壓等)의 이권(利權) 침탈(侵奪) (총독부(總督府)가 없던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05년(年) 러일(日) 전쟁(戰爭)에서의 일본(日本) 승리(勝利) 확실시(確實視)로 이토 히로부미의 외교권(外交權) 간섭(干涉)(총독부(總督府)가 없던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10년대(年代) 한일합방(韓日合邦), 토지조사사업(土地調査事業)과 무단통치(武斷統治)(데라우치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19년(年) 3·1 운동(運動) 진압(鎭壓). (하세가와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20년대(年代) 산미증식계획(山味增殖計劃)과 문화통치(文化統治)(사이토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29년(年) 독립(獨立) 운동(運動) 탄압(彈壓)으로 인한 문화통치(文化統治)의 종료(終了) (2차(次) 사이토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30년대(年代) 일본(日本)의 전체주의화(全體主義化)와 만주사변(滿洲事變),조선(朝鮮)의 병참기지화(兵站基地化). (우가키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36년(年) 중일전쟁(中日戰爭) 수행(遂行)을 위한 조선(朝鮮)의 병참기지화(兵站基地化) 가속(加速), 창씨개명(創氏改名) 시행(施行) (미나미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42년(年) 태평양(太平洋) 전쟁(戰爭) 수행(遂行)을 위한 조선(朝鮮)의 병참기지화(兵站基地化) 가속(加速), 조선인(朝鮮人) 대거(大擧) 동원(動員) (구이소 시절(時節))
  • 일본 제국의 기 일본(日本) 제국(帝國) - 1944년(年) 태평양(太平洋) 전쟁(戰爭)의 방어전(防禦戰)을 수행(遂行) 및 종전(終戰) 후(後) 식민지(植民地) 처리(處理)(아베 시절(時節))

상훈(賞勳) 경력(經歷) [ 편집(編輯) ]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요시미치는 아들이 없어 하세가와 이노사부로 (長谷川猪三?)를 양자(養子)로 삼았다.

요시미치 사후(事後) 백작(伯爵)위를 습작(習作)한 하세가와 이노사부로 백작(伯爵)은 일본(日本)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 3기생(期生)으로 나중에 육군(陸軍) 소장(所長) 에 이르렀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내일(來日)을 여는 역사(歷史) 15호(號)》 172쪽
  2. 《내일(來日)을 여는 역사(歷史) 15호(號)》 173쪽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전임(前任)
데라우치 마사타(打)케
제(第)2대(代) 조선(朝鮮) 총독(總督)
1916년(年) ~ 1919년(年)
후임(後任)
사이토 마코토
조선(朝鮮) 주둔(駐屯) 일본군(日本軍) 사령관(司令官)
1904년(年) 9월(月) ~ 1912년(年) 1월(月) 20일(日)
전임(前任)
오쿠 야스카타(打)
참모총장(參謀總長)
1912년(年) 1월(月) 20일(日) ~ 1915년(年) 12월(月) 16일(日)
후임(後任)
우에하라 유사(類似)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