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리넷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B♭ 클라리넷 ( 뵘 시스템 )
클라리넷
목관(木管) 악기(樂器)
분류(分類) 관악기(管樂器)
목관(木管) 악기(樂器)
싱글 리드 악기(樂器)
호른보스텔
작스 분류(分類)
422.211.2-71
(키로 소리 내는 싱글 리드 기명악기(氣鳴樂器) )
음역(音域)
쓰인 범위(範圍):
관련(關聯) 악기(樂器)
음악가(音樂家)

클라리넷 ( 영어(英語) : clarinet )은 조옮김(調옮김) 악기(樂器)로써 서양고전음악(西洋古典音樂) 목관(木管) 악기(樂器) 중(中) 하나이다. 거의 원통(圓筒) 모양(模樣)이며 하나의 리드 를 붙이는 취구(吹口) 를 사용(使用)한다. 악기(樂器) 이름의 연원(淵源)은 이탈리아어(語) "clarino"에 '작은'이라는 뜻을 주는 접미사(接尾辭) '-et'가 붙어 만들어진 것으로, 18세기(世紀) 초(初) 클라리넷이 등장(登場)하면서 높은 음역(音域)에서 당시(當時) 고음악기(古音樂期)였던 클라린-트럼펫 과 비슷한 소리를 내었고, 이 트럼펫의 대용(代用)으로 사용(使用)되기 시작(始作)하면서 그렇게 불리게 된 것이다. 미(美)3~도7까지 소리낼 수 있고 4옥타브 악기(樂器)다.옛날에 샬뤼모와 클라리오넷이 합(合)해져서 탄생(誕生)한 악기(樂器)다. 클라리넷 연주자(演奏者)는 영어(英語)로 클라리네티스트( 영어(英語) : clarinetist )라고 한다.

클라리넷은 다양한 크기와 음높이(音높이) 를 가져서 종류(種類)가 24종(種)이 넘는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大部分)은 이제는 거의 쓰이지 않거나, 특수한 경우(境遇)에만 쓰인다. 이런 희귀(稀貴)한 클라리넷을 위해 쓰인 음악(音樂)들은 흔히 쓰이는 크기의 클라리넷으로 조옮김(調옮김) 하여 연주하는 것이 보통(普通)이다. 보통(普通) 클라리넷이라고 하면 가장 많이 사용(使用)하는 내림나-클라리넷(내림나조/B♭로 맞춰져 있어 악기(樂器)로 다장조(다長調)를 연주하면 한 음(音)이 낮은 내림나장조(내림나長調)가 소리남)을 가리킨다. 가장조(가長調)(A)로 맞춰진 가-클라리넷도 자주 쓰이며, 특히(特히) 오케스트라 활동(活動)을 하려면 꼭 필요(必要)하다.

현대(現代) 클라리넷은 마개방식(方式)에 따라 운지법(運指法)이 다르기 때문에 독일식(獨逸式)과 프랑스식(式)으로 나뉜다. 독일식(獨逸式)과 프랑스식(式)은 마개방식(方式)뿐 아니라 관(官) 안쪽의 지름과 모양(模樣), 나팔꼭지(喇叭꼭지)와 사용(使用)하는 리드도 다르기 때문에 음질(音質)과 음색(音色)에 약간(若干)의 차이(差異)를 보인다. 오늘날 독일식(獨逸式) 클라리넷은 거의 독어권(獨語圈) 국가(國家)에 한해서 쓰인다. 주로(主로) 가내수공업(家內手工業)에 의존(依存)했던 독일(獨逸)의 악기제작자(樂器製作者)들에 비해, 19세기(世紀)를 거치면서 중앙집중적(中央集中的)인 산업화(産業化)와 해외(海外) 식민지경쟁(植民地競爭)에서 프랑스가 훨씬 앞서갔기 때문에 지금(只今)은 프랑스식(式) 클라리넷이 세계적(世界的)으로 널리 쓰인다. 독일식(獨逸式)은 욀러식(Klarinette Ohler System)/도이치식(式) 클라리넷(Klarinette Deutsches System) , 프랑스식(式)은 뵘식(式) 클라리넷( Boehm System Clarinet ) 이라고 한다.

악기구조(樂器構造) [ 편집(編輯) ]

클라리넷의 일부(一部)

아프리카흑단(黑檀) 으로 만들어진 클라리넷은 가격(價格)이 비싸다. 보통(普通) 아프리카흑단(黑檀)이 아닌 다른 종류(種類)의 나무로 만들거나, 흔하진 않지만 쇠로 만들기도 한다. 합성수지(合成樹脂)로 만든 클라리넷은 초보자용(初步者用)으로 널리 쓰인다. 마개들은 니켈이나 은도금(銀鍍金)/금도금(金鍍金)으로 만든다. 내림나-클라리넷은 약(約) 66cm (가-클라리넷은 71cm)이고, 관(官) 안쪽의 지름은 약(約) 13mm 정도(程度)이다.

클라리넷은 보통(普通) 다섯 부분(部分)으로 이루어져 조립(組立)과 분해(分解)가 가능(可能)하다.

  • 마우스피스 는 매우 딱딱한 경질(硬質)고무 (하드러버)로 만든다. 보통(普通) 에보나이트 아크릴 같은 합성수지(合成樹脂) 로 만든 것이 널리 쓰이고, 크리스털 , 나무, 쇠로 만든 것들도 쓰인다. 서로 다른 재질(材質)을 섞어서 만든 것들도 있다. 소리를 내는 것은 너비 약(約) 12,5mm인 리드 이다. 이 리드 를 마우스피스에 붙이고 아랫 입술로 떨어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 리드는 갈대(학명(學名): Arundo Donax)로 만드는데 수명(壽命)이 짧기 때문에, 다른 재질(材質)을 이용(利用)해서 만들려는 시도(試圖)가 있어왔다.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데 성공(成功)해서 판매(販賣)도 되고 있지만 소리가 좋지 않아 널리 쓰이진 않는다.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고정(固定)시키는 데는 리가(리街)쳐(조이개) 를 사용(使用)한다. 리가(리街)쳐의 재질(才質)도 다양해서 쇠, 플라스틱, 가죽 등(等)이 사용(使用)된다. 독일식(獨逸式) 클라리넷을 사용(使用)하는 연주자(演奏者)들은 보통(普通) 조임줄을 선호(選好)한다.
  • 마우드 패치

윗입술에 무는 고무이다.윗입술에 물어서 리드 반대쪽(反對쪽)에 붙인다.아랫쪽에는 접착제(接着劑)가 있으니까 위,아래를 잘 맞춰야 된다.리드 다음으로 수명(壽命)이 짧다.마우스피스에 윗니가 그대로 닿아 아프지 않도록 해준다.

  • 배럴 (Birne)은 클라리넷을 연구(硏究)하는 음악학자(音樂學者)들이 왜 이 부분(部分)이 살아 남았는지에 의문(疑問)을 가질 정도(程度)로, 꼭 따로 독립(獨立)해서 존재(存在)할 필요(必要)는 없는 구조(構造)지만, 섬세(纖細)한 조율(調律)을 하는 데 이용(利用)한다.배럴의 결합(結合) 정도(程度)에 의(依)해 클라리넷의 전체(全體) 음높이(音높이)가 다소(多少) 낮아진다.
  • 윗관(館)

소리를 내는 관(棺) 중(中) 하나고,거의 높은 소리를 낼 때 쓰인다. 꼭 필요(必要)한 관(館)이다.구멍 4개(個),키 9개(個)이다. 그 중(中) 4개(個)의 키는 꼭 필요(必要)하지 않는 키다. 1개(個)의 키는 높은음용(높은音龍) 키다.(클라리넷 기준(基準) 중음(中音), 고음용(高音用) 키다.오케스트라에 필수(必須)로 나온다.)

  • 아랫관(館)

주로(主로) 낮은 소리를 낼 때 사용(使用)되며,윗관에 소리를 잘 내줄 수 있는 관(官)이기도 하다.3개의 구멍,7개(個)의 키로 되어 있다. 전부(全部) 꼭 필요(必要)하다.

  • 엄지고무 는 아랫관(館)의 받침대(받침臺)에 있는 은 때문에 엄지손가락이 아프다. 그 아픈 것을 덜 아프게 해 주는 고무이다. 잘 떨어져서 양면테이프를 붙여서 쓰기도 한다. 없어도 되지만 엄지손가락이 다칠 수 있다.
  • 은 클라리넷의 제일(第一) 끝 부분(部分)으로 가장 낮은 음(音)을 내는 데 도움을 준다.(벨을 빼도 연주(演奏)는 가능(可能)하다.) 소리가 울려 퍼 지게도 해 준다.
  • 콜크

클라리넷의 마우드피스, 배럴, 윗관(館), 아랫관(館), 벨이 연결(連結)되게 해준다.(마우드피스, 윗관(館), 아랫관(館)에만 있다.)

  • 콜크 크림

콜크는 나뭇껍질이라서 더더욱 잘 끼워 줄 수 있게 해주는 크림으로 립스틱,립밤,풀처럼 보관(保管)한다.콜크가 부드럽게 해 준다.(잘 끼워지는 이유(理由)이다.)

소리를 내는 원리(原理) [ 편집(編輯) ]

클라리넷의 소리내는 원리(原理)는 마우스 피스 (Mund Stuck) 에 홑리드를 장착(裝着)한후 리드의 진동(振動)으로 소리내는 방식(方式)이다

마개방식(方式) [ 편집(編輯) ]

마개방식(方式)이란 각(各) 음(音)들을 소리내는 데 쓰이는 마개들이 어떤 방식(方式)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클라리넷의 운지를 결정(決定)하는 문제(問題)이기 때문에 마개방식(方式)에 대(對)한 이해(理解)는 클라리넷의 구조(構造)를 이해(理解)하는 데 매우 중요(重要)하다.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현대(現代) 클라리넷은 하루 아침에 발명(發明)된 것이 아니다. 1700년경(年頃) 클라리넷이 처음 선을 보인 이래(以來) 좀 더 좋은 음질(音質), 정확(正確)한 음높이(音높이)와 음정(音程), 안정적(安定的)인 억양(抑揚)을 내는 악기(樂器)로써의 클라리넷을 만들기 위해 부단(不斷)한 노력(努力)이 있어왔다. 무엇보다 중요(重要)한 문제(問題)는 모든 음(音)들을 손쉽게 낼 수 있는 운지법(運指法)이었고, 이것을 가능(可能)하게 하기 위해 연주자(演奏者)들과 악기(樂器) 제작자(製作者)들이 끊임없이 개량(改良)을 거듭하여 현대(現代) 클라리넷의 마개방식(方式)에 이른 것이다. 마개방식(方式) 개량(改良)의 역사(歷史)가 곧 클라리넷 악기발달사(樂器發達史) 이므로 자세(仔細)한 것은 역사편(歷史篇)에서 다루기로 하고, 여기선 현대 클라리넷에서 주로(主로) 쓰이는 마개방식(方式)에 대(對)해서만 살펴 보기로 한다.

뵘 시스템(Bohm System) [ 편집(編輯) ]

먼저 세계적(世界的)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뵘식(式) 클라리넷 플룻 연주자(演奏者)이자 악기제작자(樂器製作者)였던 테오발드 뵘 (Teobald Bohm)이(李) 1832년(年) 이미 선보였던 새로운 플룻 마개방식(方式)을 악기제작자(樂器製作者)였던 뤼-아구스떼 부페 (Louis-Auguste Buffet) 가 당시(當時) 파리의 클라리넷 명인(名人)이자 파리음악원(音樂院) 교사(敎師)로 일하고 있던 클로제 (Hyacinthe Klose)와의 협력(協力)을 통해 클라리넷에 적용(適用)하는 데 성공(成功)하여 1839년(年)에 공개(公開)한 것이다. 뵘 자신(自身)은 클라리넷 개량(改良)에 직접(直接) 관여(關與)한 바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當時) 부페집안은 악기제조(樂器製造)를 가업(家業)으로 하는 집안으로, 파리에 악기공장(樂器工場)을 갖고 있었던 데니스 부페-오(誤)거의 공장(工場)을 아들이었던 쟝-뤼 부페가 물려받아 창립(創立)한 회사(會社)가 바로 오늘날 클라리넷 제조(製造)로 유명(有名)한 부페 크람뽄 회사(會社)이다 (뵘식(式) 클라리넷의 발명자(發明者) 뤼-아구스떼는 바로 쟝-뤼의 삼촌(三寸)이다). 부페의 뵘식(式) 클라리넷은 윗관(館)과 아랫관(館)의 마개들이 전부(全部) 하나로 연결(連結)되어 있어 하나의 마개만 눌러도 전혀(全혀) 다른 곳의 구멍까지 막을 수 있는 획기적(劃期的)인 마개방식(方式)을 제시(提示)했다. '움직이는 반지모양(半指模樣) 마개의 클라리넷'으로 소개(紹介)되면서 판매초(販賣初)부터 주목(注目)을 받았고, 협력자(協力者)였던 클로제가 후(後)에 파리음악원(音樂院)의 중요(重要)한 보직(補職)을 맡게 되면서 점점(漸漸) 더 많은 사용자(使用者)들을 얻게 된다. 뵘식(式) 클라리넷은 1889년(年) 파리 만국박람회(萬國博覽會)에도 소개(紹介)되고, 특히(特히) 1972년대(年代) 초(初) 미국(美國) 시장(市場)에서 부페 크람뽄사의 제품(製品)들이 선풍적(旋風的)인 인기(人氣)를 얻으면서 뵘식(式) 클라리넷이 클라리넷의 세계표준(世界標準)으로 가는 길을 선점(先占)했다. 연주자(演奏者)의 취향(趣向)에 따라 마개 몇 개(個)를 추가(追加)할 수 있지만, 현재(現在) 표준(標準)으로 쓰이는 것은 17마개/6반지모양(半指模樣)마개이다.

뮬러 시스템(Muller System) [ 편집(編輯) ]

이반 뮐러 (Iwan Muller)는 클라리넷 명인(名人)으로 악기개량(樂器改良)을 꾸준히 거듭해 당시(當時)로선 가장 마개 수(數)가 많은 13마개 클라리넷을 개발(開發)해 낸다. 당시(當時)까지는 마개방식(方式) 기술(技術)의 발달(發達)이 충분(充分)치 못해 하나의 클라리넷으로 모든 음(音)을 다 연주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클라리넷은 특정(特定)한 조성(造成)을 연주할 수 있도록 거기에 맞추어 제작(製作)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연주자(演奏者)들은 각각(各各) 다른 조성(造成)을 연주하기 위해 여러 개(個)의 클라리넷을 사용(使用)했다. 뮐러식(式) 클라리넷 은 13개(個)로 단순히(單純히) 마개수(數)만 늘린 것이 아니라 연주(演奏)가 불가능(不可能)했던 반음(半陰)들 모두를 연주할 수 있도록 마개의 디자인을 달리 하고 스프링을 사용(使用)해 배치(配置)를 교묘히(巧妙히) 했으며, 마개 끝에 양털(羊털)로 채운 가죽패드를 달았고, 소리구멍 위치(位置)를 정확히(正確히) 한, 음질(音質)과 억양(抑揚) 측면(側面)에서도 획기적(劃期的)인 개선(改善)을 이루었다. 거의 현대(現代) 클라리넷의 모양(模樣)을 갖춘 뛰어난 클라리넷이었다. 뭘러의 이 업적(業績)은 데너의 악기(樂器) 발명(發明) 이후(以後) 클라리넷 발달사(發達史)에서 가장 큰 발전(發展)이라고 볼 수 있다. 1812년(年) 뮐러는 자신(自身)의 새로운 클라리넷을 모든 음(音)들이 연주가능(連奏可能)한, 즉(卽) 악기(樂器) 하나로 모든 조성(造成)을 연주할 수 있는 ?다중조성(多重造成) 클라리넷’이라고 소개(紹介)하면서 당시(當時) 클라리넷 교육(敎育)의 중심지(中心地)였던 파리 음악원(音樂院) 에 심사(審査)를 의뢰(依賴)했지만, 클라리넷 교수(敎授)였던지만 레퍼브레 (Xavier Lefevre)를 필두(筆頭)로 한 심사단(審査團)은 석연(釋然)치 않은 이유(理由)를 들어 인정(認定)하지 않았다. 하나의 클라리넷으로 모든 조성(造成)을 연주하게 되면 특성(特性) 조성(造成)에 맞추어 제작(製作)된 각(各) 클라리넷의 고유(固有) 음색(音色)을 잃어 버릴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理由)였다. 어쨌든 여러면(面)에서 획기적(劃期的)인 개선(改善)을 이룬 뮐러식(式) 클라리넷은 당대(當代)의 클라리넷 제작자(製作者)들에게 큰 영향(影響)을 주었고, 독일식(獨逸式) 클라리넷의 전형(典型)을 제시(提示)했다. 알버트는 이 뮐러식(式)을 바탕으로 색소폰의 발명자(發明者)인 아돌프 색스가 발명(發明)한 마개방식(方式)을 첨가(添加)한 알버트식(式) 클라리넷 을 개발(開發)하여 영국(英國)에서 큰 성공(成功)을 거두었다. 현재(現在) 독일식(獨逸式) 클라리넷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뮐러식(式) 클라리넷 도 베를린 필하모니의 창단발기인(創團發起人)이었던 오스카 욀러 (Oskar Oehler)가 이 뮐러식(式)을 바탕으로 개량(改良)한 방식(方式)이다.

갤러리 [ 편집(編輯) ]

클라리넷 종류(種類) [ 편집(編輯) ]

  1. 내림나장조(내림나長調) 클라리넷
  2. 내림마장조 클라리넷
  3. 다장조(다長調) 클라리넷
  4. 가장조(가長調) 클라리넷
  5. 라장조(라長調) 클라리넷
  6. 베이스 내림나장조(내림나長調) 클라리넷
  7. 베이스 내림마장조 클라리넷
  8. 베이스 가장조(가長調) 클라리넷
  9. 베이스 다장조(다長調) 클라리넷
  10. 베이스 라장조(라長調) 클라리넷
  11. 알토 내림나장조(내림나長調) 클라리넷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