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징비록(懲毖錄)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징비록(懲毖錄)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징비록(懲毖錄)
懲毖錄
장르 사극(史劇)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KBS 1TV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5년(年) 2월(月) 14일(日) ~ 2015년(年) 8월(月) 2일(日) (본방송(本放送))
2018년(年) 4월(月) 9일(日) ~ 2018년(年) 7월(月) 24일(日) (재방송(再放送))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주말(週末) 밤 9:40 ~ 10:30
방송(放送) 분량(分量) 5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0부작(部作)
원작(原作) 류성룡 징비록(懲毖錄)
책임(責任)프로듀서 김형일
프로듀서 김신일
연출(演出) 김상휘 , 김영조
조연출(助演出) 김민경, 한현희, 박소연
각본(脚本) 정형수, 정지연
출연자(出演者) 김상중 , 김태우 , 임동진 , 이재용(李在鎔) , 김혜은 ,
김규철 , 김석훈 , 이광기 , 이정용 , 남성진 ,
최철호 , 정태우 , 노영학
해설(解說) 김도현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HD 제작(製作) · 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KBS 징비록(懲毖錄) 공식(公式) 웹사이트

징비록(懲毖錄) 》은 2015년(年) 2월(月) 14일(日) 부터 2015년(年) 8월(月) 2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광복(光復) 70년(年) 특별기획(特別企劃)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이다.

제작(製作) [ 편집(編輯) ]

2014년(年) 6월(月) 19일(日) 드라마 징비록(懲毖錄) 제작(製作)을 예고(豫告) [1] 하였고 2015년(年) 2월(月) 5일(日) 서울 여의도(汝矣島) 63컨벤션센터 주니퍼룸에서 제작발표회(製作發表會)가가 이루어졌다. [2]

이날 KBS 조대현 사장(社長)은 재정(財政) 적자(赤字)를 언급(言及)한 뒤 "'징비록(懲毖錄)'도 사실(事實) '정도전(鄭道傳)'에 바로 이어서 해야 하는데, 재정(財政) 때문에 반년(半年)을 건너뛰고 시작(始作)한다. 금년(今年)부터는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를 쉬지 않고 하겠다"고 말했다.

1604년(年)( 선조(宣祖) 37)에 류성룡 집필(執筆) 완료(完了)한 징비록(懲毖錄) 의 내용(內容)을 바탕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발생(發生) 하기 전(前)부터 1598년(年) 이순신(李舜臣) 전사(戰死) 노량해전(露梁海戰) 까지의 시기(時期)에 조정(調整) 에서 펼쳐지는 이야기.

이야기의 주요(主要) 인물(人物)은 류성룡과 선조(宣祖) . 주연(主演) 배우(俳優)는 김상중 김태우 . [3]

각본담당자(脚本擔當者)는 MBC 드라마 상도(商道) , 다모(茶母) 등(等)의 각본(脚本)을 담당(擔當)한 각본가(脚本家) 정형수 KBS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정도전 의 보조작가(補助作家) 정지연이다. 제작초기(製作初期)에 백운철 이 징비록(懲毖錄)의 각본(脚本)을 담당(擔當)하기로 되어있었으나 [4] KBS와의 이견차이(異見差異)로 하차(下車)하였다.

내레이션 에 성우(聲優)인 김도현 을 기용(起用)하고 있다.

2015년(年) 1월(月)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주시(榮州市) 에서 촬영(撮影) 이 이루어졌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들 [ 편집(編輯) ]

학자(學者) 이면서 동시(同時)에 실천(實踐)과 실현(實現)의 결과(結果)를 더 중요시(重要視)한 행정가(行政家) 였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영의정(領議政) 에 오르게 되고 4도(度) 도체찰사(都體察使) [5] 가 되어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조선(朝鮮)의 조정(朝廷)을 총지휘(總指揮)하게 된다. 온유(溫柔)하고 우직(愚直)하며 균형(均衡)잡힌 품성(品性) 속에 숨겨진 카리스마 가 있다. 당색(搪塞)은 동인(同人) 이지만 당리당략(黨利黨略)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 인물(人物)이다.
(하성군 → 조선(朝鮮) 선조(宣祖))
조선(朝鮮) 14대(代) 왕(王). 방계(傍系) 출신(出身)의 왕(王)으로, 왕위(王位) 계승(繼承) 과정(過程)에 대(對)한 콤플렉스 가 있다. 군사(軍事)에 관심(關心)이 많고 당쟁(黨爭)을 잘 다스려 보려고 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이라는 위기(危機)를 맞아 왕(王)으로서의 자질(資質)을 끊임없이 시험(試驗) 받게 된다.

류성룡 주변인물(周邊人物) [ 편집(編輯) ]

왜구(倭寇) 들에게 죽을뻔한 목숨을 류성룡이 구(救)하고 거두어준다. 그 뒤 류성룡의 심복(心腹)이 된다. 글에 대(對)해서는 천부적(天賦的)으로 무식(無識)하고, 무예(武藝)에만 자질(資質)이 있다.
군관(軍官). 류성룡을 지척(咫尺)에서 호위(護衛)한다. 상황판단(狀況判斷)이 빠르고 민첩(敏捷)하다.
내외주점(內外酒店) [7] 을 홀로 운영(運營)하는 여주인(女主人).
설희의 계집종.
류성룡의 부인(否認).

왕실(王室) 인물(人物)들 [ 편집(編輯) ]

덕흥대원군(大院君) 의 1남(男).
덕흥대원군(大院君)의 2남(男).
선조(宣祖)의 후궁(後宮). 우아(優雅)한 몸가짐과 빼어난 외모(外貌)로 선조(宣祖)의 총애(寵愛)를 받는다. 중전(中前) 박씨(朴氏)를 제치고 내명부(內命婦) 의 실직적(失職的)인 안주인(안主人)이 된다. 선조(宣祖)의 마음을 쥐락펴락하게 되자 자신(自身)의 아들로써 대통(대筒)을 잇겠다는 야망(野望)을 품는다.
선조(先祖)와 그의 후궁(後宮) 공빈 김씨(金氏) 의 둘째 아들. 자신(自身)을 드러내지 않고 몸가짐이 신중하다. 아버지의 부끄러움마저 대신(代身) 짊어진 듯, 전쟁터(戰爭터)에서 한 명(名)의 백성(百姓)이라도 더 구(求)하기 위(爲)해, 온몸을 던진다. 전쟁(戰爭)을 겪으며 진정(眞正)한 왕(王)이 되길 결심(決心)한다.
제(第)14대(代) 왕(王) 선조(宣祖)의 비.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불임(不妊) 의 몸이다. 선조(宣祖)는 그런 중전(中前)을 뒤로 하고 귀인(貴人) 김씨(金氏)만 싸고 돈다. 왕비(王妃)임에도 불구(不拘)하고 실질적(實質的)으로는 왕실(王室)에서 소외(疏外)될 수 밖에 없었다. 광해(鑛害)를 양자(養子)로 삼아 친자식(親子息)처럼 여기고 애정(愛情)을 준다.
선조(先祖)와 그의 후궁(後宮) 공빈 김씨(金氏)의 맏아들이며 광해(鑛害)의 친형(親兄)이다. 성질(性質)이 난폭(亂暴)하여 인심(人心)을 얻지 못하였고, 그로 인하여 세자(世子) 로 책봉(冊封)되지 못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때 동북(東北) 지방(地方)으로 피난(避難) 가서 가토에게 포(砲)로 가 되었다가 석방(釋放)된다.
선조(宣祖)와 귀인(貴人) 김씨(金氏) 소생(所生)의 아들로 임해군(臨海君)과 광해군(光海君)의 이복동생(異腹同生)이자 신립의 사위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와중(渦中)에 피난(避難)을 가다가 죽게 된다.
선조(宣祖)와 순빈 김씨(金氏) 소생(所生)의 아들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복형(異服兄) 임해군(臨海君)과 동북지방(東北地方)으로 피난(避難)을 갔지만 회령(會寧) 아전(衙前) 국경인과 백성(百姓)들에게 붙잡혀 가토에게 포(砲)로 가 되었다가 석방(釋放)된다

내관(內觀) [ 편집(編輯) ]

동인(同人) 세력(勢力)들 [ 편집(編輯) ]

동인(同人)의 영수(領袖). 유연(柔軟)한 말투(말套)는 그 속내를 짐작(斟酌)하기 어렵다. 같은 동인(同人)의 중요인물인(重要人物人) 류성룡을 지원(支援)하지만, 그를 적절히(適切히) 통제(統制)하며, 이용(利用)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의 과정(過程)에서 선조(宣祖)를 호종(扈從)하다가 탄핵(彈劾)을 받고 파직당한다.
류성룡의 지기(知己)이자 이산해(李山海)의 사위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청원사(請願社)로 명나라(明나라)에 파견(派遣)돼 파병(派兵)을 성취(成就)시키는 등(等) 전란(戰亂) 중(中) 외교(外交)의 전반적(全般的)인 일을 담당(擔當)한다. 예리(銳利)한 통찰력(洞察力)과 날카로운 판단력(判斷力)을 지녔다.
1590년(年) 통신부사(通信府使)로 일본(日本)에 파견(派遣)되었는데, 이듬해 돌아와 일본(日本)이 전쟁(戰爭)을 일으킬 기색(氣色)이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報告)를 한 인물(人物)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한양(漢陽)으로 압송(押送)을 하려다가 류성룡에 의(依)해 목숨을 건져 경상도(慶尙道) 초유사(招諭使)로 임명(任命)되었다.
동인(同人)의 원로(元老). 기축옥사(己丑獄事) 로 귀양을 가게 된다.
우의정(右議政) 정언신의 형(兄)으로서 기축옥사(己丑獄事)로 귀양을 가게 된다.
동인(同人) 재야인사(在野人士).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옥사(獄死)한다.
선조(宣祖)의 후궁(後宮)인 정빈(正賓) 홍씨(洪氏) 의 친척(親戚)으로 왜란(倭亂) 전(前)에 병조판서(兵曹判書)를 맡으면서 군량미(軍糧米)를 챙긴 일로 좌천(左遷)되었다. 후(後)에 호조판서(戶曹判書)가 되어 류성룡을 탄핵(彈劾)하게 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왕(王)을 호종(扈從)하면서 평안도(平安道)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임명(任命)된 뒤 곧 평안도(平安道) 관찰사(觀察使) 겸(兼) 순찰사(巡察使)로 승진(昇進)해 명(名)의 이여송(李如松)과 합세(合勢)해 평양(平壤)을 탈환(奪還)하는데 기여(寄與)했다.
도승지(都承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병조판서(兵曹判書) 겸(兼) 부체찰사(副體察使)로서 평안도(平安道)로 피란(避亂)가는 선조(先祖)를 호종(扈從)하다가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어 환도(還都)한 뒤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을 지낸다.
좌찬성(左贊成) .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의주(義州)에서 올라와 선조(宣祖)를 호종(扈從)하였고, 이후(以後) 분조(分組)를 따른다. 이순신(李舜臣)이 탄핵(彈劾)을 받아 투옥(投獄)되었을 때 그를 변호(辯護)한다.
  • 고인범 - 범애(汎愛) 류조인(留鳥人) 역(驛)
사재감정(私財感情) [15] . 1592년(年)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익위(益胃)로 제수(除授)되어 세자(世子) [16] 영변(寧邊) (현(現) 녕변군)까지 모셨다.

서인(西人) 세력(勢力)들 [ 편집(編輯) ]

서인(西人)의 주요(主要) 인물(人物)이다. 선조(宣祖)가 열여섯에 즉위(卽位)할 때부터 승정원(承政院) 에서 가장 가까이 보필(輔弼)했던 터라, 선조(先祖)를 누구보다 잘 알고, 나이에 걸맞지 않은 중압감(重壓感)으로 살아온 선조(宣祖)를 항상(恒常) 연민(憐憫)의 눈으로 바라본다. 대범(大汎)하고 호탕(豪宕)한 성격(性格)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기용(起用)되어 선조(宣祖)를 호종(扈從)한다. 동생으로는 월정(月定) 윤근수 [17] 등(等)이 있다.
서인(西人)의 영수(領袖). 1589년(年) 기축옥사(己丑獄事) 를 계기(契機)로 선조(宣祖)의 마음을 사(社)로 잡아서 서인(西人)의 세상(世上)을 만들려고 한다. 호불호(好不好)가 분명하고 직설적(直說的)인 성격(性格) 탓에 늘 동인(同人)들의 집중(集中) 공격(攻擊) 대상(對象)이 되어 관직(官職)에서 종종(種種) 탄핵(彈劾) 되거나 사직(辭職) 하곤 하였다. 뛰어난 문재(文才)(文才)로 인정(認定) 받았다.
당색(黨色)으로는 서인(西人)이지만 류성룡과도 절친(切親)한 사이이고, 권율(權慄)의 사위이다. 시원스런 성격(性格)에 해학적(諧謔的)인 유머와 번뜩이는 기지(基地)가 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벗인 이덕형(李德馨)과 함께 병조판서(兵曹判書) 를 교대(交代)로 맡으면서 근왕병(勤王兵) 모집(募集)과 명(名)에 대(對)한 청병(淸兵)을 주도(主導)하였다.
서인(西人)의 정신적(精神的) 지주(支柱)같은 인물(人物). 당대(當代)의 “8문장가(文章家) [18] ”로 꼽힐만큼 뛰어난 인재(人材)였으나 노비(奴婢) 출신(出身)이라는 한계(限界)에 그쳐 과거(過去)를 포기(抛棄)할 수밖에 없었다. 정철(鄭澈), 성혼(成渾)과 친교(親交)를 맺으며 실질적(實質的)인 책략가(策略家) 역할(役割)을 한 인물(人物)이다.
1589년(年) 기축옥사(己丑獄事) 로 서인(西人)이 정권(政權)을 잡자 이조참판(吏曹參判) 에 등용(登用)되었다. 이이(李珥)·정철·송익필 등(等)과 절친(切親)하였다. 서인(西人)의 중진(重鎭) 지도자(指導者)이며 학문(學問)이 깊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전(前) 통신사(通信社) 정사(情事)로 파견(派遣)되어 변화(變化)된 일본(日本)의 모습에 진작(振作) 내침(來侵)을 감지(感知)하고, 귀국(歸國) 후(後) 일본(日本) 침략(侵略)을 강력(强力)하게 경고(警告)하지만 묵살(默殺)되고 만다.
강직(剛直)하기가 대쪽 같다. 자리에 연연(戀戀)하지 않고, 설령(設令) 임금이라 하더라도 잘못하면, 부서지고 깨지더라도 상소(上疏)를 올려 간언(諫言)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장(僧兵長) 영규 와 함께 호서(湖西) 에서 의병(義兵)을 일으킨다.

조선(朝鮮)의 무장(武將)들 [ 편집(編輯) ]

당대(當代) 최고(最高)의 무장(武裝). 임진왜란(壬辰倭亂) 발발(勃發) 당시(當時) 정(鄭)2품(品)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에 이르렀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삼도(三道) 도순변사(都巡邊使) [19] 에 임명(任命)되어 충주(忠州) 탄금대(彈琴臺) 에서 일본군(日本軍)과 싸우다 전사(戰死) 한다.
제승방략(制勝方略)을 고안(考案)한 무관(無關). 임진왜란(壬辰倭亂)이 발발(勃發)하자 경상도(慶尙道) 순변사(巡邊使) [20] 상주(尙州) , 탄금대(彈琴臺)에서 일본군(日本軍)과 싸워 패배(敗北)하지만 도망쳐 살아남는다. 평안도(平安道)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로 명(名)의 원병(援兵)과 함께 평양(平壤)을 수복(收復) 한다.
광주(光州) 목사(牧師)에 임명(任命)되어, 이광(李珖)과 곽영 의 지휘(指揮) 아래 와키자카 군대(軍隊)와 용인(龍仁)에서 전투(戰鬪) 를 벌이나 패(敗)하였다. 이듬해 김명원(金命元)의 뒤를 이어 도원수(都元帥)가 되었고 이후(以後) 우키타 군대(軍隊)와 행주산성(幸州山城) 에서 전투(戰鬪) [21] 를 벌여 대승(大勝)을 거두었다.
경상도(慶尙道) 관찰사(觀察使) [22] .
경상좌도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
부산진(釜山鎭)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23] .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부산진(釜山鎭) 전투(戰鬪) 에서 전사(戰死)한다.
동래(東萊) 부사(府使).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동래성 전투(戰鬪) 에서 전사(戰死)한다.
진주(晉州) 목사(牧師). 제(第)1차(次) 진주성(晉州城) 전투(戰鬪) 때 곽재우(郭再祐), 심대승 , 임계영 , 최경회 와 더불어 진주성(晉州城) 을 지키는 도중(途中) 전사(戰死)한다.
경상(輕傷) 좌병사(座兵士) [24] . 그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거듭 도주(逃走)하였고 임진강(臨津江) 에 주둔(駐屯)한 도원수(都元帥) 김명원(金命元)의 진중(陣中)까지 도주(逃走)하다 결국(結局) 체포(逮捕) 되어 선조(宣祖)는 선전관(宣傳官)을 보내 참수(斬首) 시켰다.
일본군(日本軍) 출신(出身) 항왜(降倭) 장수(將帥)로 과거(過去)이름은 사야가 (沙也加).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조선(朝鮮)에 귀순(歸順)해 김충선 이란 이름을 하사(下賜)받는다.
이일 의 부장(部長)으로 탄금대(彈琴臺) 전투(戰鬪)에서 패배(敗北)하자 이일과 함께 도망친다.
신립(申砬) 휘하(麾下) 조방장. 탄금대(彈琴臺) 전투(戰鬪) 에서 전사(戰死)한다.
삼도(三道) 순변사(巡邊使) 신립의 종사관(從事官). 과거(過去) 의주목사(義州牧使) 시절(時節). 축성(祝聖)으로 인(因)해 명(名)의 간섭(干涉)으로 물러난 인물(人物)로 탄금대(彈琴臺) 전투(戰鬪)에서 사력(死力)을 다해 싸우지만 패전(敗戰)하여 신립(申砬)과 함께 자결(自決)한다.
함경도남병사(咸鏡道南兵使). 신각(神角)과 같이 해유령 전투(戰鬪) 에 참전(參戰)한다.
정발(鄭撥)의 부장(部長). 부산진(釜山鎭) 전투(戰鬪) 에 참전(參戰)한다.
동래교수(東萊敎授). 송상현(宋象賢)과 함께 동래성 전투(戰鬪) 에 참전(參戰)한다.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 (겸(兼) 전라(全羅) 좌수사(左水使) ) [25] .옥포해전(海戰) 및 적진포 해전(海戰) 에선 일본(日本) 수군(水軍)을 이겨 일본(日本) 육군(陸軍)의 보급로(補給路)를 끊었고 한산도(閑山島) 해전(海戰) 에선 학익진(鶴翼陣)으로 와키자카 함대(艦隊)를 침몰(沈沒)시켰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파직(罷職) 및 백의종군(白衣從軍)에 처(處)해짐. 칠천량해전(七千輛海戰) 이후(以後)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로 복귀(復歸), 노량해전(露梁海戰) 에서 전사(戰死)한다.
경상우수사(經常右水使) [26] (후(後)의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이순신(李舜臣)과 수군(水軍)을 이끌고 옥포(玉浦), 한산대첩(大捷) 등(等)의 전공(專攻)을 올렸다. 이에 반(反)해 이순신(李舜臣)과의 대립(對立)이 심(甚)하였다.
도원수(都元帥) . 한강(漢江) 및 임진강(臨津江) 방어(防禦)를 맡았다.
김명원(金命元)의 부장(部長). 평양성(平壤城) 전투(戰鬪) 에 참전(參戰)한다.
부원수(副元帥).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한강(漢江)을 방어(防禦)하다 실패(失敗)한 이후(以後) 양주(洋酒) 해유령 전투(戰鬪) 에서 일본군(日本軍)을 상대(相對)로 첫승리(勝利)를 거두었으나 선조(宣祖)의 명(名)으로 처형당한다.
명나라(明나라)에 주청사(奏請使)로 갔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이 발발(勃發)하자 도순찰사(都巡察使)에 임명(任命)되어 조선(朝鮮) 육군(陸軍)을 임시(臨時)로 지휘(指揮)한다.
전라도(全羅道) 관찰사(觀察使). 용인(龍仁) 전투(戰鬪) 에서 와키자카 군대(軍隊)에 의(依)해 패배(敗北)한다.
녹도(鹿島) 만호(萬戶). 이순신(李舜臣) 휘하(麾下)에서 종군(從軍)하다가 부산포(釜山浦) 해전(海戰)에서 전사(戰死)한다.
순천(順天) 부사(府使). 이순신(李舜臣) 휘하(麾下)에서 종군(從軍)하며 수차례(數次例) 전공(專攻)을 세운다.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군관(軍官). 이순신(李舜臣) 휘하(麾下)에서 종군(從軍)하며 수차례(數次例) 전공(戰功)을 세웠으며 한산도(閑山島) 대첩(大捷) 노량(露梁) 해전(海戰) 에서 크게 활약(活躍)한다.
흥양 현감(縣監). 이순신(李舜臣) 휘하(麾下)에서 종군(從軍)하며 수차례(數次例) 전공(戰功)을 세웠으며 노량(露梁) 해전(海戰) 에서 크게 활약(活躍)한다.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군관(軍官). 이순신(李舜臣) 휘하(麾下)에서 종군(從軍)하며 조선식(朝鮮式) 조총인(鳥銃人) 정철총통(精鐵總統) 을 개발(開發)한다.
정운의 부관(副官),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군관(軍官).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군관(軍官).
훈련원(訓鍊院) 주부(主婦). 이순신(李舜臣) 휘하(麾下)에서 종군(從軍)한다.
황해도(黃海道) 좌방어사(左防禦使).
황해도(黃海道) 우방어사(右防禦使).
경기(京畿) 수사(搜査).
경상(輕傷) 좌병사(座兵士) [27] .
권율(權慄) 휘하(麾下) 조방장

의병(義兵) 세력(勢力)들 [ 편집(編輯) ]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령(宜寧) 에서 의병(義兵) 을 일으켰다.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령(宜寧)에서 의병(義兵)을 일으켰다.
두 아들과 함께 전라도(全羅道) 광주(光州) 등(等)에서 모집(募集)한 7천여(千餘) 명(名)의 의병(義兵) 을 이끌고, 권율(權慄) 의 진영(陣營)에 합류(合流)하였다. 이후(以後) 금산(錦山) 전투(戰鬪) 에서 아들 고인후 와 함께 전사(戰死)한다.
조선(朝鮮) 승려(僧侶). 승병장(僧兵長).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승병(僧兵)들을 조직(組織)하여, 이여송(李如松), 류성룡 등(等)과 함께 평양성(平壤城) 전투(戰鬪)에 참전(參戰)한다. 이후(以後) 대일(對日) 사신(使臣)으로 가토 기요마사와 담판(談判)을 짓게 된다.
호남(湖南) 의병장(義兵將)으로 충용장(忠勇腸). 이순신(李舜臣)이 이끄는 조선(朝鮮) 수군(水軍)과 협력(協力)하여 장문포 해전(海戰) 에 참전(參戰)하였다. 이몽학(李夢鶴)의 난(亂) 에 연루(連累)되어 억울(抑鬱)하게 죽게 된다.
김덕령(金德齡)의 부관(副官)
화순(和順) 의병장(義兵將)으로 나주(羅州) 의병장(義兵將) 임계영 과 함께 제(第)1차(次) 진주성(晉州城) 전투(戰鬪) 에 참전(參戰)하여 승전(勝戰)을 이끌었으며 극중(劇中)에는 등장(登場)하지 않지만 제(第)2차(次) 진주성(晉州城) 전투(戰鬪) 에 경상(經常) 우병사(右兵士)로 참전(參戰)하여 분전(奮戰)하다가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성(性)이 함락(陷落)되자 의병장(義兵將) 김천일 , 고종후 와 함께 남강(南江)에 투신(投身)하여 자결(自決)하였다.
고경명 의 장남(長男)으로 아버지와 동생 고인후 와 함께 의병(義兵)을 창설(創設)하여 금산(錦山) 전투(戰鬪) 에서 분전(奮戰)하였으나 아버지와 동생이 전투(戰鬪) 중(中)에 전사(戰死)하자 극중(劇中)에는 등장(登場)하지 않지만 후일(後日) 1593년(年) 400명(名)의 의병(義兵)을 규합(糾合), 복수의병군(復讐義兵軍)을 조직(組織)한 이후(以後) 진주(晉州) 목사(牧師) 서예원 , 경상(經常) 우병사(右兵士) 최경회 , 의병장(義兵將) 김천일 , 충청(忠淸) 병사(兵士) 황진(黃進) 과 합류(合流)하여 제(第) 2차(次) 진주성(晉州城) 전투(戰鬪) 에서 왜군(倭軍)과 항전(抗戰)하다가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성(性)이 함락(陷落)되자 의병장(義兵將) 김천일 , 경상(經常) 우병사(右兵士) 최경회 와 함께 남강(南江)에 투신(投身)하여 자결(自決)하였다.
고경명 의 차남(次男)으로 아버지와 형(兄) 고종후 와 함께 의병(義兵)을 창설(創設)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戰鬪) 에서 부친(父親)과 함께 전사(戰死)하였다.

일본(日本) 세력(勢力)들 [ 편집(編輯) ]

일본(日本) 태합 (太閤, 호칭(呼稱)은 전하(殿下) [29] ). 보잘 것 없는 용모(容貌)에 비해, 사람과 상황(狀況)에 대(對)한 통찰력(洞察力)이 날카롭고, 매우 용의주도(用意周到)한 성격(性格)이다. 철저(徹底)한 계획(計劃)이 세워지지 않고서는 결코(決코) 움직이지 않는다.
히데요시의 첫 아들로 요도(尿道)의 소생(蘇生). 어린 나이에 일찍 죽는다.
히데요시의 정실(情實). 남편(男便)의 입신출세(立身出世)에 힘을 다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기 때문에, 히데요시나 자신(自身)의 친척(親戚)을 양자(養子)나 가신(街神)으로서 키웠다. 그 중(中)에서 가토 기요마사와 후쿠시마 마사노리 ( 복도정칙 )는 특히(特히) 유명(有名)하다. 히데요시의 정실부인(正室夫人)으로서 ' 기타노만(萬)도코로 '( 북정소(北精巢) )라고도 불린다.
히데요시 [32] 의 부인(否認). 쓰루마쓰와 히로이마루 ( 섭환 )를 낳는다.
일본(日本)의 관백 . 1591년(年) 히데요시는 조카 히데쓰구에게 관백직(職)을 수여(授與)하였다. 거주지(居住地)는 주라쿠다이 이다.
히데요시의 양자(兩者) . 친부(親父)는 우키타 나오이에 ( 우희다직가 ). 임진왜란(壬辰倭亂) 시기(時期)에 일본군(日本軍) 총대장(總大將) 겸(兼) 제(第)8군(軍) 사령관(司令官)으로 참전(參戰)하여 제(第)8군(軍)을 이끈다.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조선(朝鮮)을 침략(侵略)한 일본군(日本軍) 선봉장(先鋒將). 상인(商人) 집안 출신(出身)으로, 침착(沈着)하면서도 손익계산(損益計算)에 빠르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그의 사위인 대마도(對馬島) 주(週) 소 요시토시(視)(종의지)와 함께 1만(萬) 8,000명(名)의 병력(兵力)을 이끌고 부산진(釜山鎭) 동래성 을 공격(攻擊)하였고, 충주(忠州) 탄금대(彈琴臺) 전투(戰鬪) 때 신립(申立)을 대패(大敗)시키는 전공(專攻)을 세운다. 그 후(後) 제(第)4차(次) 평양성(平壤城) 전투(戰鬪) 에서 명나라(明나라)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에게 대패(大敗)하지만 벽제관(碧蹄館) 전투(戰鬪) 에서 조명(照明) 연합군(聯合軍) [35] 을 전멸시킨다 [36] .
제(第)2군(軍)을 이끈 장수(長壽). 승부(勝負)에 있어선 영악(靈惡)하고 민첩(敏捷)하게 움직이지만 보통(普通)은 단순(單純)하고 포악무도(暴惡無道)하다. 마치 사냥을 즐기듯 전쟁터(戰爭터)를 누빈다. 어린시절 네네에 의(依)해 키워지게 된다. 그래서 네네를 친어미(親어미)처럼 따른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함경도(咸鏡道)까지 진출(進出)해 임해군(臨海君)을 사로잡게 되며, 후일(後日) 고니시와 세키가하라 전투(戰鬪) 때 싸우게 된다.
대마도주. 고니시의 사위이며 조선말(朝鮮말)을 잘한다. 전쟁(戰爭)이 일어나자 고니시의 지휘(指揮)로 참전(參戰)했고, 조선(朝鮮)과의 강화교섭(强化交涉)에 적극적(積極的)으로 나서나 실패(失敗)한다. 본명(本名)은 종의지이나 조선(朝鮮)에 올때는 일본(日本) 명문가(名門家)의 성씨(姓氏)인 ‘평'씨(氏) [39] 를 차용(借用)하여 평의지(評意志)라고도 불렸다.
일본(日本) 승려(僧侶) . 종의지와 함께 조선(朝鮮)으로 와서 통신사(通信社)를 요청(要請)한다.
종의지 이전(以前)에 조선(朝鮮)으로 온 일본(日本) 사절(使節)로 통신사(通信社) 요청(要請)을 하다가 거절당했으며, 결국(結局) 히데요시에 의(依)해 죽는다.
도요토미 가문(家門) 의 가신(家臣). 오봉행(誤奉行) 의 한 사람으로서 임진왜란(壬辰倭亂) 에 참전(參戰)하였다. 벽제관(碧蹄館) 전투(戰鬪)에선 조명(照明) 연합군(聯合軍)을 패배시켰으나 행주대첩(大捷) 에서 권율(權慄) 군(軍)에 의(依)해 대패(大敗)하였다.
통칭(通稱) 마타자(打者)에몬, 마타시(詩)로 등(等). 시즈가(街)타케 전투(戰鬪)에서 시바타 가쓰이에 군(軍)에 소속(所屬)되어 히데요시와 대립(對立)하지만 전투(戰鬪)에서 패(敗)하여 그와 제휴(提携)한 후(後), 자신(自身)의 딸 마아(麻兒)히메( 摩阿? 마아희(兒戱) )를 히데요시의 첩(妾)으로 보내는 등(等)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맺는다.
풍신수길(豐臣秀吉)의 시녀(侍女).
일본군(日本軍) 제(第)3군(軍) 사령관(司令官).
일본군(日本軍) 제(第)4군(軍) 사령관(司令官).
일본군(日本軍) 수군(水軍) 장수(長壽). 옥포(玉浦) 해전(海戰) 에서 조선(朝鮮) 수군(水軍)에게 참패(慘敗)를 당(當)한다.
일본군(日本軍) 수군(水軍) 장수(長壽). 용인(龍仁)에서 5천(千) 군사(軍事)로 5만(萬)의 조선군(朝鮮軍)을 궤멸(潰滅) 시켰지만 이후(以後) 한산도(閑山島) 해전(海戰) 에서 이순신(李舜臣) 지휘(指揮) 하(下)의 조선(朝鮮) 수군(水軍)에 완패(完敗)한다. 이후(以後) 칠천량(漆川梁) 해전(海戰) , 명량(鳴梁) 해전(海戰) 등(等)에 참전(參戰)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감시역(監視役)을 맡아 제(第)1차(次) 진주성(晉州城) 전투(戰鬪) , 남원성 전투(戰鬪) , 울산성(蔚山性) 전투(戰鬪) 등(等)에 참전(參戰)했다.
일본군(日本軍) 제(第)6군(軍) 사령관(司令官). 웅치 전투(戰鬪) 이치(理致) 전투(戰鬪) , 정암진 전투(戰鬪) 에서 패배(敗北)하고 본국(本國)으로 철수(撤收)했지만 그 길로 히데요시에게 끌려가 죽음을 맞이한다. [40]
일본군(日本軍) 제(第)7군(軍) 사령관(司令官). 성주성 전투(戰鬪) 에서 패배(敗北)하고 본국(本國)으로 철수(撤收)했지민 그 길로 히데요시에게 끌려가 광기(狂氣)에 휘말려 죽을 뻔 했지만 마에다의 만류(挽留)로 살아난다. [41]
일본군(日本軍) 제(第)9군(軍) 사령관(司令官). 부산포(釜山浦) 해전(海戰) 에서 패배(敗北)한 이후(以後) 호소카와 다다오키 를 비롯한 부하(部下)들을 두고 본국(本國)으로 철수(撤收)했지만 그 길로 히데요시에게 끌려가 죽음을 맞이한다 [42]
가등청정(加藤淸正)의 부관(副官).
정해왜변(情海倭變) 당시(當時) 해적(海賊) 대장(大將)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관(副官)
소서행장(小西行長)의 부관(副官)
등당고호의 부관(副官)
일본(日本) 승려(僧侶).

명나라(明나라) 세력(勢力)들 [ 편집(編輯) ]

명나라(明나라) 제(第)13대(代) 황제(皇帝). 묘호(廟號) 는 신종(新種)(神宗). 1572년(年)부터 1620년(年)까지 48년간(年間) 재위(在位)하였다. 그의 치세(治世)는 역대(歷代) 명나라(明나라) 황제(皇帝)들의 통치(統治) 기간(期間) 중(中) 가장 길며, 명나라(明나라)가 건국(建國)된 지 200년(年)쯤 지나고 왕조(王朝)가 서서히(徐徐히) 몰락(沒落)해가는 시기(時期)였다.
만력제(萬曆帝) 의 애첩(愛妾). 복충왕(王) 주상순 (福忠王 朱常洵, 후(後)의 명(命) 공종(空宗), 明恭宗)의 모친(母親). 복충왕(王)을 태자(太子)로 옹립(擁立)하려다가 실패(失敗)하게 된다. 복충왕(王)의 아들인 남명(南冥) (南明) 초대(初代) 황제(皇帝) 홍광제 (弘光帝)는 정귀비의 손자(孫子)이다.
명나라(明나라) 환관(宦官). 만력제(萬曆帝)를 가까이서 수행(遂行)한다.
명나라(明나라) 병부우시랑(兵部右侍郞) .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當時) 명나라(明나라) 2차(次) 원군(援軍)의 총사령관(總司令官)인 경략방해비왜군무(經略妨害非矮群舞)로 참전(參戰)하였다. 병부우시랑(兵部右侍郞)은 심유경(沈惟敬)을 내세워서 조선(朝鮮)을 배제(排除)한 일본(日本)과의 강화협상(講和協商)을 시도(試圖)하다가 소환(召喚)되었다.
무역상(貿易商) 출신(出身)의 명나라(明나라) 사신(使臣). 달변가(達辯家)이며 일본어(日本語) 에 능통(能通)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조선(朝鮮)·일본(日本)·명(明) 3국(國) 사이에 강화회담(强化會談)을 맡아 진행(進行)하면서 농간(弄奸)을 부렸다.
명나라(明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조선(朝鮮)을 지원(支援)하는 척, 강화협상(强化協商)을 배후(背後)에서 벌이다가 만력제(萬曆帝)에 의(依)해 옥(獄)에 갇히게 된다.
명나라(明나라) 예부(禮部) 소속(所屬)의 신하(臣下)로서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과는 라이벌. 사신(使臣)으로서 조선(朝鮮)에 들어와 송응창와 강화협상(强化協商)을 알아채고 그를 소환(召喚)하기에 이른다.
명나라(明나라)의 사신(使臣)으로서 일본(日本)에 파견(派遣)되었다.
명나라(明나라)의 사신(使臣)으로서 일본(日本)에 파견(派遣)되었다.
명나라(明나라)의 사신(使臣)으로서 일본(日本)에 파견(派遣)되었다.
경락(競落). 정유재란(丁酉再亂) 직후(直後), 명(名)에서 파견(派遣)되었다.
명나라(明나라) 장수(將帥). 당시(當時) 요동(搖動)의 실권자(實權者)인 이성량 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제독군무방해어왜총병관으로 명나라(明나라)의 제(第)2차(次) 원군(援軍) 4만(萬) 3천(千)의 병력(兵力)을 이끌고 압록강(鴨綠江)을 건너 한반도(韓半島)에 들어왔다. 일본군(日本軍)을 상대(相對)로 평양성(平壤城) 전투(戰鬪) 에서 승전(升轉)하였으나 벽제관(碧蹄館) 전투(戰鬪) 에서 패(敗)한 다음에는 싸울 생각을 하지 않아, 류성룡과 이항복(李恒福), 이덕형(李德馨) 등(等)은 이여송(李如松)에게 일본군(日本軍)과 싸울 것을 재촉하였다.
명나라(明나라) 요동도사사(搖動道士社) 진무. 류성룡과 함께 일본군(日本軍) 진영(陣營)을 살피고, 조선(朝鮮)에 원병(援兵)을 지원(支援)하도록 협력(協力)한다.
명나라(明나라) 요동군 부총관(副摠管). 명군(名君) 5,000여명(餘名)을 이끌고 조선(朝鮮)에 출병(出兵)하였으나, 평양성(平壤城) 전투(戰鬪)에서 대패(大敗)하였다.
명나라(明나라) 부총병.
명나라(明나라) 부총병.
명나라(明나라) 참장(參將). 조선(朝鮮)의 신식군사훈련(新式軍事訓鍊)에 도움을 준다.
명나라(明나라) 유격장군(遊擊將軍).
명나라(明나라) 상인(商人).
명나라(明나라) 서도독첨사(西都督僉使).
명나라(明나라) 대장군(大將軍).
명나라(明나라) 수군도독(水軍都督).
명나라(明나라) 부총병.

류큐국(國) 세력(勢力)들 [ 편집(編輯) ]

류큐의 왕자(王子). 일본(日本)의 명(名) 침공(侵攻) 준비(準備) 소식(消息)을 만력제(萬曆帝)에게 알린다. 극(劇)에서는 그에 대(對)하여 상세(詳細)한 설명(說明)은 없지만 역사(歷史)에는 쇼네이 왕자(王子)가 명나라(明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갔다고 나와있다.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귀인(貴人) 김씨(金氏)의 남동생(男동생). 선조(宣祖)의 처남(妻男). 내수사(內需司) 별좌(別坐)
화포장(火砲匠).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제조자(製造者)
순왜(純矮) 백성(百姓)
통신사(通信社) 서장관(書狀官)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노인(老人)
회령(會寧) 아전(衙前)
순왜(純矮) 관리(管理)
순왜(純矮) 군사(軍事)
송유진의 난(亂) 주도자(主導者)
송유진의 부관(副官)
이몽학(李夢鶴)의 난(亂) 주도자(主導者)
이몽학(李夢鶴)의 부관(副官)
거창(居昌) 의병장(義兵將)
광해군(光海君)의 직속(直屬) 내관(內官)
귀인(貴人) 김씨(金氏)의 직속(直屬) 상궁(尙宮)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 군관(軍官)
정주(井州) 군량미(軍糧米) 약탈패(掠奪牌) 두목(頭目)
김덕령(金德齡) 휘하(麾下) 의병(義兵). 이몽학 휘하(麾下) 반란군(叛亂軍)
  • 공재원 - 경상(輕傷) 판관(判官) 역(役)
  • 황인준 - 사헌부(司憲府) 군관(軍官) 역(驛)
  • 송승용 - 사헌부(司憲府) 군관(軍官) 역(驛)
  • 김훈호 - 남해안(南海岸) 학살현장(虐殺現場) 군관(軍官) 역(驛)
  • 한영제 - 감찰(監察) 군관(軍官) 역(驛)
  • 고상현 - 조정(調整) 군관(軍官) 역(驛)
  • 민우기 - 호패(號牌) 군관(軍官) 역(驛)
  • 윤영목 - 신각(神角) 처형(處刑) 선전관(宣傳官) 역(驛)
  • 정나진 - 조선군(朝鮮軍) 대구군영(大邱軍營) 지휘관(指揮官) 역(驛)
  • 고한민 - 역관(譯官) 역(驛)
  • 박규점 - 어(語)의 역(驛)
  • 정호 - 조선군(朝鮮軍) 대구군영(大邱軍營) 군사(軍事), 김덕령 국문관(國文館) 역(驛)
  • 인성호 - 여주(驪州) 현감(縣監) 역(驛)
  • 유병선 - 여주(驪州) 아전(衙前) 역(驛)
  • 이윤상 - 동인(同人) 관리(管理) 역(驛)
  • 승주영 - 장계(狀啓) 관리(管理), 분조(分組) 관리(管理) 역(驛)
  • 서광재 - 파천(播遷) 반대(反對) 관리(管理), 분조(分組) 관리(管理) 역(驛)
  • 강문경 - 파천(播遷) 반대(反對) 관리(管理) 역(驛)
  • 류재필 - 작미법(作米法) 반대(反對) 양반(兩班) 역(役)
  • 이관영 - 작미법(作米法) 반대(反對) 양반(兩班) 역(役)
  • 안수호 - 하삼도(下三道) 탐관오리(貪官汚吏) 역(驛)
  • 최교식 - 하삼도(下三道) 백성(百姓) 역(驛)
  • 유금 - 하삼도(下三道) 백성(百姓) 아내 역(役)
  • 지성환 - 성혼(成渾) 하인(下人) 역(驛)
  • 박진수 - 이덕형 하인(下人) 역(驛)
  • 최영(崔瑩)도 - 한양(漢陽) 백성(百姓) 역(驛)
  • 최재섭 - 한양(漢陽) 백성(百姓) 역(驛)
  • 이재욱 - 평양(平壤) 백성(百姓) 역(驛)
  • 해선 - 평양(平壤) 백성(百姓) 역(驛)
  • 표철환(票鐵丸) - 평양(平壤) 백성(百姓) 역(驛)
  • 김찬이 - 저잣거리 백성(百姓) 역(驛)
  • 이낙준 - 경상(慶尙) 감영(監營) 무장(武裝) 백성(百姓), 김성일 호송(護送) 군관(軍官) 역(驛)
  • 곽자형 - 의병(義兵) 지원(支援) 백성(百姓) 역(驛)
  • 최윤준 - 파천(播遷) 반대(反對) 백성(百姓) 역(驛)
  • 김재흠 - 파천(播遷) 반대(反對) 백성(百姓) 역(驛)
  • 정기선(鄭基宣) - 파천(播遷) 반대(反對) 백성(百姓) 역(驛)
  • 고진명 - 행재소(行在所) 앞 백성(百姓) 역(驛)
  • 김연수 - 행재소(行在所) 앞 백성(百姓) 역(驛)
  • 오용택 - 부산진(釜山陣) 봉수대(烽燧臺) 군사(軍事) 역(驛)
  • 오경택 - 부산진(釜山陣) 봉수대(烽燧臺) 군사(軍事) 역(驛)
  • 강종인 - 부산진성(城) 젊은 군사(軍事) 역(驛)
  • 한태일 - 부산진성(城) 늙은 군사(軍事) 역(驛)
  • 김경록 - 부산진성(城) 어린 군사(軍事) 역(驛)
  • 김도하 - 이일 휘하(麾下) 군사(軍事) 역(驛)
  • 박찬서 - 탄금대(彈琴臺) 패잔병(敗殘兵) 역(驛)
  • 손지원 - 탄금대(彈琴臺) 패잔병(敗殘兵) 역(驛)
  • 조찬희 - 조선군(朝鮮軍) 대구군영(大邱軍營) 군사(軍事) 역(驛)
  • 이태윤 - 신각(神角) 휘하(麾下) 군사(軍事) 역(驛)
  • 곽두환 - 신각(神角) 휘하(麾下) 군사(軍事) 역(驛)
  • 김경민 - 유생(儒生) 역(役)
  • 안준형 - 유생(儒生) 역(役)
  • 원태윤 - 유생(儒生) 역(役)
  • 주부진(株不振) - 의병(義兵) 지원(支援) 백성(百姓) 어머니 역(役)
  • 심혜미 - 김공량 기생(妓生) 역(役)
  • 박종설 - 피난길(避難길) 노인(老人) 역(役)
  • 김봉수 - 고니시 습격(襲擊) 노인(老人) 역(役)
  • 지성근 - 국밥집 피난민(避難民) 역(驛)
  • 이성주 - 국밥집 피난민(避難民) 역(驛)
  • 이진화 - 일본(日本) 어(語)의 역(驛)
  • 엄태옥 - 부산포(釜山浦) 왜인(倭人) 역(驛)
  • 최현준 - 부산포(釜山浦) 왜인(倭人) 역(驛)
  • 백윤흠 - 쓰시마 필적위조(筆跡僞造) 왜인(倭人) 역(驛)
  • 장준호 - 쓰시마 관인위조(官印僞造) 왜인(倭人) 역(驛)
  • 이태형 - 탈영(脫營) 왜병(倭兵) 역(驛)
  • 김수연 - 탈영(脫營) 왜병(倭兵) 아내 역(役)
  • 김시라 - 나고야 기생(妓生) 역(役)
  • 서(鉏)한솔 - 나고야 기생(妓生) 역(役)
  • 김주영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본방(本放)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아래의 파란색(파란色) 숫자(數字) 는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이고, 빨간색(빨간色) 숫자(數字) 는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입니다. 시청률조사회사(視聽率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5년(年)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44] AGB 시청률(視聽率) [45]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회(回) 2월(月) 14일(日) 8.2% 8.2% 10.5% 9.8%
제(第)2회(回) 2월(月) 15일(日) 6.9% 7.6% 9.5% 9.2%
제(第)3회(回) 2월(月) 21일(日) 7.7% 8.6% 9.8% 8.9%
제(第)4회(回) 2월(月) 22일(日) 7.6% 8.3% 10.3% 9.5%
제(第)5회(回) 2월(月) 28일(日) 8.1% 8.8% 8.7% 8.0%
제(第)6회(回) 3월(月) 1일(日) 7.9% 8.4% 9.5% 9.1%
제(第)7회(回) 3월(月) 7일(日) 7.4% 7.7% 10.5% 10.9%
제(第)8회(回) 3월(月) 8일(日) 6.9% 7.6% 9.2% 9.3%
제(第)9회(回) 3월(月) 14일(日) 8.7% 9.0% 10.7% 10.9%
제(第)10회(回) 3월(月) 15일(日) 7.0% 7.5% 10.7% 10.0%
제(第)11회(回) 3월(月) 21일(日) 7.6% 7.7% 9.7% 9.2%
제(第)12회(回) 3월(月) 22일(日) 8.3% 8.9% 10.3% 10.2%
제(第)13회(回) 3월(月) 28일(日) 10.0% 10.9% 10.9% 11.0%
제(第)14회(回) 3월(月) 29일(日) 9.1% 9.4% 11.8% 11.7%
제(第)15회(回) 4월(月) 4일(日) 9.4% 8.8% 11.0% 10.7%
제(第)16회(回) 4월(月) 5일(日) 8.7% 8.8% 10.7% 10.6%
제(第)17회(回) 4월(月) 11일(日) 9.4% 9.1% 11.2% 11.4%
제(第)18회(回) 4월(月) 12일(日) 9.5% 10.0% 11.4% 11.1%
제(第)19회(回) 4월(月) 18일(日) 10.0% 9.1% 12.3% 12.3%
제(第)20회(回) 4월(月) 19일(日) 10.4% 10.7% 12.7% 12.3%
제(第)21회(回) 4월(月) 25일(日) 9.4% 9.2% 12.3% 11.6%
제(第)22회(回) 4월(月) 26일(日) 10.4% 10.5% 13.8% 13.8%
제(第)23회(回) 5월(月) 2일(日) 11.1% 12.3% 12.4% 12.3%
제(第)24회(回) 5월(月) 3일(日) 10.1% 10.4% 12.4% 11.0%
제(第)25회(回) 5월(月) 9일(日) 10.8% 10.7% 11.7% 11.4%
제(第)26회(回) 5월(月) 10일(日) 10.7% 11.1% 12.5% 12.1%
제(第)27회(回) 5월(月) 16일(日) 9.1% 9.2% 10.5% 10.6%
제(第)28회(回) 5월(月) 17일(日) 9.3% 9.2% 11.7% 11.9%
제(第)29회(回) 5월(月) 23일(日) 9.4% 9.6% 10.5% 10.5%
제(第)30회(回) 5월(月) 24일(日) 10.1% 10.4% 11.5% 11.8%
제(第)31회(回) 5월(月) 30일(日) 9.2% 9.0% 11.3% 11.3%
제(第)32회(回) 5월(月) 31일(日) 9.6% 9.6% 12.3% 12.3%
제(第)33회(回) 6월(月) 6일(日) 9.3% 9.1% 12.1% 12.1%
제(第)34회(回) 6월(月) 7일(日) 9.8% 10.7% 11.9% 10.9%
제(第)35회(回) 6월(月) 13일(日) 9.9% 9.2% 11.2% 11.2%
제(第)36회(回) 6월(月) 14일(日) 9.5% 10.3% 13.3% 13.1%
제(第)37회(回) 6월(月) 20일(日) 7.2% 7.8% 10.3% 10.9%
제(第)38회(回) 6월(月) 21일(日) 10.2% 10.8% 12.0% 11.6%
제(第)39회(回) 6월(月) 27일(日) 9.3% 9.8% 12.6% 12.7%
제(第)40회(回) 6월(月) 28일(日) 8.7% 9.3% 12.0% 12.5%
제(第)41회(回) 7월(月) 4일(日) 9.1% 9.9% 11.3% 11.8%
제(第)42회(回) 7월(月) 5일(日) 9.8% 10.0% 11.8% 11.9%
제(第)43회(回) 7월(月) 11일(日) 9.4% 9.3% 10.9% 10.4%
제(第)44회(回) 7월(月) 12일(日) 9.0% 9.0% 11.2% 11.0%
제(第)45회(回) 7월(月) 18일(日) 8.7% 9.0% 10.4% 10.1%
제(第)46회(回) 7월(月) 19일(日) 9.1% 9.2% 11.6% 11.5%
제(第)47회(回) 7월(月) 25일(日) 9.4% 9.7% 11.1% 10.5%
제(第)48회(回) 7월(月) 26일(日) 9.7% 10.9% 7.7%(오류(誤謬)) [46] [47] 7.2%(오류(誤謬))
제(第)49회(回) 8월(月) 1일(日) 9.5% 9.2% 10.5% 10.2%
제(第)50회(回) 8월(月) 2일(日) 10.1% 10.1% 12.3% 12.2%
평균(平均) 시청률(視聽率) 9.1% 9.5% 11.2%(오류(誤謬)) [48] 11.0%(오류(誤謬))

재방(再放)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AGB 시청률(視聽率) [45]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제(第)1회(回) 2018년(年) 4월(月) 9일(日) 1.6%
제(第)2회(回) 2018년(年) 4월(月) 10일(日) 1.7%
제(第)3회(回) 2018년(年) 4월(月) 11일(日) 1.6%
제(第)4회(回) 2018년(年) 4월(月) 12일(日) 1.8%
제(第)5회(回) 2018년(年) 4월(月) 13일(日) 1.1%
제(第)6회(回) 2018년(年) 4월(月) 16일(日) 1.7%
제(第)7회(回) 2018년(年) 4월(月) 17일(日) 1.4%
제(第)8회(回) 2018년(年) 4월(月) 18일(日) 1.6%
제(第)9회(回) 2018년(年) 4월(月) 23일(日) 2.4%
제(第)10회(回) 2018년(年) 4월(月) 24일(日) 1.8%
제(第)11회(回) 2018년(年) 4월(月) 25일(日) 1.6%
제(第)12회(回) 2018년(年) 5월(月) 1일(日) 2.3%
제(第)13회(回) 2018년(年) 5월(月) 2일(日) 1.5%
제(第)14회(回) 2018년(年) 5월(月) 3일(日) 2.2%
제(第)15회(回) 2018년(年) 5월(月) 4일(日) 1.9%
제(第)16회(回) 2018년(年) 5월(月) 7일(日) 2.2%
제(第)17회(回) 2018년(年) 5월(月) 8일(日) 1.8%
제(第)18회(回) 2018년(年) 5월(月) 10일(日) 1.3%
제(第)19회(回) 2018년(年) 5월(月) 11일(日) 1.9%
제(第)20회(回) 2018년(年) 5월(月) 14일(日) 2.1%
제(第)21회(回) 2018년(年) 5월(月) 15일(日) 1.6%
제(第)22회(回) 2018년(年) 5월(月) 16일(日) 2.8%
제(第)23회(回) 2018년(年) 5월(月) 21일(日) 2.4%
제(第)24회(回) 2018년(年) 5월(月) 23일(日) 2.1%
제(第)25회(回) 2018년(年) 5월(月) 24일(日) 1.9%
제(第)26회(回) 2018년(年) 6월(月) 15일(日) 1.9%
제(第)27회(回) 2018년(年) 6월(月) 18일(日) 1.8%
제(第)28회(回) 2018년(年) 6월(月) 19일(日) 1.5%
제(第)29회(回) 2018년(年) 6월(月) 20일(日) 1.7%
제(第)30회(回) 2018년(年) 6월(月) 21일(日) 2.0%
제(第)31회(回) 2018년(年) 6월(月) 22일(日) 1.7%
제(第)32회(回) 2018년(年) 6월(月) 26일(日) 2.1%
제(第)33회(回) 2018년(年) 6월(月) 27일(日) 1.8%
제(第)34회(回) 2018년(年) 6월(月) 28일(日) 2.0%
제(第)35회(回) 2018년(年) 6월(月) 29일(日) 1.8%
제(第)36회(回) 2018년(年) 7월(月) 2일(日) 2.2%
제(第)37회(回) 2018년(年) 7월(月) 3일(日) 2.0%
제(第)38회(回) 2018년(年) 7월(月) 4일(日) 2.1%
제(第)39회(回) 2018년(年) 7월(月) 5일(日) 1.9%
제(第)40회(回) 2018년(年) 7월(月) 6일(日) 1.7%
제(第)41회(回) 2018년(年) 7월(月) 9일(日) 1.6%
제(第)42회(回) 2018년(年) 7월(月) 10일(日) 1.9%
제(第)43회(回) 2018년(年) 7월(月) 11일(日) 1.9%
제(第)44회(回) 2018년(年) 7월(月) 12일(日) 1.6%
제(第)45회(回) 2018년(年) 7월(月) 13일(日) 1.8%
제(第)46회(回) 2018년(年) 7월(月) 16일(日) 2.5%
제(第)47회(回) 2018년(年) 7월(月) 17일(日) 2.0%
제(第)48회(回) 2018년(年) 7월(月) 18일(日) 1.8%
제(第)49회(回) 2018년(年) 7월(月) 19일(日) 2.3%
제(第)50회(回) 2018년(年) 7월(月) 24일(日) 2.3%

엔딩 다큐멘터리 [ 편집(編輯) ]

매주(每週) 일요일(日曜日) 방송분(放送分)(매 짝수(짝數) 화(禍))의 마지막 부분(部分)에서 드라마 징비록(懲毖錄) 배경(背景)의 관련(關聯)된 인물(人物)과 유적(遺跡)이나 시대적(時代的) 배경(背景)에 대(對)하여 간략(簡略)한 다큐멘터리 를 제작(製作)하여 방송(放送)한다.

  • 내레이션 : 박형욱
  • 제작(製作) : 미디어K

※ 유적(遺跡)의 주소(住所)는 행정동(行政洞)(법정리)을 기준(基準)으로 표시(標示). 유적(遺跡) 중(中)에 굵은 글씨 는 드라마에서 지도(地圖)와 찾아오는 길을 표시(標示).

※ 관련인물(關聯人物)의 청색(靑色) 은 '시호(諡號)(諡號) 또는 묘호(廟號)(廟號)', 적색(赤色) 은 '자(字)', 녹색(綠色) 은 '아호(雅號)(雅號) 또는 군호(軍號)(君號), 법호(法號)(法號)', , 흑색(黑色) 은 '휘(諱) 또는 이름(名), 법명(法名)(法名)'이다.

횟수(回數) 방송(放送)일 유형유산(類型遺産)(장소(場所)) 『기록(記錄)』/【무형(無形)】유산(遺産) 관련인물(關聯人物) 비고(備考)
1 2월(月) 15일(日) 병산서원(屛山書院) <존덕사(德士)>( 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풍천면 병산리)
봉생정(鳳笙情)(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시(聞慶市) 마성면 신현리)
수락대(水落臺)(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감천면 포리(捕吏))
하회마을 < 충효당 ,영모각(角)>(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옥연정사(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징비록(懲毖錄) (懲毖錄)』 문충공 이현(耳峴) 서애(西厓) 류성룡
(文忠公 而見 西厓 柳成龍)
2 2월(月) 22일(日) 목릉(穆陵) ( 경기도(京畿道) 구리시(九里市) 동구동 ) - 선조대왕(宣祖代王) 이연
(宣祖大王 李?)
3 3월(月) 0 1일(日) 학(學)봉종택 <운장각(韻長角)>(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서후면 금계리)
임천(林泉)서원 (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 송하동 )
학봉(鶴峯) 김성일 묘(墓), 학봉신도비(鶴峯神道碑)(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와룡면 서지리)
- 문충공 사순(四旬) 학봉(鶴峯) 김성일
(文忠公 士純 鶴峰 金誠一)
4 3월(月) 0 8일(日) 정송강사(社) ( 충청북도(忠淸北道) 진천군(鎭川郡) 문백면 봉죽리)
송강(松江) 정철(鄭澈) 생가(生家)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청운효자동(靑雲孝子洞) )
식영정 ( 전라남도(全羅南道) 담양군(潭陽郡) 가사문학면(歌辭文學面) 지곡리)
송강정 (전라남도(全羅南道) 담양군(潭陽郡) 고서면 원강리)
- 문청공 계함 송강(松江) 정철(鄭澈)
(文淸公 季涵 松江 鄭澈)
5 3월(月) 15일(日) 이산해 사당(祠堂) <아계(阿桂) 이산해 묘(墓), 신도비(神道碑)>( 충청남도(忠淸南道) 예산군(禮山郡) 대술면 방산리)
수당(手當) 기념관(記念館) [49] (충청남도(忠淸南道) 예산군(禮山郡) 대술면 상항리)
『이산해(李山海) 사당(祠堂) 친필(親筆)』 문충공 여수(麗水) 아계(阿桂) 이산해
(文忠公 汝受 鵝溪 李山海)
6 3월(月) 22일(日) 부산진지성(釜山鎭知性) <자성대공원(自省大公園), 진남대(鎭南臺)>(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동구(東區) 범일(梵日) 2동(棟) )
정공단(正工團) <전망비(展望費)>(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동구(東區) 좌천동 )
【정발장군(鄭撥將軍) 향사】
( 매년(每年) 5월(月) 초중순(初中旬) )
충장공 자고 백운 정발(淨髮)
(忠壯公 子固 白雲 鄭撥)
7 3월(月) 29일(日) 목멱산(木覓山) [50] 봉수대(烽燧臺) 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필동 ) - - (시설(施設) 유적(遺跡))
8 4월(月) 0 5일(日) 탄금대(彈琴臺) <열두대(臺), 위령탑(慰靈塔), 순절비(殉節費)>(충청북도(忠淸北道) 충주시(忠州市) 칠금(七擒)금릉동 ) - 충장공 입지(立地) 신립(申砬)
(忠壯公 立之 申砬)
9 4월(月) 12일(日) 이순신(李舜臣) 생가(生家) 터(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광희동 )
현충사(顯忠祠) <충무공(忠武公) 고택(古宅), 이순신(李舜臣) 기념관(記念館)>(충청남도(忠淸南道) 아산시(牙山市) 염치읍 백암리)
- 충무공(忠武公) 여해 ( 덕곡(德曲) ) 이순신(李舜臣)
(忠武公 汝諧 (德谷) 李舜臣)
10 4월(月) 19일(日) 곽재우생가(郭再祐生家) (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宜寧郡) 유곡면 세간리)
충익사(忠翊司) <의병박물관(義兵博物館)>(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宜寧郡) 의령읍 중동리)
정암진(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宜寧郡) 의령읍 정암리)
【의령(宜寧) 의병제전(義兵祭典)】
( 매년(每年) 4월(月) 하순(下旬) )
충익공(衝匿空) 계수(計數)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
(忠翼公 季綬 忘憂堂 郭再祐)
11 4월(月) 26일(日) 옥포대첩기념공원(記念公園) <효충사(效忠社),기념탑(記念塔)>(경상남도(慶尙南道) 거제시(巨濟市) 옥포동 ) - 충무공(忠武公) 여해 ( 덕곡(德曲) ) 이순신(李舜臣)
(忠武公 汝諧 (德谷) 李舜臣)
12 5월(月) 0 3일(日) 이치대첩지(理致大捷地) <충장사(忠壯祠), 대첩비(大捷碑)>(충청남도(忠淸南道) 금산군(錦山郡) 진산면 묵산리) 【이치대첩(理致大捷) 기념제(記念祭)】
( 매년(每年) 음력(陰曆) 7월(月) 경(頃) )
충장공 언신 만취당(晩翠堂) 권율(權慄)
(忠壯公 彦愼 晩翠堂 權慄)
13 0 5월(月) 10일(日) 모덕재 [51] (경기도(京畿道) 성남시(城南市) 수정구(壽井區) 복정동 )
월정사(月精寺) [52] (경기도(京畿道) 양주시(楊州市) 회천4동(棟) )
【임진란(壬辰亂) 7주갑(株甲) 기념식(記念式) [53]
( 60년(年) 마다 6월(月) 12일(日) )
문정공 자앙 오음(五音) 윤두수
(文靖公 子仰 梧陰 尹斗壽)
14 5월(月) 17일(日) 진주성(晉州城) <창렬사(窓烈士), 국립진주박물관(國立晉州博物館) >(경상남도(慶尙南道) 진주시(晋州市) 성북동(城北洞) ) 김시민 선무공신(宣武功臣) 교서(敎書) 충무공(忠武公) 면오(面晤) 김시민
(忠武公 勉吾 金時敏)
15 5월(月) 24일(日) 금당(金堂)실마을(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용문면 상(上)금곡리)
정충사 (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예천읍 고평리)
도정(道政)서원 <약포사당(葯胞祠堂)>(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호명면 황지리)
예천(醴泉) 충효관(忠孝館)(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감천면 포리(捕吏))
약포(葯胞) 정탁(鄭琢)의 묘(墓)(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풍산읍 오미리)
『신구차(新舊車)(伸救箚)』 정간공(停刊共) 자정(子正) 약포(葯胞) 정탁(鄭琢)
(貞簡公 子精 藥圃 鄭琢)
16 5월(月) 31일(日) 행주산성(幸州山城) <행주대첩(大捷) 기념관(記念館), 충장사(忠壯祠) , 행주대첩비(大捷非)>(경기도(京畿道) 고양시(高陽市) 덕양구(德陽區) 행주동 ) - 충장공 언신 만취당(晩翠堂) 권율(權慄)
(忠壯公 彦愼 晩翠堂 權慄)
17 6월(月) 0 7일(日) 진주성(晉州城)<촉석루(矗石樓), 의암(義菴)>(경상남도(慶尙南道) 진주시(晋州市) 성북동(城北洞))
정렬사 , 망화(網化)루 (전라남도(全羅南道) 나주시(羅州市) 성북동(城北洞) )
- 문(門)렬공 사중(四重) 건재(健在) 김천일
(文烈公 士重 健齋 金千鎰)
18 6월(月) 14일(日) 화산(火山)서원 [54] <백사 이항복(李恒福)의 묘(墓)>(경기도(京畿道) 포천시(抱川市) 가산면 방축리) - 문충공 자상(刺傷) 백사 이항복
(文忠公 子常 白沙 李恒福)
쌍(雙)송재 [55] <한음 이덕형(李德馨)의 묘(墓), 신도비(神道碑)>(경기도(京畿道) 양평군(楊平郡) 양서면 목왕리) - 문익공(門匿空) 명보(名寶) 한음 이덕형
(文翼公 明甫 漢陰 李德馨)
19 6월(月) 21일(日) 광해군 묘(墓) (경기도(京畿道) 남양주시(南楊州市) 진건읍 사능리)
선혜청(宣惠廳) 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 회현동 )
이현궁(梨峴宮) 터, 창덕궁(昌德宮)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종로(鍾路)1,2,3,4가동(街洞) )
경희궁(慶熙宮)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사직동(社稷洞)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광해군 이혼(離婚)
(光海君 李琿)
20 6월(月) 28일(日) 순천(順天) 왜성(矮星) (전라남도(全羅南道) 순천시(順天市) 해룡면 신성리)
웅천(熊川) 왜성(矮性) (경상남도(慶尙南道) 창원시(昌原市) 진해구(鎭海區) 웅동동 )
울산(蔚山) 왜성(矮星) (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중구(中區) 학성동 )
- - (시설(施設) 유적(遺跡))
21 7월(月) 0 5일(日) 갑사(甲紗) <표충원(票充員)>(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계룡면 중장리)
영규대사(靈圭大使) 비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 계룡면 월암리)
영규대사(靈圭大使) 묘(墓)(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 기허대사(基許臺詞) 영규
(騎虛大師 靈圭)
22 7월(月) 12일(日) 충현박물관(忠賢博物館) <관감당(管堪當), 오리 종택(宗宅)>, 오리 이원익(李元翼)의 묘(墓)(경기도(京畿道) 광명시(光明市) 소하(蕭何)2동(洞) ) 『오리집』 문충공 공려 오리 이원익
(文忠公 功勵 梧里 李元翼)
23 7월(月) 19일(日) 동묘공원(東廟公園) [56] <동관왕묘(東關王廟)>(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 숭인 2동(棟) )
만동묘(萬東廟) [57] <만동묘정비(萬東廟整備)>, 화양계곡(충청북도(忠淸北道) 괴산군(槐山郡) 청천면 화양리)
- - (시설(施設) 유적(遺跡))
24 7월(月) 26일(日) 진남관 (전라남도(全羅南道) 여수시(麗水市) 충무동 )
남해(南海) 충렬사(忠烈祠) <이순신(李舜臣) 가분묘(街墳墓)>(경상남도(慶尙南道) 남해군(南海郡) 설천면 노량리)
충무공(忠武公) 여해 ( 덕곡(德曲) ) 이순신(李舜臣)
(忠武公 汝諧 (德谷) 李舜臣)
25 8월(月) 0 2일(日) 병산서원(屛山書院) <존덕사(德士), 만대루>(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류성룡 묘소(墓所)(경상북도(慶尙北道) 안동시(安東市) 풍산읍 수리(修理))
문충공 이현(耳峴) 서애(西厓) 류성룡
(文忠公 而見 西厓 柳成龍)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 편집(編輯) ]

2015년(年) 6월(月) 15일(日) 디지털 음원(音源) 으로 Part 1과 Part 2로 나뉘어 총(總) 49곡(曲)이 발매(發賣)되었다.

각(各) 곡(曲)의 작곡가(作曲家)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韓國音樂著作權協會) 에 게시(揭示)된 정보(情報)를 참고(參考)하였다.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징비록(懲毖錄) OST Part 1
Various Artists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15년(年) 6월(月) 15일(日)
길이 1시간(時間) 12분(分) 52초(秒)
레이블 KBS Media
프로듀서 이창희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징비록(懲毖錄) OST Part 1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곡(作曲) 재생(再生) 시간(時間)
1. Jingbirok Title A Main Opening 이창희, 김준범 1:44
2. Jingbirok Tragic Nobility 여(餘)하경 2:21
3. Jingbirok The Castle 여(餘)하경 2:04
4. Jingbirok Hideyoshi 이창희, 여(餘)하경 3:01
5. Jingbirok Heart 4beat 최명희(崔明熙) 4:36
6. Jingbirok Title E Main Sub 이창희, 김준범 1:48
7. Jingbirok Tension Theme 김준범, 여(餘)하경 2:16
8. Jingbirok Loyal Subject 김서현 2:45
9. Jingbirok Title D Sad Bjg 이창희, 김준범 3:08
10. Jingbirok The Japanese 최명희(崔明熙) 5:07
11. Jingbirok Rush 김준범, 여(餘)하경 2:06
12. Jingbirok At War 최명희(崔明熙) 2:24
13. Jingbirok Sacrifice 최명희(崔明熙) 3:51
14. Jingbirok Battleship 김준범, 여(餘)하경 1:48
15. Jingbirok Honorable Man 여(餘)하경 3:16
16. Jingbirok Myung War 김서현 2:31
17. Jingbirok Incident 최재우 2:17
18. Jingbirok Madness 이창희, 여(餘)하경 2:10
19. Jingbirok Storing In Secrecy 이창희, 최명희(崔明熙) 2:52
20. Jingbirok Mow (War) 이창희, 김준범 3:19
21. Jingbirok Combat Alert 김준범, 여(餘)하경 2:43
22. Jingbirok Dispute 이창희, 김서현 2:31
23. Jingbirok Party Apparatus 김준범, 여(餘)하경 2:48
24. Jingbirok Heavy Tension 이창희, 김준범 2:21
25. Jingbirok Warmth 김서현 2:34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징비록(懲毖錄) OST Part 2
Various Artists 사운드트랙 음반(音盤)
발매일(發賣日) 2015년(年) 6월(月) 15일(日)
길이 1시간(時間) 13분(分) 24초(秒)
레이블 KBS Media
프로듀서 이창희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징비록(懲毖錄) OST Part 2 [ 편집(編輯) ]

# 제목(題目) 작곡(作曲) 편곡(編曲) 재생(再生) 시간(時間)
1. Jingbirok Great Work 최명희(崔明熙)   2:30
2. Jingbirok Title C (Tense) 이창희, 김준범   2:34
3. Jingbirok New World 최재우   3:20
4. Jingbirok Toyotom 이창희, 여(餘)하경   2:13
5. Jingbirok Golden Land 김준범, 여(餘)하경   3:01
6. Jingbirok Jingb Tension 김서현   2:24
7. Jingbirok Grief 김서현   2:46
8. Jingbirok Last Decision 최재우   2:01
9. Jingbirok Exercise Vigilance 이창희, 여(餘)하경   2:59
10. Jingbirok Vanity 이창희, 최명희(崔明熙)   3:51
11. Jingbirok Myung Tension 최명희(崔明熙)   2:22
12. Jingbirok Suspicion 최재우   2:25
13. Jingbirok The Battle 최명희(崔明熙)   3:38
14. Jingbirok Without Reason 김준범, 최명희(崔明熙)   4:11
15. Jingbirok The Enemy 김준범, 김서현   3:19
16. Jingbirok Fierce Attack 최명희(崔明熙) 최명희(崔明熙) 3:55
17. Jingbirok Bollergo (Tense) 이창희, 김준범   2:14
18. Jingbirok Dark Eyes 이창희, 여(餘)하경   3:05
19. Jingbirok Mu Mystery 이창희, 김준범   3:02
20. Jingbirok Resolve 김서현   2:48
21. Jingbirok Conspiracy 이창희, 최명희(崔明熙)   5:27
22. Jingbirok Thol (Mystery) 김준범   3:24
23. Jingbirok Japanese Talk 최명희(崔明熙)   1:31
24. Jingbirok Wounded Heart 김준범   4:15

수상(受賞)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정도전(鄭道傳)' 다음은 '류성룡'..KBS, '징비록(懲毖錄)' 내년(來年) 1월(月) 방송(放送)
  2. 조대현 KBS 사장(社長) "'징비록(懲毖錄)'부터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블랙아웃 없앤다"
  3. 김상중·김태우 ‘징비록(懲毖錄)’은?…‘하늘이 내린 재상(宰相)’과 ‘비운(悲運)의 왕(王)’ 그리다 News1 2014년(年) 12월(月) 29일(日) 자(者)
  4. 안진용 (2015년(年) 1월(月) 20일(日)). “KBS ‘징비록(懲毖錄)’ 작가(作家) 교체(交替)… 배경(背景) 관심(關心)”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17년(年) 8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전시(展示)의 최고군직(最高軍職)
  6. 정태우, '징비록(懲毖錄)' 합류(合流)..김상중 충신(忠臣)으로 연기호흡(演技呼吸)
  7. 주인(主人)이 얼굴을 보이지 않는 술집
  8. 한가림 ‘징비록(懲毖錄)’ 캐스팅, 유쾌(愉快) 발랄(潑剌) '동동 역(驛)' 뒤늦게 합류(合流)
  9. 정소영, '징비록(懲毖錄)' 합류(合流)..김상중 아내 인동장씨(張氏)役
  10. 이전(移轉) 문서(文書)에서는 대전내관(大田內棺), 윤환시(輪環視) 등(等)으로 기재(記載)되어 있었으나, 시각장애인전용(視覺障礙人專用) 방송(放送)과 다음 에서는 이정봉이라고 나와있었다.
  11. ‘징비록(懲毖錄)’ PD “국난(國難) 어떻게 극복(克服)했는지 다룰 것”
  12. 150214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징비록(懲毖錄) 티저1
  13. 남성진, '정도전(鄭道傳)' 이어 '징비록(懲毖錄)' 이덕형 캐스팅
  14. ‘징비록(懲毖錄)’ PD “국난(國難) 어떻게 극복(克服)했는지 다룰 것”
  15. 1593년(年)에 제수(祭需)
  16. 광해군
  17. 지조(志操)가 있으며, 조정대신(朝廷代身) 중(中) 중국어(中國語) 에 가장 능통(能通)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나라(明나라) 사신(使臣)으로 간다.
  18. 조선(朝鮮) 중기(中期) 팔문장계(八文章界) : 이이(李珥) , 송익필, 최립 , 하응림 , 최경창 , 이달 , 백광훈 , 이산해
  19. 충청(忠淸), 경상(慶尙), 전라도(全羅道) 군총사령관(軍總司令官)
  20. 지방(地方)의 변란(變亂)을 진압(鎭壓)하기 위해 중앙(中央)에서 보내는 군사령관(軍司令官)
  21. 행주대첩(大捷)
  22. 경상(輕傷) 감사(感謝)
  23. 정(情)3품(品) 절충장군(折衝將軍)
  24. 경상좌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경상좌도(낙동강(洛東江)을 경계(境界)로 경상도(慶尙道)의 우측(右側) 즉(卽), 지금(只今)의 안동(安東), 경주(慶州), 대구(大邱), 부산(釜山) 일대(一帶))의 육군(陸軍) 사령관(司令官)
  25. 전라좌도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1593년(年) 8월(月) 이후(以後)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 및 삼도수군통제사겸임(三道水軍統制使兼任). 1593년(年) 10월(月) 통제사(統制使)와 좌수사(左水使)를 겸하라는 정식(正式) 제수(祭需)(임명(任命))교지(校誌)를 받음
  26. 경상우도(慶尙右道)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27. 경상좌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경상좌도(낙동강(洛東江)을 경계(境界)로 경상도(慶尙道)의 우측(右側) 즉(卽), 지금(只今)의 안동(安東), 경주(慶州), 대구(大邱), 부산(釜山) 일대(一帶))의 육군(陸軍) 사령관(司令官)
  28. ‘징비록(懲毖錄)’ 3종(種) 포스터, 블록버스터급(級) 사극(史劇) 탄생(誕生) 예고(豫告)
  29. 당시(當時) 일본(日本)의 실질적(實質的)인 최고(最高) 권력자(權力者), 1591년(年)까지의 관직(官職)은 관백이었다
  30. 2014년생(年生) 아역(兒役) 배우(俳優)
  31. ‘구가(謳歌)의 서’ 손가영, 이번(이番)엔 ‘징비록(懲毖錄)’ 요도(尿道)役 캐스팅
  32. 친부(親父) 아자이 나가마사 (?井長政 천정장정(天井章程) )는 오다니 성(星) 전투(戰鬪)( 小谷城の?い )에서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郞 목하등길랑 )에 의(依)해 전사(戰死)하였고 혼노지(魂露地)의 변(便) (本能寺の?)으로 인(因)해 외백부(外伯父) 오다 노부나가 (織田信長 직전신장 ) 사후(事後) 양부(養父) 시바타 가쓰이에 (柴田勝家 시전승가(時前僧伽) )와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 우시(憂時)수길 )의 권력(權力) 다툼인 시즈가(街)타케 전투(戰鬪) (賤ヶ岳の?い)에서 히데요시가 승기(勝機)를 잡음(雜音)으로서 가쓰이에와 모친(母親) 이치(理致) (市 시(時) )는 자결(自決). 히데요시가 아자이 3자매(姊妹)인 자차(自車)(후(後)의 요도(尿道)), 하(下)쓰 (후(後)의 죠코인, 교고(膠固)쿠 다카쓰구 의 부인(否認)), 고우 (후(後)의 스겐인으로서 사지 가즈나리(리) , 도요토미 히데카쓰 , 도쿠가와 히데타다 의 부인(否認), 에도 막부(幕府) 초대(招待) 미(美)다이도코로 ) 등(等)을 거두고는 결국(結局) 자차(磁差)를 제(第)2정실(正室)로 들인다.
  33. 김리우, ‘징비록(懲毖錄)’ 합류(合流)..도요토미 히데요시 양아들(養아들) 역(逆)
  34. 이광기 '징비록(懲毖錄)' 출연(出演), 조선(朝鮮) 침략한(侵略限) 日 장수(長壽)役
  35. 조선측(朝鮮側) 장수(長壽): 고언백
  36. 실제(實際) 전투(戰鬪)에선 선봉장(先鋒將)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의 활약(活躍)이 컸다.
  37. 우현·이정용, '징비록(懲毖錄)' 캐스팅 확정(確定) '명품(名品) 조연(助演) 합류(合流)'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38. 2005년(年) 불멸(不滅)의 이순신(李舜臣) 이후(以後) 10여년(餘年) 만에 같은 배역(配役)을 하게 되었다.
  39. 다이라 우지/헤이시
  40. 실제로(實際로) 고바야카와는 본국(本國)에 돌아와 병(病)으로 사망(死亡)한다.
  41. 실제로(實際로) 데루모토는 고바야카와랑 함께 임진왜란(壬辰倭亂)에 대(對)한 공적(公的)으로 오대로(五大路) 중(中) 한명(名)이 되었다.
  42. 실제로(實際로) 히데카쓰는 조선(朝鮮)에서 병(病)으로 죽는다.
  43. 서윤아, '징비록(懲毖錄)' 명나라(明나라) 황제(皇帝) 애첩(愛妾) 역(逆)으로 합류(合流)
  44.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45.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 2015년(年) 2월(月) 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46. 닐슨코리아가 2015년(年) 7월(月) 26일(日)에는 KBS1 채널 전체(全體) 프로그램의 시청률(視聽率)을 모두 잘못 집계(集計)했다. 이에 대(對)해 KBS측(側)에서 강(剛)하게 이의(異議) 제기(提起)를 했고, 닐슨코리아는 이에 대(對)해 오류(誤謬)를 인정(認定)하고 사과(謝過)했지만 당일(當日) 자료(資料)가 폐기(廢棄)되 바로 잡지 못했다
  47. 닐슨코리아 KBS1채널 및 징비록시청률(懲毖錄視聽率) 오류인정(誤謬認定)
  48. 48회(回) 시청률(視聽率)이 오류(誤謬)이므로 드라마 전체(全體) 평균시청률도(平均視聽率度) 집계(集計)할 수 없다. 잘못된 기록(記錄)인 48회(回)를 포함(包含)해서 평균시청률울(平均視聽率蔚) 집계(集計)하는 것은, 오류(誤謬)를 발생(發生)시키는데다 타(他) 드라마하고도 형평(衡平)에 어긋난다. 그렇다고 특정(特定) 횟수(回數)를 빼고 평균시청률(平均視聽率)을 집계(集計)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이 드라마는 평균시청률울(平均視聽率蔚) 내는 작업자체(作業自體)가 오류(誤謬)가 나올 수 밖에 없다.
  49. 이산해(李山海)의 10대손(代孫) 수당(手當) 이남규(李南珪) 의 기념관(記念館)
  50. 지금(只今)의 남산(南山)
  51. 윤두수(尹斗壽)의 손자(孫子) 윤경지의 사당(祠堂)
  52. 윤두수(尹斗壽)의 동생 월정(月定) 윤근수 의 사당(祠堂)
  53. 2012년(年) 6월(月) 12일(日), 임진왜란(壬辰倭亂) 공신(功臣) 아홉 분을 모시기 위해 60년(年)마다 치르는 행사(行事)
  54.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사당(祠堂)
  55.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의 사당(祠堂)(영정각(影幀閣))
  56. 관우(關羽) 를 모신 사당(祠堂).
  57. 만력제(萬曆帝) 숭정제(崇禎帝) 를 모시기 위한 사당(祠堂).

경쟁(競爭) 프로그램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KBS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정도전
(2014년(年) 1월(月) 4일(日) ~ 2014년(年) 6월(月) 29일(日))
징비록(懲毖錄)
(2015년(年) 2월(月) 14일(日) ~ 2015년(年) 8월(月) 2일(日))
장영실(蔣英實)
(2016년(年) 1월(月) 2일(日) ~ 2016년(年) 3월(月) 26일(日))
UHD 명품역사관(名品歷史觀)
장영실(蔣英實)
(2017년(年) 8월(月) 30일(日) ~ 2017년(年) 10월(月) 23일(日))
징비록(懲毖錄)
(2018년(年) 4월(月) 9일(日) ~ 2018년(年) 7월(月) 24일(日))
폐지(廢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