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존 거든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존 거든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존 거든
출생(出生) 1933년(年) 10월(月) 2일(日) ( 1933-10-02 ) (90세(歲))
영국(英國) 디펜홀
주요(主要) 업적(業績) 체세포(體細胞) 복제(複製)
수상(受賞)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2012년(年))
분야(分野) 발생학(發生學) 연구(硏究)
소속(所屬) 케임브리지대학교(大學校) 거든연구(硏究)소

존 거든 경(警)( 영어(英語) : Sir John Bertrand Gurdon , FRS , 1933년(年) 10월(月) 2일(日) ~ )은 영국(英國) 생물학자(生物學者) 이다. 영국(英國) 케임브리지 대학교(大學校) 를 졸업(卒業)하였으며, 2012년(年) 야마나카 신야(晨夜) 와 함께 노벨 생리학(生理學)·의학상(醫學賞) 을 공동(共同) 수상(受賞)하였다.

분화(分化)된 체세포(體細胞)를 reprogramming(리(리)프로그래밍) 시키기 [ 편집(編輯) ]

거든 교수(敎授)는 제노푸스 ( en:Xenopus , 개구리의 한 종류(種類)))를 사용(使用)하였는데, 이 동물(動物)은 cell tracing system을 사용(使用)하여 이식(移植)한 핵(核)으로부터 유래(由來)한 배아(胚芽) 세포(細胞)들을 구분(區分)할 수 있다는 큰 장점(長點)을 가지고 있었다. 자외선(紫外線)(UV)을 쬐어주어 난자(卵子)의 핵(核)을 제거(除去)한 뒤 올챙이의 소장(小腸) 상피(上皮)에서 분화(分化)된 세포(細胞)의 핵(核)을 이식(移植)시키자 몇몇의 올챙이들이 발생(發生)되었고 연속적(連續的)으로 핵(核)을 이식(移植)하자 효율(效率)이 더욱 높아졌다. 이 전략(戰略)을 사용(使用)하여, 거든 교수(敎授)는 많은 부분(部分)의 소장(所長) 상피(上皮) 세포(細胞)를 reprogramming해 보였다. 그는 분화(分化)된 체세포(體細胞)는 pluripotency를 다시 회복(回復)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가진다고 결론지었으며, 추가(追加) 실험(實驗)으로 어른 개구리에서 얻은 핵(核)과 배아(胚芽)의 분화(分化)된 세포(細胞)에서 얻은 핵(核)을 모두 사용(使用)해 올챙이를 발생(發生)시켰다. [1] [2]

핵(核) 이식(移植)을 통한 재(再)프로그래밍의 발전(發展) [ 편집(編輯) ]

거든 교수(敎授)의 발견(發見)으로 체세포(體細胞) 핵(核) 이식(移植) (SCNT,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을 중심(中心)으로 분화(分化)된 체세포(體細胞)의 reprogramming과 어떻게 세포(細胞)들이 분화(分化)되는 지를 연구(硏究)하는 새로운 분야(分野)가 생겨났다. 최초(最初)로 복제(複製)된 동물(動物)인 복제양(複製羊) 돌리 는 성체(聖體)의 포유류(哺乳類) 상피(上皮) 세포(細胞)에서 핵(核)이 제거(除去)된 양(量)의 난자(卵子)로 체세포(體細胞) 핵(核) 이식(移植)된 후(後) 태어났다. 이 실험(實驗)은 거든 교수(敎授)의 연구(硏究)에 근거(根據)하였으나 그 기술(技術)을 약간(若干) 변형(變形)하여 사용(使用)하였는데, 정지(停止) 상태(狀態)(quiescence, 휴면(休眠) 상태(狀態))에 돌입(突入)한 포유류(哺乳類)의 샘 상피세포(上皮細胞)를 사용(使用)하여 초기(初期) 발달(發達) 단계(段階)의 배아(胚芽)가 더 잘 synchronize(모든 세포(細胞)들이 같은 세포(細胞) 주기(週期)를 가지는 것)되게 만들었다. 복제양(複製羊) 돌리를 시작(始作)으로, 여러 가지 포유류(哺乳類)들의 clone을 만드는 데에 체세포(體細胞) 핵(核) 이식(移植)이 이용(利用)되고 있다. 쥐에서 면역계(免疫界)의 B세포(細胞)와 T세포(細胞)의 핵(核)을 이식(移植)한 실험(實驗)이 성공(成功)함으로써, 재배열(再配列)된 immunoglobulin 유전자(遺傳子)나 T-cell receptor 유전자(遺傳子) 역시(亦是) 쥐의 발달(發達)을 일으킬 수 있게 reprogrammed 될 수 있다는 사실(事實)이 밝혀졌다.

과학(科學)에 미친 영향(影響) [ 편집(編輯) ]

이미 분화(噴火) 가 끝난 체세포(體細胞) 에 UV( 자외선(紫外線) ) 처리(處理)를 통해 분화(分化)되기 이전(以前)의 상태(狀態)인 유도만능(誘導萬能)줄기세포(細胞) 로 역분화(逆分化)시킨다는 것은 세포학(細胞學)에 대(對)한 기존(旣存)의 견해(見解)를 뒤집는 획기적(劃期的)인 것이었다. 복제양(複製羊) 돌리 의 탄생(誕生) 이 후(後)에도, 여러 포유류(哺乳類)에게 이 실험(實驗) 방법(方法)이 시도(試圖)되었고, 일본(日本)의 야마나카 신야(晨夜) 는 거든이 기반(基盤)을 세운 역분화(逆分化)를 현실적(現實的)인 기술(技術)로 구현(具現)하여 체세포(體細胞) 로부터 유도만능(誘導萬能)줄기세포(細胞) 를 확립(確立)하는 새로운 분야(分野)를 개척(開拓)하였다. 유도만능(誘導萬能)줄기세포(細胞) 는 환자(患者) 자신(自身)의 체세포(體細胞) 를 이용(利用)하여 만들기 때문에 면역거부(免疫拒否) 반응(反應)이 없을 뿐 아니라 수정란(受精卵)에서 발생(發生)하고 있는 배아(胚芽)를 파괴(破壞)하여야만 얻을 수 있었던 배아(胚芽)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에서 비난(非難)받았던 윤리적(倫理的)인 문제(問題)도 해결(解決)해준다. 앞으로 이를 이용(利用)하여 환자(患者)에게 맞는 신약(新藥)을 개발(開發)하는 등(等) 맞춤형(型) 치료(治療)가 가능(可能)해질 수 있으며, 재생의학(再生醫學) 이나 난치병(難治病) 치료(治療) 등(等) 의료(醫療) 전반(全般)에 두루 유용(有用)하게 쓰이리라 기대(期待)되고 있다.

서훈(徐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1. Gurdon J B(1962). Developmental Capacity of Nuclei Takin from Intestinal Epithelium Cells of Feeding Tadpoles. J Embryol Exp Morph 10 : 622-640
  2. Gurdon JB, Uehlinger V(1966). Fertile intestine nuclei. Nature 210 : 1240-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