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란(風蘭)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풍란(風蘭)(風蘭)
장르 드라마, 사극(史劇)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1985년(年) 3월(月) 11일(日) ~ 10월(月) 8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월(月) · 화요일(火曜日) 밤 9시(時) 45분(分) ~ 10시(時) 45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8부작(部作)
기획(企劃) 유길촌
연출(演出) 이병훈(李秉勳) (1~48회(回))
유길촌 (49~58회(回))
조연출(助演出) 이승렬, 이창순
각본(脚本) 신봉승

1985년(年) 3월(月) 11일(日)부터 같은 해 10월(月) 8일(日)까지 방영(放映)되었던 문화방송 월화(月火)드라마 로, 정통(正統) 사극(史劇) 조선왕조(朝鮮王朝) 오백년(五百年) 시리즈의 네 번째(番째) 작품(作品)이다.

반정(反正) 공신(功臣)들의 부침(浮沈) 시기(時期), 조광조 의 활약(活躍)에 정난정(鄭蘭貞) 의 등장(登場), 문정왕후(文定王后) 정난정(鄭蘭貞) 의 흥망성쇠(興亡盛衰) 등(等) 세 부분(部分)으로 나뉘어 이야기가 구성(構成)되었다. [1]

줄거리 [ 편집(編輯) ]

중종반정(中宗反正) 으로 시작(始作)해 부도덕(不道德)한 대비(對備) 정난정(鄭蘭貞) 하고 방약무도(方藥無道)했던 반정(反正) 공신(功臣)들의 시기(時期), 도학정치(道學政治)의 이상향(理想鄕)을 추구(追求)했던 거인(巨人) 조광조 가 귀양을 떠나 사약(死藥)을 받고 죽음에 이르는 명종(明宗) 시대(時代)까지를 그렸다.

또한 도총관(都摠管) 정윤겸의 소실(消失) 딸로 태어나 윤원형 의 첩실(妾室)이 되어 권력(權力)을 쥐고 풍속(風俗)과 전통(傳統)을 깨부수며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되려 애쓴 정난정(鄭蘭貞) 의 일대기(一代記)를 담았다. [1]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해설(解說) [ 편집(編輯) ]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편성(編成) 변경(變更)(1985) [ 편집(編輯) ]

  • 4월(月) 15일(日) : 기획(企劃)보고 〈평양(平壤)에선 지금(只今)〉 방송(放送)으로 순연(順延)되어 밤 10시(時) 15분(分)으로 변경(變更)
  • 4월(月) 22일(日) : 특별기획(特別企劃) 〈21세기(世紀)를 여는 여정(旅程)〉 방송(放送)으로 순연(順延)되어 밤 10시(時) 15분(分)으로 변경(變更)
  • 4월(月) 23일(日) : MBC 뉴스데스크 가 15분(分) 연장(延長) 방송(放送)되어 밤 10시(時)부터 방영(放映)
  • 4월(月) 29일(日) : MBC 뉴스데스크 가 15분(分) 연장(延長) 방송(放送)되어 〈위대(偉大)한 여정(旅程)〉 방송(放送)으로 순연(順延)되어 밤 10시(時) 40분(分)으로 변경(變更)
  • 4월(月) 30일(日) : 대통령(大統領) 방미(訪美) 특집방송(特輯放送)으로 순연(順延)되어 밤 10시(時) 15분(分)으로 변경(變更)
  • 6월(月) 24~25일(日) : 6.25 특집(特輯) 드라마 《 영웅시대(英雄時代) 》 방영(放映)으로 결방(決放)
  • 7월(月) 30일(日) : 월드컵 축구(蹴球) 예선전(豫選戰) 〈한국(韓國) VS 인도네시아〉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결방(決放)
  • 8월(月) 20일(日) : 〈민방위(民防衛) 등화관제(燈火管制) 훈련(訓鍊)〉 방송(放送)으로 순연(順延)되어 밤 10시(時)로 변경(變更)
  • 9월(月) 24일(日) : 특별방송(特別放送) 《평양(平壤)길 600리(里)》 방영(放映)으로 인(因)해 결방(決放)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1985년(年) 3월(月) 드라마 촬영(撮影)이 끝난 후(後) 연산군(燕山君)( 임영규 분(分))의 죽음으로 인해 드라마에서 하차(下車)하게 된 임영규 를 위해 마련된 술자리에서 박광남 (유순정 역(驛))이(李) 《풍란(風蘭)》의 타이틀 백(百)에 대(對)해 조연출자인(助演出者人) 이승렬에게 불만(不滿)을 제기(提起)하며 논쟁(論爭)하다가 이승렬을 폭행(暴行)했고 그 옆에 있던 임영규 까지 가세(加勢)했다. [2]
  • MBC 제작국(製作局) 프로듀서들은 이 문제(問題)로 회의(會議)를 열고 프로듀서를 폭행(暴行)한 박광남 임영규 를 MBC 탤런트실(室)원에서 제명(除名)했다. [2]
  • 이에 200여(餘) 명(名)의 MBC 탤런트들이 제명(除名)을 풀지 않으면 이승렬의 작품(作品)에는 출연(出演)하지 않겠다고 강경(强勁)하게 맞서자 결국(結局) 제명해제(除名解除)로 사건(事件)은 일단락(一段落)되었다. [3]

각주(各州) [ 편집(編輯) ]

문화방송 월화(月火)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설중매
(1984년(年) 1월(月) 9일(日) ~ 1985년(年) 2월(月) 26일(日))
풍란(風蘭)
(1985년(年) 3월(月) 11일(日) ~ 10월(月) 8일(日))
임진왜란(壬辰倭亂)
(1985년(年) 10월(月) 14일(日) ~ 1986년(年) 4월(月) 15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