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프란시스코 고야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프란시스코 고야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프란시스코 데 고야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出生)
사망(死亡)
직업(職業) 화가(畫家) , 판화가(版畫家) , 석판화가 , 에칭화가(畫家) , 그래픽 예술가(藝術家) , 데생화(畫)가 , 시각(視覺) 예술가(藝術家)
스승 호세 루산 , 호아킨 이바녜스 데 헤수스 이 마리아
제자(弟子) 안토니오 데 브루가다 , 아구스틴 에스테베 , 루이스 길 이 란스 , Maria del Rosario Weiss
사조(思潮) 낭만주의(浪漫主義) , 로코코
주요(主要) 작품(作品)
옷 벗은 마하 , 아라곤의 알폰소 5세(歲) 앞에서 설교(說敎)하는 시에나의 산 베르나르디노 , 개(個) , 돈 라몬 사투(死鬪)에의 초상(肖像) , 1808년(年) 5월(月) 3일(日) , 옷 입은 마하 , 카프리초(超)스 , 갈라상스의 성(聖) 요셉 최후(最後)의 영성체(領聖體) , 1808년(年) 5월(月) 2일(日) , 말에 탄 호세 데 팔라폭스 장군(將軍) , 마리아노 고야의 초상(肖像) (1827) , 마리아노 고야의 초상(肖像) (1815) , 마리아노 고야의 초상(肖像) (1810) , 기둥의 성모(聖母) , 주님(主님)의 이름으로 경배(敬拜) , 레지나 마르티룸
영향(影響)
서명(署名)
묘비(墓碑)

프란시스코 호세 데 고야 이 루시엔테스 ( 스페인어(語) : Francisco Jose de Goya y Lucientes [f?an?θisko xo?se ðe ??o?a i lu?θjentes] [ * ] , 1746년(年) 3월(月) 30일(日) - 1828년(年) 4월(月) 16일(日) )는 스페인 의 대표적(代表的)인 낭만주의(浪漫主義) 화가(畫家) 이자(利子) 판화가(版畫家) 이다. 고야는 궁정화가(宮廷畫家)이자 기록화가(記錄畫家)로서 많은 작품(作品)을 남겼다. 18세기(世紀) 스페인 회화(繪畫)의 대표자(代表者)로 특히(特히) 고전적(古典的)인 경향(傾向)에서 떠나 인상파(印象派) 의 시초(始初)를 보인 스페인 근세(近世)의 천재(天才) 화가(畫家)로 알려져 있다. 파괴적(破壞的)이고 지극(至極)히 주관적(主觀的)인 느낌과 대담(大膽)한 붓터치 등(等)은 후세(後世)의 화가(畫家)들, 특히(特히) 에두아르 마네 파블로 피카소 에게 많은 영향(影響)을 주었다. [1]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유년기(幼年期) [ 편집(編輯) ]

프란시스코 고야는 1746년(年) 3월(月) 30일(日) 스페인 아라곤 지방(地方) 의 푸엔데토도(土島)스에서 가난한 농가(農家)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호세 베니토 데 고야 이 프랑크는 도금(鍍金) 업자(業者) 였으며 처가(妻家)에 살았다. 때문에 고야는 어린 시절(時節)을 어머니 집안에서 보냈다. 1749년(年) 무렵 고야의 가족(家族)은 사라고사 에 집을 마련하였고 몇 년(年) 후(後) 그곳으로 이사(移徙)하였다. 이 곳에서 고야는 마르틴 사(社)파테르와 막역(莫逆)한 사이였던 에스쿠엘라스 피아스의 학교(學校)에 다녔으며 이 때의 경험(經驗)은 고야의 인생(人生)에 많은 영향(影響)을 주었다. 고야는 어릴 때부터 재능(才能)을 보였고 14세(歲)가 되자 화가(畫家) 호세 루산의 도제(徒弟)로 들어갔다.

1765년(年) 마드리드에서 벨라스케스와 렘브란트의 작품(作品)에 감동(感動)을 받았다. 후일(後日) 고야는 마드리드 로 옮겨 당대(當代)의 유명(有名)한 궁정화가(宮廷畫家)인 안톤 라파엘 멩스 의 제자(弟子)로 들어갔다. 그러나 고야는 스승과의 불화(不和)로 인해 졸업(卒業)을 인정받지 못했다. 고야는 1763년(年)과 1766년(年)에 왕립(王立) 미술(美術) 학회(學會)에 입회신청서(立會申請書)를 제출(提出)하였으나 모두 거절당했다.

1771년(年) 고야는 이탈리아 로 여행(旅行)하였고 파르마 의 회화전(繪畫展)에서 2등(等)으로 수상(受賞)하였다. 그해 말 고야는 사라고사로 돌아가 필라 성모(聖母) 대성당(大聖堂) 소속(所屬)의 화가(畫家)가 되었다. 그곳에서 고야는 프란시스코 베이유 이 수비(守備)아스와 함께 작업(作業)하였다. 고야의 뛰어난 색감(色感)은 얼마 지나지 않아 유명(有名)해졌다.

성숙기(成熟期) [ 편집(編輯) ]

1773년(年) 7월(月) 25일(日) 고야는 베이유의 여동생(女同生) 호세파(波)와 결혼(結婚)하였다. 그 후(後) 고야는 왕립(王立) 미술(美術) 학회(學會)의 회원(會員)이었던 베이유의 도움으로 엘 에스큐리알 [주해(註解) 1] 엘 파르도(度) 궁전(宮殿) 테피스트리 제작(製作)에 참여(參與)하여 5년간(年間)에 걸쳐 42개(個)의 패턴을 제작(製作)하였다. 고야는 이 작업(作業)으로 왕가(王家)의 주목(注目)을 받았고 성(性) 프란시스코 성당(聖堂)의 제단화(祭壇畫)를 그려 실력(實力)을 인정받은 후(後) 왕실(王室) 미술(美術) 학회(學會)의 회원(會員)이 되었다.

1783년(年) 고야는 카를로스 3세(歲) 의 측근(側近)이었던 플로리다블랑카 백작(伯爵)의 초상화(肖像畫)를 제작(製作)하였다. 이 일을 계기(契機)로 고야는 많은 왕가(王家)의 초상화(肖像畫)를 제작(製作)하게 되었다. 1788년(年) 카를로스 3세(世)가 사망(死亡)하고 1789년(年) 카를로스 4세(歲) 가 즉위(卽位)하였다. 프랑스 대혁명(大革命) 이 일어난 이 해에 고야는 궁정화가(宮廷畫家)가 되었다. [2]

궁정화가(宮廷畫家) [ 편집(編輯) ]

카를로스 4세(歲)의 가족(家族) , 1800년(年)

1786년(年) 카를로스 3세(歲)의 초상화(肖像畫)를 그린 이래(以來) 고야는 왕가(王家)의 초상화(肖像畫)를 그리기 시작(始作)하였다. 1789년(年)에는 정식(正式)으로 궁정화가(宮廷畫家)가 되었고 1799년(年) 수석(首席) 궁정화가(宮廷畫家)가 되어 연봉(年俸)으로 50,000 레알과 사륜(四輪) 마차(馬車) 비용(費用)으로 500 두캇을 받았다. 궁정화가(宮廷畫家)로서 고야는 왕(王)과 왕후(王后)를 비롯한 많은 왕족(王族)과 귀족(貴族)의 초상화(肖像畫)를 그렸다. 그 가운데 1800년(年) 작(作) 《 카를로스 4세(歲)의 가족(家族) 》이 유명(有名)하다. [3]

카프리초(超)스 [ 편집(編輯) ]

카프리초(超)스 52번째(番째) 그림, 1799년(年)

1792년(年) 콜레라 에 걸린 고야는 고열(高熱)로 인해 청각(聽覺) 을 잃게 된다. 5년(年)뒤 회복(回復)에 이르기까지 고야는 깊은 상실감(喪失感)을 맛보았다. 이 기간(期間) 동안 고야는 프랑스 대혁명(大革命) 의 이상(以上)에 이끌렸고 관련(關聯) 철학책(哲學冊)들을 탐독(耽讀)하였다. 1799년(年) 고야는 에칭 의 일종(一種)인 애쿼틴트 기법(技法)으로 제작(製作)한 판화집(版畫集) 《 카프리초(超)스 》( 스페인어(語) : Caprichos , 변덕(變德))를 발표(發表)하였다. 이 작품(作品) 속에서 고야는 가톨릭 성직자(聖職者)들을 괴물(怪物)이나 악마(惡魔)로 묘사(描寫)하며 마녀(魔女)와 악마(惡魔)에 대(對)한 미신(迷信)에 사로잡힌 스페인의 풍조(風潮)와 부패(腐敗)한 가톨릭 교회(敎會)의 실상(實相)을 고발(告發)했다. 마카브르 의 일종(一種)인 이 판화집(版畫集)은 카툰 의 시초(始初)로 평가(評價)받기도 한다.어두운 분위기(雰圍氣)의 판화(版畫)들로 채워진 이 판화집(版畫集)에 그는 다음과 같은 부제(副題)를 붙였다.

이성(異性)이 잠들면 괴물(怪物)이 깨어난다.

한편(한便) 1798년(年) 고야는 파도바의 안토니오 를 기념(記念)하는 마드리드의 플로리다 성(性) 안토니오 성당(聖堂)의 벽화(壁畫)를 그렸다.

말년(末年) [ 편집(編輯) ]

1808년(年) 5월(月) 3일(日) 의 처형(處刑)

1808년(年)에서 1814년(年)까지 프랑스 스페인 간(間)에 반도(半島) 전쟁(戰爭) 이 일어났다. 고야는 반도(半島) 전쟁(戰爭)에 관(關)한 여러 기록화(記錄畵)를 남겼다. 특히(特히) 1808년(年) 5월(月) 2일(日)과 5월(月) 3일(日)의 사건(事件)을 그린 《1808년(年) 5월(月) 2일(日)》과 《1808년(年) 5월(月) 3일(日)의 처형(處刑)》이(李) 유명(有名)하다. 그는 프랑스 대혁명(大革命)의 지지자(支持者)였지만 자신(自身)의 조국(祖國) 스페인을 침략(侵略)한 프랑스군(軍)의 만행(蠻行)을 있는 그대로 묘사(描寫)하였다. 1810년(年)에서 1820년(年)까지 제작(製作)한 《전쟁(戰爭)의 재난(災難)》( 스페인어(語) : Los Desastres de la Guerra )은 전쟁(戰爭) 중(中)에 일어난 학살(虐殺)과 비인도적(非人道的) 만행(蠻行)을 기록(記錄)한 판화집(版畫集)이다. 1812년(年) 고야의 아내 호세파(派)가 사망(死亡)하였다.

1814년(年) 프랑스군(軍)이 물러가고 페르난도 7세(歲) 가 왕위(王位)에 복귀(復歸)하였으나 고야는 왕궁(王宮)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이후(以後) 고야는 가정부(家政婦) 도냐 레오카디나와 그녀(그女)의 사생아(私生兒) 로사리오 웨이스와 함께 살았다. 고야는 로사리오에게 그림을 가르쳐 주었는데 그녀(그女)는 고야의 딸이었으리라 짐작(斟酌)되고 있다. [4] 말년(末年)의 고야는 《유(有)스타와 루피나》와 같은 작품(作品)들을 제작(製作)하였다. 고야는 세상(世上)과 떨어져 지내고자 만사(萬事)나레스 근처(近處)에 집을 한 채 구(救)해 "퀸타(打) 델 소르도(度)"( 스페인어(語) : Quinta del Sordo , 귀머거리의 집)이라 이름 붙였다. 그는 여기서 검은 그림 들을 제작(製作)하였다.

1824년(年) 고야는 프랑스 보르도 로 이주(移住)하였고 이후(以後) 파리 에도 잠시(暫時) 있었다. 1826년(年) 스페인으로 돌아왔으나 건강(健康)이 악화(惡化)되어 보르도로 갔으며 1828년(年) 82세(歲)를 일기(一期)로 사망(死亡)하였다.

작품(作品) [ 편집(編輯) ]

작품(作品)으로 벨라스케스풍(風)의 종교화(宗敎畫)와 초상화(肖像畫) 및 민중(民衆) 생활(生活)에서 제재(制裁)를 취(取)한 사실적(事實的) 풍속화(風俗畫)가 많이 있는데, 그 중(中)에서도 초상화(肖像畫) <옷 입은 마하> <벌거벗은 마하> <카를로스 4세(歲)의 가족(家族)> 등(等)과 역사화(歷史畫) <5월(月) 3일(日) 처형(處刑)>, 그리고 동판화(銅版畫) <투우(鬪牛)> 등(等)은 특히(特히) 유명(有名)하다. 대다수(大多數)의 작품(作品)이 마드리드 왕립(王立) 회화관(繪畫館)에 보관(保管)되어 있다. [5]

고야의 작품(作品)은 그가 콜레라를 앓고 청각(聽覺)을 잃은 1792년(年)을 기점(起點)으로 전기(電氣) 작품(作品)과 후기(後期) 작품(作品)으로 뚜렷이 나뉜다. 전기(電氣) 작품(作品)은 고야가 궁정화가(宮廷畫家)로서 그린 왕족(王族)과 귀족(貴族)의 초상화(肖像畫)들과 여러 테피스트리 들로 화려(華麗)하고 밝은 느낌의 그림들이 주류(主流)를 이룬다. 그러나 1792년(年) 이후(以後) 고야의 그림은 눈에 띄게 어두워진다. 게다가 반도(半島) 전쟁(戰爭) 이후(以後)의 참상(慘狀)을 겪으면서 그의 그림은 무거운 주제(主題)와 어두운 색조(色調)를 담은 것으로 변(變)하게 된다. 말년(末年) 부인(夫人)을 잃고 퀸타(打) 델 소르도(道)에 그린 일련(一連)의 검은 그림 에서 그의 이러한 성향(性向)은 최고조(最高潮)에 달(達)한다.

마하 [ 편집(編輯) ]


옷 벗은 마하 1800년(年)

옷 입은 마하 1803년(年)

마하연(摩訶衍)작은 고야의 가장 널리 알려진 그림들 가운데 하나이다. 1800년(年)에 《옷 벗은 마하》를 그렸고 1803년(年)에는 《옷 입은 마하》를 그렸다. 같은 여인(女人)이 똑같은 포즈로 그려져 있는 이 두 그림은 어떠한 비유(比喩)나 신화적(神話的) 연관성(聯關性)이 없는 현실(現實)의 여인(女人)을 대상(對象)으로 한 그림으로, "서양(西洋) 예술(藝術) 최초(最初)의 등신대(等身大) 여성(女性) 누드"로 평가(評價)받는다. [3] 《옷 벗은 마하》는 신성(神聖) 모독(冒瀆) 논란(論難)을 일으켰고 고야는 그림에 옷을 입히라는 압력(壓力)을 받았다. 이에 고야는 그림에 옷을 입히는 것을 거절(拒絶)하고 《옷 입은 마하》를 새로 그렸다.

그림의 모델인 마하 누구인지는 명확(明確)하지 않다. 그림을 소유(所有)하게 된 카를로스 4세(歲)의 수상(受賞) 마누엘 데 고도이 를 비롯한 여러 사람이 마하의 후보(候補)로 알바 여공(女工)을 꼽았으나 고야는 이를 부정(否定)하였다. 마누엘 데 고도이의 아끼는 정부(政府)라는 설(說)도 있다. 여러모로 보아 마하는 실존(實存)의 어떤 인물(人物)이기보다는 이상화(理想化)된 여성(女性)으로 보는 것이 타당(妥當)할 것이다. [6] 1808년(年) 고도(高度)이가 실각(失脚)하자 이 그림은 그의 모든 재산(財産)과 함께 페르난도 7세(歲) 에게 귀속(歸屬)되었다. 1813년(年) 스페인 종교재판(宗敎裁判) 은 마하 연작(聯作)을 외설(猥褻)스럽다고 압수(押收)하였으나 1836년(年) 반환(返還)하였다. 고야는 간신히(艱辛히) 이단(異端) 심판(審判)을 면할 수 있었다. [7] 현재(現在) 마하 연작(聯作)은 스페인 프라도 박물관(博物館)이 소장(所藏)하고 있다. [6]

어두운 세계(世界) [ 편집(編輯) ]

1793년(年)에서 1794년(年) 사이 고야는 일련(一連)의 환상적(幻想的)인 그림들을 그렸다. 이 시기(時期) 그는 머리를 울리는 이상(異常)한 소음(騷音)과 청각상실(聽覺喪失)로 고통(苦痛)받고 있었다. 신경쇠약(神經衰弱) 에 걸린 그는 이 시기(時期)에 환상적(幻想的)이면서도 악몽(惡夢)을 표현(表現)하는 어두운 그림들을 남겼다. 이러한 그림들은 만년(晩年)의 고야가 그린 검은 그림 들과 깊은 연관성(聯關性)을 보인다. 1799년(年) 그는 마카브르 의 영향(影響)을 강(剛)하게 보여주는 82개(個)의 판화(版畫)들을 묶어 《 카프리초(超)스 》를 발표(發表)한다. 고야는 이러한 제목(題目)을 붙인 까닭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모든 문명(文明) 사회(社會)는 수 없이 많은 결점(缺點)과 실패(失敗)로 가득차 있다. 이는 악습(惡習)과 무지(無知), 당연(當然)한 것이 되어버린 이기심(利己心)으로 인해 널리 퍼진 편견(偏見)과 기만적(欺瞞的) 행위(行爲)에 의(依)한 것이다.
 
— 고야 [8]

전쟁(戰爭)의 광기(狂氣), 검은 그림 [ 편집(編輯) ]

반도(半島) 전쟁(戰爭) 이 가져온 결과(結果)는 참혹(慘酷)했다. 스페인 전역(全域)은 프랑스군(軍) 에 의(依)해 학살(虐殺) 죽음 의 공포(恐怖)에 떨었다. 프란시스코 고야는 전쟁(戰爭)의 참상(慘狀)을 그림을 통해 고발(告發)하였다. 《1808년(年) 5월(月) 3일(日)의 처형(處刑)》이(李) 널리 알려져 있다. 고야는 전쟁(戰爭)의 참상(慘狀)을 담은 판화집(版畫集) 《전쟁(戰爭)의 재난(災難)》을 제작(製作)하였다. 고야는 전쟁(戰爭)을 기록(記錄)한 이 판화(版畫) 연작(聯作)에서 프랑스 군인(軍人)의 만행(蠻行)을 기록(記錄)함과 동시(同時)에 스페인 사람들이 프랑스에 협력(協力)한 자국민(自國民)에게 벌인 만행(蠻行) 역시(亦是) 똑같이 기록(記錄)하였다. 전쟁(戰爭)이 끝나고 스페인 왕정(王政)이 복귀(復歸)하였으나 고야는 이미 왕가(王家)의 신임(信任)을 잃은 상태(狀態)였다. 외딴 집에서 살기로 작정(作定)한 고야는 퀸타(打) 델 소르도(度)에서 검은 그림 연작(聯作)을 남겼다. 이 그림들 속에서 그는 이성(理性)이라는 이름 뒤에 가려진 광기(狂氣)를 묘사(描寫)하였다. 검은 그림들 가운데 〈자식(子息)을 삼키는 사(社)트루누스〉가 유명(有名)하다. (귀머거리의 집 1층(層) 식당(食堂) 정면(正面)에 위치(位置), 완성(完成) 후(後) 그림을 감상(鑑賞)하며 식사(食事)를 했다고 한다.) [9]


〈잘하는 짓이다! 시체(屍體)를 가지고!〉
〈더 이상(以上) 어찌할 수 있겠는가?〉
《전쟁(戰爭)의 재난(災難)》중(中)에서
〈자식(子息)을 삼키는 사(社)트루누스〉
《검은 그림 연작(聯作)》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
《검은 그림 연작(聯作)》

각주(各州) [ 편집(編輯) ]

내용주(內容主) [ 편집(編輯) ]

  1. 앨 에스큐리알은 유네스코 세계유산(世界遺産) 으로 등재(登載)되어 있다.

참조주(參照週) [ 편집(編輯) ]

  1. Goya and Modernism, Bienal Internacional de Sao Paulo Retrieved 27 July 2007.
  2. Galeria de Arte transparencias Ancora A Todo Color 1961 Goya biography from the Museo del Prado. As quoted on eeweems.com Archived 2012년(年) 3월(月) 22일(日) - 웨이백 머신
  3. Licht, Fred: Goya: The Origins of the Modern Temper in Art, page 68. Universe Books, 1979.
  4. " Rosario Weiss Archived 2008년(年) 11월(月) 18일(日) - 웨이백 머신 ". Jose de la Mano Madrid Art Gallery.
  5.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6. The Clothed Maja and the Nude Maja Archived 2010년(年) 1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 the Prado Retrieved 27 July 2007.
  7. Museo del Prado, Catalogo de las pinturas, 1996, p. 138, Ministerio de Educacion y Cultura, Madrid, ISBN   84-87317-53-7
  8. The Sleep of Reason Linda Simon (www.worldandi.com). Retrieved 2 December 2006.
  9. 진중권(陳重權), 춤추는 죽음, 세종서적, 2005, ISBN   89-8407-181-1 , 76-90쪽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일반(一般)

청각(聽覺) 장애(障礙)

  • (영문(英文)) 고야의 청각장애(聽覺障礙)와 미술사(美術史) [1]

생애(生涯)

작품(作品)

관련(關聯) 문서(文書)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