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평창군(平昌郡)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평창군(平昌郡)

평창군(平昌郡)
평창의 알펜시아 리조트와 풍력 터빈
기(基)
평창군의 위치
평창군(平昌郡)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行政) 구역(區域) 1 읍(邑) , 7 면(面)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평창읍 군청(郡廳)길 77
단체장(團體長) 심재국 ( 국민의힘(國民의힘) )
국회의원(國會議員) 유상범 ( 국민의힘(國民의힘) , 홍천군(洪川郡)·횡성군(橫城郡)·영월군(寧越郡)·평창군(平昌郡) )
지리
면적(面積) 1,463.7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41,162명(名) (2022년(年) 2월년(越年))
세대(世代) 21,143세대(世代) (2021 [1] 년(年))
상징(象徵)
나무 전나무
철쭉
원앙(鴛鴦)
지역(地域) 부호(富豪)
웹사이트 http://www.pc.go.kr/portal

평창군(平昌郡) (平昌郡)은 대한민국(大韓民國)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중남부에 위치(位置)한 군(軍) 이다. 태백산맥(太白山脈) 의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하여, 평균고도(平均高度) 600m 이상(以上)에 달(達)한다. 군청(郡廳) 소재지(所在地)는 평창읍 이고, 행정(行政) 구역(區域)은 미탄면 , 방림면 , 대화면(大畵面) , 봉평면 , 용평면 , 진부면 , 대관령면(大關嶺面) 등(等) 1읍(邑) 7면(面)이다.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2018년(年) 동계(洞契) 패럴림픽 을 개최(開催)했던 도시(都市)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평창(平昌) 지역(地域)을 지칭(指稱)하는 최초(最初)의 사료(史料)는 《 삼국사기(三國史記) 》이며, 고구려(高句麗) 내생군(奈生郡)의 속현(屬縣)인 욱오현(五鉉)(郁烏縣)으로 기록(記錄)되어 있다. [2] 신라(新羅) 백제(百濟) 와 고구려(高句麗)를 멸망시킨 뒤 정복(征服)한 지역(地域)을 포함(包含)하여 행정(行政) 구역(區域)을 9주(週) 로 정비(整備)하면서, 평창(平昌) 지역(地域)은 명주(名酒) 의 내성군(오늘날의 영월군(寧越郡) )에 속(屬)하게 되었고, 757년(年)( 경덕왕 16년(年)) 백오현(白烏縣)으로 개명(改名)되었다. [3]

고려(高麗)가 건국(建國)된 이후(以後) 현재(現在)의 지명(地名)인 평창현(平昌縣)(平昌縣)으로 개명(改名)되었으며, 원주(原州) 의 속현(屬縣)으로 내속(來屬)되었다. [4] 995년(年)( 성종(成宗) 14년(年)) 10도(度) 가 신설(新設)되어 평창(平昌)의 북부(北部) 지역(地域)은 삭방도(朔方道)에 포함(包含)되었고, 남부(南部) 지역(地域)은 원주(原州) 가 속(屬)한 중원도(中原道)에 포함(包含)되었다. [5] 현종(顯宗) 때 행정(行政) 구역(區域)이 5도(道) 양계(兩界) 로 구획(區劃)됨에 따라 평창(平昌)의 동부(東部) 지역(地域)은 동계(冬季) 에, 서부(西部) 지역(地域)은 양광도(楊廣道) 에 편입(編入)되었다. 1299년(年)(충렬왕(忠烈王) 25년(年))에 평창(平昌)에 현령(縣令)이 파견(派遣)되어 비로소 원주(原州)의 속현(屬縣)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6]

조선(朝鮮)이 건국(建國)된 후(後) 1392년(年)( 태조(太祖) 원년(元年)) 군(軍) 으로 승격(昇格)되었다. [7] 1413년(年)( 태종(太宗) 13년(年))에 8도제(道制) 가 정비(整備)되었고, 평창(平昌)은 강원도(江原道) 에 속(屬)하게 되었다. [8] 1895년(年) 8도제(道制) 가 폐지(廢止)되고 23부제(部制) 가 실시(實施)되어 충주부 평창군(平昌郡)이 되었다가, 1896년(年) 13도제(道制) 의 실시(實施)로 강원도(江原道) 평창군(平昌郡)이 되었다. [7]

2011년(年) 7월(月) 6일(日) (결정지(結晶池) 시각(時刻) 기준(基準)),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 공화국(共和國) 더반 에서 열린 제(第)123차(次) IOC 총회(總會) 에서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개최지(開催地)로 선정(選定)되었다. [9]

지리 [ 편집(編輯) ]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의 남부(南部) 중앙(中央) 태백산맥(太白山脈) 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까닭에 토지(土地)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높아 평균고도(平均高度) 600m 이상(以上)에 달(達)하고, 특히(特히) 동(東)·북(北)·서(西) 삼면(三面)이 높고 험준(險峻)하며, 남쪽(南쪽)으로 경사져 있다. 즉(卽) 북쪽(北쪽)에는 오대산(五臺山) · 계방산 · 황병산(黃柄山) · 대관령(大關嶺) , 또 서쪽(西쪽)에는 오대산(五臺山) 에서 분기(奮起)한 차령산맥(車嶺山脈) 이 있다. 한강(漢江) 의 지류(支流) 평창강(平昌江) 은 중앙부(中央部)를 감입사곡하면서 역내(域內) 대부분(大部分)의 물을 모아 남류하여 연안(沿岸)에 소선상지(小扇狀地) 범람원(氾濫原) 을 형성(形成)하고 있다. 지질(地質) 은 주로(主로) 중생대(中生代) 대보 화강암(花崗巖) 선캄브리아기 화강편마암(片麻巖) 으로 되어 있다. [10] [11]

기후(氣候) [ 편집(編輯) ]

실제(實際) 평창군(平昌郡)의 기후(氣候)는 쾨펜의 기후(氣候) 구분(區分) 에 따르면 Dwb와 Dfb가 혼재(婚材)되어 있는 습윤(濕潤) 대륙성(大陸性) 기후(氣候) 를 띄고 있다. 그래서 여름에는 비교적(比較的) 덥지 않고 따뜻한 기후(氣候)를 가지고 있게 된다.

2001년(年)부터 2010년(年)까지의 평창(平昌)의 연평균(年平均) 기온(氣溫)은 섭씨(攝氏) 7.0도(度)로 강원도(江原道)의 연평균(年平均) 기온(氣溫)인 섭씨(攝氏) 8.9도(度)보다 낮았다. 평창군(平昌郡)에서 연평균(年平均) 기온(氣溫)이 가장 높은 지역(地域)은 평창읍 으로 섭씨(攝氏) 8.5도(度)였고, 가장 낮은 지역(地域)은 대관령면(大關嶺面) 으로 섭씨(攝氏) 6.3도(度)였다. [12] 대관령(大關嶺)은 여름철에는 7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이 19.1°C로 낮아 서늘한 편(便)이다. 겨울철에는 북동(北東) 기류(氣流)로 인하여 기온(氣溫) 변화(變化)가 심(甚)하고, 종종(種種) 심(甚)한 대설(大雪) 현상(現象)이 나타나기도 한다. [13]

2001년(年)부터 2010년(年)까지의 평창군(平昌郡)의 연강수량(年降水量)은 1,555.0mm로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의 평균(平均)인 1,491.5mm보다 많았으며, 평창군(平昌郡)에서는 봉평면 이 연강수량(年降水量) 1,626.4mm로 가장 많고, 미탄면 은 1,466.7mm로 가장 적었다. [12] 기상관측이래(氣象觀測以來) 전국(全國)의 시군구(市郡區) 중(中) 유일(唯一)하게 평창군(平昌郡) 만이 관내(管內) 전지역(全地域)에 걸쳐 단(單) 한차례(한次例)의 열대야(熱帶夜)도 기록(記錄)된 적이 없다.

평창군(平昌郡)(대관령(大關嶺))의 기후(氣候)
월(月) 1월(月) 2월(月) 3월(月) 4월(月) 5월(月) 6월(月) 7월(月) 8월(月) 9월(月) 10월(月) 11월(月) 12월(月) 연간(年間)
최고(最高)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9.3
(48.7)
16.5
(61.7)
20.5
(68.9)
30.1
(86.2)
31.0
(87.8)
32.3
(90.1)
32.9
(91.2)
32.7
(90.9)
29.0
(84.2)
26.1
(79.0)
21.5
(70.7)
13.5
(56.3)
32.9
(91.2)
평균(平均) 일(日) 최고(最高) 기온(氣溫) °C (°F) ?1.8
(28.8)
0.6
(33.1)
5.5
(41.9)
12.9
(55.2)
18.4
(65.1)
21.3
(70.3)
23.4
(74.1)
23.6
(74.5)
19.4
(66.9)
14.6
(58.3)
7.5
(45.5)
0.5
(32.9)
12.2
(54.0)
일(日) 평균(平均) 기온(氣溫) °C (°F) ?6.9
(19.6)
?4.6
(23.7)
0.4
(32.7)
7.0
(44.6)
12.5
(54.5)
16.2
(61.2)
19.6
(67.3)
19.7
(67.5)
14.6
(58.3)
8.8
(47.8)
2.3
(36.1)
?4.5
(23.9)
7.1
(44.8)
평균(平均) 일(日) 최저(最低) 기온(氣溫) °C (°F) ?12.2
(10.0)
?10.1
(13.8)
?4.7
(23.5)
1.2
(34.2)
6.8
(44.2)
11.6
(52.9)
16.6
(61.9)
16.5
(61.7)
10.4
(50.7)
3.5
(38.3)
?2.6
(27.3)
?9.4
(15.1)
2.3
(36.1)
최저(最低)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28.9
(?20.0)
?27.6
(?17.7)
?23.0
(?9.4)
?14.6
(5.7)
?4.7
(23.5)
?1.7
(28.9)
4.4
(39.9)
3.3
(37.9)
?2.3
(27.9)
?9.9
(14.2)
?18.7
(?1.7)
?24.7
(?12.5)
?28.9
(?20.0)
평균(平均) 강수량(降水量) mm (인치) 53.1
(2.09)
49.2
(1.94)
72.6
(2.86)
93.5
(3.68)
108.2
(4.26)
162.5
(6.40)
336.3
(13.24)
368.4
(14.50)
249.6
(9.83)
97.6
(3.84)
69.4
(2.73)
34.7
(1.37)
1,695.1
(66.74)
평균(平均) 강수일수(降水日數) (≥ 0.1 mm) 9.4 8.9 11.2 10.4 10.8 12.9 17.8 18.1 13.1 8.9 10.2 8.5 140.2
평균(平均) 상대(相對) 습도(濕度) (%) 66.3 65.7 65.8 61.9 67.5 79.4 86.2 87.2 85.5 76.8 70.3 66.6 73.3
평균(平均) 월간(月間) 일조시간(日照時間) 199.3 193.5 210.9 223.1 237.2 192.4 143.0 138.2 149.6 196.2 177.2 193.3 2,253.9
출처(出處):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평균값(平均값): 1991년(年)~2020년(年), 극값(極값): 1971년(年)~현재(現在)) [14] [15]

지질(地質) [ 편집(編輯) ]

정선군(旌善郡) 및 평창군(平昌郡)의 지질(地質)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평창군(平昌郡)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은 1읍(邑) 7면(面)이다. 1966년(年)에는 인구(人口)가 10만(萬)3519명(名)이었으나, 2012년말(年末) 인구(人口)는 4만(萬)3627명(名)이다. 인구(人口)의 22.9%가 평창읍 에, 22.4%가 진부면 에 거주(居住)하며 2개(個) 읍면(邑面)에 인구(人口)의 45.3%가 거주(居住)하고 있다. [16] 평창군(平昌郡)의 총(總) 면적(面積)은 1,464.16km 2 로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총면적(總面積) 16,874.60km 2 의 8.7%에 해당(該當)하며, 전국(全國) 군(郡) 중(中) 세 번째(番째)로 면적(面積)이 넓다. [17]

이름 한자(漢字) 영문(英文) [18] 면적(面積)(km 2 ) 인구(人口)(명(名)) 지도(地圖)
평창읍 平昌邑 Pyeongchang-eup 116.31 9,940 평창 읍·면 지도
미탄면 美灘面 Mitan-myeon 109.43 1,881
방림면 芳林面 Bangnim-myeon 120.85 2,596
대화면(大畵面) 大和面 Daehwa-myeon 166.6 6,564
봉평면 蓬坪面 Bongpyeong-myeon 217.41 5,545
용평면 龍坪面 Yongpyeong-myeon 135.43 3,129
진부면 珍富面 Jinbu-myeon 331.06 9,722
대관령면(大關嶺面) 大關嶺面 Daegwallyeong-myeon 221.63 6,231

역대(歷代) 군수(郡守) [ 편집(編輯) ]

산업(産業) [ 편집(編輯) ]

산간(山間) 지방(地方)이므로 경작지(耕作地)가 좁고 화전(火田)이 많다. 고랭지(高冷地) 이기(利器) 때문에 감자 옥수수 가 특히(特히) 많이 나서 유명(有名)하다. 경제(經濟) 작물(作物)로서 · 아마 ·약초(藥草) 재배(栽培)와 양잠(養蠶)이 성하다. 초지(草地)가 많아 축우(畜牛)가 성하며, 최근(最近)에는 대규모(大規模)의 기업적(企業的)인 목축(牧畜)도 행(行)해지고 있다.

광업(鑛業) [ 편집(編輯) ]

지하자원(地下資源)이 풍부(豐富)하여 광산물(鑛産物)의 산출(産出)도 많았으나, 값싼 수입(輸入) 광물(鑛物)의 영향(影響)으로 점차(漸次) 쇠퇴(衰退)하고 있다.

농업(農業) [ 편집(編輯) ]

경지(耕地) 면적(面積)은 산지(山地)이므로 총(總) 면적(面積)의 약(約) 10%인 146 km 2 , 논과 밭의 비율(比率)은 17:83으로 밭이 많다. 주요(主要) 농산물(農産物)은 옥수수·감자·쌀·홉·아마·누에고치·꿀·잎담배·고랭지(高冷地) 채소(菜蔬) 등(等)이다. 대관령면(大關嶺面) 은 대표적(代表的) 씨감자 생산지역(生産地域)으로 감자 원종장(原種場)과 고랭지(高冷地) 시험장(試驗場) 등(等)이 있다. 대관령(大關嶺)·대화(對話)·진부령(陳富嶺) 등지(等地)에는 낙농목장(酪農牧場)이 분포(分布)해 있다.

특산물(特産物) [ 편집(編輯) ]

감자술(術)·고랭지(高冷地)김치· 느타리버섯 ·대관령(大關嶺)감자·대관령황태(大關嶺黃太)·두메산골토종잡곡(두메山골土種雜穀)·맥향(脈香)·루(壘)티나·메주 및 전통장류(傳統醬類)·부침(浮沈)가루·국수·산(山)더덕·산머루(山머루)·오(誤)대산화훼(花卉)·옥수수엿·찰옥수수·찰(札)토마토·고랭지양파(高冷地洋파)·태양초(太陽草)고추·한우(韓牛)·허브·흑(黑)염소·송이버섯(松耳버섯)·된장(된醬)·고추장(고추醬)·산나물(山나물)·장아찌·사과(謝過) 등(等)이 유명(有名)하다.

문화관광(文化觀光) [ 편집(編輯) ]

월정사(月精寺) 팔각구층석탑(八角區層石塔)
상원사 동종(同種)

문화재(文化財) [ 편집(編輯) ]

평창(平昌)에는 국가(國家)가 지정(指定)한 국보(國寶) 5개(個), 보물(寶物) 5개(個), 사적(私的) 1개(個),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3개(個), 국가민속문화재(國家民俗文化財) 1개(個), 등록문화재(登錄文化財) 1개(個)가 있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가 지정(指定)한 문화재(文化財)는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29개(個).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2개(個), 기념물(記念物) 4개(個), 문화재자료(文化財資料) 10개(個)가 있다.

사찰(査察)

상원사(上院寺) 는 평창군(平昌郡) 오대산(五臺山) 에 있는 절로, 705년(年) 진여원(眞如院)으로 창건(創建)됐다고 전(傳)해진다. 조선(朝鮮) 시대(時代)의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政策)에도 불구(不拘)하고 1401년(年)에 태종(太宗) 에 의(依)해 사자암이 중건(重建)되었고, 1465년(年)에는 세조(世祖) 에 의(依)해 중건(重建)되었다. 예종(睿宗) 은 1469년(年) 상원사(上元絲)를 세조(世祖)의 원찰(願刹)로 삼았다. 한국(韓國) 전쟁(戰爭) 당시(當時)에도 오대산(五臺山)의 다른 사찰(査察)과 달리 전소(全蘇)되지 않고 일부(一部)가 보존(保存)되었다. [19]


월정사(月精寺) 는 평창군(平昌郡) 오대산(五臺山) 에 있는 절로, 643년(年)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創建)했다고 전(傳)해진다. 창건(創建) 이후(以後) 지속적(持續的)으로 중건(重建)되다가 1·4후퇴(後退) 때 10채의 건물(建物)이 전소(全燒)되었다. 1964년(年) 승려(僧侶) 탄허가 법당(法堂) 적광전(寂光殿)을 중창(重唱)하고 승려(僧侶) 만화가(漫畫家) 중건(重建)하여 오늘에 이른다. [20] 국보(國寶) 평창(平昌) 월정사(月精寺) 팔각(八角) 구층석탑(區層石塔) 와 보물(寶物) 평창(平昌) 월정사(月精寺) 석조보살좌상(石造菩薩坐像) 등(等)을 소장(所藏)하고 있다.


사적(私的)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지방(地方)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축제(祝祭) [ 편집(編輯) ]

1993년(年)에 대관령(大關嶺)눈꽃축제(祝祭)가 1992년(年) 대관령(大關嶺) 스키동우회(同友會)가 개최(開催)한 "대관령(大關嶺)겨울눈꽃축제(祝祭)"가 발전(發展)되어 처음 시작(始作)되었다. 1회(回)에는 주민(住民)스키대회(大會), 눈사람만들기대회, 눈썰매대회(大會), 썰매대회(大會)가 열렸으며, 이후(以後) 전통(傳統)놀이, 스노우카레이싱 등(等)의 프로그램이 추가(追加)되었다. [21] 2018년(年) 제(第)26회(回) 대관령(大關嶺)눈꽃축제(祝祭)는 2월(月) 7일(日)부터 2월(月) 22일(日)까지 대관령면(大關嶺面) 횡계리에서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사전(事前) 행사(行事)로 치러지며, 눈조각전시(彫刻展示)(세계명작동화(世界名作童話) 테마 등(等)), 눈썰매, 얼음미끄럼틀, 국제(國際)알몸마라톤, 전통민속공연(傳統民俗公演), 황병산(黃柄山)사냥놀이 등(等)의 프로그램이 있다. [22]

소설가(小說家) 이효석(이효석) 이 평창군(平昌郡) 출신(出身)으로서 [23] 효석문화(文化)마을이 이효석(李孝石)이 자란 곳에 조성(造成)되어 있으며, "메밀꽃 필 무렵 효석 문화제(文化祭)"가 열리고 있다. [24]

박물관(博物館) [ 편집(編輯) ]

1969년(年) 12월(月) 9일(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장(武裝) 공비(共匪) 에게 살해(殺害)된 이승복(李承福) 을 추모(追慕)하고자 이승복기념관(記念館)이 1982년(年) 10월(月) 26일(日) 용평면 노동리에 설립(設立)되었으며, 경내(境內)에 이승복(李承福)의 대형(大型) 동상(銅像)이 조성(造成)되었다. 1994년(年) 이승복(李承福) 추모(追慕) 작품(作品) 전시실(展示室)이 개장(開場)되었으며, 2000년(年) 이승복(李承福)의 생가(生家)가 복원(復元)되었다. [25]

1990년(年)에 이효석(이효석) 의 출생지(出生地)인 봉평면 남안동(南安東)이 문화부(文化部)에 의(依)해 문화(文化)마을 1호(號)로 지정(指定)되어, 물레방앗간(물레방앗間)을 지어졌다. 1991년(年) 이효석(李孝石)의 작품(作品)인 《 메밀꽃 필 무렵 》의 충주(忠州)집의 표석(標石)이 설치(設置)되었으며, 1993년(年) 봉평면 봉석회(鳳石灰)에서 군비(軍備)를 일부분(一部分) 지원(支援)받아 가산공원을 조성(造成)하였다. 평창군(平昌郡)에서 1997년(年) 2002년(年)까지 가산공원과 물레방앗간(물레방앗間)을 정비(整備)하고, 문학(文學)동산, 민속촌(民俗村), 이효석문화관(이효석文化館), 메일향토자료관(鄕土資料管)을 신설(新設)하였다. [26]

2009년(年)에 평창동강(平倉洞江)민물고기생태관(生態館)이 2000년(年) 동강댐의 건설(建設) 계획(計劃)이 중단(中斷)된 이후(以後), 관광객(觀光客)을 유치(誘致)하고 동강 의 자연(自然)을 홍보(弘報)하기 위하여 개관(開館)하였다. [27]

관광(觀光) [ 편집(編輯) ]

휘닉스 평창(平昌)

스키 등(等)의 동계(洞契) 스포츠 를 즐기기에 적합한 환경(環境)을 갖추고 있으며, 스키 슬로프, 호텔 , 콘도미니엄 등(等)을 갖춘 모나 용평 휘닉스 평창(平昌) 이 운영(運營)되고 있다. [28]

2010년대(年代) 후반(後半)부터는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관광(觀光) 뿐만 아니라, 대관령목장(大關嶺牧場) , 삼양목장(牧場) 등(等) 이국적(異國的)인 풍경(風景)을 보여주는 목장도(木粧刀) 많은 관광객(觀光客)이 찾고 있다.

교통(交通) [ 편집(編輯) ]

영동고속도로(嶺東高速道路) 가 개통(開通)되기 이전(以前)에는 접근성(接近性)이 떨어졌으나 고속도로(高速道路)의 개통(開通)과 확장(擴張) 이후(以後)에는 접근성(接近性)이 향상(向上)되었으며, [29] 경강선(京江船) 원주(原州)~강릉(江陵) 구간(區間)이 건설(建設)되면서 평창역(平昌驛) 진부역(珍富驛) 이 설치(設置)되었다. [30] [31] 이 중(中) 진부역(珍富驛)은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거점역(據點逆)으로 사용(使用)된다. 주요(主要) 시외버스(市外버스)터미널로 평창시외버스(平昌市外버스)터미널 장평시외버스(長平市外버스)터미널 이 있다.

철도(鐵道) [ 편집(編輯) ]

서울역(서울驛) 강릉역(江陵驛) 을 오가는 경강선(京江船) 열차(列車) 중(中) 일부(一部)가 평창역(平昌驛) 진부역(珍富驛) 에 선택(選擇) 정차(停車)한다.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기간(期間)에는 인천공항(仁川空港)2터미널역(驛) 강릉역(江陵驛) 을 운행(運行)하는 편성(編成)이 있고, 평창역(平昌驛) 은 선택(選擇) 정차(停車), 진부역(珍富驛) 은 필수(必須) 정차역(停車驛)이다. [32]

경강선(京江船) 둔내역(屯內驛) 평창역(平昌驛) 진부역(珍富驛) 강릉역(江陵驛)

버스 [ 편집(編輯) ]

시외버스(市外버스)

평창시외버스(平昌市外버스)터미널 , 장평시외버스(長平市外버스)터미널 , 진부공용(陳腐共用)버스정류장(停留場) , 대화(對話)버스터미널 , 횡계시외버스(市外버스)터미널 등(等)이 있다. [33]

농어촌(農漁村)버스

평창시외버스(平昌市外버스)터미널 , 장평시외버스(長平市外버스)터미널 , 진부공용(陳腐共用)버스정류장(停留場) 을 거점(據點)으로 농어촌(農漁村)버스가 운행(運行)된다.

도로(道路) [ 편집(編輯) ]

영동고속도로(嶺東高速道路) 가 군(君)의 북부(北部)를 동서(東西)로 지난다. 국도(國道) 6 , 42 호선이 동서(東西)로, 31 , 59 호선이 군(軍)을 남북(南北)으로 지난다.

50
고속국도 제50호선
영동고속도로(嶺東高速道路)
동둔내(桐屯內) 나들목 면온 나들목 평창(平昌) 나들목 속사(速射) 나들목 진부 나들목 대관령(大關嶺) 나들목 강릉(江陵) 분기점(分岐點)

스포츠 [ 편집(編輯) ]

1954년(年)에 열린 대관령(大關嶺) 스키 대회(大會) 참관자(參觀者)들의 모습

1999년(年) 동계(冬季) 아시안 게임 [ 편집(編輯) ]

1989년(年) 제(第)8차(次) OCA 총회(總會)에서 제(第)3회(回) 동계(冬季) 아시안 게임을 1995년(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삼지연군(三池淵郡) 에서 개최(開催)하기로 결정(決定)되었으나 1992년(年) 반납(返納) 의사(意思)를 표명(表明)하였다. 강원도(江原道)는 1992년(年) 제(第)3회(回) 대회(大會)의 유치(誘致)를 신청(申請)하였으나, 1993년(年) 쿠웨이트 에서 열린 OCA 총회(總會)에서 제(第)3회(回) 대회(大會)는 하얼빈 에서 개최(開催)하고, 1999년(年) 제(第)4회(回) 대회(大會)를 강원도(江原道) 평창군(平昌郡), 춘천시(春川市) , 강릉시(江陵市) 에서 개최(開催)하기로 결정(決定)하였다. [34]

779명(名)의 선수(選手)가 참가(參加)하였으며, 주최국(主催國)인 대한민국(大韓民國)은 101명(名)의 선수(選手)와 29명(名)의 임원(任員)이 참가(參加)하였다. 평창(平昌)(용평)에서는 알파인 스키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바이애슬론 , 쇼트트랙 , 피겨 스케이팅 등(等) 5개(個) 종목(種目)이 개최(開催)되었다. [35] [36]

2013년(年) 동계(冬季) 스페셜 올림픽 [ 편집(編輯) ]

2013년(年) 동계(冬季) 스페셜 올림픽 은 평창군(平昌郡) 대관령면(大關嶺面) 강릉시(江陵市) 일대(一帶)에서 2013년(年) 1월(月) 29일(日) 부터 2월(月) 5일(日) 까지 개최(開催)되었다. 아시아 에서 두 번째(番째)로 열리는 동계(冬季) 스페셜 올림픽이다.

폐막식(閉幕式) 때, 당시(當時) 국제(國際)스페셜올림픽위원회(委員會) 팀 슈라이버 회장(會長)은 폐회선언(閉會宣言)에서 "2013년(年) 동계(冬季) 스페셜 올림픽은 역대(歷代) 최고(最高)의 대회(大會)였다. 2013스페셜올림픽 만세(萬歲), 브라보"라고 소감(所感)을 밝혔다. [37] [38] [39] [40]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패럴림픽 [ 편집(編輯) ]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IOC   · KOC   · POCOG
2018년(年) 동계(洞契) 패럴림픽
IPC   · KPC   · POCOG

평창군(平昌郡) 대관령면(大關嶺面) 강릉시(江陵市) , 정선군(旌善郡) 일대(一帶)에서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洞契) 패럴림픽 을 개최(開催)했다.

평창(平昌) 2010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유치권(留置權)을 두고 캐나다 밴쿠버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와 경쟁(競爭)하게 되었다. 1차(次) 투표(投票)에서 51표(票)를 얻어 2위(位) 밴쿠버와 11표(票) 차이(差異)로 1위(位)를 했으나, 2차(次) 투표(投票)에서 53표(票)를 얻어 56표(票)를 얻은 밴쿠버가 개최지(開催地)로 선정(選定)되었다.

2010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유치(誘致)에 실패(失敗)한 평창(平昌)은 2014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유치(誘致)도 희망(希望)했다. 2006년(年) 6월(月) 22일(日), 후보지(候補地)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2010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유치(誘致) 경쟁(競爭)에서 탈락하여 2번째(番째)로 동계(冬季) 올림픽 유치(誘致)에 도전함(挑戰函).), 러시아 소치(小癡) 그리고 평창(平昌)으로 좁혀졌다. 2007년(年) 7월(月) 4일(日), 잘츠부르크가 경쟁(競爭)에서 먼저 밀려나고, 소치(所致)가 단 4표차(票差)로 평창(平昌)을 누르고 개최지(開催地)로 선정(選定)되었다.

두 번(番) 연속(連續)으로 개최지(開催地) 선정(選定)에서 탈락(脫落)한 평창(平昌)은 2009년(年) 10월(月) 15일(日), 프랑스 안시 , 독일(獨逸) 뮌헨 과 함께 2018년(年) 동계(冬季) 올림픽 유치(誘致) 후보(候補) 도시(都市)로 선정(選定)되었다. 2011년(年) 7월(月) 7일(日) 한국시각(韓國時刻)으로 자정(子正)에 올림픽 개최지(開催地)가 63표(票)로 평창군(平昌郡)으로 확정(確定)되었으며 아시아 에서 세 번째(番째)로 열리는 동계(洞契) 올림픽이 되었다.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과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洞契) 패럴림픽의 개막식(開幕式), 폐막식(閉幕式)이 평창(平昌)에서 개최(開催)되었다.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에서는 스키점프 , 노르딕 복합(複合) , 바이애슬론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루지 , 프리스타일 스키 , 스노보드 경기(景氣)가 개최(開催)되었으며,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洞契) 패럴림픽에서는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競技)가 개최(開催)되었다.

연고지(緣故地) 팀 [ 편집(編輯) ]

교육(敎育) [ 편집(編輯) ]

고등학교(高等學校) [ 편집(編輯) ]

중학교(中學校) [ 편집(編輯) ]

초등학교(初等學校) [ 편집(編輯) ]

자매(姊妹) 도시(都市) [ 편집(編輯) ]

지역(地域) 도시(都市)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관악구(冠岳區) [41]
송파구(松坡區)
경기도(京畿道) 화성시(華城市)
의왕시(義王市)

출신(出身)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1년(年) 12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48-49면(面)
  3.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61면(面)
  4. 《고려사(高麗史) 지(志) 권제10》 . 1455년(年).  
  5.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72면(面)
  6.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75면(面)
  7.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8. http://www.provin.gangwon.kr/gw/portal/sub03_03
  9. “Pyeongchang named as host city for 2018 Winter Olympics” . 《Daily Telegraph》. 2011년(年) 7월(月) 6일(日). 2011년(年) 7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7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평창(平昌)의 자연(自然)〉
  11. https://data.kigam.re.kr/mgeo/map/main.do?process=geology_50k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의 5만(萬) 지질도(地質圖)
  12. http://www.climate.go.kr/home/cc_data/scenario_web_report/Gangwon_Pyeongchang.pdf
  13. 대관령지방(大關嶺地方) 기후특성(氣候特性) , 기상청(氣象廳)
  14. “우리나라 기후평년값(氣候平年값)(1991~2020) 대관령(大關嶺)(100)” .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 2021년(年) 3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15. “순위(順位)값 - 구역별조회(區域別照會) 대관령(大關嶺)(100)” .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 2021년(年) 10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16. 평창(平昌) 기본현황(基本現況)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7. 평창(平昌) 기본현황(基本現況)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2012년(年) 4월(月) 20일(日) 확인(確認)
  18. “영문표기(英文表記) 사전(事前)” . 2008년(年) 6월(月) 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7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19.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상원사&ridx=5&tot=32
  20.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월정사(月精寺)&ridx=0&tot=26
  21.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22. “대관령(大關嶺)눈꽃축제(祝祭) 소개(紹介)” . 《대관령축제(大關嶺祝祭) 위원회(委員會)》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이효석(이효석)&ridx=0&tot=13
  24.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842
  25.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380면(面).
  26.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384면(面).
  27. “보관(保管)된 사본(寫本)” . 2016년(年) 4월(月) 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28.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589-590면(面).
  29.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268면(面).
  30. 국토교통부고시(國土交通部告示) 제(第)2017-428호(號) , 2017년(年) 6월(月) 29일(日).
  31. “보도자료(報道資料) |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 2017년(年) 11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32.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철도운영(鐵道運營)과 (2017년(年) 11월(月) 21일(日)). “서울~강릉(江陵) KTX 올해말(末) 개통(開通), 114분(分) 소요(所要)” (보도(報道) 자료(資料)).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33. 평창군청 문화관광과(文化觀光科) 관광(觀光)마케팅. “시외버스안내(市外버스案內)” . 2018년(年) 2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34.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777면(面)
  35. 평창군지(平昌郡地) 상(上), 평창군(平昌郡), 2003년(年), 778면(面)
  36. 제(第)4회강원동계(回講院冬季)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競技大會組織委員會). 《제(第)4회강원동계(回講院冬季)아시아경기대회공식보고서(競技大會公式報告書)》 . 5쪽.  
  37. 김희선(金希善) 기자(記者) (2013년(年) 2월(月) 5일(日)). “평창(平昌) 스페셜올림픽, "지금(只今)까지와 차원(次元)이 다른 혁신적(革新的) 대회(大會) " . OSEN . 2014년(年) 3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8. “스페셜올림픽 5일(日) 폐막(閉幕), "혁신(革新)한 최고(最高)의 대회(大會)” 찬사(讚辭)” . MK스포츠. 2013년(年) 2월(月) 5일(日) . 2014년(年) 3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9. 김윤일 기자(記者) (2013년(年) 2월(月) 5일(日)). “평창(平昌)스페셜 폐막(閉幕) ‘차원(次元)이 다른 혁신적(革新的) 성과(成果)’” . 데일리안(데일리안) . 2014년(年) 3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40. 정윤석 기자(記者) (2013년(年) 2월(月) 5일(日)). “스페셜올림픽 폐막(閉幕)…혁신적(革新的) 대회(大會) 평가(評價)” . 에이블뉴스 . 2014년(年) 3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41. 평창소개(平昌紹介) > 군청소개(郡廳紹介) > 국내외(國內外) 교류현황(交流現況)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