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中浪區)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중랑구(中浪區)
중랑구청
중랑구청(重浪區廳)
기(基)
중랑구의 위치
중랑구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법정동(法定洞) 6개(個) 동(桐)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랑구(中浪區) 봉화산(烽火山)로 179 ( 신내동 )
단체장(團體長) 류경기 (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국회의원(國會議員) 갑(甲): 서영교(徐瑛敎) (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을: 박홍근(朴洪根) (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
지리
면적(面積) 18.51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385,638명(名) (2022 [1] 년(年))
세대(世代) 187,418세대(世代) (2022 [2] 년(年))
상징(象徵)
나무 느티나무
배꽃
까치
지역(地域) 부호(富豪)
웹사이트 https://www.jungnang.go.kr/portal/main.do

중랑구(中浪區) (中浪區)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동부(東部)에 위치(位置)한 자치구(自治區) 1988년(年) 1월(月) 1일(日) 부터 동대문구(東大門區) 에서 분리(分離)되었다. 동쪽(東쪽)은 경기도(京畿道) 구리시(九里市) , 서쪽(西쪽)은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동대문구(東大門區) , 남쪽(南쪽)은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광진구(廣津區) , 북쪽(北쪽)은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노원구(蘆原區) 등(等)과 인접(隣接)한다. [3]

지명(地名) 유래(由來) [ 편집(編輯) ]

동대문구(東大門區) 에서 분구(分區)할 때 분구(分區)의 기준(基準)이 되었던 중랑천(中浪川) 에서 이름을 따왔다. 다만 이 중랑천(中浪川) 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때 붙여진 이름이며, 원(元) 이름은 한천(寒天)(漢川)이다.

지리 [ 편집(編輯) ]

동쪽(東쪽)은 불암산(佛巖山) 에서 뻗어 내린 구릉산(丘陵山) (검암산), 망우산(忘憂山) , 용마산 등(等)의 산줄기(山줄기)가 발달(發達)해 있으며, 북쪽(北쪽)은 봉화산(烽火山) 일대(一帶)의 구릉지(丘陵地)가 있다. 서쪽(西쪽)으로 묵동천 면목천(面目千) 이 계곡(溪谷) 사이를 흘러 중랑천(中浪川) 에 합류(合流)되었으며, 다시 한강(漢江) 으로 유입(流入)된다. 그리고 면목천(面目千) 중랑천(中浪川) 이 만나는 지역(地域)은 상습(常習) 침수(沈水) 지역(地域)이었으며, 거의 대부분(大部分) 복개(覆蓋)되어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행정구역(行政區域)도

중랑구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은 16개(個) 행정동(行政洞)으로 관리(管理)되며, 면적(面積)은 18.51km 2 이다. 중랑구의 인구(人口)는 2012년(年) 12월(月) 31일(日) 을 기준(基準)으로 174,313세대(世代), 423,655명(名)이다. [7]

행정동(行政洞) 한자(漢字) 면적(面積) (km 2 ) 세대(世代) 인구(人口) (명(名))
면목본동(面目本洞) 面牧本洞 1.01 16,197 37,090
면목제(面目第)2동(棟) 面牧第2洞 0.73 12,019 28,404
면목제(面目第)3.8동(棟) 面牧第3.8洞 1.67 12,759 29,569
면목제(面目第)4동(棟) 面牧第4洞 1.11 9,803 22,634
면목제(面目第)5동(棟) 面牧第5洞 0.64 6,105 14,407
면목제(面目第)7동(棟) 面牧第7洞 0.87 10,673 25,877
상봉제(相逢第)1동(棟) 上鳳第1洞 0.85 9,276 25,826
상봉제(相逢第)2동(棟) 上鳳第2洞 0.68 9,225 18,758
중화제(中和劑)1동(棟) 中和第1洞 0.68 8,318 21,787
중화제(中和劑)2동(棟) 中和第2洞 0.98 14,498 31,005
묵제1동 墨第1洞 1.20 13,760 36,259
묵제2동 墨第2洞 0.70 8,476 20,267
망우본동(忘憂本洞) 忘憂本洞 2.88 14,681 34,992
망우제(忘憂制)3동(棟) 忘憂第3洞 0.99 8,298 19,400
신내1동(洞) 新內1洞 2.53 10,982 32,199
신내2동(洞) 新內2洞 0.99 9,243 25,181
중랑구(中浪區) 中浪區 18.51 174,313 423,655

인구(人口)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총인구(總人口)
1990년(年) 448,383명(名)
1995년(年) 439,802명(名)
2000년(年) 440,018명(名)
2005년(年) 412,380명(名)
2010년(年) 400,027명(名)
2015년(年) 403,237명(名)

문화(文化) [ 편집(編輯) ]

중랑천(中浪川)
자연공원(自然公園)
하천(河川)
문화재(文化財)
  • 보물(寶物) 제(第)1289호(號) 천순원년(天順元年) 이윤손 유서(遺書)(1998.12.18 지정(指定))와
  • 사적(史跡) 제(第) 455호(號) 아차산 일대(一帶) 보루군(堡壘軍)(2004.10.27 지정(指定))과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지정(指定) 기념물(記念物) 제(第)15호(號) 아차산(峨嵯山) 봉수대(烽燧臺) 터 (1993.11.30 지정(指定))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유형문화재(有形文化財) 제(第)95호(號) 충익공(衝匿空) 신경진(신경진) 묘역(墓域)(1995.1.15 지정(指定))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第)30호(號) 옹기장(甕器匠) 배요섭(2002.9.16 지정(指定))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第)34호(號) 봉화산도당굿(烽火山都堂굿)(2005.1.10 지정(指定))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유형(類型)우리문화재(文化財) 제(第)320호(號) 법(法)장사아미타쾌불도(阿彌陀快佛道) 및 복장유물(腹藏遺物)(2011.9.8. 지정(指定))

교육(敎育) 기관(機關) [ 편집(編輯) ]

사립대학교(私立大學校)
사립전문대학(私立專門大學)
고등학교(高等學校)
중학교(中學校)
초등학교(初等學校)

스포츠 [ 편집(編輯) ]

축구(蹴球)

교통(交通) [ 편집(編輯) ]

지하철(地下鐵) [ 편집(編輯) ]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 편집(編輯) ]

( 동대문구(東大門區) ) ← 중랑역(中浪驛) ~ 상봉역(相逢役) ~ 망우역 ~ 양원역(兩院驛) → ( 구리시(九里市) )
상봉역(相逢役) ~ 망우역 ~ 신내역(新內譯) → ( 구리시(九里市) )

서울교통공사(서울交通公社) [ 편집(編輯) ]

( 노원구(蘆原區) ) ← 봉화산역 ~ 신내역(新內譯)
( 노원구(蘆原區) ) ← 먹골역(驛) ~ 중화역 ~ 상봉역(相逢役) ~ 면목역(面目驛) ~ 사가정역 ~ 용마산역(役) → ( 광진구(廣津區) )

버스 [ 편집(編輯) ]

시내(市內)버스 [ 편집(編輯) ]

업체명(業體名) 대표자(代表者) 위 치
경성여객(京城旅客) 김종원
김정환(金正煥)
용마산로 380 ( 면목동(面牧洞) )
메트로버스 최윤준 신내역로(驛路) 25 ( 신내동 )
보광운수(寶光運輸) 신영식 신내역로(驛路) 25 ( 신내동 )
북부운수(北部運輸) 최윤준 면목(面目)로 230 ( 면목동(面牧洞) )

마을버스 [ 편집(編輯) ]

업체명(業體名) 대표자(代表者) 위 치
중랑운수(中浪運輸) 이경자 용마산로 94길 84 ( 면목동(面牧洞) )
금창운수 신현종 동일(同一)로 124길 76 ( 중화동 )

케이블 방송사(放送社) [ 편집(編輯) ]

자매(姊妹) 결연(結緣) & 우호(友好) 도시(都市) [ 편집(編輯) ]

구분(區分) 국가(國家) 도시(都市)
자매(姊妹) 결연(結緣)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전라남도(全羅南道) 해남군(海南郡)
미국의 기 미국(美國) 일리(一理)노이주(州) 시카고
우호(友好) 도시(都市) 일본의 기 일본(日本) 도쿄도(都) 메구로구

역대(歷代) 구청장(區廳長)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2년(年) 11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 “2022년(年) 11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3. 중랑천의 이름의 기원(起源)은 여러가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대동방여전도(大東方輿全圖)》에는 중량포(中梁浦)라는 지명(地名)이 있는데 발음(發音)이 변(變)하였다는 설(說)도 있으며, 대나무(竹)의 잎과 가지가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물결(浪)에 빗댄 죽랑을 소리 나는 대로 쓰다 보니 얻어진 이름이라는 설(說)도 있다.
  4. 법률(法律) 제(第)1172호(號)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도(道)·군(郡)·구의관할구역변경(管轄區域變更)에관한법률 ( 1962년(年) 11월(月) 21일(日) )
  5. 서울특별시조례(서울特別市條例) 제(第)492호(號)
  6.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송파구등(等)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制定) 1987년(年) 12월(月) 31일(日)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12367호(號))
  7. 《제(第)25회(回) 중랑통계연보(中浪統計年報) (2013)》. 중랑구청(重浪區廳). 2013. 9쪽, 21쪽.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