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 음악(音樂)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pop music
장르 뿌리 전통(傳統) 팝 음악(音樂) ? 로큰롤 ? 민속(民俗) 음악(音樂)
문화(文化) 뿌리 1950년대(年代) 영국(英國) 미국(美國)
사용(使用) 악기(樂器) 보컬 ? 전기(電氣) 기타 ? 베이스 기타 ? 드러머 ? 건반(鍵盤) 악기(樂器) ? 어쿠스틱 기타 ? 피아노 ? 신시사이저 ? 드럼 머신 ? 순서기(順序機) ? 샘플러 ? 그 외(外) 다른 악기(樂器)를 수시로(隨時로) 사용(使用)
하위(下位) 장르
버블검(檢) 팝 ? 댄스 팝 ? 일렉트로팝 ? 유로팝 ? 브릿팝 ? 라틴 팝 ? 아랍 팝 ? 독립(獨立) 음악(音樂) ? 팝페라 ? 파워 팝 ? 사운드트랙 ? 소피스트 팝 ? 신스팝 ? 스페이스 에이지 팝 ? 선샤인 팝 ? 틴 팝
퓨전 장르
컨트리 팝 ? 디스코 ? 드림 팝 ? 쟁글 팝 ? 팝 펑크 ? 힙합 ? 팝 록 ? 사이키델릭 팝 ? 컨템퍼러리 알앤비
지역별(地域別) 장르
전(全) 세계(世界)
관련(關聯) 항목(項目)
대중가요(大衆歌謠)

팝 음악(音樂) (pop music)은 대중음악(大衆音樂) 의 장르 중(中) 하나로 쉽게 귀를 잡아끄는 리듬 요소(要素), 멜로디와 후렴(後斂) , 메인스트림 스타일과 전통적(傳統的)인 구조(構造)를 특징(特徵)으로 하는 대중음악(大衆音樂) 장르이다. 현대(現代)의 팝 음악(音樂)은 트레디셔널 팝과 구분(區分)되며, 1950년대(年代) 중반(中盤)부터는 미국(美國)과 영국(英國)에서 근대적(近代的)인 형태(形態)로 시작(始作)된 대중음악(大衆音樂) 의 하나의 장르이다. [1]

처음에는 로큰롤 의 가벼운 버전으로 생각을 하였다. [2] [3] 1950년대(年代)와 1960년대(年代)의 팝 음악(音樂)은 로큰롤과 그 시대(時代)의 젊음 지향적(志向的) 스타일에 영향(影響)을 받았고, 록과 팝은 1960년대(年代) 후반(後半)까지는 동의어(同義語)로 사용(使用)되기도 하였으나, 1970년대(年代)에 들어서 팝 음악(音樂)은 더 상업적(商業的)이고 일시적(一時的)이며 접근성(接近性)이 용이힌 음악(音樂)으로 연관(聯關)되었다.

용어(用語) [ 편집(編輯) ]

팝 음악(音樂)이라는 용어(用語)는 대중음악(大衆音樂) (popular music)와 종종(種種) 혼동(混同)되며, 실제로(實際로) 두 용어(用語)는 서로가 사용(使用)되어야 할 맥락(脈絡)에서 뒤바뀌어 사용(使用)되기도 한다.

팝 음악(音樂)은 미합중국 (USA) 사회(社會) 구성원(構成員) 입장(立場)에서 대중가요(大衆歌謠)라는 의미(意味)이지만, 전통적(傳統的)으로 미합중국 의 영향력(影響力)이 강(剛)한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는 영어(英語)가 여과(濾過)없이 받아들여져 미국(美國) 대중가요(大衆歌謠)를 지칭(指稱)하는 팝뮤직이라는 단어(單語)를 관행적(慣行的)으로 곧이곧대로 사용(使用)하고 있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스타일 [ 편집(編輯) ]

팝 음악(音樂)의 일반적(一般的)인 형태(形態)는 노래 이며, 보통(普通) 5분(分) 이하(以下)의 길이로, 쓰이는 악기(樂器) 는 오케스트라에서 가수(歌手)의 목소리까지 다양(多樣)하다. 팝 음악(音樂)은 반복(反復) 적(敵)이고 외우기 dd쉬운 리듬 요소(要素)와 메인스트림 스타일, 전통적(傳統的)인 노래 구조(構造)를 특징(特徵)으로 한다. 몇몇 이형(異形)으로는 절(節)-후렴(後斂) 형태(形態)(verse-chorus form), 32마디 형태(形態)(thirty-two-bar form) 등(等)이 있으며, 이들도 멜로디 와 특징적(特徵的)인 후렴(後斂) , 그리고 절(節) 과 멜로디, 리듬, 화음(和音) 적(敵)으로 대조(對照)되는 후렴구(後斂句) 등(等)을 특징(特徵)으로 한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음악(音樂)과 멜로디의 박자(拍子)는 간단(簡單)하며 약간(若干)의 화음(和音)이 덧붙여진다. 팝 음악(音樂)의 가사(歌詞) 주제(主題)는 역시(亦是) 여러 가지이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사랑과 로맨스에 관(關)해 얘기하는 것이 많다.

읽을거리 [ 편집(編輯) ]

  • 아도르노, 시어도어 W. (1942) "대중음악(大衆音樂)에 대(對)하여".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 벨, 존 L. The Singing Thing: A Case for Congregational Song . GIA Publications, 2000. ISBN   1-57999-100-9
  • 빌보드 장르 인덱스 Archived 2008년(年) 10월(月) 1일(日) - 웨이백 머신
  • 프리스, 사이먼; 윌 스트로; 존 스트리트 편집(編輯). 케임브리지 대중(大衆) 음악(音樂)의 이해(理解)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ISBN   0-521-55660-0
  • 존슨, 줄리안. Who Needs Classical Music?: Cultural Choice and Musical Value .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ISBN   0-19-514681-6
  • 플레전트, 헨리 (1969) "Serious Music and All That Jazz". Simon & Schuster.
  • 록슨, 릴리안 (1969) "Rock Encyclopedia". Grosset & Dunlap.
  • 길렛, 찰리 (1970) "The Sound of the City. The Rise of Rock and Roll." Outerbridge & Dienstfrey.
  • 엘튼 존 (1973) Good Bye yellow Brick road
  • 미들턴, 리차드 (1990) "Studying Popular Music". Open University Press.
  • 빈다스, 케네스 J. (1992) "America's Musical Pulse: Popular Music in Twentieth-Century Society". Praeger.
  • 클라크, 도날드 (1995) "대중(大衆) 음악(音樂) 흥망사(興亡史)". St Martin's Press. http://www.musicweb.uk.net/RiseandFall/index.htm Archived 2007년(年) 12월(月) 31일(日) - 웨이백 머신
  • 로너갠, 데이빗 F. Hit Records, 1950-1975 . Scarecrow Press, 2004. ISBN   0-8108-5129-6
  • 네거스, 키스 Music Genres and Corporate Cultures Routledge, 1999. ISBN   0-415-17399-X
  • 몰츠비(非), 포샤 K. (1996) "Intra- and International Identities in American Popular Music."
  • 공식(公式) UK 차트 회사(會社) 정보(情報) 팩
  • 돌프스마, 윌프레드 (1999) "Valuing Pop Music: Institutions, Values and Economics". Eburon.
  • 슈커, 로이. Popular Music: The Key Concepts . Routledge, (2 edition) 2002. ISBN   0-415-28425-2
  • 스타, 래리 & 워터맨, 크리스토퍼 (2002) "American Popular Music: From Minstrelsy to MTV". Oxford University Press.
  • 프리스, 사이먼 (2004) "Popular Music: Critical Concepts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Routledge.
  • 돌프스마, 윌프레드 (2004) "Institutional Economics and the Formation of Preferences: The Advent of Pop Music". Edward Elgar Publishing.
  • 왓킨스, S. 크레이그 Hip Hop Matters: Politics, Pop Culture, and the Struggle for the Struggle for the Soul of a Movement . Beacon Press, 2005. ISBN   0-8070-0982-2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Frith, Simon; Straw, Will; Street, John (2001). 《The Cambridge companion to pop and rock》 .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5369-8 .  
  2. “Online Etymology Dictionary: pop” (html) . 2007년(年) 12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3. “Allmusic genres: pop” (html) . 2007년(年) 12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