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투수(投手)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투수(投手)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투수(投手) 노아 신더가드 .

투수(投手) (投手, 문화어(文化語) : 넣는사람; 영어(英語) : pitcher )는 야구(野球) 에서 포수(捕手) 또는 타자 에게 공을 던지는 포지션에 있는 선수(選手)를 말하며 야구(野球)에서 키를 더 중요(重要)하게 생각하는 [1] 포지션이다. 지명(指名) 타자(打者) 가 있는 리그에서는 투수(投手)가 타석(打席)에 서지 않는다.

영문(英文) 표기(表記) [ 편집(編輯) ]

  • 투수(投手): P
  • 선발(先發) 투수(投手): SP
  • 중간(中間) 계투(繼投): RP
  • 마무리 투수(投手): CP

역할별(役割別) 분류(分類) [ 편집(編輯) ]

선발(先發) 투수(投手) [ 편집(編輯) ]

경기(競技)의 맨 처음에 등판(登板)하여 1회(回)부터 던지는 투수(投手)를 말한다.

중간(中間) 계투(繼投) [ 편집(編輯) ]

선발투수(先發投手)가 완투하지(完投夏至) 않고 중도(中途)에 강판(鋼板)될 경우(境遇) 등판(登板)하는 투수(投手)이며 구원(救援) 투수(投手)(릴리프)라고도 한다. 팀이 리드하고 있을 때의 중간(中間) 계투(繼投)는 리드를 놓치지 않고 마무리투수(投手)에게 이어주는 역할(役割)을 한다. 팀이 리드당하고 있을 때의 중간(中間) 계투(繼投)는 더 이상(以上)의 리드를 허용(許容)하지 않고 경기(競技)를 역전(逆轉)시키는 역할(役割)을 한다. 역할(役割)은 두 가지로 구분(區分)되는데 1~2회(回) 던지는 숏 릴리프와 3~4회(回) 던지는 롱 릴리프가 있다. 최근(最近)에는 중간계투(中間繼投)와 마무리를 잇는 셋업맨의 개념(槪念)이 정착(定着)되고 있으며 이외(以外)에 좌타자(左打者)만 상대(相對)하는 좌완(左腕)스페셜리스트, 몹업맨 등(等)이 있다.

마무리 투수(投手) [ 편집(編輯) ]

미국(美國) 메이저 리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의 감독(監督) 토니 라 루사(陋舍) 감독(監督)에 의(依)해 세분화(細分化)된 투수(投手) 역할(役割) 중(中)에서 마무리 투수(投手)는 주로(主로) 세이브를 목적(目的)으로 제일(第一) 마지막으로 등판(登板)하는 투수(投手)이다. 팀의 승리(勝利)를 지키기 위해 주로(主로) 9회(回)나 혹은(或은) 8회(回)에 등판(登板)한다. 단(單) 세이브는 3점이하내(點以下內)에 등판(登板)한다. 3이닝 투구(投球)할 경우(境遇) 세이브도 적용(適用)된다.

투수(投手)의 투구(投球)폼 [ 편집(編輯) ]

대부분(大部分)의 투수(投手)들은 각자(各自)의 고유(固有)한 투구(投球)폼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손에서 공을 놓는 위치(位置)에 따라 다양한 투구(投球)폼을 몇 가지로 분류(分類)할 수 있으니 그 기준(基準)은 아래와 같다.

오버스로(Over throw) [ 편집(編輯) ]

공을 머리보다 높은 위치(位置)에서 뿌리는 투구(投球)폼을 가리킨다. 높은 타점(打點)에서 공을 던지는 만큼 체중(體重)이 많이 실려 빠른 공을 던질 수 있다. 하지만 높은 타점(打點)을 형성(形成)할 경우(境遇) 부드러운 투구(投球)폼을 갖기 어려우며 역동적(力動的) 투구(投球)폼은 관절(關節)에 부하(部下)를 불러올 위험(危險)이 크다. [2] 오버스로형(型) 투수(投手)들 중(中)에서도 특히(特히) 높은 타점(打點)을 보유(保有)한 투수(投手)는, MLB 출신(出身)으로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所屬) 투수(投手)였던 팀 린스컴 [3] , KBO 리그 출신(出身)으로는 현(現) SSG 랜더스 의 투수(投手) 김광현 이(李) 대표적(代表的)이다. 이 중(中) 김광현은 투구(投球)폼을 수정(修正)하여 과거(過去)보다 공을 놓는 위치(位置)가 다소(多少) 낮아졌다.

쓰리쿼터(Three-quarter) [ 편집(編輯) ]

공(功)을 눈높이 혹은(或은) 그보다 약간(若干) 아래에서 놓는 투구(投球)폼을 가리킨다. 과도(過度)하게 팔을 높이지 않기 때문에 부드럽게 공을 던지기 좋고 이에 따라 부상(負傷)의 위험(危險)도 적다. MLB의 '빅 유닛' 랜디 존슨 이(李) 대표적(代表的)인 쓰리쿼터 투구(投球)폼을 가진 투수(投手)다. [4] KBO에서는 조상우, 원종현 선수(選手)가 쓰리쿼터 각도(角度)로 불 같은 강속구(强速球)를 뿌리는 것으로 유명(有名)하다. [5] [6]

사이드 암(癌)(Side arm) [ 편집(編輯) ]

공을 놓는 지점(地點)(릴리스 포인트)이(李) 어깨 아래쪽에서부터 골반(骨盤) 위쪽에 형성(形成)되는 투구(投球)폼을 가리킨다. 흔히 '옆구리 투수(投手)'라 부르기도 한다. 사이드 암(癌) 투구(投球)폼으로 유명(有名)한 선수(選手)는 '뱀직구(直購)'로 유명(有名)한 전(前) 기아 타이거즈 소속(所屬) 투수(投手) 임창용이 있다. [7]

언더스로(Under throw) [ 편집(編輯) ]

앞서 설명(說明)한 '오버스로'의 대칭점(對稱點)에 있는 투구(投球)폼으로서, 골반(骨盤) 아래는 물론(勿論) 무릎 아래에까지 이르는 아주 낮은 릴리스 포인트를 갖는 투구(投球)폼을 지칭(指稱)한다. 투구(投球) 시(時) 공의 변화(變化)가 심(甚)해서 적응(適應)에 어려움을 겪는 타자(打者)들이 많다. 이러한 연유(緣由)로 승부처(勝負處)에서 위기(危機)를 틀어막는 소방수(消防手) 역할(役割)을 맡는 경우(境遇)가 많다. 대표적(代表的) 언더스로 투수(投手)로는 SSG 랜더스의 박종훈 [8] , 전(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所屬) 투수(投手) 정대현 ,전(前) 해태 타이거즈 이강철 이 있다. [9] NPB 출신(出身)으로는 지바 롯데 마린스 의 투수(投手)였던 와타나베 슌스케 가 극단적(極端的)으로 낮은 릴리스 포인트로 유명(有名)하다. [10]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형준 (2015년(年) 2월(月) 13일(日)). “[인사이드MLB] 198cm 마이애미 스탠튼의 미래(未來)는?” . 김형준 칼럼 . 2023년(年) 11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그래도, 김광현 피칭폼은 야구(野球)의 로망이다” (카누리어). 2012년(年) 6월(月) 15일(日)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3. OSEN (2013년(年) 10월(月) 23일(日)). “린스컴, SF와 2년(年) 3500만(萬) 달러 재계약(再契約)”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엠스플뉴스 (2017년(年) 5월(月) 9일(日)). “랜디 존슨의 역대(歷代) 3번째(番째) 1경기(競技) 20탈삼진(脫三振)(영상(映像))”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5. “키움 조상우(趙相愚)가 ‘158km와 RPM’보다 신경(神經) 쓰는 것” . 2019년(年) 10월(月) 16일(日)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6. “프로야구(野球) NC, 대장암(大腸癌) 투병(鬪病) 원종현 위해 ‘155’ 응원(應援), 의미(意味)는?” . 2015년(年) 2월(月) 3일(日)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7. 신창용 (2019년(年) 3월(月) 11일(日)). “갈곳 잃은 '뱀직구(直購)' 임창용, 현역(現役) 은퇴(隱退) 공식(公式) 선언(宣言)”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8. 지면(紙綿)보기, 입력(入力) 2019 11 04 00:04 | 경제(經濟) 6면(面) (2019년(年) 11월(月) 4일(日)). “부활(復活)한 언더핸드 박종훈…쿠바 잡을 비밀병기(祕密兵器)”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9. “볼티모어는 왜 정대현이 필요(必要)한가”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 미스터 언더핸드' 와타나베, 한화 투수(投手) 가르친다” (카누리어). 2015년(年) 11월(月) 5일(日) . 2020년(年) 3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