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페터 페트레이우스 에서 넘어옴)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 ( 스웨덴어(語) : Per Persson de Erlesunda 혹은(或은) Petrus Petrejus, 웁살라 1570년(年) ? 스톡홀름 1622년(年) 10월(月) 28일(日) )는 17세기(世紀) 러시아 와 유럽 신교(新敎) 지역(地域)에 파견(派遣)되어 활동(活動)했던 스웨덴 의 외교관(外交官), 작가(作家)이다. 그의 라틴어(語) 필명(筆名)인 Petrus Petreius로 특히(特히) 잘 알려져 있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생애(生涯) 요약(要約) [ 편집(編輯) ]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1570년(年) 무렵 스웨덴 웁살라 에서 출생(出生)했다. 1590년(年) 초(秒)에 마르부르크 대학(大學) 에서 수학(數學) 을 공부(工夫)하고, 1592년(年) 87개(個)의 테제로 구성(構成)된 논문(論文)을 제출(提出)했으나, 결국(結局) 학업(學業)을 마치지 못하고 1593년(年) 8월(月)에 학교(學校)에서 퇴출(退出)당한다. [1] 독일(獨逸) 에서 채무(債務)를 상환(償還)하지 못하고 잠깐 감옥(監獄)에 갔던 그는 곧 본국인(本國人) 스웨덴 으로 추방당했(追放當下)다. 스웨덴 으로 돌아온 이후(以後)인 1595년(年),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후(後)에 스웨덴 의 왕(王) 칼 9세(歲) 가 되는 칼 공작(公爵)의 궁정(宮廷)에 합류(合流)하여 외교관(外交官) 겸(兼) 정보(情報) 수집(蒐集) 임무(任務)를 시작(始作)한다. [2] 그는 칼 9세(歲) 구스타브 2세(歲) 아돌프 의 외교관(外交官)으로 평생(平生) 소처럼 일하며 오랜 기간(期間) 해외(海外)에 체류(滯留)했으나, 1622년(年) 스톡홀름 에 잠깐 돌아왔다가 갑작스럽게 전염병(傳染病)으로 사망(死亡)했다.

외교관(外交官) 활동(活動) [ 편집(編輯) ]

외교관(外交官)으로서의 페트레이우스의 주요(主要) 활동(活動) 지역(地域)은 크게 루스 차르국(國) 과 유럽 신교(新敎) 국가(國家), 두 지역(地域)으로 구분(區分)된다. 그는 1600년대(年代)부터 루스 차르국(國) 과 유럽을 오가며 칼 9세(歲) 구스타브 아돌프 왕(王)을 위한 수많은 외교(外交) 임무(任務)를 수행(遂行)하기 시작(始作)했다. 후술(後述)할 루스 차르국(國) 에서의 활동(活動)을 제외(除外)한 페트레이우스의 파견(派遣) 임무(任務)들은 특히(特히) 신교(新敎) 국가(國家)인 네덜란드 , 영국(英國) , 독일(獨逸) 북부(北部)의 개신교(改新敎) 군주(君主)들에게 집중(集中)되어 있는데, 1593년(年)의 웁살라 종교회의(宗敎會議) 를 통해 스웨덴 의 신교(新敎) 국가(國家) 정체성(正體性)을 확립(確立)하고 30년(年) 전쟁(戰爭) 에서 신교(新敎) 진영(陣營)으로 참전(參戰)했던 이 시기(時期) 스웨덴 왕국(王國)의 정치적(政治的) 입지(立地)와 크게 연관(聯關)되어 있었다.

루스 차르국(國) 파견(派遣) [ 편집(編輯) ]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의 외교관(外交官) 지기스문트 폰 헤르버슈타인 (Sigismund von Herberstein)의 루스 차르국(國) 에 대(對)한 방대(厖大)한 저작(著作) 《Rerum Moscoviticarum Commentarii》가 이미 유럽에 널리 보급(普及)되었음에도 불구(不拘)하고, 17세기(世紀) 유럽인(人)들에게 러시아는 여전히(如前히) 미지(未知)의 영역(領域)으로 남아있었다. 페트레이우스가 파견(派遣)된 당시(當時) 러시아는 류리크 왕조(王朝) 표도르 1세(歲) 를 마지막으로 류리크 왕조(王朝) 의 직계(直系)가 끊겨, 1598년(年)부터 로마노프 왕조(王朝) 미하일 1세(歲) 차르 로 선출(選出)된 1613년(年)까지 차르 지위(地位)를 두고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큰 혼란(混亂)과 전쟁(戰爭)을 겪었던 동란(動亂) 시대(時代) 였다.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먼저 1601년(年)부터 1605년(年)까지 당시(當時)의 차르 보리스 고두노프 가 통치(統治)하는 루스 차르국(國) 에 파견(派遣)되었으며, 이반 4세(歲) 의 아들을 참칭(僭稱)한 가짜(假짜) 드미트리 1세(歲) 에 대(對)한 정보(情報)를 수집(蒐集)했다. 이 때 그가 수집(蒐集)한 정보(情報)는 1608년(年) 《Een wiss och sanfardigh berattelse om nagra forandringar som i thesse framledhne ahr uthi storfurstendomet Muskow skedde are》라는 저작물(著作物)로 출판(出版)된다. 페트레이우스는 여기서 가짜(假짜) 드미트리 1세(歲) 의 정체(正體)를 수도원(修道院)에서 탈출(脫出)한 그리고리 오(誤)트레피예프(Григорий Отрепьев)로 밝혔고, 그를 폴란드 , 로마 가톨릭 지지세력(支持勢力)과 예수회 의 목적(目的)에 따라 움직이는 괴뢰(傀儡)로 보았다. 당시(當時) 루스 차르국(國) 에 머물러 있었던 동시대(同時代) 인물(人物)들 중(中) 상당수(相當數)가 가짜(假짜) 드미트리 1세(歲) 를 진짜(眞짜) 이반 4세(歲) 의 아들 드미트리 로 믿었던 것과 비교(比較)해보면, 페트레이우스가 수집(蒐集)했던 정보(情報)와 그의 정치적(政治的) 판단(判斷)은 매우 정확(正確)한 편(便)이다.

1608년(年) 페트레이우스는 다시 루스 차르국(國) 으로 파견(派遣)된다. 그가 받은 임무(任務)는 그리고리 샤홉스코이 의 귀족(貴族) 반란(叛亂), 이반 볼로트니코프 가 주동(主動)한 농민(農民) 반란(叛亂)과 가짜(假짜) 드미트리 2세(歲) 의 등장(登場)까지 3연타(連打)를 쳐맞고 반(半)쯤 조(兆)져지다시피한 차르 바실리 슈이스키(바실리 4세(歲)) 에게 스웨덴 국왕(國王) 칼 9세(歲) 의 군사적(軍事的) 지원(支援) 의사(意思)를 전달(傳達)하는 것이었다. 바실리 슈이스키 는 처음에 이 제안(提案)을 거절(拒絶)하였으나, 상황(狀況)이 악화(惡化)된 1609년(年) 2월(月) 28일(日)에는 결국(結局) 켁스홀름(Kexholm) 지역(地域)을 제물(祭物)로 바쳐 스웨덴 과 동맹(同盟)을 맺는 비보르크 조약(條約) 을 체결(締結)한다. 동맹(同盟)이 맺어짐에 따라 스웨덴 칼 9세(歲) 국왕(國王)은 야코브 드라가르디 (Jacob De la Gardie) 장군(將軍)을 루스 차르국(國) 에 파견(派遣)했다. 1609년(年) 2월(月)부터 참전(參戰)하기 시작(始作)한 야코브 드라가르디 장군(將軍)과 미하일 스코핀슈이스키 의 활약(活躍)으로 차르 바실리 4세(歲) 모스크바 함락(陷落)을 간신히(艱辛히) 면하고 가짜(假짜) 드미트리 2세(歲) 투시노 로 몰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동맹(同盟)은 폴란드 지기스문트 3세(歲) 바사 루스 차르국(國) 의 전쟁(戰爭)에 적극적(積極的)으로 개입(介入)하는 명분(名分)이 되었고, 1610년(年) 이후(以後)로 스웨덴 루스 차르국(國) 의 동맹(同盟)은 끝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이 조약(條約)이 끝내 지켜지지 못한 것과 1612년(年) 칼 필리프 공작(公爵)의 차르 선거(選擧) 실패(失敗) 등(等)을 근거(根據)로 하여, 1620년(年) 독일(獨逸) 에서 출판(出版)된 자신(自身)의 저서(著書) 《Historien und Bericht von dem Grossfurstenthumb Muschkow》에서 바실리 슈이스키 러시아인(人) 들에 대(對)한 강(剛)한 실망(失望)과 불신(不信)을 드러냈다.

1609년(年) 9월(月)부터 폴란드 루스 차르국(國) 의 내전(內戰)에 본격적(本格的)으로 개입(介入)하기 시작(始作)하고 루스 차르국(國) 내(內)에 차르 에 대(對)한 불만(不滿)이 커지면서, 바실리 슈이스키 는 1610년(年) 7월(月) 차르 의 직위(職位)에서 폐위당한다. 폴란드 시기스문트 3세(歲) 는 자신(自身)의 아들 브와디스와프 4세(歲) 바사 루스 차르국(國) 의 낙하산(落下傘) 차르 로 꽂아넣었고, 1610년(年)부터 1617년(年)까지 스웨덴 루스 차르국(國) 잉그리아 전쟁(戰爭) 에 돌입(突入)하게 된다. 이 전쟁(戰爭)이 한창이던 1615년(年),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자신(自身)의 대표작(代表作)인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를 출판(出版)했다. 1613년(年) 루스 차르국(國) 에서는 로마노프 왕조(王朝) 의 새 차르 미하일 1세(歲) 가 차르 선거(選擧)에서 당선(當選)되며, 스웨덴 입장(立場)에서는 상당히(相當히) 실망스러웠던 선거(選擧) 결과(結果)에 따라 구스타브 아돌프 국왕(國王)의 동생 칼 필리프 공작(公爵)은 차르 자리에 대(對)한 희망(希望)을 접게 되는데, 이로써 스웨덴 루스 차르국(國) 사이의 잉그리아 전쟁(戰爭) 은 마침내 양국(兩國)의 합의점(合意點)을 찾으며 1617년(年) 구스타브 2세(歲) 아돌프 미하일 1세(歲) 스톨보보 조약(條約) (Treaty of Stolbovo)으로 끝이 나게 된다. 페트레이우스는 이때 평화조약(平和條約)의 초안(草案)을 작성(作成)하였으며,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의 1620년(年) 독일어(獨逸語) 번역판인(飜譯版人) 《Historien und Bericht von dem Grossfurstenthumb Muschkow》 마지막 부분(部分)에 스톨보보 조약(條約) 의 내용(內容)을 새롭게 추가(追加)하며 루스 차르국(國) 에 파견(派遣)되었던 자신(自身)의 이야기를 훈훈(薰薰)하게 마무리했다.

저술(著述) 활동(活動) [ 편집(編輯) ]

페트레이우스는 여러 국가(國家)에 외교관(外交官)으로 파견(派遣)되는 동시(同時)에 스웨덴 의 국왕(國王)에게 각국(各國)의 정세(情勢)를 조사(調査)하여 보고(報告)하는 임무(任務)를 수행(遂行)했다. 그는 현지(現地)에 체류(滯留)하며 임무(任務) 중(中)에 자신(自身)이 보고 들었던 정보(情報)를 성실하게 모아서 쿨타임이 찰 때마다 책(冊)을 집필(執筆)했는데, 그 중(中) 대부분(大部分)은 루스 차르국(國) 의 역사(歷史)와 정치(政治) 상황(狀況)에 대(對)한 내용(內容)이며 대체로(大體로) 연대기적(年代記的)인 서술(敍述) 방식(方式)을 취(取)하고 있다. 페트레이우스의 저작(著作)들은 대부분(大部分) 정치적(政治的)인 의도(意圖)를 담고 있다고 해석(解釋)되며, 특히(特히) 1608년(年)에 출판(出版)된 《Een wiss och sanfardigh berattelse om nagra forandringar som i thesse framledhne ahr uthi storfurstendomet Muskow skedde are》에서 그런 의도(意圖)가 크게 드러난다. 여기서 페트레이우스는 스웨덴 국왕(國王) 칼 9세(歲) 의 라이벌인 폴란드 국왕(國王) 지그문트 3세(歲) 바사 로마 가톨릭교회 세력(勢力), 예수회 가짜(假짜) 드미트리 1세(歲) 의 배후(背後)로 지목(指目)하며, 동란(動亂) 시대(時代) 의 내전(內戰)을 겪는 루스 차르국(國) 을 이웃 국가(國家)에 의(依)해 다급(多急)한 위기(危機)에 빠진 나라로 묘사(描寫)하고 있다. 그가 1608년(年) 바실리 슈이스키 를 지원(支援)하기 위해 칼 9세(歲) 의 외교(外交) 임무(任務)를 받고 모스크바 에 파견(派遣)되었던 것을 고려(考慮)해봤을 때, 페트레이우스의 정치적(政治的) 의도(意圖)는 성공적(成功的)으로 전달(傳達)되었다고 볼 수 있다.

1611년(年) 칼 9세(歲) 가 사망(死亡)하고 구스타브 2세(歲) 아돌프 가 왕위(王位)를 물려받을 무렵에, 페트레이우스는 스톡홀름 에서 《Een kort och nyttigh Chronica om alla Swerikis och Gothis Konungar》를 출판(出版)한다. 총(總) 3권(卷)으로 이루어진 이 책(冊)은 스웨덴 의 군주(君主)들과 그 역사(歷史)에 대(對)해 서술(敍述)했으며, 그가 언급(言及)한 스웨덴 의 첫 번째(番째) 신화적(神話的) 왕(王) ' 노아 의 손자(孫子)이자 야벳 의 아들 마고그 (Magogh Jabeß son/Noachs Sonason)'부터 147번째(番째) 왕(王) 구스타브 1세(歲) 바사 까지는 대체로(大體로) 요한네스 망누스 (Johannes Magnus)의 유작(遺作) 《Historia de omnibus Gothorum Sveonumque regibus》와 굉장히(宏壯히) 유사(類似)하다. 다만 페트레이우스의 책(冊)에서는 망누스 4세(歲) 의 아들 에리크 12세(歲) 칼마르 동맹(同盟) 시기(時期)의 동군연합(同君聯合) 군주(君主)들이 더 추가(追加)되었다. 물론(勿論) 《Historia de omnibus Gothorum Sveonumque regibus》의 경우(境遇)는 저자(著者)인 요한네스 망누스 사후(死後)에 그의 형제(兄弟)인 올라우스 망누스 (Olaus Magnus)가 1554년(年) 출판(出版)하여 구스타브 1세(歲) 바사 의 아들들에게 보냈기 때문에, 스톡홀름 피바다 사건(事件)을 일으키고 스웨덴 칼마르 동맹(同盟) 에서 탈퇴(脫退)하는 계기(契機)를 자초(自招)한 크리스티안 2세(歲) 를 책(冊)에서 도저히(到底히) 스웨덴 의 왕(王)으로 인정(認定)할 상황(狀況)이 아니기도 했다. 페트레이우스의 《Een kort och nyttigh Chronica om alla Swerikis och Gothis Konungar》에서는 이런 정치적(政治的) 이유(理由)로 빠졌던 군주(君主)들과 구스타브 1세(歲) 이후(以後)의 스웨덴 국왕(國王)들인 에리크 14세(歲) 요한 3세(歲) , 시기(時期)스문(門)드 3세(歲) , 칼 9세(歲) 의 이야기를 추가(追加)하였다.

Peter Petreius,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 (1615)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루스 차르국(國) 에 외교(外交) 활동(活動)을 하며 체류(滯留)했던 자신(自身)의 경험(經驗)과 주변(周邊)에서 보고 들은 정보(情報)를 긁어모아 마침내 1615년(年) 스톡홀름 에서 자신(自身)의 명작(名作)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를 출판(出版)한다. 총(總) 6권(卷)으로 이루어진 이 책(冊)은 일단(一旦) 순서(順序)대로 러시아 의 지리적(地理的) 정보(情報), 역사(歷史), 예식(禮式), 군사(軍事), 종교(宗敎), 관습(慣習) 등(等)에 대(對)해 설명(說明)하는 듯이 보이나, 사실(事實) 그는 1614년(年)에 저서(著書)의 핵심적(核心的)인 부분(部分)인 제(第) 2권(卷)부터 먼저 쓰기 시작(始作)했고 나머지 부분(部分)은 1615년(年)에 마저 완성(完成)하였다.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 전체(全體)는 구스타브 2세(歲) 아돌프 에게 헌정되었으며, 각각(各各)의 권(卷)은 국왕(國王)의 동생 칼 필리프 공작(公爵), 국왕(國王)의 사촌(四寸) 요한 공작(公爵), 왕국(王國) 재상(宰相) 악셀 옥(玉)센셰르나 , 야코브 드라가르디 장군(將軍) 등(等)에게 순서(順序)대로 헌정(獻呈)되었다. 페트레이우스는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 2권(卷)의 내용(內容)을 통해 동란(動亂) 시대(時代) 가 발생(發生)한 배경(背景)과 가짜(假짜) 드미트리 의 정체(正體), 그리고 스웨덴 루스 차르국(國) 지역(地域)에서 벌어지는 내전(內戰)에 참전(參戰)하게 된 경과(經過)를 상세(詳細)하게 밝히고 있다. 이 책(冊)의 출판(出版) 시기(時期)는 스톨보보 조약(條約) 의 이전인 1615년(年)이었기 때문에, 2권(卷)의 마지막 내용(內容)은 노브고로드 인(人)들이 스웨덴 국왕(國王)의 동생 칼 필리프 공작(孔雀)을 차르 후보(候補)로 지지(支持)하였으나, 이어진 차르 선거(選擧)에서 미하일 로마노프 가 당선(當選)되어 최종적(最終的)으로 1613년(年) 미하일 1세(歲) 가 새 차르 로 즉위(卽位)한 시점(時點)에서 스웨덴 왕국(王國)의 평화(平和)를 기원(祈願)하며 적당히(適當히) 마무리된다.

페트레이우스가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에서 묘사(描寫)한 동란(動亂) 시대(時代) 의 상황(狀況)은 대부분(大部分) 정치적(政治的)으로나 역사적(歷史的)으로나 많은 부분(部分)이 사실(事實)에 가깝지만, 그의 온전(穩全)한 창작물(創作物)로 보기에는 이 책(冊)의 독창성(獨創性)에 예전부터 많은 의문(疑問)이 제기(提起)되어 왔다.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는 1549년(年) 출판(出版)된 지기스문트 폰 헤르버슈타인 의 《Rerum Moscoviticarum Commentarii》과 내용(內容), 형식(形式) 면(面)에서 상당히(相當히) 유사(類似)하다는 지적(指摘)을 받는다. 페트레이우스는 동란(動亂) 시대(時代) 이전(移轉) 러시아 의 역사(歷史)를 설명(說明)하면서 많은 연도(鳶島) 정보(情報)를 헤르버슈타인의 책(冊)에서 그대로 빌려왔으며, 심지어(甚至於) 헤르버슈타인의 책(冊)에서 틀렸던 연도(鳶島) 부분(部分)을 그대로 틀리게 베끼기도 했다. 또한 그는 동시대(同時代) 인물(人物)이자 비슷한 시기(時期) 함께 모스크바 에 머물렀던 콘라트 부소(扶疏) (Conrad Bussow)의 책(冊) 내용(內容)을 몇몇 부분(部分)에서 거의 똑같은 문장(文章) 수준(水準)으로 자신(自身)의 저서(著書)에 옮겨적었다. [3] 콘라트 부소(扶疏) 는 1617년(年) 자신(自身)의 책(冊)을 출간(出刊)했는데,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는 그 이전(以前)에 콘라트 부소(扶疏) 와 접촉(接觸)해 그의 원고(原稿)를 손에 넣을 기회(機會)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620년(年), 그는 독일(獨逸) 라이프치히 에서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의 독일어(獨逸語) 번역판인(飜譯版人) <Historien und Bericht von dem Grossfurstenthumb Muschkow>를 출판(出版)했다. 이전(以前)까지 페트레이우스의 저작물(著作物)은 모두 ' 웁살라 의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Petro Petreio Ubsaliensi)'라는 이름으로 출간(出刊)되었으나, 페트레이우스는 그 사이에 영지(領地)를 받아 1620년(年)의 <Historien und Bericht von dem Grossfurstenthumb Muschkow>부터 저자명(著者名)을 '페트루스 페트레이우스 데 엘레순다 (Petrum Petreium de Erlesunda)'라는 이름으로 표기(表記)하기 시작(始作)한다. 이 책(冊)은 그가 직접(直接) 스웨덴어(語) 에서 독일어(獨逸語) 로 번역(飜譯)하였으며, 독일(獨逸) 의 신교(新敎) 군주(君主)들인(人) 작센 선제후(選帝侯) 요한 게오르크 1세(歲) , 브란덴부르크 변경백(邊境伯) 크리스티안 빌헬름 , 그리고 리보니아 쿠를란트 공작(工作) 빌헬름 에게 헌정(獻呈)되었다. 번역(飜譯) 과정(過程)에서 페트레이우스는 2권(卷)의 루스 차르국(國) 의 연대기(年代記)에서 많은 연도(年度)와 날짜를 1615년(年) 판(版)과 다르게 수정(修正)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실제(實際) 역사적(歷史的) 날짜와는 맞지 않는 부분(部分)이 여전히(如前히) 존재(存在)한다. 또한 그는 1615년(年) 판에서 서술(敍述)하지 못했던 잉그리아 전쟁(戰爭) 의 이후(以後) 진행(進行) 과정(過程)과 1617년(年) 스웨덴 , 루스 차르국(國) 사이에 체결(締結)된 스톨보보 평화조약(平和條約) 의 조항(條項)들을 2권(卷)의 마지막 부분(部分)에 이어붙여 [[러시아 차르 동란(動亂) 시대(時代) 에 대(對)한 이야기를 완성(完成)했다.

저서(著書) [ 편집(編輯) ]

1608년(年), 《Een wiss och sanfardigh berattelse om nagra forandringar som j thesse framledne ahr vthi Storfurstendomet Muskow skedde are》

1611년(年), 《Een kort och nyttigh chronica om alla Swerikis och Gothis konungar/ som hafwa bade in och utrijkis regerat/ ifran konung Magog/ in til nu regerande hogloflig konung Gustaf Adolph, sa och om the amazoniske qwinnors bedref/ hwar the hafwa bodt och regerat/ hwadan the are uthgagne/ och huru lange theras regemente warade: sampt en oration som hallen ar uthi Basel/ aff d. Nils Ravaldi erchiebiskop i Ubsala/ om Gotha och Swea manliga gerningar/ korteligen uthi tree boker forfattat/ skrifwin/ och nu pa nytt forbattrat och uthgangen》

1615년(年), 《Regni Muschovitici sciographia. Thet ar: Een wiss och egenteligh beskriffning om Rydzland, med thes manga och stora furstendomers, provinciers, befestningars, staders, siogars och elfwers tilstand, rum och lagenheet: sasom och the muskowiterske storfursters harkomst, regemente, macht och myndigheet, medh theras gudztienst och ceremonier, stadgar och athafwor, bade vthi andeliga och politiske saker, vthi sex boker korteligen forfattat, beskrifwin och sammandragin》

1620년(年), 《Historien und Bericht von dem Großfurstenthumb Muschkow, mit dero schonen fruchtbaren Provincien und Herrschafften, Festungen, Schlossern, Stadten, Flecken, Fischereichen Wassern, Flussen, Stromen und Seen, Wie auch von der Reussischen Großfursten Herkommen, Regierung, Macht, Eminentz und Herrligkeit, vielfaltigen Kriegen, innerlichen Zwytrachten, biß sie zu einer Monarchi gewachsen, mit den newlich vorgelauffenen Auffruhren und Handeln von den dreyen erdichteten Demetrijs, nebenst dem auffgerichteten Friedens Contract zwischen dem loblichen Konig in Schweden und jetzt regierenden Großfursten, deßgleichen die Processe, so zwischen den koniglichen Ambassadouren in der Stadt Muschkow und der großfurstlichen Reussischen Gesandten in der koniglichen Stadt Stockholm wegen des auffgerichteten Friedens Contracts Confirmation seyn gehalten worden, mit der Muschowiter Gesetzen, Statuten, Sitten, Geberden, Leben, Policey und Kriegswesen, wie auch, was es mit ihrer Religion und Ceremonien vor eine Beschaffenheit hat》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Dahlin, Ernst Mauritz. 《Bidrag till de matematiska vetenskapernas historia i Sverige fore 1679.》 . Uppsala 1875. S. 29-35.  
  2. Sohlman, Margareta Attius. 《Cultural and Religious Encounters. Olaus Magnus and Petrejus Describe Muscovy and Its People. In: 450 Jahre Sigismund von Herbersteins "Rerum Moscoviticarum Commentarii" 1549-1999 Jubilaumsvortrage herausgegeben von Frank Kampfer und Reinhard Frotschner.》. Wiesbaden 2002. S. 247-261.  
  3. Adelung, Friedrich von. 《Kritisch-literarische Ubersicht der Reisenden in Russland bis 1700, deren Berichte bekannt sind》 . St. Petersburg 1846. S. 238-258.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