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조(兆)PD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조(兆)PD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조(兆)PD
Cho PD
기본(基本) 정보(情報)
본명(本名) 조중훈
출생(出生) 1976년(年) 1월(月) 27일(日) ( 1976-01-27 ) (48세(歲))
대한민국(大韓民國)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성별(性別) 남성(男性)
국적(國籍) 미국의 기 미국(美國)
직업(職業) 래퍼 , 작사가(作詞家) , 작곡가(作曲家) , 프로듀서
장르 , 힙합
활동(活動) 시기(時期) 1998년(年) ~ 현재(現在)
배우자(配偶者) 박주현(朴珠賢)
가족(家族) 2남(男)
소속사(所屬社) 초코 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조(兆)PD - 트위터

조(兆)PD (Cho PD, 본명(本名) 조중훈, 1976년(年) 1월(月) 27일(日) [1] ~ )는 대한민국(大韓民國) 래퍼 이다, 제작자(製作者), 매니지먼트 사업가(事業家)이다. 1998년(年) 10월(月) PC통신(通信) 을 통해 데뷔하였으며, 인터넷 가수(歌手)의 원조(援助)로 불린다.

학력(學歷) [ 편집(編輯) ]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초창기(草創期) [ 편집(編輯) ]

조(兆)PD(조중훈)는 1976년(年) 1월(月) 27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에서 패션 디자이너인 어머니 정영혜와 기업인(企業人)인 아버지 사이에서 1남(男) 1녀(女) 중(中) 첫째로 태어났으며, 15세(歲)때 한국(韓國) 에서 미국(美國) 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파슨스 디자인 스쿨 버클리 음악대학(音樂大學) (Berklee College of Music)을 다녔다. 이미 중학교(中學校) 시절(時節) 친구(親舊)와 락(落) 밴드를 할 정도(程度)로 음악(音樂)에 관심(關心)이 있었던 그는, 고등학교(高等學校) 시절(時節) 미국(美國)에서 생활(生活)하면서 친구(親舊)의 영향(影響)으로 Naughty by Nature 를 접(接)하면서 힙합에 관심(關心)을 가지게 되었다. [2] 음악적(音樂的)으로 주목(注目)을 받기 시작(始作)한 것은, 대학교(大學校) 1학년(學年)이었던 1998년(年) 10월(月), PC통신(通信) 나우누리 신인가수방(新人歌手房)에 친구(親舊)의 권유(勸誘)로 올린 MP3 음악(音樂) 파일이 인기(人氣)를 끌면서부터이다. [3] 그 중(中)〈Break Free〉라는 곡(曲)은 남성(男性) 성기(性器)를 상징(象徵)하는 욕설(辱說)이 들어있는 충격적(衝擊的)인 가사(歌詞)로 "청소년(靑少年) 유해(有害) 매체물(媒體物)"로 선정(選定)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으며, 그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게 만들었다. 그러던 중(中) 그는 수많은 기획사(奇劃社)의 섭외(涉外)를 물리치고 자신(自身)의 레이블 Stardom 을 설립(設立), 제작자(製作者)를 겸업(兼業)하였다.

정식(正式) 데뷔 [ 편집(編輯) ]

그의 정식(正式) 데뷔는 1999년(年) 1월(月) 앨범 In Stardom 으로 이루어졌다. 이 앨범은 최초(最初)로 "청소년(靑少年) 유해(有害) 매체물(媒體物)" 판정(判定)을 받고도 500,000장(張) 이상(以上)이 팔리는 인기(人氣)를 얻었으며 [4] 이러한 특징(特徵)으로 공중파(空中波) 9시(時) 뉴스에 연일(連日) 보도(報道)되기도 하였다. 1999년(年) 8월(月)에 발표(發表)한 2집(輯)은 1집(輯)에 이어 판매(販賣) 1위(位)에 등극(登極), 신드롬을 이어가며 싸이 , 이정현(李貞鉉) 등(等)의 스타를 배출(輩出)하였다. 또한 "얼굴 없는 가수(歌手)"로 불리던 조(兆)PD가 자신(自身)의 얼굴을 공개(公開)한 시기(時期)이기도 하다.

2001년(年) 그는 새로운 회사명인(會社名人) Future Flow 사옥(社屋)을 준공(竣工)하고 작업실(作業室)과 스튜디오 숙소(宿所)를 겸한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자신(自身)의 4집(輯)을 발표(發表)하고 처음으로 TV 라이브 무대(舞臺)에 나가기도 하였다. [5] 이외(以外)에도 제작자(製作者)로써 Ra.D , DNS 등(等)의 음반(音盤)을 제작(製作)하며 경영(經營)에 전념(專念)하였으나, 돌연(突然) 대표직(代表職)을 사임(辭任)하였다. 이후(以後) 조(兆)PD는 대주주(大株主)로서의 지분(持分)과 경영권(經營權)은 유지(維持)하였으나 운영(運營)은 정원관 에게 맡긴 후(後) 스튜디오로 돌아간다. 이러한 결과(結果)로 발표(發表)된 타이틀곡(曲) 〈친구(親舊)여〉는 인순이 와 함께 작업(作業)한 곡(曲)으로, 공중파(空中波) 가요(歌謠) 프로그램에서 1위(位)를 기록(記錄)하는 등(等) 큰 인기(人氣)를 얻으며 선후배(先後輩) 간(間)의 공동(共同) 작업(作業) 신드롬을 낳기도 하였다. 2005년(年) 그는 클럽 Brooklyn을 잠시(暫時) 운영(運營)하였으며, [6] Brown Eyed Girls 의 디지털 싱글 Hold The Line 참여(參與) 이후(以後) 노출(露出)을 자제(自制)하면서 사실상(事實上) 은퇴(隱退) 행보(行步)를 보였다.

컴백과 브랜뉴 스타덤 [ 편집(編輯) ]

2004년(年) 8월(月), 산업기능요원(産業技能要員) 으로 군(軍)에 입대(入隊)했고, 2006년(年) 6월(月), 기초군사훈련(基礎軍事訓鍊) 수료(修了), 2007년(年) 10월(月)까지 방위산업체(防衛産業體)에서 근무(勤務)하다가 소집(召集) 해제(解除)하였다. 이 기간(期間) 중(中) 2005년(年) 1월(月), 초등학교(初等學校) 동창(同窓) 박주현(朴珠賢)과 결혼(結婚)하였으며, 2006년(年) 1월(月), 첫째 아들을 득남(得男)하였다. 2007년(年) 10월(月), 정규(正規) 6집(輯) 《Money Talks》로 3년(年)만에 활동(活動)을 재개(再開)하였고, 2010년(年) 4월(月) 둘째 아들을 득남(得男)하였다. 이처럼 개인사(個人事)에 충실(忠實)해 온 그는 2009년(年) 9월(月) Brand New Production 을 운영(運營)하고 있던 Rhymer 와 의기투합(意氣投合), Brand New Stardom 을 투자(投資) 및 설립(設立)하였으며, 애초(애初)엔 Rhymer 등(等)에게 경영(經營)을 맡겼으나 곧 해임(解任)하고 본인(本人)이 직접(直接) 경영(經營)하였다. 이후(以後) 2월(月) 싱글 앨범 <보란듯이>와 함께 가요계(歌謠界)에도 컴백하였으며, 그에 이어 EP앨범을 3월(月) 발표(發表)하였다. 이어 4월(月), 과거(過去) 디스전(展)에 휘말린 바 있는 Verbal Jint 와 함께 듀엣 앨범을 발표(發表)하고 발매(發賣) 기념(記念) 콘서트를 개최(開催)하였으며, 7월(月) Brown Eyed Girls와 싱글 《랄라랜드》를 발표(發表), 간(間)만에 왕성(旺盛)한 활동(活動)을 선보였다.

이후(以後) 정슬기 , Miss $ 등(等) 소속(所屬) 가수(歌手) 앨범 출시(出市)와 그가 투자(投資)하고 CEO 직(職)을 수행중(遂行中)인 소프트웨어 회사(會社) 포(抛)비커 등(等) 사업(事業)에 충실(充實) 하면서 당초(當初) 계획(計劃)했던 11월(月) 마지막 정규(正規) 앨범 발표(發表)는 연기(延期)되었으며, 대신(代身) Brand New Stardom의 대표(代表)로 Block B 의 활동(活動)에 더욱 매진(邁進)하였다. 그의 정규(正規) 앨범은 7월(月)에 들어서야 베일을 벗었으며 Art & Business 라는 제목(題目)으로 더블 앨범으로 10월(月) 출시(出市)되었다. [7] 2012년(年) 7월(月), 갑작스런 교통사고(交通事故)를 당(當)하여 5인조(人組) 걸 그룹 EvoL 의 데뷔에 차질(蹉跌)이 있는 것이 아닌가 우려(憂慮)를 사기도 하였으나 예정(豫定)대로 데뷔 계획(計劃)을 진행(進行)할 것이라고 밝혔다. [8]

스타덤 출범(出帆) [ 편집(編輯) ]

2012년(年) Brand New Stardom은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로 상호명(商號名)을 변경(變更)하면서 과거(過去) 조(兆)PD의 레이블 Stardom을 직접(直接) 계승(繼承)하는 레이블로 거듭났다. 2013년(年) 들어서는 Block B가 활동(活動)에 대(對)한 제대로 된 지원(支援)을 받지 못해 전속(專屬) 계약(契約) 무효(無效)를 요청(要請)하였고, 이에 따라 8개월(個月) 간(間)의 법정(法廷) 분쟁(紛爭)이 이어졌다. 이 분쟁(紛爭)은 2013년(年) 8월(月) 말(末) Block B의 전속권(專屬權)이 새로운 소속사(所屬社) 세븐시즌스로 이양(移讓)되고 스타덤 역시(亦是) Block B의 향후(向後) 활동(活動)을 적극(積極) 지지(支持), 지원(支援)하기로 하면서 마무리되었다. [9]

한편(한便) 오랫동안 후배(後輩) 가수(歌手) 프로듀싱에 전념(專念)하여 자신(自身)의 음악(音樂) 활동(活動)은 잠잠(潛潛)하였던 조(曺)PD는 2013년(年) 8월(月) 새 앨범 발표(發表)를 앞두고 있음을 밝혔다. 앨범은 미니 앨범으로 그에게는 2년(年) 만의 신작(新作)이자 9년(年) 만의 스튜디오 앨범이었다. [10] 앨범 활동(活動) 마무리 후(後)에는 다시 후배(後輩) 양성(養成)에 힘을 쏟아, 스타덤 엔터테인먼트의 새 얼굴인 13인조(人組) 그룹 Topp Dogg 을 출범(出帆)시켰다. 2015년(年)에는 스타덤이 후(後)너스에 인수(引受) 합병(合倂)되었다.

음반(音盤) [ 편집(編輯) ]

정규(正規) 앨범 [ 편집(編輯) ]

  • 1998년(年) 1집(輯) In Stardom
  • 1999년(年) 2집(輯) In Stardom Version 2.0
  • 2000년(年) 3집(輯) ChoPD.NET/Best in East
  • 2001년(年) 4집(輯) Stardom In Future Flow
  • 2004년(年) 5집(輯) (Part.1) Great Expectation - Pt. 1 : Politics & Social Change
  • 2004년(年) 5집(輯) (Part.2) Great Expectation - Pt. 2 : Love & Life
  • 2007년(年) 6집(輯) Money Talks
  • 2011년(年) 7집(輯) Art & Business pt.1 "State of the Art"
  • 2011년(年) 7집(輯) Art & Business pt.2 "Art of Business"

비정규(非正規) 앨범 [ 편집(編輯) ]

  • 2010년(年) 디지털 싱글 〈보란듯이〉
  • 2010년(年) EP Victory
  • 2013년(年) EP In Stardom V3.0
  • 2015년(年) EP 《황금(黃金)알을 낳는 거위 Part 1》

프로젝트 앨범 [ 편집(編輯) ]

  • 2004년(年) 싱글앨범 〈二色英雄新聞〉 with 김장훈
  • 2006년(年) 디지털 싱글 Hold The Line with Brown Eyed Girls
  • 2007년(年) 프로젝트 앨범 《The Return of Prodigal Son - 돌아온 탕아(蕩兒)》 with 최정철
  • 2008년(年) 프로젝트 앨범 PDIS with 윤일상
  • 2008년(年) 프로젝트 앨범 Soulmate Remix Project with Postino
  • 2008년(年) 프로젝트 앨범 JoPD+Park Mi Kyung with 박미경
  • 2010년(年) 프로젝트 앨범 2 The Hard Way with Verbal Jint
  • 2010년(年) 디지털 싱글 〈랄라랜드〉 with Brown Eyed Girls ( 제아 , 나르샤 )

라이브 앨범 [ 편집(編輯) ]

  • 2000년(年) 《2000 조(兆)PD Live》

합동(合同) 앨범 작업(作業) [ 편집(編輯) ]

김장훈 과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04년(年) 조(兆)PD는 김장훈과 함께 이색영웅신문(異色英雄新聞) 이란 앨범을 발표(發表)하였다. 이 앨범은 공중파(空中波) 활동(活動)을 하지는 않았으나 어느 정도(程度)의 이슈가 되었다. 타이틀은 고속도로(高速道路) 로망스 였으며, 앨범에는 다섯 곡(曲)이 담겨있었고, 실제로(實際로) 조(條)PD의 목소리가 실린 곡(曲)은 Remix까지 합쳐 세 곡(曲)이었다.

Brown Eyed Girls 와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06년(年) 조(兆)PD는 Brown Eyed Girls와 함께 디지털 싱글을 낸 바 있다. 이 앨범은 유리(有利) 이재훈 의 컴백으로도 관심(關心)을 모았으며, 타이틀곡(曲)인 Hold the Line 은 대중적(大衆的)인 성공(成功)을 거두었다. 이 앨범에는 두 곡(曲)이 더 실려있다. 이후(以後) 2010년(年) 조(兆)PD와 Brown Eyed Girls는 《랄라랜드》라는 이름의 디지털 싱글을 하나 더 발표(發表)하였다.

최정철과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07년(年) 9월(月) 조(兆)PD와 최정철은 합동(合同) 작업(作業)으로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 돌아온 탕아(蕩兒) 란 제목(題目)의 디지털 싱글을 발표(發表)하였다. 이 앨범에는 초심(初心)으로 를 비롯한 세 트랙이 담겨있다.

윤일상 과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08년(年) 2월(月) 조(條)PD는 유명(有名) 대중작곡가(對中作曲家) 윤일상과 PDIS 란 그룹으로 앨범 PDIS 를 발표(發表)하였다. 조(兆)PD와 윤일상과의 인연(因緣)은 Brown Eyed Girls와의 작업(作業)때 시작(始作)된 것으로, PDIS 앨범은 힙합을 기본(基本)으로 타(他) 장르와 크로스오버 를 시도(試圖)한 앨범이다. 처음부터 주현미 의 참여(參與)로 힙합과 트로트의 어울림으로 관심(關心)을 모았던 이 앨범은, May Dani 를 내세워 끌려 를 타이틀곡(曲)으로 활동(活動)하였다.

Postino와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08년(年) 4월(月) 조(兆)PD는, PDIS를 결성(結成)함에 이어 신승훈 , 윤종신 등(等)의 앨범에 참여(參與)한 바 있는 프로듀서 Postino와 손을 잡고 앨범 Soulmate Remix Project 를 발표(發表)하였다. 일렉트로니카 성향(性向)을 띠는 이 앨범에서, 조(組)PD는 랩 외(外)에도 자신(自身)의 보컬의 비중(比重)을 늘였다. 대표곡(代表曲)은 시간(時間)이 약(藥)이 된다고 (J'gruv Mix) 이다. 앨범 제작(製作) 당시(當時) Postino는 영국(英國) 에서 유학(留學) 중(中)이어서 온라인으로 작업(作業)이 이루어졌다.

박미경 과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08년(年) 9월(月)에 발표(發表)된 조(組)PD의 새로운 프로젝트 PDP 박미경 과의 프로젝트 그룹이었다. 이미 2004년(年) 말(末)에 녹음(錄音)을 마친 상태(狀態)였으나, 서로의 마음에 100% 들지 않는다는 판단(判斷) 하(下)에 발표계획(發表計劃)을 무산(霧散)하고 [11] , 2008년(年)에야 빛을 본 것이다. 앨범은 12인치 싱글로 가질 수 없는 너 가 타이틀이다. 곡(曲)에는 언타이틀 의 멤버 출신(出身) 작곡가(作曲家) 유건형 보코더 세션과 편곡(編曲) , 멜로디 작업(作業) 등(等)으로 참여(參與)하였다.

Verbal Jint 와의 작업(作業) [ 편집(編輯) ]

2010년(年) 조(兆)PD는 컴백과 함께 Verbal Jint와 합동(合同) 앨범 및 공연(公演) 계획(計劃)을 밝혔다. 이는 특히(特히)나 〈노자(老子)〉를 통해 조(兆)PD를 디스 한 경력(經歷)이 있는 Verbal Jint와의 작업(作業)이라 많은 이슈를 낳았다. Brand New Stardom 에서 기획(企劃)한 이 앨범은 4월(月) 15일(日) 발매(發賣)되었다.

이슈 [ 편집(編輯) ]

4WD & Verbal Jint의 디스 [ 편집(編輯) ]

4WD 와 Verbal Jint는 2000년(年) 조(兆)PD와 DJ Uzi를 향(向)한 디스곡(曲) 노자(路資) 를 발표(發表), 이현도 의 "흑열가(黑熱價)", DJ Uzi의 "Uzi's Mind" 등(等)의 가사(歌詞)를 패러디하면서 노골적(露骨的)으로 조(組)PD와 DJ Uzi를 디스하였다. 이 곡(曲)에는 Lucy가 보컬을 담당(擔當)하였으며, 그 당시(當時) 생소(生疏)했던 다음절(多音節) 라임을 선보여 많은 호응(呼應)을 얻었다. Verbal Jint가 속(屬)해있던 3인조(人組) 그룹 Dien Michel Movin' It 이라는 곡(哭)에도 "get out Uzi!"라는 가사(歌詞)가 들어있다.

조(兆)PD는 직접(直接) 반격(反擊)하지 않았으나, DJ Uzi 가 반격곡(反擊曲)으로 不以兵强天下 라는 곡(曲)을 발표(發表)하였다. " 졸개(卒개)로는 천하(天下)를 강(剛)하게 만들 수 없다 "라는 뜻의 제목(題目)을 가진 이 곡(曲)은, DJ Uzi 외(外)에 Deze , 현상(現象) 등(等)이 참여(參與)하였다. 셋이 모두 Soul Train 출신(出身)인 관계(關係)로, 이 디스전(戰)은 SNP 와 Soul Train의 싸움으로 비춰지기도 하였다. Verbal Jint는 2008년(年) Rhythmer 와의 인터뷰에서 여전히(如前히) DJ Uzi에 대(對)해서 완전히(完全히) 좋게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2010년(年)에 들어서 Verbal Jint는 조(兆)PD와 합동(合同) 앨범 제작(製作)을 제안(提案) 받아 EP 2 The Hard Way 를 작업(作業), 상호(相互) 관계(關係)를 디스 상대(相對)에서 파트너로 전이(轉移)시켰으며, 합동(合同) 콘서트를 여는 것은 물론(勿論), 조(兆)PD의 레이블 Brand New Stardom의 멤버로 활동(活動)하기도 하였다. 한편(한便), 조(兆)PD는 2013년(年) 한 인터뷰에서 디스전(展) 당시(當時) 3집(輯) 준비(準備) 등(等)의 일로 바빠서 디스곡(曲)을 못 들어봤으며, 아직도 제대로 들어보지 못 했다고 밝혀 팬들을 놀라게 하기도 하였다.

Digital Masta와의 갈등(葛藤) 의혹(疑惑) [ 편집(編輯) ]

DNS 가 해체(解體)할 무렵 힙합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Digital Masta 와 조(兆)PD 사이의 갈등(葛藤)이 컸다는 소문(所聞)이 돌았는데, 즉(卽) 팀 활동(活動) 및 실적(實績) 부진(不振)을 Digital Masta는 회사(會社) 측(側)에 조(兆)PD는 Digital Masta에게 물었다는 것이었다. 이 소문(所聞)을 근거(根據)로 대다수(大多數)의 팬들은 Future Flow에서 Digital Masta가 처음 탈퇴(脫退)하고, 조(組)PD가 책임(責任)을 지고 나가면서 Future Flow가 와해(瓦解)된 것으로 보았다. 이후(以後) 주석(主席) 2집(輯) The Answer 라는 곡(曲)에 둘이 동시(同時)에 참여(參與)했는데, 이 곡(曲)의 조(兆)PD 가사(歌詞)가 과거(過去) Digital Masta와의 갈등(葛藤) 상황(狀況)과 묘(妙)하게 맞아 떨어져 조(組)PD가 DM을 디스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論難)이 있었으며, 현재(現在)까지도 풀리지 않은 의문(疑問)으로 남아있다. 이 외(外)에도 2004년(年) 발표(發表)한 조(組)PD 5집(輯) 〈비밀일기(祕密日記)〉라는 곡(曲)의 가사(歌詞) 중(中) " 나 얼마 지나 마련한 미국(美國) 개 한마리, 집 나가더니 어느날 뒤돌아 보니 주인(主人)인 나를 무네 "도(道) DM을 향(向)한 비난(非難)이라는 의견(意見)이 많았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수상(受賞) 내역(內譯)
1999년(年)
2002년(年)
  • 제(第)13회(回) 《서울가요대상(歌謠大賞)》 본상(本賞) (My Style)
  • 제(第)17회(回) 《대한민국(大韓民國) 영상음반대상(映像音盤大賞)》 골든디스크 부문(部門) 본상(本賞) (My Style)
  • 제(第)17회(回) 《대한민국(大韓民國) 영상음반대상(映像音盤大賞)》 골든비디오 부문(部門) 대상(對象) (My Style)
  • 제(第)4회(回) 《Mnet Music Video Festival》 최우수(最優秀) 작품상(作品賞) (My Style)
  • SBS 가요대전(歌謠大戰) 》 본상(本賞) (My Style)
  • MBC 10대(代) 가수(歌手) 가요제(歌謠祭) 》 본상(本賞) (My Style)
2004년(年)
  • 제(第)15회(回) 《서울가요대상(歌謠大賞)》 본상(本賞) (친구(親舊)여)
  • 제(第)19회(回) 《대한민국(大韓民國) 영상음반대상(映像音盤大賞)》 골든디스크 부문(部門) 본상(本賞) (친구(親舊)여)
  • 제(第)6회(回) 《Mnet/KM Music Video Festival》 힙합 부문상(部門賞) (친구(親舊)여)
2005년(年)
  • 제(第)2회(回) 《 한국대중음악상(韓國大衆音樂上) 》 종합분야(綜合分野) - 올해의 노래 (친구(親舊)여)
  • 제(第)7회(回) 《Mnet/KM Music Video Festival》 심사위원(審査委員) 특별상(特別賞) (나의 옛날 이야기)
2006년(年)
  • 제(第)1회(回) 《Digital Music Awards》 (Hold The Line)
2007년(年)
2010년(年)
  • 제(第)2회(回) 《 Melon Music Awards 》 TOP 10상(床) (보란듯이)
  • 제(第)25회(回) 《골든 디스크》 디지털 음원(音源) 부문(部門) 본상(本賞) (보란듯이)
2011년(年)
  • 제(第)20회(回) 《서울가요대상(歌謠大賞)》 본상(本賞) (보란듯이)
  • 제(第)3회(回) 《Melon Music Awards》 Special상(賞) (랩/힙합 부문(部門) - Family Man)

가요(歌謠) 프로그램 1위(位)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수상(受賞) 내역(內譯)(총(銃) 5회(回))
2004년(年)(총(銃) 5회(回))

관련(關聯)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김영애 : 조(兆)PD 여동생(女同生) 조고(祖考)은 의 시모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네이버 인물(人物) - 조(兆)PD
  2. "Music Salon - 조(兆)PD", Bluc, HIPHOPLE Music Salon, 2013년(年) 9월(月) 11일(日)
  3. “힙합플레이야 조(兆)PD 프로필. 원 출처(出處) MOVIEWEEK” . 2011년(年) 10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12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조(朝)PD 음반(音盤) `청소년(靑少年) 유해판정(有害判定)' 둘러싸고 논란(論難)", 이희용 기자(記者), 연합뉴스(聯合뉴스), 1999년(年) 3월(月) 17일(日)
  5. "조(朝)PD 첫 방송출연(放送出演)…m·net ‘쇼킹 m’서 얼굴공개(公開)", 국민일보(國民日報), 2002년(年) 2월(月) 1일(日)
  6. "래퍼 조(兆)PD, 힙합클럽 사장(社長)된다", 이은정 기자(記者), 연합뉴스(聯合뉴스), 2005년(年) 5월(月) 10일(日)
  7. "조(朝)PD, 7번째(番째) 정규(正規)앨범 베일을 벗다", 힙합플레이야, 2011년(年) 7월(月) 26일(日)
  8. "조(朝)PD, 고속도로(高速道路) 교통(交通) 사고(事故)…걸 그룹 ‘이블 데뷔 ‘비상(非常)’?!", 류수운(流水韻) 기자(記者), NSP통신(通信), 2012년(年) 7월(月) 9일(日)
  9. "블락비(非) 데뷔후(後) 정산내역(精算內譯) 보니, 수입(輸入) 33만(萬)원vs지출(支出) 8천만(千萬)원", 전원(電源), 뉴스엔, 2013년(年) 3월(月) 5일(日)
  10. " ‘힙합대부(代父)’ 조(兆)PD, 새 앨범 ‘In Stardom V3.0’로 2년(年) 만에 컴백", 곽민구, 경제(經濟)투데이, 2013년(年) 8월(月) 30일(日)” . 2014년(年) 1월(月) 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9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PDP 멜론 설명(說明)글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