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평부선(平否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평부선(平否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평부선(平否選)
기본(基本) 정보(情報)
운행(運行) 국가(國家)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종류(種類) 간선(幹線) 철도(鐵道)
상태(狀態) 영업(營業) 중(中)
기점(起點) 평양역(平壤驛)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중구역(重九譯) )
종점(終點) 도라산역
(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경기도(京畿道) 파주시(坡州市) )
개통(開通)일 1905년(年) 11월(月) 5일(日)
소유자(所有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鐵道性)
운영자(運營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鐵道性)
노선(路線) 제원(諸元)
궤간(軌間) 1,435 mm(표준궤(標準軌))
선로(線路) 수(數) 단선(單線)
전철화(電鐵化) 전철(電鐵)
신호(信號) 방식(方式) 완목식(腕木式)
평부선(平否選)(평양역(平壤驛)-도라산역)
ABZg+r
평남선(平南線) , 평(坪)의선
BHF
0.0 평양(平壤)
hKRZWae
대동강(大同江)
BHF
2.6 대동강(大同江)
ABZgl
구평양탄광선(舊平壤炭鑛線)
KRWgl+l STRq
평덕선(平德線) (승호리역(勝湖里驛) 방면(方面))
SKRZ-Au
평양원산관광도로(平壤元山觀光道路)
ABZg+r
락(樂)랑선(選)
BHF
10.5 력포(力抛)
STR+GRZq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 황해북도(黃海北道) 중화군(中和郡)
HST
17.8 중화(中華)
STR+GRZq
중화군(中和郡) / 황주군(黃州郡)
HST
24.4 흑교(黑橋)
HST
긴등
ABZg+r
송림선(松林線) (송림역(松林役) 방면(方面))
BHF
36.5 황주(黃州)
BHF
46.7 침촌(村)
SKRZ-Au
평양개성고속도로(平壤個性高速道路)
STR+GRZq
황주군(黃州郡) / 사리원시
HST
53.8 정방리
BHF
60.5 사리원청년(沙里院靑年)
ABZgr
황해청년선(黃海靑年善) ( 해주청년역(海州靑年役) 방면(方面))
HST
65.1 동사리원
STR+GRZq
사리원시 / 봉산군
HST
70.5 봉산(鳳山)
HST
77.5 청계
HST
85.4 흥수(興首)
STR+GRZq
봉산군 / 서흥군(瑞興郡)
HST
90.2 문무(文武)
SKRZ-Au
평양개성고속도로(平壤個性高速道路)
HST
100.6 서흥
HST
107.4 신막(新幕)
STR+GRZq
서흥군(瑞興郡) / 평산군(平山郡)
HST
117.9 물개
BHF
126.7 평산
ABZgl
청년이천선 (이천청년역(利川靑年役) 방면(方面))
HST
135.3 태백산성(太白山城)
HST
141.0 한포(한布)
hKRZWae+GRZq
평산군(平山郡) / 금천군(金川郡) ↓, 례성강(例盛彊)
HST
151.3 금천(衿川)
hKRZWae
SKRZ-Au
평양개성고속도로(平壤個性高速道路)
HST
163.2 계정(計定)
STR+GRZq
황해북도(黃海北道) 금천군(金川郡) / 개성특별시(開城特別市)
HST
170.4 려현(縣)
eABZg+r
구(區) 토해선(土海線)
BHF
178.2 개풍(凱風)
SKRZ-Au
평양개성고속도로(平壤個性高速道路)
BHF
187.3 개성(開城)
SKRZ-Au
평양개성고속도로(平壤個性高速道路)
HST
손하(下)
HST
195.1 봉동
HST
197.6 판문(板門)
GRENZ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대한민국(大韓民國)
eBHF
202.9 장단(1950년(年) 폐지(廢止))
BHF
204.6 도라산
STR
경의선(京義線) ( 문산역(門山役) 방면(方面))
  • 역명(逆明)과 거리는 일본어(日本語) 위키백과(百科) 문서(文書) 등(等)을 참고(參考)로 작성(作成)함

평부선(平否選) (平釜線)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중구역(重九譯) 에 있는 평양역(平壤驛) 에서 대한민국(大韓民國) 경기도(京畿道) 파주시(坡州市) 장단면에 있는 도라산역 을 연결(連結)하는 철도(鐵道) 노선(路線)이다.

노선(路線) 정보(情報) [ 편집(編輯) ]

  • 구간(區間)과 거리(距離): 평양역(平壤驛)~개성역 187.3km(개성역 이후(以後) 도라산역까지 연장(延長))
  • 역(驛) 수(驛數): 26개(個)(장단역 포함(包含))
  • 궤도(軌道) 간격(間隔): 1435mm(표준궤(標準軌))
  • 전철화(電鐵化) 구간(區間): 전(全) 구간(區間)(직류(直流) 3000V)
  • 복선(複線) 구간(區間): 없음

연혁(沿革) [ 편집(編輯) ]

역(驛) 목록(目錄) [ 편집(編輯) ]

평양(平壤) - 판문(板門) [ 편집(編輯) ]

역명(驛名) 로마자(로마字) 역명(驛名) 한자(漢字) 역명(驛名) 접속(接續) 노선(路線) 소재지(所在地)
평양(平壤) P'y?ngyang 平壤 평(坪)의선 · 평남선(平南線) · 평라선 · 평덕선(平德線)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 중구역(重九譯)
대동강(大同江) Taedonggang 大同江 평덕선(平德線) 선교구역(宣敎區域)
력포(力抛) Ry?kp'o 力浦 력포구역(力抛區域)
중화(中華) Chunghwa 中和 황해북도(黃海北道) 중화군(中和郡)
흑교(黑橋) H?kkyo 黑橋 황주군(黃州郡)
긴등 Kind?ng
황주(黃州) Hwangju 黃州
침촌(村) Ch'imch'on 沈村
정방리 Ch?ngbang-ri 正方里 사리원시
사리원청년(沙里院靑年) Sariw?n Ch'?ngny?n 沙里院靑年
동사리원 Tongsariw?n 東沙里院
봉산(鳳山) Pongsan 鳳山 봉산군
청계 Ch'?nggye 淸溪
흥수(興首) H?ngsu 興水
문무(文武) Munmu 文武 서흥군(瑞興郡)
석현(昔賢) S?khy?n 石峴
서흥 S?h?ng 瑞興
물개 Mulgae 物開 평산군(平山郡)
평산 P'y?ngsan 平山 청년이천선
태백산성(太白山城) Taebaeksans?ng 太白山城
한포(한布) Hanp'o 汗浦
금천(衿川) K?mch'?n 金川 금천군(金川郡)
계정(計定) Kyej?ng 鷄井
려현(縣) Ry?hy?n 礪峴 개성시(開城市)
개풍(凱風) Kaep'ung 開豊
개성(開城) Kaes?ng 開城
손하(下) Sonha 孫河
봉동 Pongdong 鳳東
판문(板門) P'anmun 板門
MDL
장단(長湍) Jangdan 長湍 경기도(京畿道) 파주시(坡州市)
대한민국(大韓民國) 관할(管轄) 구간(區間)
도라산 Dorasan 都羅山 경의선(京義線)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 고(高)쿠부 하야토(?分?人), 《?軍?の?道 北朝鮮?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道省 編, 『?道停車場一?.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483?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