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토머스 페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토머스 페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토머스 페인
Thomas Paine
작가(作家) 정보(情報)
출생(出生) 1737년(年) 2월(月) 9일(日) ( 1737-02-09 )
잉글랜드 노퍽주(州)
사망(死亡) 1809년(年) 6월(月) 8일(日) ( 1809-06-08 ) (72세(歲))
미국(美國) 뉴욕주(뉴욕州) 뉴욕
국적(國籍) 미국(美國)
언어(言語) 영어(英語)
직업(職業) 철학자(哲學者)
종교(宗敎) 이신론(理神論)
사조(思潮) 철저(徹底)한 계몽(啓蒙), 이신론(理神論)
주요(主要) 작품(作品)
상식론(常識論) 》, 《 위기론(危機論)
영향(影響)
영향(影響) 받은 인물(人物) 볼테르 , 장(張)자크 루소 , 존 로크 , 퀘이커 , 몽테스키외 , 벤자민 프랭클린
영향(影響) 준 인물(人物) 토머스 제퍼슨 , 윌리엄 고드윈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 피에르 베르니오(誤) , 에이브러햄 링컨 , 토머스 에디슨 , 죠띠라오 풀레 , 몬큐어 D. 콘웨이 , 버트런드 러셀 , 크리스토퍼 히친스 , 로버트 G. 잉거솔
서명(署名)

토머스 페인 ( 영어(英語) : Thomas Paine , 1737년(年) 1월(月) 29일(日) ~ 1809년(年) 6월(月) 8일(日) )은 18세기(世紀) 미국(美國)의 작가(作家)이자 국제적(國際的) 혁명이론가(革命理論家)로 미국(美國) 독립(獨立) 전쟁(戰爭) 프랑스 혁명(革命) 때 활약(活躍)하였다. 1776년(年) 1월(月)에 출간(出刊)된 《 상식론(常識論) 》( Common Sense )에서 미국(美國)이 공화국(共和國)으로 독립(獨立)해야 한다고 촉구(促求)하고, 독립(獨立)이 가져오는 이점(利點)을 설파(說破)하여 사람들에게 독립(獨立)에 대(對)한 열망(熱望)을 불어넣었다. [1] 또한 그 책(冊)에서 봉건(封建)과 왕(王)을 강(强)하게 비판(批判)했다. [2] 미국(美國) 독립(獨立) 전쟁(戰爭) 때 《위기론(危機論)》( The Crisis )을 간행(刊行)해 시민(市民)의 전투(戰鬪) 의지(意志)를 끌어올렸다.

전기(電氣) [ 편집(編輯) ]

영국(英國) 잉글랜드 노퍽 에서 출생(出生)하여 미국(美國) 독립(獨立) 전쟁(戰爭) 프랑스혁명(革命) 때 활약(活躍)하였다. 영국(英國)의 퀘이커교(校) 도인(道人) 코르셋 제조업자(製造業者) 가정(家庭)에서 태어나 13세(歲)까지는 학교(學校)에 다녔으나 가난 때문에 여러 직업(職業)을 전전(轉轉)하면서 정치(政治)와 사회제도(社會制度)의 모순(矛盾)을 체득(體得)하였다. 런던에서 만난 벤자민 프랭클린 의 소개(紹介)로 1774년(年) 10월(月) 필라델피아 로 이주(移住), 1776년(年) 1월(月) 10일(日) 《 상식론(常識論) 》( Common Sense )을 출판(出版)하여 [3] 독립(獨立)이 가져오는 이점(利點)을 설파(說破)하여 큰 영향(影響)을 끼쳤다. 독립전쟁(獨立戰爭) 이 시작(始作)되자 N.그린의 부관(副官)으로 종군(從軍)하는 한편(한便), 《 위기론(危機論) 》( The Crisis )을 간행(刊行), “싸움이 격렬(激烈)할수록 승리(勝利)는 빛난다”라고 하여 민중(民衆)의 사기(士氣)를 고무(鼓舞)하였다.

1787년(年) 프랑스 로 건너가 프랑스 혁명(革命)에 영향(影響)을 주었다. 그가 쓴 책(冊)으로도 이미 영향(影響)이 컸다. 영국(英國)의 정치가(政治家) 에드먼드 버크 의 저서(著書) 《프랑스 혁명(革命)에 대(對)한 성찰(省察)》에 대(對)한 반박(反駁)으로 1791년(年) 《 인간(人間)의 권리(權利) 》( Rights of Men ) 제1부를 쓰고 이듬해 런던에서 제(第)2부(部)를 썼으나, 반란(叛亂) 선동(煽動)이란 죄명(罪名)을 쓰게 되어 프랑스로 피신(避身)하여 의원(議員)에 선출(選出)되었다.

혁명(革命) 중(中)에 《 이성(理性)의 시대(時代) 》( The Age of Reason ) 제1부(1794) ·제(第)2부(部)(1796)를 썼다. 그 책(冊)으로 자신(自身)이 - 신(神)은 있지만 인간(人間)과 교류(交流)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계시는 가짜(假짜)이고, 인간(人間)이 신(神)을 안다고 할 수 없다 - 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 드러나서, 유럽과 아메리카 사람들이 기독교(基督敎) 신앙(信仰) 에서 자유(自由) 롭지 못하고 구속(拘束)되어 있는 점(點)을 이용(利用)해, 지배계급(支配階級)이 그를 사회(社會)에서 매장(埋葬)시키기 위해 '무신론(無神論)'이라는 이른바 '죄(罪)'를 만들어 씌웠다. 그 수법(手法)은 대체로(大體로) 잘 들어맞고 토마스에게도 예외(例外) 아니었다. 결국(結局) 나머지 평생(平生) 가난하게 살면서 손가락질 받았다.

1802년(年) 다시 미국(美國)으로 건너갔으나 그곳에서도 지난날의 독립전쟁(獨立戰爭) 의 영웅(英雄)으로서가 아니라 "추악(醜惡)한 무신론(無神論) 자(者)"로서 비난(非難)을 받았다. 빈곤(貧困)과 고독(孤獨) 속에서 파란 많은 생애(生涯)를 마쳤다.

이신론적(理神論的) 입장(立場)에서 쓴 《 이성(理性)의 시대(時代) 》( The Age of Reason ) 제1부(1794) ·제(第)2부(部)(1796)가 무신론(無神論)이라는 오해(誤解) [ 출처(出處) 필요(必要) ] 를 받게 되어- 에 대(對)하여. 이신론(理神論)은 계시(啓示)를 인정(認定)하지 않으므로 종교(宗敎)를 인정(認定)하는 건 말이 안된다. 유럽과 아메리카 기독교인(基督敎人)은 당연시(當然視) 이신론도(理神論度) 비난(非難)한다. 무신론(無神論)까지 갈 필요(必要)도 없이 이신론(理神論) 만으로도 종교계(宗敎界)의 배척(排斥)을 받게된다. '무신론(無神論)이라는 오해(誤解)'는 사실(事實)을 잘못 이해(理解)하게 할 문장(文章)이다.

평가(評價) [ 편집(編輯) ]

1777년(年) 에 외무부(外務部) 의회(議會) 위원회(委員會)의 서기(書記)로 임명(任命)되었다. 그 당시(當時) 존 위더스푼 은 같은 위원회(委員會) 소속회원(所屬會員)으로 그의 임명(任命)에 대(對)해 반대(反對)하였는데, 그 이유(理由)는 그가 원죄(原罪) 교리(敎理) 외(外)에 여러 성경(聖經)의 교리(敎理)들을 페인의 저서(著書) 《상식론(常識論)》에서 조롱(嘲弄)했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가 잘못된 인성(人性)과 삐뚤어진 애국심(愛國心)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위더스푼은 페인의 반기독교(反基督敎) 정서(情緖)에도 불구(不拘)하고, 그가 종교(宗敎)와 정치(政治)를 구별(區別)할 줄 안다고 칭찬(稱讚)하였다. [4]

페인의 펜이 없었더라면 조지 워싱턴의 칼은 쓸모없었을 것이다.

? 존 아담스

어록(語錄) [5] [ 편집(編輯) ]

그런 일이 가능(可能)했다고 한다면, 우리가 모세(毛細), 여호수아, 사무엘 성경(聖經)의 선지자(先知者)들과 같은 가짜(假짜)와 괴물(怪物)이 자기(自己) 말을 하나님의 말인 것처럼 하면서 우리에게 다가와서 우리 가운데서 신용(信用)을 얻게 된 것보다는 수천(數千)의 귀신(鬼神)들로 하여금 이리저리 다니게 하면서 귀신(鬼神)들의 교훈(敎訓)들 - 만약(萬若) 그런 것들이 있다고 한다면 - 을 공적(公的)으로 전파(傳播)하도록 허락(許諾)했다면 훨씬 좋을 뻔 했다.

모든 전쟁(戰爭)을 보라. 그 전쟁(戰爭)들이 어디에서 비롯했는가? 이 불경건한 계시종교(啓示宗敎)라는 것에서부터, 그리고 하나님이 인간(人間)에게 말씀하셨다는 이 괴상(怪常)한 믿음에서 비롯되지 않았는가? 성경(聖經)의 거짓말들이 그 원인(原因)이었다... 성경(聖經)이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약탈(掠奪)과 잔인(殘忍)함과 살인(殺人)이다. 신약(新約) 성경(聖經)이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약혼(約婚)한 한 여인(女人)을 꾀어 방탕(放蕩)한 짓을 한 전능자(全能者)를 믿으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난봉에 대(對)한 신앙(信仰)이 믿음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현실적(現實的)인 종교(宗敎)는 선(善)을 행(行)해야 하며, 신(神)을 섬기는 유일(唯一)한 방법(方法)은 신(神)의 창조물(創造物)을 행복(幸福)하게 만들기 위해 애쓰는 것이다

[6]

모든 사람은 문명(文明) 상태(狀態)가 시작(始作)된 이후(以後) 살아갈 때의 조건(條件)이 문명(文明) 이전(以前)에 살아갈 경우(境遇)보다 더 나쁘지 않아야 한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네이버 지식백과(知識百科)] 토마스 페인 [Thomas Paine] - 국제적(國際的) 혁명이론가(革命理論家) (인물세계사(人物世界史), 차창룡) .....1776년(年) 1월(月) 10일(日)토마스 페인의 책(冊) <상식(常識)(Common Sense)>이 출간(出刊)되자 아메리카 대륙(大陸)은 술렁이기 시작(始作)했다. 페인이 이 책(冊)을 통해 주장(主張)하는 바는 한마디로 말해 미국(美國)의 독립(獨立)이 지극히(至極히) 상식적(常識的)인 진실(眞實)이라는 것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지금(只今)부터 여러 쪽에 걸쳐 나는 지극히(至極히) 단순(單純)한 사실(事實), 평범(平凡)한 논의(論議), 그리고 상식(常識)을 말하겠다.” 그러고는 군주제(君主制)에 대(對)해 신랄(辛辣)하게 비판(批判)하고, 민주적(民主的) 공화제(共和制)만이 우리의 대안(代案)이라고 주장(主張)한다. 영국(英國) 정체(正體)는 군주(君主) 전제정(前制定)과 귀족(貴族) 전제정(前制定), 그리고 이를 얄팍하게 덮고 있는 공화정(共和政)의 복합(複合)이다. 결국(結局) 특권층(特權層)을 인정(認定)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인간(人間)은 평등(平等)하다는 상식(常識)에 어긋나는 것이다. 그러므로영국(英國) 왕실(王室)로부터 완벽(完璧)하게 독립적(獨立的)인 아메리카의 새로운 정부(政府)가 들어서야 한다고 강조(强調)한다.
  2. 니컬러스 J. 캐롤리드스 외(外) 2, 《100권(卷)의 금서(禁書)》(위즈덤하우스, 2006)390쪽 ISBN   89-5913-151-2 " 1776년(年) 1월(月)에 나온 페인의 『상식(常識)Common Sense』은 미국(美國)이 공화국(共和國)으로 독립(獨立)해야 한다고 촉구(促求)하여 사람들에게 독립(獨立)에 대(對)한 열망(熱望)을 불어넣어준 책(冊)이다."
  3. [네이버 지식백과(知識百科)] 토마스 페인 [Thomas Paine] - 국제적(國際的) 혁명이론가(革命理論家) (인물세계사(人物世界史), 차창룡) .....1776년(年) 1월(月) 10일(日)토마스 페인의 책(冊) <상식(常識)(Common Sense)>이 출간(出刊)되자 아메리카 대륙(大陸)은 술렁이기 시작(始作)했다. 페인이 이 책(冊)을 통해 주장(主張)하는 바는 한마디로 말해 미국(美國)의 독립(獨立)이 지극히(至極히) 상식적(常識的)인 진실(眞實)이라는 것이다.
  4. Morrison, Jeffry H., 1961- (2005). 〈2. Public Interest of Religion〉. 《John Witherspoon and the founding of the American republic》 . Notre Dame, In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54쪽. ISBN   978-0-268-08677-0 .  
  5. Horton, Michael Scott. ((2012 printing)). 《세상(世上)의 포로(捕虜)된 교회(敎會) = Beyond culture wars》 . S?ul: Puh?ng kwa Kaehy?ksa. 62쪽. ISBN   89-88614-13-5 .  
  6. “토머스 페인의 ‘상식(常識)’” . 2017년(年) 1월(月) 10일(日) . 2020년(年) 4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