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철원군(鐵原郡)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철원군(鐵原郡)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1932년(年)~1945년(年)의 철원군(鐵原郡). 녹색선(綠色善)이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이고 청색(靑色)으로 표시(標示)된 3개면(個面)은 삭녕군(軍)에서 편입(編入)된 지역(地域)이다.

철원군(鐵原郡) (鐵原郡)은 강원도(江原道) 북서부(北西部)에 위치(位置)한 군(軍) 이다. 한반도(韓半島) 의 중앙부(中央部)에 위치(位置)해 예부터 중시(重視)되었던 곳으로 궁예(弓裔) 가 세운 태봉(泰封) 이 한때 수도(首都)로 삼았던 곳이다.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강원도(江原道) 서북부(西北部)를 아우르는 중심지(中心地)로 발전(發展)하였으며,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에는 철도(鐵道)( 경원선(京元線) )와 도로(道路)가 교차(交叉)하는 교통(交通)의 요지(要地)로 성장(成長)하였다.

철원군(鐵原郡) 전(全) 지역(地域)이 38선(線) 이북(以北)에 위치(位置)하여 광복(光復) 직후(直後)( 1945년(年) 9월(月) 2일(日) ) 소련군정(蘇聯軍政) 의 관할(管轄) 아래 들어갔고, 한국(韓國) 전쟁(戰爭) 중(中)에는 철(鐵)의 삼각지대(三角地帶) 의 격전지(激戰地)여서 이 지역(地域)을 가로질러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이 설정(設定)되어 군역(軍役)(郡域)이(李) 남북(南北)으로 분단(分斷)되었다. 현재(現在) 철원군(鐵原郡)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쪽(兩쪽) 모두 설치(設置)하고 있는 행정구역(行政區域)이다.

분단(分斷) 이후(以後) [ 편집(編輯) ]

철원군도(鐵原郡度) 고성군(固城郡) 과 마찬가지로 남북(南北)으로 분단(分斷) 된 군(郡)이다.그중에서도 분단(分斷)되어있는 읍(邑) 이나 면(面) 을 예시(例示)로 들자면 철원군(鐵原郡)에서는 김화읍 이(李) 대표적(代表的)이다.기존의 김화읍은 일부(一部)가 북한(北韓) 의 강원도(江原道)(북측(北側)) 김화군(金化郡)이 되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의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1914년(年)의 행정구역(行政區域) [5] 과 현재(現在)의 행정구역(行政區域) 비교(比較)
1914년(年) 현재(現在)
면(面) 리(리) 읍(邑)·면(麵) 리(리)
어운동면
(於雲洞面)
강산리 일부(一部), 중강리 일부(一部) 철원군(鐵原郡) 강산리, 중강리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일부(一部), 중강리 일부(一部) 철원군(鐵原郡)
동송읍
이길리, 양지리, 하갈리, 강산리, 중강리
동송면
(東松面)
[6]
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墺地利), 상노리 관우리, 대위리, 오덕리, 장흥리, 이평리, 오지리(墺地利), 상노리
갈말면
(葛末面)
상사리(上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일부(一部), 토성리 일부(一部), 문혜리, 군탄리 일부(一部), 군탄리 일부(一部), 지포리 일부(一部), 지포리 일부(一部) 철원군(鐵原郡)
갈말읍
상사리(上사리), 동막리, 내대리, 토성리, 문혜리, 군탄리, 신철원리(리), 지포리, 강포리
북면(北面)
(北面)
홍원리 일부(一部), 유정리 일부(一部) 철원군(鐵原郡)
철원읍
홍원리, 유정리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일부(一部), 홍원리 일부(一部) 철원군(鐵原郡) 보막리, 룡학리, 외학리, 회산리, 유정리, 삼사리
묘장면(墓場面) [7]
(畝長面)
산명리(山名利) 일부(一部), 가단리(街單利) 일부(一部) 독검리 일부(一部)? ,삼사리 일부(一部)?
대마리, 중세리(中世리), 산명리(山名利) 일부(一部), 가단리(街單利) 일부(一部) 철원군(鐵原郡)
철원읍
대마리, 중세리(中世리), 산명리(山名利), 가단리(街單利)
서변(西邊)면
(西邊面)
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社料理),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관전리, 내포리, 외촌리, 사요리(社料理), 율이리, 중리, 월하리, 화지리
내문면
(乃文面)
독검리 일부(一部) 독검리
마방리, 내문리, 창동리, 반석리, 독검리 일부(一部), 오동리 철원군(鐵原郡) 마방리, 내문리, 오동리, 반석리, 독검리
마장면(마장麵)
(馬場面)
밀암리, 립석리, 왕피리, 장포리, 남원리, 대전리 밀암리, 립석리, 신진리(神眞理), 마장리, 남원리, 대전리
인목면
(寅目面)
검사리, 신현리 일부(一部), 승양리(勝良吏), 갈현리 일부(一部), 덕산리 일부(一部), 도밀리 일부(一部) 검사리, 송현리, 가승리, 갈현리, 도밀리
신현리 일부(一部), 갈현리 일부(一部), 덕산리 대부분(大部分), 도밀리 일부(一部) 연천군(漣川郡)
신서면
신현리, 갈현리, 덕산리, 도밀리
신서면
(新西面)
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 답곡리, 도신리, 대광리, 내산리, 마전리
   현(現) 대한민국(大韓民國) 관할(管轄)
   현(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管轄)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철원군(鐵原郡)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이다. 4읍(邑) 7면(面)(그 중(中) 1읍(邑) 7면(面)은 김화군(金化郡) 에서 편입(編入))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이북(以北)5도위원회(道委員會) 에서는 어운면, 묘장면(墓場面), 북면(北面), 인목면, 내문면, 마장면(마장麵)의 명예면장(名譽面長)을 임명하고 있다. [8] 광복(光復) 당시(當時) 면적(面積)은 841km 2 , 군청(郡廳) 소재지(所在地)는 철원읍 사요리(社料理)였다.(현재 철원군청(鐵圓郡廳) 소재지(所在地)는 갈말읍 신철원리(리)) 이북(以北)5도위원회(道委員會)에서 임명하는 6개(個) 면(面)이 관할(管轄)하는 리(리)(里)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면사무소(面事務所) 소재지(所在地)는 굵게 표기(表記))

면(面) 리의 수(數) 리(리)(里) 비고(備考)
어운면(於雲面) 5 하갈 (下葛) 양지(陽地)(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江山) 중강(中講)(中江)
동송읍 에 편입(編入)
전(全) 지역(地域) 수복(收復)
묘장면(墓場面)(畝長面) 4 중세(中世) (中細) 대마(大麻)(大馬) 가단(可鍛)(加丹)
산명(山名)(山明)
철원읍 에 편입(編入)
전(全) 지역(地域) 수복(收復)
북면(北面)(北面) 6 회산(會散) (回山) 유정(惟政)(楡井) 홍원(弘遠)(洪元)
외학(外學)(外鶴) 보막(步幕)(洑幕) 용학(龍鶴)
유정(惟政)·홍원리
철원읍 에 편입(編入)
내문면(乃文面) 6 창동(倉洞) (倉洞) 독검(毒檢)(篤儉) 오동(梧桐)(梧桐)
반석(盤石)(班石) 내문(內門)(乃文) 마방(馬房)(馬放)
독검리
철원읍 에 편입(編入)
마장면(마장麵)(馬場面) 6 장포(菖蒲) (長浦) 남원(南原)(南院) 대전(大戰)(大田)
왕(王)피(往避) 입석(立席)(立石) 밀암(密巖)(密巖)
전(全) 지역(地域) 미수복(美收復)
인목면(寅目面) 6 도(度)밀 (道密) 덕산(德山)(德山) 갈현(葛峴)(葛峴)
신현(薪峴) 승양(升揚)(承陽) 검사(檢事)(檢寺)
도(度)밀·덕산(德山)·갈현(葛峴)·신현리
연천군(漣川郡) 신서면 에 편입(編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원군(鐵原郡) [ 편집(編輯)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江原道) 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이다. 1읍(邑) 36리(里)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군(君)의 남쪽(南쪽)은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을 경계(境界)로 대한민국(大韓民國)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철원군(鐵原郡) 경기도(京畿道) 연천군(漣川郡) 에 접(接)해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출신(出身)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칙령(勅令) 제(第)98호(號)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年) 음력(陰曆) 5월(月) 26일(日))
  2. 칙령(勅令) 제(第)36호(號)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年) 8월(月) 4일(日))
  3.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111호(號) ( 1913년(年) 12월(月) 29일(日) )
  4. 1946년(年) 9월(月) 5일자(日子) 원산시 안변군(安邊郡) 문천군(文川郡)을 강원도(江原道)로 편입(編入)하는 결정서(決定書)(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亞細亞問題硏究所) 출판(出版) 북한연구자료(北韓硏究資料)집 북한법령연혁(北韓法令沿革)집 제(第)1편(篇) 헌법정권조직(憲法政權組織) 및 지방행정(地方行政) 93페이지에 인용(認容) 수록)에 따르면, '강원도(江原道) 인민위원회(人民委員會), 강원도재판소(江原道裁判所), 강원도검(江原道檢)(江原道檢) 소재지(所在地)를 철원시(鐵原市)에서 원산시로 옮긴다.'고 나와 있다.
  5. (신구대조(新舊大棗)) 조선(朝鮮) 전도부군면리동(顚倒夫君面理洞) 명칭(名稱) 일람(一覽) ( 1917년(年) )
  6. 동송면은 동변면(童便面)(東邊面)과 송내면(松內面)의 합면(合面)이다.
  7. 畝가 '무(無)'로도 읽히는 관계(關係)로 무장면(武裝面)으로 쓰이기도 한다. 현재(現在)의 대마리에 소재(所在)한 묘장초등학교(初等學校)에서 이 지역(地域)의 역사(歷史)를 알 수 있다.
  8. 이북(以北)5도위원회(道委員會) - 미수복강원도(美收復江原道) 철원군(鐵原郡) 조직(組織)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참고자료(參考資料)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