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천사(天使)의 선택(選擇) (1989년(年)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천사(天使)의 선택(選擇) (1989년(年)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천사(天使)의 선택(選擇)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MBC
방송(放送) 기간(期間) 1989년(年) 9월(月) 18일(日) ~ 1989년(年) 10월(月) 10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월(月)·화요일(火曜日) 밤 9시(時) 50분(分) ~ 10시(時) 50분(分)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방송(放送) 횟수(回數) 8부작(部作)
원작(原作)
A.J. 크로닌의
  • 소설(小說)
  • 《성채(城砦)》
연출(演出) 황인뢰
각본(脚本) 주찬옥
출연자(出演者) 문성근 , 진영미 , 신애라 , 정동환 외(外)

천사(天使)의 선택(選擇) 》은 1989년(年) 9월(月) 18일(日) 부터 1989년(年) 10월(月) 10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문화방송 월화(月火) 미니시리즈 이다. [1] 스코틀랜드 AJ 크로닌의 소설(小說) 《성채(城砦)》를 극화(劇化)한 것이다. [2]

다수(多數)의 시청자(視聽者)들이 문성근 신애라의 데뷔작(데뷔作)으로 기억(記憶)하고 있을 정도(程度)로 주연(主演)들을 스타 연기자(演技者)로 발돋음 할 수 있게 한 작품(作品)이며 오랜 세월(歲月)이 경과(經過)한 현재(現在)도 다수(多數)의 시청자(視聽者)들이 잊지 않고 훌륭한 명작(名作) 드라마로 기억(記憶)하고 있으며 기억(記憶)하는 사람들 사이에 여러 블로그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情報)가 교류(交流)되고 있다.

줄거리 [ 편집(編輯) ]

사생아(私生兒)로 태어난 석범(席帆)은 아홉 살 때 어머니를 잃고 이모(姨母)를 따라 진해(鎭海)에 있는 외가(外家)에 맡겨진다. 시청(視聽) 말단직원(末端職員)으로 절약(節約)을 외치는 완고(頑固)하고 권위주의적(權威主義的)인 이모부(姨母夫), 큰형(큰兄)만을 편애(偏愛)해 비뚤어져있는 둘째형(兄) 명규, 음울(陰鬱)하고 표정(表情)없는 할아버지 등(等)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집안 분위기(雰圍氣)에 막막(寞寞)하고 낯선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한다. 하지만 이런 시련(試鍊)과 좌절(挫折) 속에서도 아름다운 마음을 잃지 않으며 차차 집안사람들뿐만 아니라 동네(洞네) 아이들도 석범(席帆)에게 호감(好感)을 느낀다. [1] [3]

1부(部) 1963년(年) 유년(幼年) 시기(時期) (당시(當時) 진해시)

2부(部) 1971년(年) 유년(幼年) 시기(時機) / 학생(學生) 시기(時期)(당시(當時) 진해고등학교(鎭海高等學校))

3부(部) 1973년(年) 학생(學生) 시기(時機) / 조선소(造船所) 취업(就業) 시기(時期)(당시(當時) 진해고등학교(鎭海高等學校))

4부(部) 5부(部) 1979년(年) 철암(鐵巖) 십자(十字) 병원(病院) 근무시기(勤務時期) (당시(當時) 삼척군(三陟郡) 장성읍)

5부(部) 6부(部) 7부(部) 도계 보석(保釋) 병원(病院) 근무시기(勤務時期) (당시(當時) 삼척군(三陟郡) 도계읍)

7부(部) 8부(部) 1988년(年) 서울 근무시기(勤務時期)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문성근  : 이석범 역(驛) (4회(回) 1979년(年) 배경(背景))
  • 고정(固定)일  : 석범(席帆)의 아역(兒役) (1회(回)2회(回) 1963년(年) 배경(背景) )
  • 전현(前賢)  : 석범(席帆)의 아역(兒役) (2회(回) 1971년(年) 배경(背景) 3회(回) 1973년(年) 배경(背景) )
  • 진영미  : 윤희수 역(驛)
  • 신애라  : 김화경 역(驛) (아역(兒役) : 송혜령 서예진)
  • 정애리  : 임영주 역(驛)
  • 남성훈  : 임영주의 남편(男便) 역(役)
  • 정동환  : 박용열 역(驛) (철암(鐵巖) 일신 의원(議員) 원장(院長))
  • 홍성민  : 석범(席帆)의 외할아버지(外할아버지) 역(驛)
  • 김윤경  : 석범(席帆)의 이모(姨母) 역(役)
  • 문회원(門會員)  : 석범(席帆)의 이모부(姨母夫)
  • 홍학표  : 김준규 역(驛) (석범(席帆)의 이종(姨從) 사촌(四寸) 큰형(큰兄))
  • 김명수(金命洙)  : 김명규(金明圭) 역(驛) (석범(席帆)의 이종(姨從) 사촌(四寸) 작은 형(型))
  • 박성미  : 김인숙 역(驛) (석범(席帆)의 이종(姨從) 사촌(四寸) 누나)
  • 맹상훈  : 맹순식 역(驛) (해군(海軍) 운전병(運轉兵))
  • 최우정  : 하경민 역(逆)
  • 김흥기  : 석범(席帆)의 고교(高校) 시절(時節) 담임(擔任) 교사(敎師)
  • 김민석(金民錫)  : 일산(一山) 장학생(奬學生) 선발(選拔) 고사(考査) 응시장(市場) 감독관(監督官)
  • 사상기(思想機)  : 석범(席帆)이 일산(一山) 장학생(奬學生) 선발(選拔) 고사(考査) 응시(凝視) 시기(時期) 주치의(主治醫)
  • 남영진  : 생명보험(生命保險) 회사(會社) 감독(監督) 역(役)
  • 문시경(門時頃)  : 석범(席帆)이 이모(姨母) 주치의(主治醫)
  • 박태호  : 김준규 사기(詐欺) 사건(事件) 담당(擔當) 경찰관(警察官)
  • 윤여정(尹汝貞)  : 화경(火鏡)의 어머니 역(役)
  • 김응석  : 화경(火鏡)의 애인(愛人) 역(役)
  • 김광배  : 박희태 역(驛)
  • 임재경  : 희태(喜胎) 약혼자(約婚者)
  • 박상규  : 손학민(虐民) 역(驛) (희태(喜胎) 선배(先輩) / 내과(內科) 과장(課長))
  • 홍계일
  • 김길호
  • 박소현  : 손인행 역(驛)
  • 홍정선
  • 고영수  : 기타(其他) 학원(學院) 원장역(院長驛)
  • 한영숙  : 철암(鐵巖) 십자(十字) 병원(病院) 원장(院長) 부인(夫人)
  • 임종국  : 철암(鐵巖) 십자(十字) 병원(病院) 원장(院長) (철암(鐵巖) 광업소(鑛業所)의 직영(直營) 병원(病院)이었으나 광업소(鑛業所) 측(側)에서 운영(運營)에 철수(撤收)하면서 지정(指定) 병원(病院)으로 됨)
  • 김지영  : 철암(鐵巖) 십자병원(十字病院) 원장댁(院長宅) 가사(家事) 관리(管理)인
  • 최선균  : 은행(銀行) 지점(支店) 대리(代理) (철암(鐵巖) 십자(十字) 병원(病院) 원장(院長) 부인(夫人)의 내연남(內緣男))
  • 김진태(金鎭台)  : 철암(鐵巖) 광업소(鑛業所) 감독자(監督者) (미연(未然)의 아버지)
  • 윤진영  : 미연
  • 정승현  : 남도식 (철암(鐵巖) 의원(議員) 원장(院長))
  • 서권순  : 남도식의 부인(夫人)
  • 강성욱  : 오재학 역(驛) (도계 보석(保釋) 병원(病院) 의사(醫師) / 남도식 부인(夫人)의 정부(政府))
  • 정욱  :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鑛業) 사업소(事業所) 사장(社長) 역(役)
  • 이주실  :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鑛業) 사업소(事業所) 사장(社長) 부인(夫人) 역(役)
  • 윤석오  : 지광호 역(驛)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소(鑛業所) 노조(勞組) 위원(委員)) (윤창우라는 성명(聲明)으로 출연(出捐))
  • 오영수(吳永洙)  : 양일수 역(驛)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소(鑛業所) 노조(勞組) 사무(事務) 국장(局長))
  • 이성용  : 홍석훈 역(驛)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소(鑛業所) 노조(勞組) 위원장(委員長))
  • 한태일  :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소(鑛業所) 노조(勞組) 위원(委員) (태일(太一)이라는 예명(藝名)으로 출연(出捐))
  • 송영웅  : 송항규 역(驛) (진현(進見) 산업(産業) 도계 광업(鑛業) 노조(勞組) 위원(委員))
  • 전운(戰雲)  : 윤박사(尹博士) 역(役) (도계 보석(保釋) 병원(病院) 재단(財團) 이사장(理事長))
  • 서영애  : 윤박사(尹博士)의 부인(夫人) 역(役)
  • 이경호 : 도계 보석(保釋) 병원(病院) 근무(勤務) 지원(支援) 탈락(脫落) 의사(醫師) (태백(太白) 지역(地域) 근무(勤務) 경력(經歷) 및 윤박사(尹博士) 측(側) 추천(推薦))
  • 박상조  : 도계 보석(保釋) 병원(病院) 재단(財團) 사무장(事務長)
  • 홍성선  : 사당(祠堂) 병원(病院) 원장(院長) 역(驛)
  • 최종원  : 예술인(藝術人)
  • 이승현  : 동료(同僚) 공원(公園)
  • 강미(强䖹)  : 동네(洞네) 부인(婦人)
  • 홍승옥  : 인옥(隣屋)이 엄마
  • 박웅  : 서울의 대학(大學) 병원(病院) 박사(博士) 역(役)
  • 김성희  : 간호사(看護師)
  • 박재영  : 간호사(看護師) 역(驛)
  • 박근영  : 간호사(看護師) 역(驛)
  • 윤순홍  : 김재철(金在哲) 역(驛)
  • 김정(金淨)  : 세탁소(洗濯所) 주인(主人) 역(役)
  • 김진구 : 안성(安城) 슈퍼마켓 주인(主人) 역(役)
  • 김영님  : 환자역(患者驛)
  • 이재훈  : 신성(神聖) 상운 제무시 덤프 트럭 기사(技士)

편성(編成) 변경(變更) [ 편집(編輯) ]

  • 1989년(年) 9월(月) 19일(日) : MBC 뉴스데스크 가 15분(分) 축소(縮小)로 앞당겨 밤 9시(時) 35분(分)부터 방영(放映)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기자(記者) (1989년(年) 9월(月) 18일(日)). “TV프로그램, 하이라이트” . 동아일보(東亞日報).  
  2. “안방극장(안房劇場) 여(餘)탤런트 판도변화(版圖變化)” . 동아일보(東亞日報). 1989년(年) 9월(月) 16일(日).  
  3. “천사(天使)의 선택(選擇) ?역경(逆境) 속에서도 좌절(挫折) 안해?” . 경향신문(京鄕新聞). 1989년(年) 9월(月) 18일(日).  
문화방송 월화(月火) 미니시리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대도전
(1989년(年) 8월(月) 21일(日) ~ 1989년(年) 9월(月) 12일(日))
천사(天使)의 선택(選擇)
(1989년(年) 9월(月) 18일(日) ~ 1989년(年) 10월(月) 10일(日))
완장(腕章)
(1989년(年) 10월(月) 23일(日) ~ 1989년(年) 11월(月) 14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