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마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테크노마트 는 강변테크노마트주식회사(株式會社)와 신도림(新道林)테크노마트주식회사(株式會社)가 운영(運營)하고 있는 복합(複合)쇼핑몰이다. 매장(賣場)과 지하철(地下鐵)이 바로 연결(連結)된 점(點)이 장점(長點)이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강변 테크노마트 [ 편집(編輯) ]

1998년(年) 4월(月) 4일(日)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광진구(廣津區) 구(區)의3동 부근(附近)에 최초(最初)의 복합(複合)쇼핑몰인 강변테크노마트를 오픈하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판매동(販賣洞)과 사무동(事務棟)으로 나뉘어 있다. 공통적(共通的)으로 지하(地下) 6층(層)에는 기계실(機械실), 지하(地下) 5층(層)부터 지하(地下) 2층(層)(일부(一部))까지는 주차장(駐車場)이 있고 지하(地下)2층(層)에는 롯데마트, 지하(地下) 1층(層)에는 푸드코트와 먹자거리, 그리고 액세서리나 귀금속(貴金屬), 예물(禮物), 의류(衣類)를 파는 패션 쇼핑몰, 1층(層)부터 8층(層)까지는 일반적(一般的)인 쇼핑 상가(商街)가 밀집(密集)되어 있으며, 전자제품(電子製品) 판매(販賣)에 특화(特化)된 것이 특징(特徵)이다. 9층(層)에는 애슐리와 같은 전문식당(專門食堂)가, 10층(層)에는 CGV영화관(映畫館)이 있는 멀티플렉스 쇼핑몰 이다. [1] 11층(層)부터는 사무동(事務棟)으로만 분류(分類)되며 쇼핑몰이 아닌 회사건물(會社建物)이고 39층(層)까지 있으며, 사무동(事務棟)의 지하(地下)1층(層)에는 신한은행(新韓銀行) 1층(層)에는 하나은행(하나銀行) 2층(層)에는 국민은행(國民銀行) 3층(層)에는 우리은행(우리銀行) 이 있다. 1998년(年) 오픈하였으며 당시(當時) 세인(世人)들의 관심(關心)과 최초(最初)의 복합(複合)쇼핑몰로 자리잡으며 많은 언론기사(言論記事)를 통하여 부동산개발회사인(不動産開發會社人) 프라임산업(産業)이 알려진 계기(契機)가 되었다.

2호선(號線) 강변역(江邊驛) 과 지하통로(地下通路)를 이용(利用)하여 연결(連結)되어있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2011년(年) 7월(月) 5일(日) 오전(午前) 10시(時) 10분(分)께 이상진동현상(以上振動現象)이 일어나 입주자(入住者) 및 고객(顧客)들이 대피(待避)하는 소동(騷動)이 벌어졌다. [2] 5일(日)부터 7일(日)까지 임시점검(臨時點檢)을 진행(進行)하여 이상(以上) 없음을 판정(判定) 받은 테크노마트는 8일(日) 이후(以後) 정상적(正常的)인 영업(營業)을 시작(始作)하였으나 아직까지 논란(論難)은 계속(繼續)되고 있는 상황(狀況)이다.

2011년(年) 7월(月) 19일(日) 대한건축학회는 "건물(建物)마다 가지고 있는 미세(微細)한 진동주기(振動週期)와 태보(太保) 동작(動作)을 하는 동안 발생(發生)한 진동주기(振動週期)가 우연히(偶然히) 일치(一致)하게 되면서 상층부(上層部)로 갈수록 진동폭(振動幅)이 증가(增加)하는 공진현상(公賑現象)이 일어났다"고 설명(說明)했다. [3]

2024년(年) 현재(現在) 공동임대(共同賃貸) 사업(事業)을 준비(準備)한다는 이유(理由) 로 지하(地下)1층(層)에 벽(壁)을 세워 매장(賣場) 영업(營業)을 하고 있는 운영주(運營主)들과 강압적(强壓的)인 마찰(摩擦)이 일어나고 있다.

사무실(事務室)을 사용(使用)하고 있는 직원(職員)들은 발전(發展)이 되고 있다 생각하지만, 고객(顧客)이 보았을 때는 망(亡)해가고 있다 생각하여 문제(問題)가 매우 심각(深刻)해보인다.

신도림(新道林) 테크노마트 [ 편집(編輯) ]

2007년(年) 12월(月) 1일(日)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구로구(九老區) 구로(九老)5동(棟) 부근(附近)에 2번째(番째) 복합(複合)쇼핑몰인 신도림(新道林)테크노마트를 오픈하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판매동(販賣洞)과 사무동(事務棟)으로 나뉘어 있다. 공통점(共通點)으로 일반주차장(一般駐車場)은 지하(地下) 7층(層)부터 지하(地下) 3층(層) 및 화물주차장(貨物駐車場)은 지상(地上) 1층(層)과 지하(地下) 2층(層)으로 되어 있다. 지하(地下)2층(層) 이마트 , 지하(地下) 1층(層) 먹자골목(푸드코트), 그리고 액세서리나 의류(衣類)를 파는 패션쇼핑몰, 1층(層)부터 9층(層)까지는 일반적(一般的)인 쇼핑상가(商街)가 밀집(密集)되어있으며, 10층(層)에는 식당가(食堂街) 등(等)이 있다. 3층(層)에는 DB손해보험(損害保險) 4층(層)에는 삼성화재(三星火災) , 한화(韓華) , 앨비휴넷, 12층(層)에는 씨네Q등(等)이 있다. 영업시간(營業時間)은 강변테크노마트와 다르다.

경부선(京釜線)(1호선(號線)) , 2호선(號線) 의 환승역(換乘驛)인 신도림역(新道林驛) 과 지하통로(地下通路)를 이용(利用)하여 연결(連結)되어있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사건(事件) 및 사고(事故) [ 편집(編輯) ]

강변테크노마트 건물진동현상(建物振動現象) [ 편집(編輯) ]

발단(發端)은 2011년(年) 7월(月) 5일(日) 10시(時) 10분경(分頃) 사무동(事務棟)에 근무(勤務)하던 한 직원(職員)이 상하(上下)로 건물(建物)이 흔들린다고 느낀후 소방서(消防署)에 신고(申告)하면서 시작(始作)되었다.

건물관리특별법(建物管理特別法)에 의거(依據)하여 광진구청(廳)은 강제퇴거명령(强制退去命令)을 내렸으나, 강변테크노마트의 소유(所有)사인 프라임개발(開發)(주(週))은 3개월후(個月後)에 진행(進行)되는 정기정밀점검(定期精密點檢)때 하자고 제시(提示)하였고 광진구청(廳)은 이를 거절(拒絶)하여 결국(結局) 오후(午後) 2시경(時頃)에 강제(强制) 퇴거명령(退去命令)에 의(依)하여 모든 입주자(入住者) 및 고객(顧客)들이 건물(建物) 밖으로 대피(待避)시켰다.

소식(消息)이 전(傳)해지면서 누리꾼들은 트위터나 페이스북등(等) SNS를 통해 빠르게 알려지면서 논란(論難)이 커지기 시작(始作)하였다. 당시(當時) 조사단(調査團)들은 여러가지의 가능성(可能性)을 염두(念頭)에 두었다.

첫 번째(番째)로 10층(層)에 있는 CGV 영화관(映畫館)의 진동(振動), 두 번째(番째)는 13층(層)에 있는 휘트니스클럽, 마지막 세 번째(番째)로는 사무동(事務棟) 건물(建物)에 있는 기계실(機械실)의 진동(振動)이 대표적(代表的)이다.

3일(日)동안의 조사(調査)를 통하여 이상(異常)이 없다는 판정(判定)을 받은 강변테크노마트는 다시 재영업(再營業)에 돌입(突入)하였으나, 이미 안정성(安定性)에 대(對)한 이미지가 하락(下落)한 탓에 매출(賣出)을 급격히(急激히) 내려갔고 각종(各種) 논란(論難)이 지속(持續)되는 상태(狀態)에서 계속(繼續) 영업(營業)을 해야하는 상황(狀況)에 놓여지게 되었다.

1995년(年) 6월(月) 29일(日) 에 있었던 삼풍백화점을 떠올리며 '처음 균열(龜裂)이 발견(發見)되었는데 붕괴(崩壞)의 대(對)한 징조(徵兆)를 무시(無視)하는 바람에 대참사(大慘事)가 이어졌다'는 글을 시작(始作)으로 1990년대(年代)에 있었던 부실공사(不實工事)에 대(對)한 이미지가 겹치면서 사람들은 계속(繼續)해서 무너진다고 생각을 하면서 강변테크노마트에 가급적(可及的)이면 가지 않으려 하고 있다.

조사단(調査團)은 7월(月) 19일(日) 에 공명(共鳴) 현상(現象)에 대(對)한 결과(結果)라고 말하였으나 아직까지도 안정성(安定性)에 대(對)한 이미지는 회복(回復)되지 않고 있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출처(出處) : 강변테크노마트 매장(賣場) 안내(案內) 페이지” . 2011년(年) 9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출처(出處) : NATE 뉴스
  3. “건축학회(建築學會) "테크노마트, '태보(太保) 댄스'에 흔들려 " . 2019년(年) 6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