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천상병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천상병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천상병
千祥炳
작가(作家) 정보(情報)
출생(出生) 1930년(年) 1월(月) 29일(日) ( 1930-01-29 )
일본(日本) 제국(帝國) 효고현 히메지시(視)
사망(死亡) 1993년(年) 4월(月) 28일(日) ( 1993-04-28 ) (63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직업(職業) 시인(是認) , 문학(文學) 평론가(評論家) , 아동문학가(兒童文學家)
학력(學歷)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경제학과(經濟學科) 중퇴(中退)
종교(宗敎) 천주교(天主敎) (세례명(洗禮名) : 시몬)
필명(筆名) 아호(雅號): 심온(深穩)(深溫)
장르 시문학(詩文學), 수필(隨筆), 평론(評論), 동화(童話)
배우자(配偶者) 목순옥
자녀(子女) 없음

천상병 (千祥炳, 1930년(年) 1월(月) 29일(日) ~ 1993년(年) 4월(月) 28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시인(詩人), 문학평론가(文學評論家)이다. 호(號)는 심온(深穩)(深溫), 본관(本貫)은 영양(營養)(潁陽)이다. 일본(日本) 효고현 (兵庫縣) 히메지 (姬路)에서 출생(出生)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일본(日本) 효고 현(現) 고베에서 잠시(暫時) 유아기(幼兒期)를 보낸 적이 있는 그의 원적지(原籍地)는 대한민국(大韓民國) 경상남도(慶尙南道) 마산(馬山) 이다. 종교(宗敎)는 천주교(天主敎) 이며, 소풍(逍風) 온 속세(俗世)를 떠나 하늘 고향(故鄕)으로 돌아간다는 내용(內容)을 담은 시(詩) 《 귀천(歸天) 》으로 유명(有名)하다. 1967년(年) 불행(不幸)히도 동백림 사건(事件) 에 연루(連累)되어 심(甚)한 옥고(獄苦)와 고문(拷問) 을 겪었으며, 1993년(年) 지병(持病)인 간경화(肝硬化) 로 인해 타계(他界)하였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일본(日本) 효고현 히메지 에서 한국인(韓國人) 부모(父母)에게서 출생(出生)했으며, 8.15 광복(光復) 후(後) 부모(父母)를 따라 귀국(歸國)하였다. 1949년(年) 마산중학교 5학년(學年) 때, 《죽순(竹筍)(竹筍)》 11집에 시(詩) 《공상(空想)(空想)》 외(外) 1편(篇)을 발표(發表)했으며, 여러 문예지(文藝誌)에 시(詩)와 평론(評論) 등(等)을 발표(發表)했다. 1951년(年)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상과대학(商科大學) 경제학과(經濟學科)에 입학(入學)해 다니다가 중퇴(中退)했으며, 중앙정보부(中央情報部) 에 의(依)해 과장(誇張)된 사건(事件)으로 판명(判明)된 소위(所謂) ' 동백림 사건(事件) '( 1967년(年) )에 연루(連累)되어 6개월간(個月間) 옥고(獄苦)를 치렀다. 친구(親舊) 강빈구에게 막걸리 값으로 5백(百)원,1천(千)원씩 받아 썼던 돈은 공작금(工作金)으로 과장(誇張)되었으며, 천상병(千祥炳) 시인(詩人) 자신(自身)도 전기(電氣) 고문(拷問) 으로 몸과 정신(精神)이 멍들었다. 그때의 처참(悽慘)한 수난(受難)을 천시인(千詩人)은 이렇게 말한다.

"이젠 몇 년(年)이었는가/아이론 밑 와이셔츠같이/(고문)당한 그날은...//이젠 몇 년(年)이었는가/무서운 집 뒷창가(窓가)에 여름 곤충(昆蟲) 한 마리/땀 흘리는 나에게 악수(握手)를 청(請)한 그날은.../네 사과(謝過) 뼈는 알고 있다./진실과 고통(苦痛)/그 어느 쪽이 강자(强者)인가를..."

이후(以後) 천시인(千詩人)은 여러 일화(逸話)들을 남기는데, 1970년(年) 에는 무연고자(無緣故者)로 오해(誤解)받아 서울시립정신병원에 수용(收容)되는 일도 있었다. 당시(當時) 지인(知人)들은 갑자기 사라진 천시인(千詩人)이 죽었다고 생각, 유고시집(遺稿詩集) 《 》를 발표(發表)하였다.

당시(當時) 시집내용(詩集內容)의 일부(一部)는 다음과 같다.

"외롭게 살다 외롭게 죽을/내 영혼(靈魂)의 빈터에/새날이 와 새가 울고 꽃잎 필 때는,/내가 죽는 날/그 다음날.//산다는 것과/아름다운 것과/사랑한다는 것과의(果毅)노래가/한창인 때에/나는 도랑과 나뭇가지에 앉은/한 마리 새.//살아서/좋은 일도 있었다고/나쁜 일도 있었다고/그렇게 우는 한 마리 새"(새)

1972년(年) 친구(親舊)의 여동생(女同生)인 목순옥 여사(女史)와 결혼(結婚)한 천상병(千祥炳) 시인(詩人)은 1979년(年) 시집(詩集) 《 주막(酒幕)에서 》를 민음사에서 펴냈고, 《 천상병(千祥炳)은 천상(天上) 시인(詩人)이다 》( 1984년(年) ), 《 저승가는 데도 여비(旅費)가 든다면 》( 1987년(年) ), 시집(詩集) 《 요놈! 요놈! 요 이쁜 놈! 》(1991년(年)), 동화집(童話集) 《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 》"(1993년(年))도 발표(發表)하였다. 천시인(千詩人)은 하느님 에 대(對)한 소박(素朴)하고 순수(純粹)한 기독교(基督敎) 적 신앙(信仰)을 보여주는 작품활동도(作品活動度) 하였다.

"하느님은 어찌 생겼을까?/대우주의 정기(精氣)(精氣)가 모여서/되신 분이 아니실까싶다.//대우주는 넓다./너무나 크다.//그 큰 우주(宇宙)의 정기(精氣)가 결합(結合)하여/우리 하느님이/되신 것이 아니옵니까?"(하느님은 어찌 생겼을까)

천상병(千祥炳)은 개종(改宗)을 하지는 않았다. 천주교(天主敎) 명동성당(明洞聖堂) 을 다니다가 81년(年)부터 개신교(改新敎)( 장로교(長老敎) ) 연동교회(敎會) 로 나갔다.

"나는 지금(只今)까지 약(約) 30년(年)동안은/명동 천주성당(天主聖堂)에 다녔는데/ 그러니까 어엿한 천주교신도(天主敎信徒)인데도/81년부터는/기독교 연동교회로 나갑니다./주임목사 김형태 목사(牧師)님도/대단히 훌륭하신 목사(牧師)님으로/ 그리고 기독교방송(基督敎放送)에서/그동안 두번(番) 설교(說敎)를 하셔서/나는 드디어 그분의 연동교회엘/나갈 것을 결심(決心)하고 나갑니다./교회당 구조(構造)도 아주 교회당(敎會堂)답고/조용하고 아늑하여 기뻐집니다./아내는 미리 연동교회였으나/그동안 가톨릭에 구애(拘礙)되어 나 혼자/명동(鳴動) 천주성당(天主聖堂)에 나갔었으나/그런데 81년(年)부터는 다릅니다./한번밖에 안 나갔어도 그렇게 좋으니/이제는 연동교회에만 나가겠습니다./물론 개종(改宗)은 않고 말입니다./배신자라는 말 듣기는 아주 싫습니다."(연동교회)

1993년(年) 4월(月) 28일(日) 지병(持病)인 간경화증(肝硬化症) 으로 의정부시(議政府市) 장암동 자택(自宅)에서 타계(他界)했고, 의정부(議政府) 공원묘지(公園墓地)에 안장(安葬)되었다. 이후(以後) 유고시집(詩集)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천상병(千祥炳) 전집(全集)》이(李) 발표(發表)되었다. 2007년(年) 5월(月) 1일(日) 에는 제(第) 4회(回) 천상병 예술제(藝術祭)가 천상병이 죽을 때까지 10여(餘) 년(年) 간(間) 거주(居住)한 의정부시(議政府市) 에서 열리기도 했다. [1]

작품(作品) 목록(目錄) [ 편집(編輯) ]

  • <덕수궁(德壽宮)의 오후(午後)>
  • <어둔 밤에>
  • 《새》
  • <장마>
  • <간(間) 봄>
  • <귀천>
  • 《주막(酒幕)에서》
  • 《저승 가는데도 여비(旅費)가 든다면》

[2]

드라마화(化) [ 편집(編輯) ]

  • 94년(年) KBS 1TV 인간극장(人間劇場) 에서 천상병(千祥炳) 시인(詩人)의 삶을 다룬 <귀천>이 성탄절(聖誕節) 특집(特輯) 2부작(部作)으로 방영(放映)됐는데 연극배우(演劇俳優) 출신(出身) 故 정진(精進) 이 드라마의 주인공(主人公)이었던 천상병, 故 김자옥 이(二) 천(千) 시인(詩人)의 아내이면서 극(劇)의 화자(話者)인 목순옥 역(役)을 맡았다 [3] .
  • 2004년(年) 에 방송(放送)된 KBS 1TV 이것이 인생(人生)이다 의 재연극(再演劇)에 강태기 역(役)을 맡은 주인공(主人公)이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가족(家族) 관계(關係) [ 편집(編輯) ]

  • 배우자(配偶者) : 목순옥(1935년(年) ~ 2010년(年) 8월(月) 26일(日))
    • 슬하(膝下) 없음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경인일보 제(第)4회(回) 천상병 예술제(藝術祭)
  2. “한국현대문학대사전(韓國現代文學大辭典) - krpia” . 2021년(年) 4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연합(聯合) (1994년(年) 12월(月) 17일(日)). “<방송(放送)> K-1TV <인간극장(人間劇場)-歸天> 천상병시인(千祥炳時人) 삶 그려”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5년(年) 11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