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컴퓨터


각기(各其) 다른 시대(時代)의 컴퓨터와 컴퓨팅 장치(裝置)

컴퓨터 ( 영어(英語) : computer , 문화어(文化語) : 콤퓨터 , 콤퓨타 , 순화어(醇化語) : 전산기(電算機)(電算機), 셈틀 )는 방대(厖大)한 정보(情報) ( 데이터 )를 저장(貯藏) 하고 검색(檢索) 하고 처리(處理) 하며, 프로그래밍 이 가능(可能)한 전자적(電子的) 기계(機械) 장치(裝置) 또는 자동(自動) 으로 계산(計算) (연산)을 수행(遂行)하고 다른 기계장치(機械裝置)(machines)들을 제어(制御) 하는 전자(電子) 기기(機器)다. 프로그램 을 사용(使用)해 정보(情報) 를 입  · 출력(出力)하고 계산(計算) ( 산술(算術) 또는 논리(論理)셈 )을 자동(自動)으로 수행(遂行)한다. 텍스트 , 그래픽 , 심벌(특수(特殊) 문자(文字)나 부호(符號)), 사운드 등(等)을 처리(處理)하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범용장치(汎用裝置) (programmable machine)다. 전자회로(電子回路) 이진법(二進法) 을 이용(利用)하여 프로그램 정보(情報) 를 전자적(電子的) 형태(形態)로 저장(貯藏)하고 빠르게 계산(計算) (compute)하고, 입력(入力)된 데이터 를 정(定)해진 과정(過程)( 프로그래밍 )에 따라 처리(處理)하고 정보(情報)로 출력(出力)하고 제어(制御)한다. 수식(數式) 이나 논리적(論理的) 언어(言語) 로 표현(表現)한 일련(一連)의 산술(算術) 연산(演算) 이나 논리(論理) 연산(演算) , 관계(關係) 연산(演算) 을 자동적(自動的)으로 수행(遂行)하거나 입력(入力)한 데이터 를 가공(加工)(저장(貯藏))하고 처리(處理)된 데이터 를 유용(有用)한 정보(情報)로 출력(出力)한다. 사전(辭典)에서 찾을 수 있는 위와 같은 정의(正義)는 정확(正確)하지만 가리키는 범위(範圍)가 너무 넓어 이전(以前)의 컴퓨터와 현재(現在)의 컴퓨터 그리고 미래(未來)의 컴퓨터를 쉽게 설명(說明)하기는 어렵다. 더 의미(意味)있는 질문(質問)은 '컴퓨터의 종류(種類)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아니면 '현재(現在)의 컴퓨터의 성능(性能)과 특별한 기능(機能)은 무엇인가?'일 것이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파스칼 은 세무사(稅務士)였던 아버지의 작업(作業)을 도우려고 덧셈과 뺄셈을 자동(自動)으로 수행(遂行)하는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를 고안(考案)했다. 1950년대(年代) 초(初)에 '컴퓨팅 머신'(computing machine)이라는 말이 전산기(電算機)를 지칭(指稱)하는 단어(單語)로 쓰였다. 마침내, 더 짧은 '컴퓨터'라는 말이 컴퓨팅 머신을 대체(代替)했다. 본래(本來), 산술(算術)은 수학적(數學的)인 문제(問題)와 밀접(密接)하게 연관(聯關)되어 있지만, 현대(現代) 컴퓨터들은 값이 싸지고 용도(用途)가 다양해짐에 따라, 수학(數學)과는 관계(關係) 없는 많은 일에도 쓰인다.

어원 [ 편집(編輯) ]

A human computer.
현미경(顯微鏡)과 계산기(計算器)를 갖춘 인간(人間) 컴퓨터, 1952년(年)

'컴퓨터'(computer)라는 명칭(名稱)의 유래(由來)는 먼저 계산(計算)한다는 뜻의 라틴어(語) '콤푸타(打)레'(computare)에서 유래(由來)했다. 이 단어(單語)의 어근(語根)은 '콤'(com)과 '푸투스'(putus)로 '함께'(com)와 '생각하다'(putus)의 합성어(合成語)이다. 영어(英語)로는 calculate 또는 estimate 로 번역(飜譯)되며, '생각을 정리(整理)하며 수식(修飾)을 따라 계산(計算)하는 것 또는 계산(計算)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컴퓨터'라는 말의 의미(意味)는 시대(時代)에 따라 변화(變化)했다. 과거(過去)에는 기계적(機械的)인 도움의 유무(有無)에 관계없이(關係없이) 수학(數學) 계산(計算)을 수행(遂行)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使用)하였다. 현재(現在)에는 기계(機械)를 의미하는 경우(境遇)가 더 많지만 여전히(如前히) 수학(數學) 계산(計算)하는 사람으로도 사용(使用)한다. ODE2 목록(目錄)에 따르면 1897년(年) 에 처음으로 기계적(機械的) 계산(計算)을 수행(遂行)하는 기계(機械)를 일컫는 말로 사용(使用)되었다. 1946년(年) 까지 여러 수식어(修飾語)가 소개(紹介)되었는데, 이것들은 여러 종류(種類)의 컴퓨터를 구별(區別)하기 위한 것들이었다. 이 수식어(修飾語)들은 아날로그 , 디지털 을 포함(包含)하고 있다.

한국어(韓國語) 로의 순화어(醇化語) 로는 셈을 하는 틀이라는 셈틀 이 있다.

컴퓨터의 기능(機能) [ 편집(編輯) ]

전자회로(電子回路)를 이용(利用)하여 자동적(自動的)으로 계산(計算)이나 데이터를 처리(處理)하는 기계(機械)로 프로그래밍이 가능(可能)하다. 입력자료(入力資料)를 받아들여 처리(處理)하고 그 정보(情報)를 저장(貯藏)하고 검색(檢索)하여 결과(結果)를 출력(出力)하는 일을 하며 다른 기계(機械)들을 제어(制御)(control other machines)하기도 한다. 아날로그형(型)과 디지털형(型)이 있으나 1960년(年) 이후(以後)로는 거의 디지털형(型)만이 이용(利用)된다. 컴퓨터는 여러 가지 명령어(命令語)로 구성(構成)된 프로그램의 지시(指示)에 따라 입력(入力)한 데이터를 분석(分析)·처리(處理)하여, 그 결과(結果)를 사용자(使用者)에게 제공(提供)한다. 그러나 컴퓨터가 하나의 업무(業務)를 처리(處理)하기 위해서는 입력(入力)·제어(制御)·기억(記憶)·연산(演算)·출력(出力) 등(等)의 다섯가지 장치(裝置)가 서로 밀접(密接)하게 연관(聯關)되어야만 종합적(綜合的)인 기능(機能)을 수행(遂行)할 수 있다.

입력(入力) [ 편집(編輯) ]

프로그램을 컴퓨터 내부(內部)의 메모리 로 읽어들이는 입력(入力) 장치(裝置) 의 기능(機能)이다.

제어(制御) [ 편집(編輯) ]

프로그램의 명령(命令)을 하나씩 읽고 해석(解釋)하여, 모든 장치(裝置)의 동작(動作)을 지시(指示)하고 감독(監督)·통제(統制)하는 기능(機能)이다. 제어(制御) 기능(機能)은 컴퓨터에서 가장 핵심적(核心的)인 기능(機能)으로 이러한 제어(制御) 기능(機能)이 있기 때문에 컴퓨터는 자동성(自動性)을 갖는다. 제어(制御) 기능(機能)은 중앙(中央) 처리(處理) 장치(裝置)(CPU)의 제어부(制御部)에서 담당(擔當)한다.

기억(記憶) 및 저장(貯藏) [ 편집(編輯) ]

입력(入力) 장치(裝置)로 읽어들인 데이터나 프로그램, 중간(中間) 결과(結果) 및 처리(處理)된 결과(結果)를 기억(記憶)하는 기능(機能)으로서 중앙(中央) 처리(處理) 장치(裝置)의 주기억 장치(裝置)와 보조(補助) 기억(記憶) 장치(裝置)에 갖추어져 있다. (HDD (SSD)와 RAM 이 여기에 속(屬)한다.)

연산(演算) [ 편집(編輯) ]

기억(記憶)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꺼내어 산술(算術)이나 논리(論理)셈따위를 하는 기능(機能)으로서 중앙처리장치(中央處理裝置)( CPU )의 연산부(演算部)에서 담당(擔當)한다.

출력(出力) [ 편집(編輯) ]

프로그램의 결과(結果)를 빛, 화면(畵面), 소리, 잉크 등(等)의 수단(手段)으로 출력(出力)하는 장치(裝置) 의 기능(機能)이다. ( 모니터 , 프린터 , 플로터 등(等)이 여기에 속(屬)한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고대(古代)로부터 주판(籌板) 을 비롯해 계산(計算)을 돕는 많은 도구(道具)들이 있었다. 중세(中世)에 들어와서는 유럽 서남아시아(西南아시아) 지역(地域)에서 천체(天體)의 움직임을 예측(豫測)하거나 낮과 밤의 길이를 계산(計算)하기 위한 정밀(精密)한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가 발명(發明)되었으나, 천체(天體) 관측(觀測) 외(外)의 계산(計算)에는 사용(使用)할 수 없었다.

1623년(年) 독일(獨逸)의 학자(學者) 빌헬름 시카르트가 6자리 숫자(數字)의 덧셈과 뺄셈을 수행(遂行)할 수 있는 최초(最初)의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를 발명(發明)하였다. 최초(最初)의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 모델은 제작(製作) 도중(途中) 화재(火災)로 소실(消失)되었으나, 두 번째(番째) 모델은 사용법(使用法)을 담은 편지(便紙)와 함께 시카르트의 친구(親舊)였던 천문학자(天文學者) 요하네스 케플러 에게 보냈다. 시카르트의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는 천체운동(天體運動)을 당시(當時) 천문학(天文學) 수준(水準)에 비해 훨씬 정확(正確)하게 계산(計算)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1642년(年) 에 당시(當時) 19세(歲)였던 블레즈 파스칼 이 10진수(進水)의 덧셈과 뺄셈을 계산(計算)할 수 있는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를 발명(發明) [1] 하여 약(約) 20대(臺)를 제작(製作)하였고, 1672년(年)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는 이 계산기(計算器)를 곱셈과 나눗셈이 가능(可能)한 기계(機械)로 개선(改善)하였다. 라이프니츠는 또한 현대(現代) 디지털 컴퓨터의 핵심적(核心的)인 부분(部分)이 된 이진법(二進法) 을 고안(考案)하였다.

1822년(年) 영국(英國) 수학자(數學者) 찰스 배비지 다항 함수(函數) 로그 함수(函數) , 삼각함수(三角函數) 등(等)을 계산(計算)할 수 있는 기계식(機械式) 계산기(計算器)인 차분기관(差分機關) 을 설계(設計)하였으나, 당시(當時)의 기술(技術)로는 비용(費用)이 너무 비싸 이 기계(機械)의 실물(實物)은 1855년(年) 에 이르러서야 제작(製作)되었다. 한편(한便) 배비지는 1835년(年) 에 그의 차분기관(差分機關)을 보다 발전시킨 해석기관(解析機關) 을 설계(設計)하였으나, 당시(當時) 기술(技術)로는 기계(機械)의 제작(製作)이 너무 복잡(複雜)하고 부품(部品)을 제작(製作)하기가 어려워 이 기계(機械)의 실물(實物)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비록 설계(設計)뿐이지만 많은 학자(學者)들은 해석기관(解釋機關)을 최초(最初)의 프로그래밍 가능(可能)한 컴퓨터로 인정(認定)하고 있다.

1936년(年) 현대(現代) 컴퓨터 과학(科學) 의 아버지라 불리는 영국(英國) 의 수학자(數學者) 앨런 튜링 튜링 기계(機械) 라는 수학적(數學的) 개념(槪念)을 고안(考案)하여 알고리즘 과 계산(計算)에 관(關)한 이론적(理論的) 기초(基礎)를 정립(定立)하였다. 그는 알려진 모든 수학적(數學的) 개념(槪念)과 계산(計算) 과정(過程)을 튜링 기계(機械)를 통해 나타낼 수 있음을 증명(證明)하였다. 인간(人間)에게 알려진 모든 계산(計算) 기계(機械)는 계산(計算) 속도(速度)의 차이(差異)가 있을 뿐 모두 튜링 기계(機械)와 같거나 약(弱)한 계산(計算) 능력(能力)을 가진다.

1937년(年) 벨 연구소(硏究所) 에서 일하고 있던 미국(美國) 의 수학자(數學者)이자 물리학자(物理學者) 조지 스티비츠 이진법(二進法) 을 사용(使用)하는 최초(最初)의 전자식(電子式) 디지털 계산기(計算器)를 개발(開發)하였다. 1939년(年) 에는 선형대수학(線型代數學) 의 문제(問題)를 풀기 위해 개발(開發)된 전자식(電子式) 디지털 컴퓨터인 아타나소프-베리 컴퓨터 가 개발(開發)되었으나 다른 용도(用途)로 프로그래밍할 수 없었으므로 다른 목적(目的)으로 사용(使用)할 수는 없었다.

한편(한便), 1941년(年) 독일(獨逸) 의 공학자(工學者) 콘라드 추제(蝤蠐) 천공(穿孔) 카드 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최초(最初)의 전자(電子)/기계식(機械式) 컴퓨터인 Z3 를 개발(開發)하였다. 그러나 콘라드 주제(主題)는 당시(當時) 적국(敵國)이었던 미국(美國)이나 영국(英國) 과학자(科學者)들과 거의 교류(交流)가 없었고 Z3의 실물(實物) 또한 2년(年) 후(後) 연합군(聯合軍)의 폭격(爆擊)으로 파괴(破壞)되었기 때문에 그의 업적(業績)은 독일(獨逸) 바깥에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프로그래밍이 가능(可能)한 최초(最初)의 전자식(電子式) 디지털 컴퓨터는 2차(次) 대전(大戰) 당시(當時) 독일(獨逸)의 암호(暗號)를 해독(解讀)하기 위해 설계(設計)된 영국(英國)의 콜로서스 였다. 그러나 이 컴퓨터의 존재(存在)는 1급(級) 비밀(祕密)이었으므로 1970년대(年代)까지 일반인(一般人)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理由)로 1946년(年) 에 미국(美國)에서 개발(開發)된 에니악(ENIAC) 은 오랫동안 최초(最初)의 프로그래밍 가능(可能)한 범용(汎用) 컴퓨터로 알려져 있었다. 에니악은 18,000개(個)의 진공관(眞空管) 을 이용(利用)하여 무게가 30톤에 이르렀고, 가격(價格)은 50만(萬) 달러(최근(最近) 대한민국(大韓民國) 물가로 약(約) 70억(億)원)에 달(達)했기 때문에, 포탄(砲彈)의 궤적(軌跡)을 계산(計算)하거나 수소폭탄(水素爆彈)의 폭발(爆發)을 예측(豫測)하는 등(等) 주로(主로) 정부(政府)에서 군사적(軍事的) 목적(目的)으로 이용(利用)되었다.

한편(한便) 1945년(年) 미국(美國)의 컴퓨터 과학자(科學者) 존 폰 노이만 은 프로그램을 기억장치(記憶裝置)에 내장(內藏)하는 방식(方式)의 컴퓨터를 제안(提案)하였고 그의 제안(提案)을 바탕으로 EDVAC 이 설계(設計)되었으나 특허권(特許權) 문제(問題)로 개발(開發)이 늦어졌다. 그리하여 1949년(年) EDVAC의 설계(設計)를 발전시킨 EDSAC 이 최초(最初)로 프로그램 내장방식(內臟方式)과 이진법(二進法)을 채택(採擇)한 디지털 컴퓨터가 되었다.

1970년대(年代) 말(末)부터 개인용(個人用) 컴퓨터 (PC)가 보편화(普遍化)되기 시작(始作)했다. 1990년(年) 이후(以後)로 18개월(個月)에서 24개월(個月)을 주기(週期)로 성능(性能)이 두 배(倍)씩 향상(向上)되는 폭발적(暴發的)인 발전(發展)이 있었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컴퓨터 도입(導入)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한국(韓國)은 1967년(年) 경제기획원(經濟企劃院)이 IBM 1401 컴퓨터를 도입(導入)하여 인구조사결과(人口調査結果)를 컴퓨터로 처리(處理)한 것을 시작(始作)으로 컴퓨터를 다방면(多方面)에 널리 사용(使用)되게 되었다.

컴퓨터의 대중화(大衆化) 배경(背景) [ 편집(編輯) ]

1980년대(年代) IBM사(社)의 대형(大型)컴퓨터 위주(爲主)였던 컴퓨터 시장(市場)은 MS사(社)가 개발(開發)한 윈도 제품(製品)의 성공(成功)으로 컴퓨터의 대중화(大衆化)가 시작(始作)되었다. 그 뒤로 개인용(個人用) 컴퓨터의 수요(需要)는 대형(大型)컴퓨터 시장(市場) 수요(需要)를 추월(追越)하게 되었다. 즉(卽) 컴퓨터의 대중화(大衆化)를 가능(可能)하게 한 주요(主要) 배경(背景)은 성능(性能)의 우수성(優秀性)과 저가격화(低價激化),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발전(發展)이라 할 수 있다.

분류(分類) [ 편집(編輯) ]

분류(分類) [ 편집(編輯) ]


규모(規模)에 따른 분류(分類) [ 편집(編輯) ]

크기 형태(形態) 비고(備考)
임베디드(내장형(內臟型))컴퓨터 아두이노 , 웨어러블 컴퓨터
초소형저전력(超小型低電力)pc 라즈베리파이 , 오(誤)드로이드 , 스마트폰 사이즈9cm x 6cm 전후(前後), 전력(電力)5v [2]
데스크톱(탁상용(卓上用)) 워크스테이션 , 개인용(個人用) 컴퓨터 (PC), 노트북 컴퓨터
대형(大型) 슈퍼컴퓨터 및 서버급(級) 슈퍼컴퓨터 , 서버 급(級) 컴퓨터

제조(製造) 기술(技術)에 따른 분류(分類) [ 편집(編輯) ]

수행(遂行) 능력(能力)에 따른 분류(分類) [ 편집(編輯) ]

  • 범용(汎用)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s)
  • 특수(特殊) 목적(目的) 컴퓨터(special-purpose computers): POS 터미널, 게이밍 콘솔, 게이밍 PC 등(等).
  • 단일(單一) 목적(目的) 컴퓨터(single-purpose computers)

운영(運營) 체제(體制)에 따른 분류(分類) [ 편집(編輯) ]

운영(運營) 체제(體制)의 종류(種類)에 따라 사용자(使用者)가 이용(利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종류(種類)가 크게 달라지고 이용(利用) 방식(方式) 또한 달라지므로, 운영(運營) 체제(體制)에 따른 분류(分類)가 실용적(實用的)인 분류(分類)로 자주 사용(使用)된다.

구성(構成) [ 편집(編輯) ]

크게 논리적(論理的) 지시(指示) 사항(事項)인 소프트웨어 (S/W; Software)와 물리적(物理的) 장치(裝置)인 하드웨어 (H/W; Hardware)로 나눌 수 있으며, 컴퓨터의 하드웨어 중앙(中央) 처리(處理) 장치(裝置) (CPU)와 주기억 장치(裝置) (RAM) 및 입력(入力) 장치(裝置) ( 키보드 , 마우스 등(等)), 출력(出力) 장치(裝置) ( 모니터 , 프린터 등(等)), 그리고 주변(周邊) 기기(機器) 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構成) 품목(品目) [ 편집(編輯) ]

MOS 6502 computer chip die photograph
1970년대(年代) 초(初) 3500개(個)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칩에 집적(集積)시킨 마이크로프로세서인 MOS 테크놀로지 6502의 사진(寫眞)이다.
MOS 6502 computer chip in 'DIP' package
집적(集積) 회로(回路)는 일반적(一般的)으로 IC를 손상(損傷)으로부터 보호(保護)하고 조립(組立)의 용이성(容易性)을 위해 플라스틱, 금속(金屬) 또는 세라믹 케이스에 패키징된다.

메모리 [ 편집(編輯) ]

컴퓨터 메모리(Computer Memory)는 읽을 수만 있는 과 읽고 쓸 수 있는 으로 나뉜다. 롬에는 주로(主로) 컴퓨터가 가장 기본적(基本的)인 작업(作業)을 수행(遂行)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곧 펌웨어 가 저장(貯藏)되어 있다. 컴퓨터 전원(電源)을 켜면, 컴퓨터는 롬에 저장(貯藏)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명령(命令)을 수행(遂行)한 뒤, 나머지 운영(運營) 체제(體制) 에 관련(關聯)된 프로그램을 다른 저장(貯藏) 매체(媒體)에서 메인 메모리로 올려 놓은 다음 실행(實行)한다.

또, 사용자(使用者)가 프로그램을 수행(遂行)할 때에도 운영(運營) 체제(體制) 는 프로그램을 에 올려서 명령(命令)을 수행(遂行)하며, 옛 결과물(結果物)을 잠깐 동안 램에 저장(貯藏)한다. 작업(作業)을 마치면 그 결과물(結果物)을 오랫동안 보관(保管)하기 위해 다시 외부(外部) 메모리에 저장(貯藏)한다.

중앙처리장치(中央處理裝置) [ 편집(編輯) ]

중앙(中央) 처리(處理) 장치(裝置) (CPU; Central Processing Unit, MPU; Microprocessor Unit)는 메인보드 안에 상주(常住)하며 메인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처리(處理)한다. 컴퓨터의 핵심(核心) 부품(部品)이라고 할 수 있다.

입출력(入出力) 장치(裝置) [ 편집(編輯) ]

입출력(入出力) 장치(裝置)(I/O Device Input & Output Device)는 입력(入力) 장치(裝置)와 출력(出力) 장치(裝置)로 나뉜다.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와 같은 컴퓨터에 어떤 데이터를 입력(入力)하게 해주는 장치(裝置)를 입력(入力) 장치(裝置)라고 하며 프린터, 모니터와 같이 컴퓨터에서 처리(處理)한 결과(結果)를 화면(畵面)이나 종이 같은 매체(媒體)로 출력(出力)하는 장치(裝置)를 출력(出力) 장치(裝置)라고 한다.

명령어(命令語)/함수(函數) [ 편집(編輯) ]

  • 원래(元來)는 0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機械語)만 인식(認識)한다.
  • 그러나 사람들은 코볼이나 C++등 여러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言語)들을 개발(開發)하여 기계어(機械語)로 번역(飜譯)하는 프로그램의 개발(開發)에 성공(成功)했다.

구조(救助) [ 편집(編輯) ]

내부(內部)에는 CPU와 RAM,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모뎀, HDD와 SSD, ODD 그리고 각종(各種) 부품(部品)이나 장치(裝置)들을 삽입(揷入)할 수 있는 슬롯이 내장(內藏)된 메인보드, 쿨링 용(龍) 팬 등(等)이 있다. 키보드와 마우스, 프린터, 모니터, 스피커가 시스템에 포함(包含)되며 바코드 인식기(認識機), OMR, OCR, MICR, 조이스틱, 헤드셋 등(等)을 추가(追加)할 수 있다.

운영(運營) 체제(體制) [ 편집(編輯) ]

운영(運營) 체제(體制) (OS; Operating System)란 원래(元來) 컴퓨터에서 일반적(一般的)으로 이루어지는 반복적(反復的)인 혹은(或은) 필요(必要)한 작동(作動)을 사람 대신(代身) 자동(自動)으로 해주기 위해 개발(開發)되었으며 보통(普通) 일반(一般) 프로그램이 돌아가기 위한 제반적(諸般的)인 것을 제어(制御)하거나 서비스를 제공(提供)하기 위해 존재(存在)한다.

주(主) 목적(目的)은 주변기기(周邊機器)와 프로그램 메모리, 그리고 사용자(使用者) 권리(權利)를 제어(制御)하고, 파일을 관리(管理)하는 것 등(等)이 기본(基本)이지만 기종(機種)에 따라 특별한 목적(目的)을 가진 프로그램을 같이 운영(運營)하기도 한다.

따라서 컴퓨터나 기종(機種)에 따라서 운영(運營) 체제(體制)가 다르며, 서로 운영(運營) 체제(體制)끼리 호환(互換)되지 않는 것이 보통(普通)이지만, 점점(漸漸) 발전(發展)하여 일부(一部) 기능(機能)은 서로 호환(互換)도 되게끔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 추세(趨勢)이다( 크로스 플랫폼 ).

범용(汎用) 운영(運營) 체제(體制)( 윈도우 , 유닉스 , 리눅스 등(等))와 특별(特別)한 운영(運營) 체제(體制)( 휴대(携帶) 전화(電話) , MP3 플레이어 등(等)의 전용(專用) 운영(運營) 체제(體制) 등(等))들이 있으며 요즘은 운영(運營) 체제(體制)에서 기본(基本) 서비스 밖에 별도(別途)의 프로그램 등(等)을 따로 설치(設置)하여 그 영역(領域)에 대(對)한 폭(幅)을 광범위(廣範圍)하게 넓혀 나가고 있다.

저장(貯藏) 매체(媒體) [ 편집(編輯) ]

컴퓨터 저장매체(貯藏媒體)는 초기(初期)에는 우리가 흔히 아는 '비디오 테이프'에 저장(貯藏)을 했다. 하지만 점차(漸次) 기술(技術)이 발전(發展)하며 HDD 하드디스크 라는 저장(貯藏) 매체(媒體)가 만들어지며 더 작은 크기에 더 많은 양(量)의 정보(情報)를 담을 수 있게 되었다. 최근(最近)에는 SSD 라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利用)한 저장(貯藏) 매체(媒體)도 나오고 있다. SSD 는 현재(現在) 대중화(大衆化)되어, 하드디스크 보다 빠른 속도(速度)로 각광(脚光)받고 있으며, 대표적(代表的)으로 64 GB , 128 GB , 256 GB , 512 GB 모델이 있다. 그리고 최근(最近)들어 1 TB 모델도 나오고 있는 추세(趨勢)이다.

응용(應用) 분야(分野) [ 편집(編輯) ]

초기(初期)의 디지털 컴퓨터는 군사용(軍事用)으로서 야포(野砲)의 탄도계산(彈道計算)을 위해 설계(設計)되었으며 [3] , 로켓, 미사일, 핵무기(核武器) 등(等)을 설계(設計)하는 데 쓰였다. 컴퓨터의 성능(性能)이 좋아질수록 단시간(短時間)에 처리(處理)할 수 있는 정보(情報)의 양(量)도 많아졌으며, 이로 인해 컴퓨터를 이용(利用)해 빠른 결과(結果)를 얻을 수 있는 분야(分野) 역시(亦是) 넓어졌다.

네트워크와 인터넷 [ 편집(編輯) ]

기원(起源) [ 편집(編輯) ]

1970년대(年代) 에 미국(美國) 전역(全域)의 연구소(硏究所)들에 있는 컴퓨터들이 통신(通信) 기술(技術)을 통해 연결(連結)되기 시작(始作)했다. 이 작업(作業)은 ARPA 의 후원(後援)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이 네트워크의 이름을 아파(牙婆)넷 (ARPANET)이라 명명하였다. 아파(牙婆)넷의 토대(土臺)가 된 기술(技術)은 꾸준히 발전(發展)하고, 학술기관(學術機關) 바깥으로 퍼져 나가서 인터넷 이라 알려지게 되었다. 존 게이지 (John Gage)와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빌 조이 (Bill Joy)는 이를 “네트워크가 곧 컴퓨터가 되었다”고 표현(表現)하였다.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의 발달(發達)로 운영(運營) 체제(體制) 와 응용(應用) 프로그램들이 개인용(個人用) 컴퓨터 바깥의 주변기기(周邊機器)와 같은 다른 자원(資源)에도 접근(接近)할 수 있도록 변화(變化)되었다. 초기(初期)에 이런 설비(設備)에 접근(接近)할 수 있는 사람들은 한정(限定)되어 있었으나, 1990년대(年代)에 전자우편(電子郵便) 월드 와이드 웹 등(等)의 확산(擴散)과 더불어 이더넷 (Ethernet)과 ADSL 같은 값싸고 빠른 네트워킹 기술(技術)이 개발(開發)되어 컴퓨터 네트워킹은 여러 나라에서 일상화(日常化)되었으며, 휴대통신(携帶通信) 기술(技術)과 결합(結合)하여 유비쿼터스 (Ubiquitous)라는 신조어(新造語)를 만들기도 했다.

보안과(保安課) 해킹 [ 편집(編輯) ]

컴퓨터를 통해 제작(製作)된 콘텐츠나 컴퓨터를 이용(利用)한 콘텐츠를, 나쁜 뜻을 품은 제(第) 3자(者)가 해당(該當) 콘텐츠의 취약점(脆弱點)을 찾아내어 자신(自身)의 이기적(利己的)인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하는 것(원(怨) 저자(著者)의 의도(意圖)하지 않은)을 크래킹이라고 하며 그것을 막는 행위(行爲)를 보안(保安)이라고 한다. 크래킹의 예(例)로, 네트워크의 보안(保安) 취약점(脆弱點)을 공격(攻擊)하거나, 일부(一部) 전문가(專門家)들의 단순(單純)한 자기(自己) 과시(誇示)를 위한 바이러스의 유포(流布) 등(等) 과거(過去)와는 달리, 현재(現在)에는 지워도 지워지지 않는 광고(廣告) 팝업 창(窓), 게임기(게임機)의 정품(正品) 소프트웨어 인식(認識) 장치(裝置)를 무력(無力)하게 하는 하드웨어, 키보드를 누를 때 생기는 전자파(電子波)를 이용(利用)하여 해당(該當) 컴퓨터에 접속(接續)하지 않고도 바깥에서 암호(暗號)를 알아내는 장치(裝置) 등(等) 소프트웨어적(的), 하드웨어적(的)으로 넓은 범위(範圍)로 확산(擴散)되어 가고 있다.

참고(參考)로 해킹 행위(行爲)가 불법(不法)인가 아닌가에 대(對)한 것은 나라마다 다르며, 2004년(年) 1월(月) 이탈리아의 법원(法院)에서 모드 칩이 플레이스테이션 개발사(開發社)인 소니의 독점(獨占)을 막고 플레이스테이션2의 활용성(活用性)을 더욱 높이려는 장치(裝置)라 정의(定義)하고 사용자(使用者)의 모드 칩 장착(裝着)은 합법(合法)이라고 규정(規定)한 바가 있다.

엔터테인먼트 [ 편집(編輯) ]

영화(映畫), 게임 등(等)에서 흥미(興味)를 위한 도구(道具)로 이용(利用)된다.

디자인 [ 편집(編輯) ]

비누곽, 컵 등(等)에서부터, 자동차(自動車), 비행기(飛行機), 건축물(建築物)에 이르기까지 실로(實로) 다양한 방면(方面)의 사물(事物)을 디자인하기 위해 이용(利用)된다.

시뮬레이션 [ 편집(編輯) ]

컴퓨터 성능(性能)의 발전(發展)과 함께 컴퓨터 그래픽스 (C.G.) 기술(技術)의 발전(發展)은 눈으로 확인(確認)하기 힘든 상황(狀況)들을 컴퓨터에서 가상(假想)으로 진행(進行)해 볼 수 있게 했다. 대표적(代表的)인 시뮬레이션 으로는 원자(原子)와 전자(電子)의 위상(位相), 기상(氣象) 변화(變化), 은하(銀河) 간(間) 충돌(衝突) 등(等)이 있으며, 실제로(實際로) 경험(經驗)하기엔 너무 위험(危險)하거나, 발생(發生) 확률(確率)이 극히(極히) 작아 경험(經驗)하기 힘든 상황(狀況)들이 주로(主로) 시뮬레이션 대상(對象)이 된다.

자연(自然) 과학(科學) 분야(分野) 중(中) 원자(原子), 전자(電子), 쿼크 등(等)으로 구성(構成)된 미립자계(微粒子界)에서의 미립자간(微粒子間) 충돌(衝突), 위상(位相)에 관(關)한 연구(硏究)에 주로(主로) 이용(利用)되었으며, 관측(觀測) 시간(時間) 단위(單位)가 매우 큰 지질상태(地質狀態) 변화(變化)를 적절(適切)한 시간(時間) 단위(單位)로 보여주거나, 항성(恒星), 은하(銀河), 블랙홀 등(等)으로 구성(構成)된 우주(宇宙) 공간(空間)의 변화(變化)를 적절(適切)한 화면(畵面) 크기로 보여주었다.

예술(藝術) [ 편집(編輯) ]

컴퓨터 작곡(作曲) [ 편집(編輯) ]

음악(音樂)을 작곡(作曲)하는 데 기계(機械)를 사용(使用)하려는 발상(發想)은 최근(最近)에 생겨난 것은 아니다. 이미 17세기(世紀) 런던 에 살던 사무엘 피프스 란 사람이 만든 작곡(作曲) 기계(機械)가 지금(只今)도 케임브리지 대학(大學) 에 남아 있다. 어쨌든 명령(命令)받은 대로 일을 하는 것은 컴퓨터에게 아주 쉬운 일이며, 작곡(作曲)에 관(關)한 원칙(原則)을 짜넣은 프로그램 이 개발(開發)되어 있다. 또 프로그램의 일부(一部)를 바꿔 줌으로써, 그 때마다 다른 작품(作品)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1955년(年) 에 처음으로 음악(音樂) 작곡(作曲)에 컴퓨터가 이용(利用)되었는데, 컴퓨터가 작곡(作曲)한 음악(音樂)은 인간(人間)이 작곡(作曲)한 음악(音樂)만큼 인기(人氣)가 없었다. 그것은 아마 컴퓨터가 인간(人間)의 예술적(藝術的) 재능(才能)을 흉내낼 수 없기 때문이거나, 아니면 좋은 음악(音樂)을 작곡(作曲)시킬 만큼 세련된 프로그램이 아직 개발(開發)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최근(最近)에는 컴퓨터를 이용(利用)한 작곡(作曲)이 급증(急增)하고 있고, 새로운 기법(技法)을 도입(導入)한 신세대(新世代) 음악가(音樂家)들에 의(依)해 다양한 모습이 선보이고 있다.

신시사이저 [ 편집(編輯) ]

신시사이저 는 연주용(演奏用) 키보드와 컴퓨터를 조합(組合)한 복잡(複雜)한 전자(電子) 장치(裝置)이다. 악음(樂音)(樂音)은 3개(個)의 서로 다른 상(上)(相)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는데, 기음상(基音相)(起音相)에서는 소리가 점점(漸漸) 강(强)해지며, 그 뒤 얼마 동안 거의 일정한 상태(狀態)로 머물다가 소음상(騷音上)(消音相)에서는 점점(漸漸) 작아져 간다. 이 3가지 상(賞)을 어떻게 거쳐가느냐 하는 것은 악기(樂器)에 따라 각각(各各) 특징(特徵)이 있으며, 이 점(點)이 각각(各各)의 악기(樂器)에 독자적(獨自的)인 음색(音色)을 주는 것이다. 신시사이저는 각각(各各)의 상(像)을 개별적(個別的)으로 조정(調整)하여, 여러 가지 악기(樂器)와 닮은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연주(演奏)는 키보드를 통해 이루어지며, 컴퓨터가 만들어 내는 음악(音樂)은 마치 연주자(演奏者)가 선택(選擇)한 악기(樂器)에서 울려오는 듯이 들린다.

컴퓨터와 상업미술(商業美術) [ 편집(編輯) ]

예술(藝術)이란 풍부(豐富)한 상상력(想像力)과 높은 기교(技巧)에 의(依)해서 새롭고 매력적(魅力的)인 것을 만들어 내는 과정(過程)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現在) 상업미술(商業美術)의 많은 분야(分野)에서는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작품(作品)이 만들어지고 있다. 예(例)를 들면 그래픽 디자이너는 작품(作品)의 안을 짤 때 컴퓨터를 이용(利用)하여 화면상(畵面上)에 러프 스케치를 그리고 색(色)을 칠(漆)하고 선(線)이나 문장(文章)을 자유로이 바꿀 수가 있다. 디자이너는 작업(作業)하는 동안 여러 가지 요소(要素)를 변화시켜, 필요(必要)하다면 그림 자체(自體)도 얼마든지 변경(變更)시켜 나간다. 만족스러운 것이 완성(完成)되었을 때, 혹은(或은) 작성(作成) 도중(途中)이라도 화면상(畵面上)의 작품(作品)을 인쇄(印刷)할 수가 있다. 이 경우(境遇) 별도(別途)의 프로그램에 의(依)해, 화상(火傷)을 이루고 있는 수치(數値)의 정보(情報)를 컬러 작도기(作圖器)를 움직이는 데 필요(必要)한 지령(指令)으로 변환(變換)시킨다. 옷감 디자이너도 이와 마찬가지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실제로(實際로) 옷감을 짜지 않고도 어떠한 무늬의 옷감이 될 것인가를 수요자(需要者)에게 보여 줄 수 있다. 수요자(需要者)가 그 무늬에 만족(滿足)하면, 컴퓨터는 방직기(紡織機)를 작동(作動)시키는 데 필요(必要)한 일련(一連)의 명령(命令)을 하고 자동적(自動的)으로 그 무늬의 옷감을 짜낸다.

컴퓨터와 설계(設計) 디자인 [ 편집(編輯) ]

기술자(技術者)는 상상력(想像力)을 구사(驅使)하여 목표(目標)했던 기능(機能)을 발휘(發揮)하는, 새롭고 매력(魅力) 있는 장치(裝置)나 기계(機械)를 만들어 내기 위해 계산(計算), 대체안(代替案)의 검토(檢討), 해(解)의 분석(分析)과 제시(提示) 등(等)을 필요(必要)로 한다. 컴퓨터 원용(援用) 설계(設計)(CAD)는 이러한 작업(作業)의 모든 측면(側面)에서 기술자(技術者)를 돕는다. CAD 프로그램은 흔히 마우스를 써서 설계(設計) 내용(內容)을 컴퓨터에 입력(入力)한다. 프로그램은 설계자(設計者)의 명령(命令)을 숫자(數字)로 변환(變換)하고 처리(處理)하여, 화면(畵面)에 그 물건(物件)의 형태(形態)를 나타낸다. 물론(勿論) 3차원(次元)의 입체적(立體的) 화상(火傷)으로서 표시(表示)하는 프로그램도 개발(開發)되어 있다. 이 화상(畫像)은 원(願)하는 대로 그 모양(模樣)이나 기능(機能)에 의(依)해서 명확(明確)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 부분(部分)에서 목표(目標)에 이르면, 다음에는 실제로(實際로) 제작(製作)하기 위한 상세(詳細)한 도면(圖面)과 부품목록(部品目錄)을 만들게 된다. 여기에는 2차원(次元)의 프로그램을 쓰며, 데이터는 3차원(次元) 프로그램으로부터 입력(入力)하든가 설계자(設計者)가 직접(直接) 입력(入力)한다. 많은 사업(事業)에서 제도판(製圖板)은 컴퓨터 원용(援用) 프로그램과 데스크톱 컴퓨터로 인해 완전히(完全히) 밀려나고 말았다. 화면상(畵面上)에서 도면(圖面)이 완성(完成)되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使用)하여, 도면(圖面)의 수치(數値)에 의(依)한 표현(表現)을 프린터를 작동(作動)시키기 위한 지령(指令)으로 변환(變換)한다. 부품(部品)을 해석(解釋)하고, 그 기능(機能)을 에측(豫測)하기 위해서는 별도(別途)의 프로그램을 사용(使用)하는데, 구조물(構造物)에 하중(荷重)이 가(加)해졌을 때의 변화(變化)를 계산(計算)하는 것 등(等)이 그 예(例)이다. 또 부품(部品) 내부(內部)의 열(熱)이나 전류(電流)의 흐름을 그림으로 나타내거나, 부품(部品)을 만드는 데 필요(必要)한 비용(費用)을 계산(計算)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여러 가지 CAD 시스템을 제조(製造) 기계(機械)와 결합(結合)시켜, 설계(設計)에서 제조(製造)까지 일관(一貫)된 공정(工程)을 형성(形成)할 수도 있다. 이 방식(方式)을 도입(導入)하는 데는 높은 비용(費用)과 복잡(複雜)한 과정(過程)이 필요(必要)하기 때문에 별로 채택(採擇)되지 않지만, 기업(企業)으로서 성공(成功)하기 위해 이 방식(方式)이 필요(必要)한 산업(産業)도 있다. 그 좋은 예(例)가 자동차(自動車) 산업(産業)이다. 디자이너가 아이디어를 스케치하면 그로부터 상세(詳細)한 도면(圖面)이 만들어진다. 컴퓨터에서는 이미 사용(使用)되고 있는 부품(部品)·제조(製造)·가공(加工)·기계(機械)에 대(對)한 지식(知識)을 이용(利用)하여 그 제품(製品)을 만드는 데 필요(必要)한 작업(作業) 프로그램을 만든다. 각각(各各)의 부품(部品)을 만드는 제조(製造)·가공(加工) 기계(機械)의 준비(準備)가 완료(完了)되면, 필요(必要)한 일련(一連)의 명령(命令)이 기계(機械)에 직접(直接) 전달(傳達)된다. 그리고 모든 부품(部品)이 갖추어지면, 컴퓨터는 그 사실(事實)을 기술자(技術者)에게 알리고 기술자(技術者)는 조립(組立) 작업(作業)을 개시(開始)한다. 예전 같으면 완벽(完璧)한 시제품(試製品)이 만들어질 때까지 몇 번(番)이고 시제품(試製品)을 만들어 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깨뜨려 버리는 작업(作業)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컴퓨터 원용(援用) 기술(技術)을 이용(利用)하면, 시제품(試製品)의 수(數)를 줄이고 제품(製品) 개발(開發) 비용(費用)을 낮출 수가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 [ 편집(編輯) ]

컴퓨터를 사용(使用)하면 실험(實驗)을 통해 얻어진 측정치(測定値)를 그림의 형태(形態)로 바꾸어 표시(標示)할 수가 있다. 이렇게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이 길다란 수치(數値)의 나열(羅列)보다 훨씬 이해(理解)하기 쉬운데, 이것도 컴퓨터 그래픽스의 하나이다. 예(例)를 들면, 각(各) 지방(地方)의 강우량(降雨量)이나 환자(患者)의 몸 각(各) 부분(部分)을 통과(通過)한 X선(線)의 강도(强盜) 등(等)이 하나의 지도(地圖)로 표시(標示)된다. 컴퓨터 그래픽스를 이용(利用)하여 측정치(測定値)를 표시(標示)할 경우(境遇), 같은 값은 같은 색(色)으로 나타나며, 색깔(色깔)로서 값의 차이(差異)를 표현(表現)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정값(測定값)을 여러 색(色)의 화상(畫像)으로 표현(表現)함으로써, 실제로(實際로)는 눈에 보이지 않은 대상(對象)에 대(對)해, 경우(境遇)에 따라서는 그 움직임에까지 직관적(直觀的)인 이미지를 줄 수가 있다.

인공위성(人工衛星)과 컴퓨터 그래픽스 [ 편집(編輯) ]

컴퓨터 그래픽스는 '랜드새트'와 같은 원격탐사(遠隔探査) 위성(衛星)에서 촬영(撮影)하여 보내온 지구(地球)의 모습을 나타내는 데도 이용(利用)된다. 이 인공위성(人工衛星)은 여러 가지 파장(波長)의 빛을 사용(使用)하여 지구(地球)를 탐사(探査)하고, 지구(地球)로부터의 반사광(反射光)의 강도(强度)를 전자적(電子的)으로 기록(記錄)하여 신호(信號)로써 보내오는데, 컴퓨터는 이 신호(信號)를 처리(處理)하여 채색(彩色) 화상(火傷)을 만든다. 보통(普通)의 사진(寫眞)에서는 촬영(撮影)할 수 없는 것을 화상(畫像)으로 만들 때에도 컴퓨터 그래픽스를 사용(使用)할 수가 있다. 예(例)를 들면, 항성으로부터 오는 보이지 않는 전파(電波)의 강도(强度)를 측정(測定)하여 그 결과(結果)를 나타내거나, 레이다에 의(依)한 비행기(飛行機)의 탐지(探知), 일기(日記) 개황도(槪況度) 화면(畵面)에 표시(標示)할 수 있다. 또한 수중(水中) 탐사(探査)의 음파(音波) 분석(分析)에도 컴퓨터를 사용(使用)한다. 물 위에 떠 있는 배로부터 아래를 향(向)해 내보낸 음파(音波)의 반향(反響)의 강도(强度)를 측정(測定)하고, 그 결과(結果)를 해저지도(海底指導)로 표시(標示)한다. 이 방법(方法)으로 침몰(沈沒)한 배를 발견(發見)할 수도 있는데, 실제로(實際로) 침몰(沈沒)한 타이타닉호를 발견(發見)하는 데에도 활용(活用)되었다.

의학(醫學)에서의 응용(應用) [ 편집(編輯) ]

병원(病院)에서는 환자(患者) 몸의 내부(內部) 영상(映像)을 얻기 위해 컴퓨터에 의(依)한 화상(火傷) 기술(技術)을 폭넓게 이용(利用)하고 있다. 어머니 태내(胎內)에 있는 태아(胎兒)의 화상(火傷)도 초음파(超音波)와 컴퓨터를 이용(利用)하여 얻어진다. 의사(醫師)는 그로써 태아(胎兒)가 정상(正常)으로 자라고 있는가를 진단(診斷)할 수 있다. 인체(人體)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화학(化學) 물질(物質)은 전자파(電磁波)를 이용(利用)한 핵자기공명(核磁氣共鳴) 영상법(映像法)(核磁氣共鳴映像法:NMRI)을 써서 조사(調査)할 수가 있다. 환자(患者)는 긴 원통(圓筒) 모양(模樣)의 자석(磁石) 속에 눕는다. 자장(磁場) 속에서 원(願)하는 각각(各各) 특정(特定) 주파수(周波數)의 전자파(電磁波)를 흡수(吸收)하므로, 몸 안에 있는 각각(各各)의 원자(原子)의 농도(濃度)를 측정(測定)할 수가 있으며, 그 데이터를 컴퓨터를 이용(利用)하여 화상(畫像)으로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효과적(效果的)인 영상법(映像法)은 CT스캐너이다. CT스캐너는 X선원(船員)으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발사(發射)한 X선(船)을 환자(患者) 몸 안에 통과시킨 뒤 측정(測定)한다. X선원(船員)을 회전시킴으로써 인체(人體)의 단면(斷面)을 여러 각도(角度)에서 볼 수가 있으며, 컴퓨터는 이것을 통해 완전(完全)한 화상(火傷)을 만들어 낸다.

텔레비전 방송(放送) [ 편집(編輯) ]

텔레비전 방송(放送)에서도 컴퓨터는 중요(重要)한 역할(役割)을 맡고 있다. 최근(最近)의 텔레비전 방송(放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컴퓨터 그래픽이 있다. 컴퓨터 그래픽은 여러 가지 수치(數値) 자료(資料)를 그림과 도표(圖表)를 바꾸어 표시(表示)하는 것으로, 점(點)·선(善)·원(元)·타원(楕圓)·문자(文字) 등(等)을 표시(表示)하며 그림과 도표(圖表), 문자(文字) 등(等)을 크게 확대(擴大), 축소(縮小)할 수 있다. 또한 위치(位置)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화면(畵面)과 겹쳐서 문자(文字), 그림, 도표(圖表) 등(等)을 나타낼 수 있고, 물체(物體)의 입체적(立體的)인 모습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글자(글字), 그림, 도표(圖表) 등(等)의 색깔(色깔)을 자유(自由)롭게 변환(變換)시킬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기능(機能)이 있어 시청자(視聽者)에게 보다 재미있고 알기 쉬운 그림과 도표(圖表)를 보여주고 있다.

컴퓨터 직종(職種)과 학문분야(學問分野) [ 편집(編輯) ]

현대(現代) 사회(社會)에서 많은 직업군(職業群)이 컴퓨터를 사용(使用)한다. 컴퓨터에 대(對)한 연구(硏究), 프로그래밍, 활용(活用) 기술(技術)을 전문(專門)으로 하는 직종(職種)과 학과(學科)는 꾸준히 발전(發展)해왔다. 각(各) 직종(職種)에 대(對)한 전문(專門) 용어(用語)들은 계속(繼續) 바뀌고 새로운 분야(分野)가 생겨나고 있다. 주요(主要)한 학문(學問) 분야(分野)는 다음과 같다:

  • 컴퓨터 과학(科學) 은 효율적(效率的)인 알고리즘 을 개발(開發)하는 등(等), 연산(演算)에 관련(關聯)된 과정(過程)을 연구(硏究)하는 학문(學問)이다. 전산학(電算學)은 컴퓨터를 사용(使用)함으로써 문제(問題)들을 해결(解決)할 수 있는지, 어떻게 효과적(效果的)으로 문제(問題)를 풀 수 있는지에 대(對)한 답(答)을 찾는다. 새로운 컴퓨터를 어떻게 디자인할까 연구(硏究)하기도 한다.
  • 소프트웨어 공학(工學) 은 믿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開發)하며, 개발(開發)에 드는 시간(時間)과 비용(費用)을 계산(計算)하고 줄이는 방법(方法)을 연구(硏究)하여 실행(實行)한다.
  • 정보(情報) 시스템 은 사업체(事業體)를 비롯한 다양한 조직(組織) 환경(環境)에서 컴퓨터 시스템 활용(活用)에 초점(焦點)을 맞춘다.
  • 다른 분야(分野)와 컴퓨터를 잇는 학문(學問) 분야(分野)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한 가지 예(例)로 컴퓨터 기술(技術)을 응용(應用)해 지리(地理) 정보(情報)에 관(關)한 문제(問題)를 처리(處理)하는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專門家)를 들 수 있다.

컴퓨터의 부품(部品) [ 편집(編輯) ]

본체(本體)
외부기기(外部機器)

보존(保存) 및 소장(所長) [ 편집(編輯) ]

컴퓨터는 되게 오래 사용(使用)하지는 않는다. 컴퓨터는 역사적(歷史的)인 가치(價値)나 공(功)을 들인 컴퓨터 등(等)이 보존(保存)되고 또한 보기 힘든 아날로그 방식(方式)의 컴퓨터가 자주 보존(保存)된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대부분(大部分) 금성사(현(現) LG전자(電子) )의 패미콤 마이티 아니면 삼성전자(三星電子) 의 SPC-1000등(等) 구형(求刑) 아날로그 컴퓨터 등(等)이 보존처리(保存處理)되고 소장자(所長者)도 기업역사관(企業歷史觀) 아니면 박물관(博物館) 등(等)이 해당(該當)된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fr) La Machine d’arithmetique, Blaise Pascal , 위키문헌(文獻)
  2. 안정(安定)된 태양광(太陽光) 전력(電力) 12v이하(以下)
  3. 에니악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