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패럴림픽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패럴림픽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패럴림픽
올림픽
하계(下溪) 패럴림픽
동계(洞契) 패럴림픽
IPC  • NPC  • IF
종목(種目)  • 상징(象徵)  • 황연대 성취상(成就賞)

패럴림픽 ( 영어(英語) : Paralympic Games , 프랑스어(프랑스語) : Jeux paralympiques )은 신체적(身體的) 장애(障礙)가 있는 선수(選手)들이 참가(參加)하는 국제(國際) 스포츠 대회(大會)이다. 흔히 장애인(障礙人) 올림픽 (障碍人 올림픽, 문화어(文化語) : 장애자(障礙者) 올림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신체적(身體的) 장애(障礙)란 근육(筋肉)의 손상(損傷) (하반신(下半身) 마비(痲痹) 및 사지마비(四肢痲痹), 근육(筋肉) 영양(營養) 장애(障礙), 포스트 소아마비(小兒痲痹) 증후군(症候群), 척추(脊椎) 피열), 수동적(受動的) 운동장애(運動障礙), 사지 결핍(缺乏) (절단(切斷) 및 지이상(以上)), 다리 길이의 차이(差異), 짧은 신장(腎臟), 긴장(緊張)과도, 운동실조(運動失調), 아테토시스, 시각(視覺) 장애(障礙), 지적(知的) 장애(障礙), 정신(精神) 장애(障礙)를 포함(包含)한다. 패럴림픽은 동계(洞契) 패럴림픽과 하계(下溪) 패럴림픽이 있으며, 1988년(年) 서울 하계(夏季) 올림픽 이후(以後)로는 올림픽을 개최(開催)한 도시(都市)에서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 (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의 주관(主管) 하(下)에 4년(年)마다 개최(開催)된다.

패럴림픽은 1948년(年) 세계(世界) 2차(次) 대전(大戰)의 영국(英國) 퇴역(退役) 군인(軍人)들의 작은 모임으로부터 오늘날 대규모(大規模)의 국제(國際) 스포츠 대회중(大會中)의 하나로 발전(發展)해 왔다. 패럴림픽 선수(選手)들은 비장애인(非障礙人) 올림픽 선수(選手)들과의 평등(平等)한 대우(待遇)를 받기 위해 노력(努力)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올림픽과 패럴림픽 선수(選手)들의 큰 지원(支援) 격차(隔差)를 겪고 있다.

본래(本來) 패럴림픽은, 척추(脊椎) 상해자(傷害者)들끼리의 경기(競技)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paraplegic’(하반신(下半身) 마비(痲痹)의)과 ‘Olympic’(올림픽)의 합성어(合成語)였다. [1] 그러다가 다른 장애인(障礙人)들도 경기(景氣)에 포함(包含)이 되면서, 현재(現在)는 그리스어의 전치사(前置詞) ‘para’(옆의, 나란히)를 사용(使用)하여 올림픽과 나란히 개최(開催)됨을 의미한다고 설명(說明)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只今)의 패럴림픽은 ‘paralysis’(마비(痲痹))나 ‘paraplegia’(하반신(下半身) 마비(痲痹))의 원래(元來) 어원(語源)에서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다.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과 발달(發達) 장애인(障礙人)은 패럴림픽에 출전(出戰)하지 않으며,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은 데플림픽 에, 발달(發達) 장애인(障礙人)은 스페셜 올림픽 에 출전(出戰)한다. 패럴림픽은 다양한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이 출전(出戰)하므로, 각각(各各)의 선수(選手)는 10개(個)의 장애(障礙) 카테고리 중(中) 하나의 가능(可能)한 카테고리로 분류(分類)된다. 10개(個)의 카테고리는 근육(筋肉)의 손상(損傷), 수동적(受動的) 운동장애(運動障礙), 사지 결핍(缺乏), 다리 길이의 차이(差異), 저신장(低身長), 긴장(緊張)과도, 운동실조(運動失調), 아테토시스, 시각(視覺) 장애(障礙), 지적(知的) 장애(障礙)를 포함(包含)한다. 위의 카테고리는 종목(種目)에 따라 다시 여러 개(個)의 분류(分類)로 나뉜다. 이 분류(分類) 시스템은 선수(選手)들이 자신(自身)의 장애(障礙)를 과장(誇張)하여 말하는 부정행위(不正行爲)의 논란(論難)으로 이끌기도 했는데, 이는 다른 시합(試合)에서 일반(一般) 선수(選手)들이 성능(性能) 향상(向上) 약물(藥물)을 사용(使用)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1988년(年)에 열린 1988년(年) 하계(下溪) 패럴림픽 부터 1994년(年)까지 쓰인 패럴림픽 로고는 성낙훈 디자이너가 개발(開發)했던 올림픽 상징(象徵) 태극(太極) 마크를 합친 것에서 유래(由來)되었다.

시작(始作) [ 편집(編輯) ]

선구자(先驅者) : 루트비히 구트만( Ludwig Guttmann )

패럴림픽이 생겨나기 이전(以前)에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이 올림픽에 출전(出戰) 했던 사례(事例)가 있다. 그 첫 번째(番째) 선수(選手)는 다리 하나가 의족(醫族)인 독일계(獨逸系) 미국인(美國人) 체조(體操) 선수(選手) George Eyser이며 1904년(年) 올림픽에 출전(出戰)했다. 헝가리인(人) Karoly Takacs는 1948년(年) 과 1952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사격종목(射擊種目)으로 출전(出戰)했다. 이 선수(選手)는 오른쪽 팔이 없어서 왼손으로 사격(射擊)을 했다. 소아마비(小兒痲痹)를 가진 덴마크 기수(期數) 선수(選手) Lis Hartel 또한 1943년(年) 올림픽에 출전(出戰)했으며 마장마술(馬場馬術)에서 은메달(銀메달)을 획득(獲得)했다.

장애(障礙) 선수(選手)들을 위해 처음으로 조직(組織)된 운동회(運動會)는 영국(英國)에서 1948년(年) 런던 하계(夏季)올림픽 개막식(開幕式)과 같은 날에 개최(開催)되었다. 독일(獨逸) 태생(胎生)인 스토크 맨더빌 병원(病院)의 교수(敎授) 루트비히 구트만은 1939년(年)에 열린 Council for Assisting Refugee Academics (CARA)에서 독일인(獨逸人)들을 나치로부터 달아나게 하는 것을 도와주었을 뿐 만 아니라 척추상해(脊椎傷害)를 입은 세계(世界)2차(次) 대전(大戰) 영국인(英國人) 참전병(參戰甁)을 위한 운동회(運動會)를 개최(開催)하였다.

첫 번째(番째) 대회(大會)는 1948년(年) 휠체어 경기(競技)라고 명칭(名稱) 되었고 1948년(年) 올림픽과 일치(一致)하도록 구성(構成)되었다. 구트만 박사(博士)의 목표(目標)는 올림픽 경기(競技)와 평등(平等)하게 장애인(障礙人)들을 위한 엘리트 스포츠 대회(大會)를 창시(創始)하는 것 이었다. 그 다음대회(大會)는 같은 장소(場所)에서 1952년(年)에 개최(開催)되었으며 영국(英國) 참전병(參戰兵) 뿐 아니라 네덜란드 참전병(參戰兵)이 함께 참가함(參加函)으로 써 최초(最初)의 국제적(國際的)인 대회(大會)가 되었다. 이러한 초대(初代) 대회(大會)는 스토크 맨더빌 대회(大會)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패럴림픽 대회(大會)의 선구자(先驅者)로 설명(說明)되고 있다.

중요(重要)한 사건(事件) [ 편집(編輯) ]

패럴림픽 역사상(歷史上) 중요(重要)한 사건(事件)들이 여러 개(個)가 있는데 그 중(中) 첫 번째(番째)로 패럴림픽 대회(大會)가 참전병(參戰兵)들 뿐만 아니라 모든 장애인(障礙人)을 포함(包含)하는 대회(大會)로 개최(開催)된 것은 1960년(年) 로마에서였다. 이 대회(大會)에는 23개국(個國)으로 날 숨쉬게 해줘부터 400명(名)의 선수(選手)들이 참가(參加)하였다. 패럴림픽 대회(大會)는 1960년(年) 이후(以後)부터는 올림픽 대회(大會)와 같은 년(年)도, 나라에서 개최(開催)되었다. 초기(初期)에는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障礙人)들만 대회(大會)에 참가(參加)할 수 있었지만, 1976년(年) 하계(下溪) 패럴림픽 대회(大會) 때 처음으로 다른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도 참가(參加)하였다. 다양한 분류(分類)의 장애인(障礙人)이 참가(參加)하게 됨으로써 1976년(年) 하계(夏季) 대회(大會)는 40개국(個國)으로부터 1,600명(名)의 선수(選手)들로 확장(擴張)되었다. 서울에서 열린 1988년(年) 하계(下溪) 패럴림픽 대회(大會)는 패럴림픽의 역사상(歷史上) 중요(重要)한 사건(事件) 중(中)의 하나이다. 이 대회(大會)는 하계(夏季) 올림픽이 끝난 후(後) 바로 그 도시(都市)에서 올림픽 때 사용(使用)된 시설(施設)을 사용(使用)하였다. 이후(以後) 올림픽과 패럴림픽은 같은 연도(年度)에 같은 도시(都市)에서 개최(開催)되었으며 1992, 1996, 2000년(年) 하계(夏季) 패럴림픽도 같은 방식(方式)으로 열렸고, 이는 결국(結局) 2001년(年)에 세계(世界) 장애인(障礙人) 협회(協會)(IPC) 와 세계(世界) 올림픽 협회(協會)(IOC) 간(間)에 협정(協定)을 맺는 발판(발板)이 되었다. 이 협정(協定)은 현재(現在) 2020년(年)까지 확장(擴張)되었다. 동계(洞契) 패럴림픽은 1992년(年)부터 올림픽 때 사용(使用)된 시설(施設)을 사용(使用)하였다.

동계(冬季) 대회(大會) [ 편집(編輯) ]

첫 번째(番째) 동계(洞契) 패럴림픽 대회(大會)는 1976년(年) 스웨덴 Ornskoldsvik에서 열렸다. 이 대회(大會)는 다양한 분류(分類)의 장애인(障礙人)들이 참가(參加)했던 첫 번째(番째) 동계(洞契) 패럴림픽 대회(大會)이다. 동계(冬季) 대회(大會)는 4년(年) 마다 한번(番) 씩 하계(夏季) 대회(大會)와 같은 년도(年度)에 열렸고 이는 1992년(年) 프랑스 Albertville 대회(大會) 때까지 계속(繼續)되었다. 그 후(後) 1994년(年)부터는 동계(洞契) 패럴림픽 과 동계(冬季) 올림픽은 하계(夏季) 대회(大會)와는 다른 년도(年度)에, 즉(卽) 2년(年)의 차이(差異)가 나게 열렸다.

오늘날의 대회(大會) [ 편집(編輯) ]

패럴림픽 대회(大會)는 선수(選手)들의 장애(障礙)가 아니라 그들의 운동성과(運動成果)를 강조(强調)하기 위해서 계획(計劃)되었다. 최근(最近) 대회(大會)는 이러한 선수(選手)들의 능력(能力)을 강조(强調)하고 있다. 패럴림픽의 동향(動向)은 초기(初期)부터 극적(劇的)으로 발전(發展)해 왔다 ? 예(例)를 들면, 초기(初期) 1960년(年) 로마 하계(下溪) 패럴림픽 대회(大會)에 참가(參加)했던400명의 선수(選手)들로부터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3900명(名)이 넘는 선수(選手)가 참가(參加)하였다. 하계(下溪), 동계(洞契) 패럴림픽 모두 국제적(國際的)으로 인정(認定)받는 대회(大會)이다. 패럴림픽은 더 이상(以上) 영국전쟁(英國戰爭) 참전병(參戰兵)이나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대회(大會)가 아닌 전(全) 세계(世界)에서 모든 다양한 엘리트 장애인(障礙人)이 참가(參加)하는 대회(大會)이다. 패럴림픽은 특별한 도움을 필요(必要)로 하는 사람들이 그들의 부상(負傷)을 치료(治療)하고 시합(試合)에 참가(參加)하는 기회(機會)를 제공(提供)한다.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 [ 편집(編輯) ]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의 휘장(揮帳) (1994~2004년(年))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의 휘장(揮帳) (2004~2019년(年))

선구자(先驅者)(1964-1989) [ 편집(編輯) ]

장애인(障礙人)에게 발전(發展)된 기회(機會)를 주기 위해서 처음으로 조직(組織)된 기구(機構)는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국제(國際) 스포츠 위원회(委員會)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 for the Disabled, ISOD)이며 이는 1964년(年)에 설립(設立)되었다. 이 기구(機構)의 창립자(創立者)는 IOC가 올림픽 대회(大會)의 관리기관(管理機關)을 맡는 것처럼 ISOD가 장애인(障礙人) 스포츠의 관리(管理) 기관(機關)이 되도록 계획(計劃)했다. 이 기구(機構)는 최종적(最終的)으로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국제(國際) 스포츠 단체(團體) 조정(調停) 위원회(委員會)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f World Sports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ICC)가 되었으며 이는 1982년(年)에 설립(設立)되었다. ICC는 IOC에 앞서서 장애인(障礙人) 선수(選手)의 권리(權利)를 대변(代辯)하였다. ICC와 IOC간(間)의 협력(協力)으로 성공(成功)을 거두었고 이는 1988년(年) 서울 하계(下溪) 패럴림픽 대회(大會)에서 ICC가 장애인(障礙人) 스포츠 프로그램을 가진 모든 나라의 대표(代表)를 포함(包含)하도록 확장(擴張)해야 한다는 필요성(必要性)을 인지(認知)하게 했다. ICC는 또한 패럴림픽 관리(管理) 기관(機關)의 결정(決定) 과정(過程)에서 선수(選手)들을 포함(包含)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결과적(結果的)으로 이 단체(團體)는 1989년(年)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로 재편성(再編成)되었다.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 (1989년(年)부터) [ 편집(編輯) ]

IPC는 패럴림픽 운동(運動)을 관리(管理)하는 국제단체(國際團體)이며 176개(個)의 국가(國家)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NPC)와 4개(個)의 특정(特定) 장애(障礙) 국제(國際) 스포츠 협회(協會)로 구성(構成)된다. 현(現) IPC 회장(會長)은 앤드류 파슨스이며, 기자(記者)였다. 앤드류 파슨스는 IPC회장(會長)의 자격(資格)으로 국제(國際) 올림픽 위원회(委員會)의 의원(議員)이기도 하다. IPC의 본사(本社)는 독일(獨逸) Bonn에 위치(位置)해 있다.

IPC는 하계(下溪) 및 동계(洞契) 패럴림픽 대회(大會)를 조직(組織)하는 의무(義務)를 가진다. IPC는 또한 9개(個) 종목(種目) (패럴림픽 육상(陸上), 패럴림픽 수영(水營), 패럴림픽 사격(射擊), 패럴림픽 역도(力道), 패러 알파인 스키, 패럴림픽 바이오슬론, 패럴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 슬(瑟)레지 하키, 휠체어 댄스 스포츠)의 국제(國際) 스포츠 협회(協會) 일을 담당(擔當)한다. 따라서 IPC는 이 각각(各各)의 9개(個) 스포츠의 세계(世界) 챔피언십(十) 및 다른 대회(大會)를 감독(監督)하고 관장(管掌)하는 역할(役割)도 하게 된다. 국가(國家)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 및 국제(國際) 스포츠 연맹(聯盟) 또한 IPC의 회원(會員)이다. 국제(國際) 연맹(聯盟)은 IPC로부터 승인(承認)받은 독립(獨立) 스포츠 협회(協會)이며 패럴림픽 스포츠 중(中) 한 종목(種目)의 단독(單獨) 대표자(代表者)가 된다. 국제(國際) 연맹(聯盟)들은 패럴림픽 대회(大會) 기간(期間) 동안 각각(各各)의 스포츠 종목(種目)의 경기(競技) 및 훈련(訓鍊) 장소(場所)의 지도(指導)와 기술적(技術的) 사법권(司法權)을 포함(包含)하는 책임(責任)을 지니고 있다. IPC는 또한 미디어 파트너, 인증(引證) 관리(管理), 심판(審判)을 인정(認定)하며 장애인(障礙人) 올림픽 헌장(憲章)의 조례(條例)를 시행(施行)할 책임(責任)을 지닌다.

IPC는 국제(國際) 올림픽 위원회(委員會)(IOC)와 협력(協力) 관계(關係)를 이루고 있다. IPC의 대표자(代表者)는 IOC의 의원(議員)이기도 하며 IOC 위원회(委員會) 및 의뢰(依賴)에 참여(參與)한다. 두 단체(團體)의 긴밀(緊密)한 협력(協力) 관계(關係)에도 불구(不拘)하고 IPC와 IOC는 별개(別個)의 단체(團體)이다.

분류(分類) [ 편집(編輯) ]

국제(國際) 패럴림픽 위원회(委員會) (IPC)는 10개(個)의 장애(障礙) 항목(項目)을 수립(樹立)하였다. 선수(選手)들은 그들의 손상(損傷) 정도(程度)에 따라서 항목(項目)으로 분류(分類)되며 이 기능(機能) 항목(項目)은 종목(種目)에 따라 달라진다.

항목(項目)

IPC는 신체적(身體的), 시각적(視覺的), 지적(知的) 손상(損傷)을 포함(包含)하는 10개(個)의 장애(障礙) 항목(項目)을 수립(樹立)하였다. 이러한 장애(障礙) 중(中) 하나를 가진 선수(選手)들은 패럴림픽 대회(大會)에 참가(參加)할 수 있지만, 모든 스포츠 종목(種目)이 이모든 장애(障礙) 항목(項目)에 부합(符合)되지는 않는다. 이 항목(項目)들은 하계(下溪) 및 동계(洞契) 패럴림픽 대회(大會)에 적용(適用)된다.

신체적(身體的) 장애(障礙) ? 신체적(身體的) 장애(障礙)에 관련(關聯)하여 8개(個)의 유형(類型)이 있다:

  • 근력(筋力) 손상(損傷) ? 이 항목(項目)은 근육(筋肉)에 의(依)해 생성(生成)되는 힘이 감소(減少)된 장애(障礙)를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근육(筋肉)은 손발의 근육(筋肉), 신체(身體)의 일부(一部) 근육(筋肉) 또는 신체(身體)의 절반(折半) 이상(以上)의 근육(筋肉)을 의미(意味)한다. 예)척추부상으로 인한 척추(脊椎) 피열 또는 소아마비(小兒痲痹).
  • 운동(運動) 수동(手動) 범위(範圍)의 손상(損傷) ? 하나 또는 그 이상(以上)의 관절(關節)의 체계적(體系的)인 운동(運動) 범위(範圍)가 감소(減少)된 상태(狀態)를 말한다. 관절염(關節炎)과 같은 심각(深刻)한 상태(狀態)는 포함(包含)되지 않는다.
  • 사지(四智)의 손실(損失) 및 결핍(缺乏) ? 병(病)이나 외상(外傷)으로 인한 전체(全體) 혹은(或은) 부분적(部分的)인 뼈나 관절(關節)의 부재(不在) 및 선천성(先天性) 사지 결핍(缺乏) 예)지이상
  • 다리 길이의 차이(差異) ? 선천성(先天性) 및 외상으로 인한 한쪽 다리의 중요(重要)한 뼈의 단축(短縮).
  • 저신장(低身長) ? 근골격(近骨格)의 뼈 및 연골(軟骨) 부족(不足)으로 인한 팔(八) 과 몸통의 단축(短縮) 및 짧은 다리 길이로 인(因)한 선키의 단축(短縮).
  • 긴장(緊張)과도 ? 긴장과도(緊張過度)는 비정상적(非正常的)으로 근육(筋肉)의 긴장(緊張)이 증가(增加)되고 근육(筋肉)의 이완(弛緩) 능력(能力)이 감소(減少)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부상(負傷)이나 병(病) 또는 중추(中樞) 신경계(神經系)의 손상(損傷)으로 인해 발생(發生)된다. 예)뇌성마비
  • 운동실조(運動失調) ? 운동실조(運動失調)는 근육(筋肉) 운동(運動) 조절(調節)의 손상(損傷)을 말한다. 예)뇌성마비, 프리드히 운동(運動) 실조증(失調症)
  • 아세토시스 ? 아세토시스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불균형(不均衡), 무의식(無意識)의 움직임 및 균형(均衡) 잡힌 자세(姿勢) 유지(維持)의 어려움의 특징(特徵)을 지닌다. 예)뇌성마비

시각장애(視角障礙) ? 시각(視覺)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은 부분적(部分的)인 시야(視野), 즉(卽) 법적(法的)으로 장님으로 판단(判斷)되기에 충분(充分)한 상태(狀態), 에서부터 완전(完全)한 장님의 범위(範圍)로 나뉠 수 있다. 이 시각장애(視角障礙)는 하나 혹은(或은) 그 이상(以上)의 시각(視角) 체계(體系) 구성요소(構成要素)의 손상(損傷)을 포함(包含)하는데, 이러한 구성요소(構成要素)에는 눈의 구조(構造), 수용체(受容體), 시신경(視神經) 경로(經路) 및 시각(視覺) 피질(皮質)이 있다. 시각장애(視角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을 위한 시력(視力) 가이드는 시합(試合)에서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을 차지하며 이 가이드는 선수(選手)와 함께 한 팀으로 여겨진다. 2012년(年)부터는 이러한 시력(視力) 가이드도 메달을 받을 수 있는 자격(資格)이 되었다.

지적장애(知的障礙) ? 지적(知的) 장애(障礙)에 포함(包含)되는 선수(選手)들은 지적(知的) 기능(機能)의 심(甚)한 손상(損傷) 및 연관(聯關)된 적응(適應) 행동(行動)의 제한(制限)을 가진다. IPC는 주로(主로) 신체적(身體的)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을 다루지만 지적장애(知的障礙)를 가진 그룹이 패럴림픽 대회(大會)에 추가(追加)되고 있다. 이 그룹은 18살 이하(以下)의 지적장애(知的障礙) 진단(診斷)을 가진 엘리트 선수(選手)들을 포함(包含)한다. 하지만 IOC 가 인정(認定)한 세계(世界) 스페셜 올림픽 대회(大會)(Special Olympic World Games)는 지적장애(知的障礙)를 가진 모든 사람들에게 참가(參加)의 기회(機會)가 열려있다.

분류(分類) 시스템

장애항목(障礙項目) 안에서도 선수(選手)들은 그들의 장애(障礙) 정도(程度)에 따라서 세분화(細分化)될 필요(必要)가 있다. 이 분류(分類) 시스템은 스포츠 종목(種目)마다 다르며 가능(可能)한 한(限) 많은 선수(選手)들이 같은 정도(程度)의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과 공정(公正)하게 경쟁(競爭)하도록 하기 위하여 계획(計劃)되었다. 분류(分類)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問題點)은 어떻게 더 다양한 장애(障礙)와 깊이 있는 장애(障礙)를 이 시스템에 포함(包含)시키는 것이다. 결과적(結果的)으로 대부분(大部分)의 분류(分類) 안에는 장애(障礙)의 범위(範圍)가 포함(包含)된다

의학적(醫學的) 분류(分類) (1980년(年)까지)

선수(選手)들을 분류(分類)하는 시스템은 도입(導入) 초기(初期)부터 1980년대(年代)까지 의료(醫療) 평가(評價) 및 손상(損傷) 진단(診斷)에만 중점(重點)을 두었다. 오직 선수(選手)의 의학적(醫學的) 상태(狀態)만이 그 선수(選手)가 경쟁(競爭) 하는 클래스를 결정(決定) 하는 데에 사용(使用)되었다. 예(例)를 들면, 척추(脊椎) 손상(損傷)으로 하체(下體) 마비(痲痹)를 가진 한 선수(選手)는 양쪽(兩쪽) 하체(下體) 무릎 위 절단(切斷) 선수(選手)와 같은 휠체어 경기(競技)에 참여(參與) 할 수 없었다. 그들의 장애(障礙)가 같은 손상(損傷)을 가졌다는 사실(事實)은 분류(分類) 결정(決定) 과정(過程)에서 어떠한 요소(要素)로도 작용(作用)할 수 없었고, 오직 그들의 의학적(醫學的) 진단(診斷)만이 고려(考慮)되었다. 이는 장애(障礙) 선수(選手)를 보는 시각(視角)이 단순(單純)한 재활(再活)의 목적(目的)이 아닌 그들의 직업(職業)으로 바뀌기 전(前)까지 계속(繼續)되었고, 바뀐 이후(以後)에는 의학적(醫學的) 분류(分類)가 아닌 기능적(機能的) 분류(分類)에 더 초점(焦點)을 두게 되었다.

기능적(機能的) 분류(分類) (1980년(年) 이후(以後)로)

2004년(年) 하계(下溪) 패럴림픽 에서의 스웨덴 골볼 팀. 언제 그 전환(轉換)이 이루어졌는지 확실(確實)한 날짜를 알 수 없지만, 1980년대(年代)부터 기능적(機能的) 분류(分類) 시스템은 장애(障礙) 선수(選手) 분류(分類)의 기준(基準)이 되었다. 기능적(機能的) 분류(分類)는 선수(選手)들의 장애(障礙)가 그들의 선수(選手) 활동(活動) 운동성과(運動成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중점(重點)을 둔다. 이 시스템에서는, 전체(全體) 다리 기능(機能)의 손실(損失)을 가진 선수(選手)들이 대부분(大部分)의 종목(種目)에서 함께 경쟁(競爭) 하게 된다. 이는 선수(選手)들이 다리 기능(機能)의 손실(損失) 원인(原因)이 중요(重要)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같은 기능(機能)의 장애(障礙)를 가진 것이 중요(重要)하기 때문이다. 기능적(機能的) 분류(分類)의 유일(唯一)한 예외(例外)는 국제(國際) 맹인(盲人) 스포츠 협회(協會) (International Blind Sport Federation, IBSFO)에서 사용(使用)하는 분류(分類) 형식(形式)으로 이는 여전히(如前히) 의학적(醫學的) 시스템에 기반(基盤)을 둔다.

몇몇의 종목(種目)들은 오직 특정(特定)한 장애(障礙) 유형(類型)에만 부합(符合)될 수 있다. 예(例)를 들면, 골볼은 오직 시각(視角) 장애(障礙) 선수(選手)들만이 참여(參與)할 수 있다. 패럴림픽은 세 단계(段階)의 시각장애(視角障礙)를 인정(認定)하는데, 결과적(結果的)으로는 골볼에 참여(參與)하는 모든 선수(選手)들은 검정 안대(眼帶)를 착용(着用)해야만 하며 이는 약간(若干)의 시각(視角)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이 이점(利點)을 가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육상(陸上)과 같은 다른 종목(種目)들은 다양한 장애(障礙)를 가진 선수(選手)들이 참여(參與) 할 수 있다. 육상(陸上)에 참여(參與)하는 선수(選手)들은 분류(分類)의 한 범위(範圍)에 속(屬)해지며, 그 분류(分類)는 그들의 장애(障礙) 상태(狀態)에 따라서 나뉜다. 예(例)를 들면, 11-13 클래스는 시각(視覺) 장애(障礙) 선수(選手)들을 위한 클래스이며 이는 그들의 시각(視角) 장애(障礙) 정도(程度)에 따라 분류(分類)된다. 또한 휠체어 럭비 와 같은 단체(團體) 경기(競技)도 있다. 팀 멤버들은 그들의 활동(活動) 제한(制限)에 따라 포지션이 주어진다. 낮은 점수(點數)는 높은 점수(點數) 보다 좀 더 심각(深刻)한 활동(活動) 제한(制限)을 의미한다. 한 팀은 시합(試合) 중(中) 전체(全體) 점수(點數)가 특정점수(特定點數) 이상(以上)이 되어서는 안 되며, 이는 동등(同等)한 경쟁(競爭) 기회(機會)를 제공(提供)하기 위함이다. 예(例)를 들면, 휠체어 럭비에서 5명(名)의 선수(選手)들의 총(銃) 장애(障礙) 점수(點數)가 8을 넘어서는 안 된다.

스포츠 [ 편집(編輯) ]

하계(下溪) 패럴림픽은 22개(個)의 종목(種目) 그리고 동계(洞契) 패럴림픽은 6개(個)의 종목(種目)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종목(種目) 내(內)에는 여러 개(個)의 대회(大會)들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예(例)를 들면, 알파인 스키 종목(種目)은 downhill, super combined, super-G, slalom, giant slalom으로 나뉜다. IPC는 종목(種目)들 중(中) 몇 개(個)를 지배(支配)하고 있지만 모든 종목(種目)을 관리(管理)하는 것은 아니다. 국제(國際) 스포츠 협회(協會)(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IF), 국제(國際) 휠체어 및 수족(手足)을 잃은 사람들의 스포츠 협회(協會) (International Wheelchair and Amputee Sports Federation, IWAS), 국제(國際) 맹인(盲人) 스포츠 협회(協會) (International Blind Sports Federation, IBSA), 뇌성마비(腦性痲痹) 국제(國際)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협회(協會) (Cerebral Palsy International Sports and Recreation Association, CP-ISRA)와 같은 다른 국제기구(國際機構)들이 특정(特定) 장애(障礙)인 그룹으로 이루어진 다른 종목(種目)들을 관리(管理)한다. 국내(國內) 패럴림픽 협회(協會) 및 이러한 국제(國際) 스포츠 협회(協會)들을 위해서 국가(國家) 헌장(憲章)이 있으며, 이는 국내(國內) 단계(段階)에서 선수(選手)들을 모집(募集)하고 종목(種目)들을 관리(管理)하는 책임(責任)을 지닌다.

역대(歷代) 개최지(開催地) [ 편집(編輯) ]

하계(下溪) 패럴림픽 [ 편집(編輯) ]

동계(洞契) 패럴림픽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