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
첫 방송터 기념비
첫 방송(放送)터 기념비(記念碑)
방송국(放送局) 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
방송위치(放送位置) 일본 제국 일본(日本) 제국(帝國) 조선(朝鮮) 경기도(京畿道) 경성부(京城府) 서대문구(西大門區) 정동정(鄭) 1-10
(현재(現在)의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정동(貞洞) 1)
방송지역(放送地域) 경성부(京城府)
주파수(周波數) AM 817kHz
개국일(個國日) 1927년(年) 2월(月) 16일(日)
폐국일 1948년(年) 8월(月) 5일(日)
방송언어(放送言語) 일본어(日本語) (제(第)1방송(放送))
한국어(韓國語) (제(第)2방송(放送))
호출부호(呼出符號) JODK

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 (朝鮮放送協會)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의 무선(無線) 방송(放送)을 시작(始作)했던 방송국(放送局)으로 현재(現在)의 한국방송공사 의 전신(前身)이다. 미국(美國)에서 1920년(年) 세계(世界) 최초(最初)의 라디오 정규방송(正規放送)( KDKA (AM) ) 이후(以後) 7년(年) 만(萬)이었으며 당시(當時) 일본(日本) 제국(帝國) 에서는 도쿄 ( JOAK ), 오사카 ( JOBK ), 나고야 ( JOCK )에 이어 4번째(番째) 방송국(放送局)이었다. 1926년(年) 11월(月) 30일(日) , 사단(社團) 법인(法人)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의 설립(設立)이 허가(許可)되어, 12월(月) 9일(日) 에 방송용(放送用) 사설(私設) 무선(無線) 전화(電話) 시설(施設)이 허가(許可)되었다 ( 호출부호(呼出符號) JODK, 사용(使用) 전파장(前波長): 367m ( 주파수(周波數) : 817kHz), 공중선(空中線) 전력(電力) 1kW). 1927년(年) 1월(月) 20일(日) 에 시험(試驗) 방송(放送)을 시작(始作)했지만, 다른 방송국(放送局) 과의 혼신(渾身)을 피(避)하기 위해서, 전파장(前波長)을 345m (주파수(周波數): 870kHz)로 변경(變更)하고, 2월(月) 16일(日)에 본방송(本放送)을 시작(始作)했다. 장비(裝備)는 영국산(英國産) 마르코니 6Q형(型) 방송송신기(放送送信機) 와 15kW급(級) 변압기(變壓器) 4개(個), 14kW급(級) 충전용(充電用) 전동발전기(電動發電機) 3대(代), 6kW급(級) 송신기용(送信機龍) 전동(全東) 교류발전기(交流發電機) 2대(臺) 등(等)이었다.

사옥(社屋)의 위치(位置)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정동(貞洞) 1번지(番地)이다. 초기(初期)에는 방송국(放送局) 건물(建物)에서 직접(直接) 전파(電波)를 송출(送出)한 형태(形態)였다. 오전(午前) 6시(時)부터 오후(午後) 11시(時)까지 하루 17시간(時間) 방송(放送)을 하였는데 방송(放送) 내용(內容)은 일본어(日本語) 70%와 한국어(韓國語) 30%정도(程度)의 비율(比率)로 교차(交叉)되어 방송(放送)하였다. 나중에는 한국어(韓國語)와 일본어(日本語)가 별도(別途)의 채널로 분리(分離)되었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개국(個國) [ 편집(編輯) ]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조선(朝鮮) 라디오 가 들어온 것은 1920년대(年代) 중반(中盤)이다. 1924년(年) 12월(月) 17일(日) 조선일보(朝鮮日報) 》는 조선인(朝鮮人)이 주관(主管)하는 첫 라디오 시험방송(試驗放送)을 보도(報道)했고, 우미관에서 열린 시연회(試演會) 행사장(行事場)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그 수(數)가 3천(千) 명(名)에 달(達)해, 입장권(入場券) 배부처(配付處) 옆 도로(道路)는 전차(戰車) 통행(通行)이 불가능(不可能)할 지경(地境)이었다고 전(傳)해진다. 이듬해 1925년(年) 여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체신국이 라디오 시험방송(試驗放送)을 개시(開始)하였고, 1년(年) 6개월(個月) 동안 경성(京城) 방송국(放送局)을 설립(設立)하기 위한 준비(準備)가 진행(進行)되었다. 방송국(放送局)의 부지(敷地)는 높은 지대(地帶)를 고려(考慮)해 해발(海拔) 84m의 정동(貞洞) 1번지(番地)로 정(定)해졌는데 당시(當時)만 해도 큰 건물(建物)이 없어 시내(市內)가 한 눈에 다 보이는 고지대(高地帶)였다. 완공(完工) 당시(當時)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 사옥(社屋)은 대지(垈地) 190평(坪), 지하(地下) 1층(層)-지상(地上) 2층(層)에 방송용(放送用) 첨탑(尖塔)을 갖춘 건물(建物)이었다. [1]

1927년(年) 2월(月) 16일(日) 오후(午後) 1시(時) 정각(正刻),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이 JODK라는 콜 사인 과 함께 첫 전파(電波)를 쏘아올렸다. 당시(當時) JODK라는 콜 사인은 도쿄방송국(放送局) 의 JOAK, 오사카 방송국(放送局)의 JOBK, 나고야 방송국(放送局)의 JOCK 다음으로 개국(開局)하였다는 의미(意味)에서 알파벳 'D'가 배정(配定)되었다. 콜 사인은 일본인(日本人) 방송주임(放送主任) 미쓰나가(羅哥)가 일본어(日本語) 로 진행(進行)하였으며 곧이어 한국(韓國) 최초(最初)의 여성(女性) 방송인(放送人)이자 아나운서였던 이옥경 이 한국어(韓國語)로 동시(同時) 통역(通譯)하는 방식(方式)으로 진행(進行)되었다. [1]

초창기(草創期)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의 편성표(編成表)는 뉴스 , 기악연주(器樂演奏), 단가(單價), 만담(漫談), 강연(講演), 소설(小說) 낭독(朗讀), 외국어(外國語) 강좌(講座), 라디오극(劇), 국악(國樂) 등(等)으로 구성(構成)되었다. 개국(個國) 당시(當時) 뉴스는 오후(午後) 3시(時) 50분(分)과 오후(午後) 7시(時)로 두 차례(次例) 방송(放送)되었는데 이는 방송국(放送國) 직속(直屬) 기자(記者)가 없어 통신(通信)에 의존(依存)했기 때문이었으며, 공공기관(公共機關)의 공지(公知)를 주요(主要) 뉴스로 전(傳)했기 때문에 휴일(休日)에는 "오늘 뉴스는 없습니다"라는 내용(內容)을 전(傳)하기도 했다. [2]

발전(發展) [ 편집(編輯) ]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은 1932년(年) 4월(月) 7일(日) 법인명(法人名)을 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로 개칭(改稱)하였으며, 1935년(年)에는 '경성(京城)중앙방송국'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33년(年) 4월(月) 26일(日)에는 일본어(日本語) 로 방송(放送)하는 900kHz의 경성제(京城第)1방송(放送)과 한국어(韓國語) 로 방송(放送)하는 610Khz의 경성제(京城第)2방송(放送)을 하기 시작(始作)하였고 방송기술(放送技術)과 장비(裝備)의 발달(發達)이 이루어지고 뉴스 , 드라마 등(等)의 방송내용도(放送內容度) 크게 인기(人氣)를 끌기 시작(始作)하며 또한 시장(市場)에 스피커 내장식(內臟式)의 휴대용(携帶用) 라디오가 많이 보급(普及)되어 라디오 전성기(全盛期)를 이루었다. 1937년(年)에는 10만대(萬臺)의 라디오가 한국(韓國)에 보급(普及)되었다. 전국(全國) 방송(放送)을 위해 연희동(連喜洞) 에 10kW급(級) 연희(演戱) 송신소(送信所)를 만들었고 이후(以後) 50kW로 출력(出力)을 증강(增强)하였다.

같은해에 부산(釜山) 에서 부산방송국(釜山放送局)(JBAK)이(李) 개국(開國)하였으며 1936년(年)에는 평양(平壤) (JBBK)에, 1937년(年)에는 청진(淸津) (JBCK)에, 1938년(年)에는 이리 (JBFK)와 함흥(咸興) (JBDK)에 지방방송국(地方放送局)을 잇달아 설치(設置)하였다. 이후(以後) 대구(大邱) (JBGK), 광주(光州) (JBHK), 대전(大戰) (JBIK), 원산(元山) (JBJK), 해주(海州) (JBKK), 신의주(新義州) (JBLK), 춘천(春川) (JBMK), 마산(馬山) (JBOK), 목포(木浦) (JBNK), 성진 (JBPK), 청주(淸州) (JBQK), 강릉(江陵) (JBRK) 등(等) 10여개(餘個) 도시(都市)에 지방방송국(地方放送局)이 개국(開局)하였다.

전시(展示) 방송(放送) [ 편집(編輯) ]

태평양(太平洋) 전쟁(戰爭) 중(中)에는 일본(日本) 제국(帝國) 의 전시하(戰時下) 정책(政策)에 따라 선전방송(宣傳放送)으로 이용(利用)되었으며 1942년(年)부터는 한국어(韓國語) 방송(放送)이 중단(中斷)되고 영어식(英語式) 용어(用語) 사용(使用)이 금지(禁止)되었으며 1942년(年) 말에는 단파(短波) 방송(放送) 밀청(密聽) 사건(事件) 이 일어나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 관계자(關係者)와 관련자(關聯者)들이 옥고(獄苦)를 치르기도 하였다. 1945년(年) 8월(月) 13일(日) 에는 청진방송국(淸津放送局)이 소련(蘇聯) 의 진주(晉州)에 방송장악(放送掌握)을 우려(憂慮)한 일본제국(日本帝國) 육군(陸軍) 에 의(依)해 폭파(爆破)되어 사라지기도 했다. 해방(解放) 이후(以後) 9월(月) 9일(日) 부터는 ' 한국방송공사 '라고 개칭(改稱)되었으며, 9월(月) 15일(日) 한국인(韓國人) 직원(職員)들이 방송국(放送局) 을 인수(引受)하였으나 다음날 미군정(美軍政) 청이 경성중앙방송국(京城中央放送局)을 접수(接受)하였다. 이후(以後) 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에 의(依)해 운영(運營)되었다.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수신료(受信料) [ 편집(編輯) ]

라디오를 수신(受信)하기 위해서는 라디오 수신기(受信機)를 구입(購入)하는 이외(以外)에 2원씩을 징수(徵收)하였으며 허가장(許可狀)을 문(門)앞에 부착(附着)하여야 했다. 이러한 수신료(受信料) 징수제도(徵收制度) 는 영국(英國)의 BBC 가 선을 보인 방식(方式)인데, 일본(日本)의 일본방송협회(日本放送協會) 가 이를 참고(參考)했으며, 조선방송협회(朝鮮放送協會)는 이를 다시 참고(參考)한 것이다.

라디오 등록(登錄) 대수(臺數) [ 편집(編輯) ]

  • 1927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5,260대(代)(한국인(韓國人) 949대(代), 일본인(日本人) 4,161대(代))
  • 1930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10,226대(代)
  • 1931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14,733대(代)
  • 1933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32,058대(代)
  • 1934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40.671대(代)
  • 1936년(年) 1월(月) 11일(日): 라디오 등록(登錄) 총(總)5만대(萬臺) 돌파(突破) 축하(祝賀) 방송(放送).
  • 1936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73,247대(代)
  • 1936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112,032대(代)
  • 1940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227,573대(代)
  • 1941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272,000대(代)
  • 1943년(年) 7월(月) 30일(日): 총(總) 285,000대(代)
  • 1944년(年) 12월(月) 31일(日): 총(總) 300,050대(代)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꼿가치(價値) 피어 매혹(魅惑)케 하라》. 황소자리. 2005. 198-199쪽.  
  2. 《꼿가치(價値) 피어 매혹(魅惑)케 하라》. 황소자리. 2005. 201-202쪽.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