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제천시(堤川市)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제천시(堤川市)

제천시(堤川市)
기(基)
제천시의 위치
제천시의 위치(位置)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행정(行政) 구역(區域) 1 읍(邑) , 7 면(面) , 9 동(桐)
법정동(法定洞) 28 동(桐)
청사(廳舍) 소재지(所在地) 제천시(堤川市) 내토로(內吐露) 295 (천남동 12-2)
단체장(團體長) 김창규(金昌圭) ( 국민의힘(國民의힘) )
국회의원(國會議員) 엄태영 ( 국민의힘(國民의힘) , 제천시(堤川市)·단양군(丹陽郡) )
지리
면적(面積) 883.05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131,498명(名) (2022년(年) 2월년(越年))
세대(世代) 64,540세대(世代) (2021 [1] 년(年))
상징(象徵)
나무 느티나무
개나리
비둘기
지역(地域) 부호(富豪)
웹사이트 http://www.jecheon.go.kr/

제천시(堤川市) (堤川市)는 대한민국(大韓民國) 충청북도(忠淸北道) 북동부(北東部)의 시(時) 이다. 1980년(年)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昇格)되었고, 1995년(年) 제천군(堤川郡) (옛 제원군(堤原郡) )을 통합(統合)하여 도농복합시(都農複合視) 가 되었다. 중앙선(中央線) , 충북선(忠北線) , 태백선(太白線) 철도(鐵道)가 연결(連結)되어 예로부터 교통(交通)의 중심지(中心地)였다. 명소(名所)로는 의림지(義林池) , 청풍호(淸風湖) 가 있고, 시(市)의 남쪽(南쪽)으로 경상북도(慶尙北道) 문경시(聞慶市) 와의 경계(警戒)에는 월악산(月岳山) (1,094m)이 있다. 시청(市廳) 소재지(所在地)는 천남동 이고, 행정구역(行政區域)은 1읍(邑) 7면(面) 9동(棟)이다. 충청북도(忠淸北道) 북부(北部) 출장소(出張所) 가 설치(設置)되어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이 지역(地域)에서 사람이 살기 시작(始作)한 것은 구석기시대(舊石器時代) 부터이다.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洞窟)과 도화리 고인돌, 봉양읍 학산리 고인돌, 청풍면 황석리 고인돌 등(等)을 통해 이 같은 주장(主張)이 뒷받침된다. 특히(特히)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洞窟) 은 남한지역(南韓地域)에서 최초(最初)로 확인(確認)된 구석기(舊石器) 유적(遺跡)으로 큰 역사적(歷史的) 가치(價値)를 가지고 있다.

제천의병(堤川義兵)(堤川義兵) : 제천(祭天)을 비롯한 사군지역(四郡地域)(제천(堤川), 청풍, 단양(丹陽), 영춘(迎春))에 지리적(地理的), 학문적(學問的), 혈연적(血緣的) 연고(緣故)의 기반(基盤)을 둔 한말(韓末) 의병(義兵)을 가리키는 말이다. 물론(勿論) 시기(時期)에 따라 그 외연(外延) (外延)이(李) 때로는 영남(嶺南), 강원(講院), 경기지역(京畿地域), 나아가서는 서북(西北)과 해외(海外)에까지 확대(擴大)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항상(恒常) 그 근거(根據)지는 제천(堤川)으로 인식(認識)되고 있었다. 호좌(湖左)의진(湖左義陳)과 이강년(李康秊)에 관(關)한 핵심적(核心的) 자료(資料)를 남겨둔 박정수(朴貞洙)도 제천(堤川)은 의병(義兵)의 처음이요, 마지막인 고장(故障)으로,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선 장병(將兵)이 제일(第一) 많았다'고 단언(斷言)한 것이다.

또한 한말(韓末)의 제천의병(堤川義兵)은 하나의 상징적(象徵的) 존재(存在)로서 유중교(柳重敎)와 유인석(柳麟錫)이(李) 거주(居住)하며 제자(弟子)를 양성(養成)한 제천(堤川)의 장담(壯談)(長潭)(제천시(堤川市) 봉양읍 공전리)마을이 의병봉기(義兵蜂起)의 터전이 되었으며, 지평의병(地平義兵)이 패(敗)하고 영월(寧越)로 후퇴(後退)하자 유인석이 요동(搖動)(遼東)행(行)을 포기(抛棄)하고 의병대장(義兵大將)으로 추대(推戴)되어 의진을 수습(收拾)하고 의병활동(義兵活動)을 전개(展開)하기 시작(始作)한 곳이 바로 이곳 제천(堤川)이다.

이에 제천시(堤川市)에서는 우리 삶의 터전인 제천지역(堤川地域)의 숭고(崇高)한 의병정신(義兵精神)을 계승(繼承)하고 한말(韓末) 및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에 치열(熾烈)하게 전개(展開)된 항일투쟁(抗日鬪爭) 관련자료(關聯資料)를 한 자리에 모아, 이 지역(地域)의 후손(後孫)들이 이러한 지역적(地域的) 전통(傳統)을 이어받아 진정(眞情)으로 의(義)로운 지역문화(地域文化)와 전통(傳統)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제천의병전시관(堤川義兵展示館), 숭의사(崇義社), 의병기념탑(義兵記念塔), 자양영당(紫陽影堂), 성재.의암(義菴) 선생(先生) 거택(居宅)'등(等)을 1995년(年) 제천의병(第千義兵) 창의(創意)100주년 기념사업(記念事業)으로 건립(建立)하여 자라나는 어린이, 청소년(靑少年)들의 교육(敎育)의 장(場)으로 활용(活用)하는데 그 의의(意義)가 있다.

지리 [ 편집(編輯) ]

위치(位置) [ 편집(編輯) ]

제천시는 충청북도(忠淸北道) 의 북동부(北東部), 차령산맥(車嶺山脈) 소백산맥(小白山脈) 의 중간(中間)에 위치(位置)한다. 동쪽(東쪽)은 단양군(丹陽郡) , 서측(署側)은 충주시(忠州市) , 남측(南側)은 문경시(聞慶市) , 북측(北側)은 원주시(原州市) · 영월군(寧越郡) 과 접(接)해 있다. [15] 남측(南側)과 서측(署側)은 화강암(花崗巖) 지대(地帶)이나 북동측(北東側)은 석회암(石灰巖) 지대로 주요(主要) 시멘트 생산(生産) 지역(地域) 중(中) 하나이다.

극점(極點)

기후(氣候) [ 편집(編輯) ]

제천시의 기후(氣候)는 냉대(冷帶) 동계(冬季) 소우(소牛) 기후(氣候) (Dwa)이다.

제천시의 기후(氣候)
월(月) 1월(月) 2월(月) 3월(月) 4월(月) 5월(月) 6월(月) 7월(月) 8월(月) 9월(月) 10월(月) 11월(月) 12월(月) 연간(年間)
최고(最高)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13.6
(56.5)
20.5
(68.9)
23.2
(73.8)
32.2
(90.0)
33.7
(92.7)
34.8
(94.6)
37.5
(99.5)
39.4
(102.9)
33.1
(91.6)
28.3
(82.9)
24.0
(75.2)
16.9
(62.4)
39.4
(102.9)
평균(平均) 일(日) 최고(最高) 기온(氣溫) °C (°F) 1.6
(34.9)
4.8
(40.6)
10.8
(51.4)
18.1
(64.6)
23.4
(74.1)
27.1
(80.8)
28.6
(83.5)
29.3
(84.7)
25.1
(77.2)
19.5
(67.1)
11.4
(52.5)
3.7
(38.7)
17.0
(62.6)
일(日) 평균(平均) 기온(氣溫) °C (°F) ?4.8
(23.4)
?1.9
(28.6)
3.8
(38.8)
10.5
(50.9)
16.2
(61.2)
20.8
(69.4)
23.5
(74.3)
23.8
(74.8)
18.5
(65.3)
11.5
(52.7)
4.4
(39.9)
?2.6
(27.3)
10.3
(50.5)
평균(平均) 일(日) 최저(最低) 기온(氣溫) °C (°F) ?10.8
(12.6)
?8.3
(17.1)
?2.9
(26.8)
2.9
(37.2)
9.2
(48.6)
15.2
(59.4)
19.7
(67.5)
19.8
(67.6)
13.3
(55.9)
5.1
(41.2)
?1.6
(29.1)
?8.3
(17.1)
4.4
(39.9)
최저(最低) 기온(氣溫) 기록(記錄) °C (°F) ?27.4
(?17.3)
?25.9
(?14.6)
?17.7
(0.1)
?8.0
(17.6)
?0.5
(31.1)
4.8
(40.6)
9.7
(49.5)
9.9
(49.8)
0.6
(33.1)
?7.2
(19.0)
?14.9
(5.2)
?24.8
(?12.6)
?27.4
(?17.3)
평균(平均) 강수량(降水量) mm (인치) 20.3
(0.80)
32.2
(1.27)
49.7
(1.96)
85.1
(3.35)
96.9
(3.81)
147.5
(5.81)
356.0
(14.02)
300.9
(11.85)
145.3
(5.72)
57.4
(2.26)
43.4
(1.71)
24.6
(0.97)
1,359.3
(53.52)
평균(平均) 강수일수(降水日數) (≥ 0.1 mm) 6.6 6.3 8.2 8.5 8.8 9.7 16.7 14.5 9.6 5.8 8.0 7.2 109.9
평균(平均) 상대(相對) 습도(濕度) (%) 68.1 64.4 61.3 57.0 62.4 68.1 77.6 76.7 75.6 73.0 70.7 70.3 68.8
평균(平均) 월간(月間) 일조시간(日照時間) 175.1 174.4 201.0 213.3 236.0 208.4 151.4 166.1 168.0 192.3 157.6 164.4 2,208
출처(出處):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평균값(平均값): 1991년(年)~2020년(年), 극값(極값): 1972년(年)~현재(現在)) [16] [17]

지질(地質) [ 편집(編輯) ]

제천시는 영남(嶺南) 지괴(地塊)와 옥천(沃川) 습곡대(褶曲帶) 의 경계(境界) 지역(地域)에 위치(位置)해 있어, 북서부(北西部)에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片麻巖) 류가, 남동부(南東部)의 충주호(忠州湖) 주변(周邊)에는 퇴적암(堆積巖) 인(人) 고생대(古生代)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옥천(沃川) 누층군(累層軍) 을 포함(包含)하는 시대(時代) 미상(未詳)의 지층(地層)들이 분포(分布)한다. [18]

선캄브리아기 변성암(變成巖) 류(流) [ 편집(編輯) ]

선캄브리아기 편마암(片麻巖) 류는 제천시(堤川市) 북서부(北西部) 지역(地域)인 백운면(白雲綿) 박달재(朴達재) 주변(周邊)에만 분포(分布)한다. 박달재(朴達재) 를 중심(中心)으로 분포(分布)하는 편마암(片麻巖) 류(流)는, 고개 이름을 따 박달재(朴達재) 변성암류(變成巖類) (PCEggn; Precambrian granitic gneiss)라 불린다. 1967년(年) 제천도폭(堤川圖幅)에서 정의(定義)된 이 암석(巖石)은 제천시(堤川市) 서부(西部) 변성암류(變成巖類)의 기저(基底)를 이루며 박달재(朴達재)를 중심(中心)으로 남(南)-북(北)으로 표식적인(表式的人) 발달(發達)을 보이므로 박달령(朴達嶺) 변성암류(變成巖類)라고 명명(命名)되었다. 본 암석(巖石)은 조선계(朝鮮系) 지층(地層)보다 하부(下部)이기 때문에 선캄브리아기 지층(地層)임을 짐작(斟酌)할 수 있으며 중생대(中生代) 화강암(花崗巖) 에 의(依)해 관입당(管入黨)해 있다. 본 변성암류(變成巖類)는 호상(護喪) 화강암질(花崗巖質) 편마암(片麻巖), 흑운모(黑雲母) 반화강암질(反花崗巖質) 편마암(片麻巖), 안구(眼球)(眼球) 편마암(片麻巖)으로 구성(構成)된다. [19]

고생대(古生代)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 편집(編輯) ]

금성면 중전리 중앙고속도로 남제천(祭天) 나들목 남쪽(南쪽)에 드러난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삼태산층(層) 의 노두(露頭)
월악산(月岳山) 에서 바라본 충주호(忠州湖) . 사진(寫眞)의 암석(巖石)은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대(大)석회암층군(群) 석회규산염암(石灰硅酸鹽癌)에 해당(該當)하는 암석(巖石)이다.

고생대(古生代) 초기(初期) 오르도비스기 에 형성(形成)된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은 제천시(堤川市) 동부(東部) 영월군(寧越郡) 단양군(丹陽郡) 과의 경계(境界) 지역(地域)과 청풍호(淸風湖) 주변(周邊)에 넓게 분포(分布)한다. 제천시에 분포(分布)하는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은 대(大)석회암층군(群) 또는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영월층군(寧越層群)의 일부(一部)로서 돌로마이트 를 주로(主로) 하는 흥월리층(層) 석회암(石灰巖) 을 주로(主로) 하는 삼태산층(層) 으로 구성(構成)된다.

시대(時代) 미상(未詳) [ 편집(編輯) ]

  • 천등산층(層) (chg; Cheondeungsan formation, 天登山層)은 충주시(忠州市) 산척면 과 제천시 백운면(白雲綿)의 경계(境界)에 위치(位置)한 천등산 을 중심(中心)으로 소규모(小規模)로 발달(發達)하는 변성(變成) 퇴적암(堆積巖)으로, 석회규산염암(石灰硅酸鹽癌), 석회암(石灰巖), 함자철석미립(函磁鐵石微粒)(含磁鐵石微粒) 편마암(片麻巖)으로 구성(構成)된다. 본 층(層)은 박달령(朴達嶺) 변성암류(變成巖類)를 부정합(不整合) 으로 덮는다. [19] [18]
  • 서창리층(層) (Seochangri formation, 西倉里層)은 제천시(堤川市) 한수면(限睡眠) 서창리에서 그 명칭(名稱)이 유래(由來)된 변성(變成) 퇴적암(堆積巖)으로, 하위(下位)의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을 부정합(不整合) 으로 덮고 있다. 제천도폭(堤川圖幅) 지역(地域)에서는 천매암(千枚巖)과 녹니석(綠泥石)(綠泥石)편암(片巖) 및 부산(釜山)(婦山)을 중심(中心)으로 심(甚)한 혼성암(混成巖)(混成巖, contaminated rock)을 형성(形成)한 부분(部分)으로 구분(區分)된다. 황강리도폭(圖幅) 지역(地域)인 한수면과 그 주변(周邊) 지역(地域)에서는 주로(主로) 암회색(暗灰色) 천매암(千枚巖) 으로 구성(構成)된다.
  • 금수산(錦繡山) 규암층(硅巖層) (Kq; Keumsusan quartzite formation, 錦繡山 硅巖層)은 금수산(錦繡山) 을 중심(中心)으로 단양군(丹陽郡) 과의 경계(境界)를 따라 금성면에서 남한강(南漢江)에 이르기까지 북(北)서-남동 방향(方向)으로 분포(分布)하는 규암층(硅巖層)이다. 석영편암(石英片巖), 규암(硅巖) 및 운모편암(雲母片巖)으로 구성(構成)되며 분포지역(分布地域) 서측(署側)의 화강암(花崗巖) 과 접(接)하는 부분(部分)은 백운모(白雲母) 가 소량(少量) 함유(含有)된 석영편암(石英片巖)이고 그 바깥은 규암(硅巖) 이며 특히(特히) 화강암(花崗巖)의 북부(北部)에 분포(分布)하는 편상(篇上) 화강암(花崗巖)과 페그마타이트의 접촉부(接觸部)에서는 운모편암(雲母片巖)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규암층(硅巖層)의 원암(原巖)(原巖)으로 추정(推定)된다. 따라서 본(本) 규암층(硅巖層)은 이질(痢疾)(泥質) 퇴적암(堆積巖)을 층암(層巖)으로 하여 변질(變質)된 후(後) 다시 화강암(花崗巖) 의 관입(貫入)을 받아 규화생성(硅化生成)된 것으로 생각된다. [19] [18]
  • 용암층(鎔巖層) (y; yong-am formation, 龍巖層)은 덕산면 신현리 일대(一帶)에 삼각형(三角形) 모양(模樣)으로 소규모(小規模) 분포(分布)하는 지층(地層)이다.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대(大)석회암층군(群) 석회암(石灰巖)(Ols) 위에 부정합(不整合) 으로 놓이며 동북측(東北側)과 남측(南側)은 단층(斷層)에 의(依)해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돌로마이트층(層)(Odo)과 접(接)한다. 주로(主로) 흑색(黑色) 점판암(粘板巖)셰일 및 사질(沙質) 셰일로 구성(構成)되며 암상에 있어서 평안(平安) 누층군(累層軍) 과 유사(類似)하나 화석(化石)이 발견(發見)되지 않았고 흑색(黑色) 점판암(粘板巖)의 단일층(單一層)으로 되어 있는 관계(關係)로 평안(平安) 누층군(累層軍)과의 대비(對備)가 곤란(困難)하다. 주향(走向)은 북동(北東) 25°또는 북(北)서 15°, 경사(警査)는 북(北)서 50°또는 남서(南西) 35° 를 나타내며 지층(地層)의 두께는 단층(單層)으로 인하여 판별(判別)하기 곤란(困難)하다. [20] [18]
  • 옥천(沃川) 누층군(累層軍) (Okcheon Supergroup, 沃川 累層群)은 옥천(沃川) 습곡대(褶曲帶)에 분포(分布)하는 변성퇴적암(變性堆積巖) 지층군이다. 제천시(堤川市) 지역(地域)에서는 북노리층(層)을 기저(基底)로 하여 서창리층(層)을 부정합(不整合) 으로 덮으며 함력(函力)(含礫)천매암(千枚巖)질암(癌)과 녹니석편암(綠泥石片巖)으로 구성(構成)된다. [20]

중생대(中生代) 화강암(花崗巖) [ 편집(編輯) ]

금성면 월림리, 중앙고속도로 제천휴게소(堤川休憩所) 남동측(南東側)에 드러난 경상계(慶尙系) 불국사층군(佛國寺層群) 반상(班常) 화강암(花崗巖)(os)의 노두(露頭)

제천시(堤川市) 시내(市內) 지역(地域)과 금수산(錦繡山) 주변(周邊), 월악산(月岳山) 주변(周邊)에는 중생대(中生代) 에 관입(貫入)한 화강암(花崗巖) 이 분포(分布)한다.

  • 월악산(月岳山) 주변(周邊) 즉(卽) 덕산면 월악리와 한수면(限睡眠) 송계리 일대(一帶)에 분포(分布)하는 경상계(慶尙系) 불국사층군(佛國寺層群) 흑운모화강암(黑雲母花崗巖) (Kbgr, 이하(以下) 흑운모화강암(黑雲母花崗巖))은 문경시(聞慶市) 북부(北部)에 관입(貫入)한 대규모(大規模) 화강암체(花崗巖體)의 일부(一部)로,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대(大)석회암층군(軍)과 서창리층(層)을 관입(貫入)한다. [20] 월악산(月岳山) 일대(一帶)는 원래(元來)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대(大)석회암층군(君)의 석회암(石灰巖) 지대(地帶)였으나, 중생대(中生代) 백악기(白堊紀) 에 석회암(石灰巖) 지층(地層)에 마그마가 올라와 식으면서 화강암(花崗巖)이 형성(形成)되었다. 이때 뜨거운 마그마의 열(熱)과 압력(壓力)으로 석회암(石灰巖)의 성질(性質)이 변(變)하여 석회규산염암(石灰硅酸鹽癌)이 형성(形成)되었다. [21]
  • 금수산(錦繡山) 서쪽(西쪽)에 분포(分布)하는 흑운모(黑雲母) 화강암(花崗巖)은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대(大)석회암층군(群) 석회암(石灰巖)(Ols)과 금수산(錦繡山) 규암층(硅巖層)(Kq) 사이에 관입(貫入)한다. [20]
  • 백운면(白雲綿) 남부(南部) 일대(一帶)에 분포(分布)하는 평동 화강암(花崗巖) (Jbgr)은 박달령(朴達嶺) 변성암류(變成巖類)와 천등산층(層)을 관입(貫入)하며 분포(分布) 지역(地域)은 풍화(風化)와 침식(浸蝕)을 심(甚)하게 받아 저지대(低地帶)를 형성(形成)하고 있다. [19]
  • 송학면 일대(一帶)와 제천시내(堤川市內) 주변(周邊)에는 송학 흑운모(黑雲母) 화강암(花崗巖) (Jbgr)이(李) 분포(分布)한다. 본 암(癌)과 접(接)하는 변성암(變成巖) 및 퇴적암류(堆積巖類)는 장년기(壯年期) 지형(地形)을 이루고 본 화강암(花崗巖)은 저지대(低地帶)를 이루고 있는 관계(關係)로 본 암(癌) 분포지(分布地)는 하나의 분지(盆地) 를 형성(形成)하고 있다.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과 서창리층(層) 천매암(千枚巖) 그리고 박달령(朴達嶺) 변성암류(變成巖類)를 관입(貫入)하고 있다. [19]
  • 경상계(慶尙系) 불국사층군(佛國寺層群) 반상(班常) 화강암(花崗巖) (Kpgr)은 제천조차장역(堤川操車場驛) 주변(周邊) 강제동, 천남동, 신동, 봉양읍 삼거리(三거리), 구곡리, 공전리, 연박리, 북부(北部) 장평리에 분포(分布)하는 반상(班常)(斑狀) 화강암(花崗巖)이다. [18]

광산(鑛山) 과 지하자원(地下資源) [ 편집(編輯) ]

제천시(堤川市) 남부(南部) 조선(朝鮮) 누층군(累層軍) 과 옥천(沃川) 누층군(累層軍) 중(中)에 포함(包含)된 비철금속광상(非철金屬鑛床)을 위시(爲始)한 각종(各種) 광상(鑛床)(鑛床)은 후기(後期)의 화성(火星) 작용(作用)의 영향(影響)을 받아 산성(酸性) 심성암(深成巖)류와의 접촉부(接觸部)에 광상(鑛床)을 형성(形成)하고 있다. 대표적(代表的)으로 우석광산(隅石鑛山), 당두 연(年)-아연(亞鉛) 광상(鑛床), 월악(月惡) 중석(重石)-몰리브데넘광상(鑛床) 등(等)이 있다.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제천시의 행정(行政) 구역(區域)은 1읍(邑) 7면(面) 9동(洞)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제천시의 면적(面積)은 883.09km 2 이며, 인구(人口)는 2020년(年) 7월(月) 31일(日)을 기준(基準)으로 63,623세대(世代), 133,277명(名)이며 외국인(外國人) 인구(人口)는 1,793명(名)이다. [22]

읍면동(邑面洞) 한자(漢字) 면적(面積) 세대(世代) 인구(人口) 행정지도(行政指導)
봉양읍 鳳陽邑 144.87 3,655 6,800
금성면 錦城面 68.48 1,048 1,952
청풍면 淸風面 91.75 765 1,294
수산면 水山面 88.89 1,233 2,053
덕산면 德山面 111.51 1,1789 2,227
한수면(限睡眠) 寒水面 75.37 400 707
백운면(白雲綿) 白雲面 135.14 1,778 3,252
송학면 松鶴面 72.69 2,521 4,624
교동 (장락동) 校洞 3.75 7,704 18,889
의림지동(義林池桐) 義林池洞 12.24 4,199 9,965
중앙동 中央洞 0.97 3,117 5,963
남현동 南峴洞 0.85 2,494 4,950
영서동(嶺西桐) 榮西洞 10.89 4,952 10,313
용두동 龍頭洞 15.39 8,643 17,968
신백동 新百洞 34.53 5,012 11,160
청전동 靑田洞 2.75 7,840 15,742
화산동 花山洞 13.02 7,073 15,418
제천시(堤川市) 堤川市 883.09 63,623 133,277

시청(視聽) [ 편집(編輯) ]

  • 현재(現在) 제천시청(堤川市廳)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제천시(堤川市) 천남동에 위치(位置)하고 있다.

산업(産業) [ 편집(編輯) ]

제천지역(堤川地域)은 1차(次)·2차(次) 산업(産業)에 비해 3차(次) 산업(産業)이 크게 발달(發達)한 도시(都市)이다. [23] 시내(市內) 일부(一部) 지역(地域)을 제외(除外)하면 대부분(大部分) 산악(山岳) 지대(地帶)로, 농업(農業)과 임업(林業)에 주로(主로) 종사(從事)하고 있다. 특히(特히) 일교차(日較差)가 큰 기후(氣候)를 이용(利用)하여 제천시(堤川市) 북부(北部) 지역(地域)에서는 사과(謝過) 를 널리 재배(栽培)러고 있으며 최근(最近)에는 복숭아 인삼(人蔘) 재배(栽培) 농가(農家)도 늘어나는 추세(趨勢)다. 2차(次) 산업(産業)은 최근(最近) 20년(年) 사이에 급속(急速)하게 성장(成長)하고 있는데, 여섯 곳의 농공(農工) 단지(團地)와 두 곳의 산업(産業) 단지(團地)(제(第)1바이오밸리, 제(第)2바이오밸리)가 조성(造成)되어 있으며 3번째(番째) 산업단지(産業團地)를 조성중(造成中)이다. 제천시(堤川市)에서는 충청북도(忠淸北道)의 특성화(特性化) 산업(産業)인 바이오 산업(産業)과 제천(堤川)의 한방산업(放産業)에 맞추어, 왕암동 일대(一帶)에 조성(造成)한 산업(産業) 단지(團地)를 바이오 산업(産業)에 특화(特化)하여 2010년(年)과 2018년(年) 국제한방(國際韓方)바이오산업(産業)엑스포를 개최(開催)하였다. 1970년대(年代) 철도(鐵道) 교통(交通) 관련(關聯) 산업(産業)의 확장(擴張)과 시멘트 수요(需要) 증가(增加)에 따른 인구(人口) 증가(增加)는 3차(次) 산업(産業)의 확대(擴大)를 불러왔고, 이러한 추세(趨勢)는 1990년대(年代) 초반(初盤)에 세명대학교(名大學校)가 개교(開校)하고 그 규모(規模)가 커짐에 힘입어 계속(繼續)되고 있다. 특히(特히) (청풍(淸風)벚꽃축제(祝祭)), (제천국제음악영화제(堤川國際音樂映畫祭)), (한방(韓方)바이오박람회(博覽會)), (겨울왕국제천(王國堤川)페스티) 개최(開催) 등(等) 사계절(四季節) 축제(祝祭)와 의림지(義林池)와 청풍호(淸風湖) 박달재(朴達재) 등(等)을 연계(連繫)한 관광(觀光) 산업(産業)의 육성(育成)은 이러한 추세(趨勢)를 더욱 가속화(加速化)할 것으로 보인다.

제천지역(堤川地域)은 3차(次) 산업(産業)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발달(發達)한 곳으로 특히(特히) 인근(隣近) 충주시(忠州市) 원주시(原州市) 의 기업도시(企業都市) 유치(誘致)와 맞물려 제천(堤川) 지역(地域) 내(內)의 사업체(事業體) 수(數)가 2002년(年) 10,627개(個)에서 2003년(年) 10,561개(個), 2004년(年) 10,333개(個), 2005년(年) 10,318개(個)로 점차(漸次) 줄어들고 있다. 사업체(事業體) 종사자(從事者) 수(數)도 동반(同伴) 축소(縮小)되어 2002년(年)에 비해 1,000여(餘) 일자리가 줄어 지역경제(地域經濟) 불황(不況)과 인구(人口) 감소(減少)의 주요(主要) 원인(原因)이 되고 있다. 인구(人口) 증감(增減)은 2002년(年) 143,655명(名)에서 2007년(年) 3월(月) 135,972명(名)(남 68,500명(名), 여(女) 67,472명(名))으로 5년간(年間) 약(約) 7,700명(名)이 감소(減少)하였다. 인구(人口) 정점(頂點)은 1999년(年)의 148,453명(名)이며, 제천시(堤川市) 승격(昇格) 이전(以前)에는 1976년(年)의 170,292명(名)이다. 제천시(堤川市)에는 대형(大型) 할인(割引) 마트로는 이마트 롯데마트 가 있으며 역전(逆轉)한마음시장(市場), 제천약초시장(堤川藥草市場), 중앙시장(中央市場), 내토전통시장(內土傳統市場), 덕산면 전통시장(傳統市場), 동문(同門) 전통시장(傳統市場), 박달재(朴達재) 전통시장(傳統市場)이 토속(土俗) 상권(商權)을 유지(維持)하고 있다.

지역내(地域內) 총생산(總生産) [ 편집(編輯) ]

제천시의 2011년(年) 지역(地域) 내(內) 총생산(總生産)은 4조(兆) 768억(億)원으로 충청북도(忠淸北道) 지역(地域) 내(內) 총생산(總生産)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二重) 농림어업(農林漁業)(1차(次) 산업(産業))은 2,003억(億)원으로 4.2%의 비중(比重)을 차지하고 있으며, 광업(鑛業) 및 제조업(製造業)(2차(次) 산업(産業))은 1조(兆) 7,233억(億) 원으로 36.14%의 비중(比重)으로 차지하고 상업(商業) 및 서비스업(業)(3차(次) 산업(産業))은 2조(兆) 8,443억(億)원으로 59.65%의 비중(比重)을 차지한다. 3차(次) 산업(産業) 부문(部門)에서는 특히(特히) 건설업(建設業)(12.73%)과 공공행정(公共行政)(7.44%), 도소매업(都小賣業)(6.16%)과 운수업(運輸業)(6.15%)이 큰 비중(比重)을 차지하고 있다. [24]

산업별(産業別) 종사자(從事者) 현황(現況) [ 편집(編輯) ]

2014년(年) 제천시(堤川市) 산업(産業)의 총종사자(總從事者) 수(數)는 51,145명(名)으로 충청북도(忠淸北道) 총종사자(總從事者) 수의(囚衣) 8.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二重) 농림어업(農林漁業)(1차산업(次産業))은 139명(名)으로 0.3%의 비중(比重)을 차지하고 있으며, 광업(鑛業) 및 제조업(製造業)(2차산업(次産業))은 7,110명(名)으로 13.9%의 비중(比重)으로 차지하고 상업(商業) 및 서비스업(業)(3차산업(次産業))은 43,896명(名)으로 85.8%의 비중(比重)을 차지한다. 2차산업(次産業)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전체(全體)의 비중(比重)(28.9%)보다 낮고 3차(次) 산업(産業)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전체(全體) 비중(比重)(70.8%)보다 높다. 3차산업(次産業) 부문(部門)에서는 도소매업(都小賣業)(16.0%), 숙박(宿泊) 및 음식점업(飮食店業)(13.8%)과 건설업(建設業)(9.4%), 교육서비스업(敎育서비스業)(9.0%)이 큰 비중(比重)을 차지하고 있다. [25]

문화(文化)·예술(藝術) [ 편집(編輯) ]

제천시(堤川市) 제천(堤川) 시민회관(市民會館)
각종(各種) 문화행사(文化行事) 시행(施行) 공간(空間)
제천시(堤川市) 중앙공원
충(衝)의루(忠義樓) 2000년(年) 건립(建立)

제천(堤川) 지역(地域)은 선사시대(先史時代) 유적(遺跡)부터 고려(高麗)·조선시대(朝鮮時代)의 것까지 많은 유물(遺物)·유적(遺跡)이 산재(散在)해 있다. 학술적(學術的) 차원(次元)에서 주목(注目)받은 선사시대(先史時代) 유적(遺跡)으로는 송학 포전리 점말동굴(洞窟), 청풍 황석리 고인돌 등(等)이 있다. 이 중(中) 점말동굴(洞窟)은 군사분계선(軍事分界線) 이남(以南) 지역(地域)에서 최초(最初)로 확인(確認)된 구석기시대(舊石器時代)의 동굴(洞窟) 유적(遺跡)이다. 또 청풍 황석리 고인돌에서는 다량(多量)의 신석기(新石器) 유물(遺物)이 출토(出土)된 바 있다.

밀양(密陽) 수산제(守山堤), 김제(金堤) 벽골제(碧骨堤)와 함께 삼한시대(三韓時代)의 대표적(代表的)인 농업(農業) 유적(遺跡)으로 꼽히는 의림지(義林池) 가 이 지역(地域) 문화재(文化財) 중(中)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의림지(義林池)는 골짜기를 막아 만든 인공(人工) 저수지(貯水池)로, 현재(現在)도 농업용수(農業用水) 공급용(供給用)으로 쓰이며 지역(地域) 주민(住民)의 휴식공간(休息空間)으로도 이용(利用)된다.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유적(遺跡)으로는 한수면의 덕주산성(德州酸性)이 있다. 덕주산성(德州山城)은 5개(個)의 성벽(城壁)이 겹겹이 둘러싼 구조(構造)로 되어 있는데, 각각(各各)의 축조(築造) 시기(時期)가 달라 시대별(時代別) 성곽(城郭) 축조(築造) 방식(方式)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외(外)에 제천(堤川) 지역(地域)에는 불교(佛敎) 유적(遺跡)이 많이 있다. 특히(特히) 신라(新羅) 시대(時代)에 의상(衣裳) 이 창건(創建)하였다고 전(傳)해지는 정방사에는 조성(造成) 연대(連帶)가 정확히(正確히) 알려진 조선(朝鮮) 중기(中期)의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이 봉안(奉安)되어 있다. 또한 신라(新羅) 마지막 왕(王) 경순왕 의 둘째 아들 덕지 (德摯) 왕자(王子) (또는 덕주공주(德州公主))가 마의태자 일행(一行)과 이곳에 들렀을 때 창건(創建)하였다고 전(傳)해지는 덕주사(德周寺) (德周寺)가 한수면에 있다. 덕주사(德周寺) 법주사(法住寺) (法住寺)의 말사(末寺)로, 절벽(絶壁)에는 큰 마애불(磨崖佛) 이 조각(彫刻)되어 있는데, 이는 보물(寶物) 제(第)406호(號)로 지정(指定)되어 있다. 이 외(外)에도 사자(獅子)빈신사지석탑(石塔), 청풍 석조여래입상(石造如來立像), 제천(堤川) 신륵사(神勒寺) 삼층석탑(三層石塔), 제천(堤川) 장락리(리) 칠층모전석탑(七層毛廛石塔) 등(等)은 보물(寶物)로 지정(指定)되었다.

가톨릭 유적지(遺跡地)로는 한국(韓國) 천주교회(天主敎會) 최초(最初)의 신학교(神學校) 터인 배론성지(聖地) 봉양읍 구학리에 자리잡고 있다.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로는 제원(諸元) 송계리의 망개나무 가 있다.

무형(無形) 문화유산(文化遺産)으로는 제천시 수산면에 수산(水産) 오티 별신제(別神祭)가 전(傳)해지고 있다.

체육시설(體育施設) [ 편집(編輯) ]

제천시 화산동에 위치(位置)한 종합운동장(綜合運動場)을 중심(中心)으로 각종(各種) 축제(祝祭)와 시민경기(市民景氣)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천시민(祭天市民)의 여가(餘暇) 스포츠를 위한 제천체육관(堤川體育館)에서는 수영(水營), 스쿼시, 복싱, 에어로빅, 요가 골프등(等)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시민체육공원(市民體育公園) 사업(事業)으로 용두동(하소동), 신백동, 장락동에 제천시민(祭天市民)의 체육활동(體育活動) 증진(增進)을 위한 시민체육공원(市民體育公園)이 조성(造成)되었다.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체육시설(體育施設)로 신백동(新百洞)에 어울림체육센터가 개관(開館)하였으며 이밖에도 전용경기장(專用競技場)으로 배드민턴, 족구(足球), 게이트볼, 궁도(弓道), 정구(庭球), 산악자전거(山岳自轉車), 테니스 구장(區長)이 운영중(運營中)이며 공식(公式) 축구경기(蹴球競技)를 위한 축구(蹴球)센터가 자원관리(資源管理)센터와 봉양건강축구(奉養健康蹴球)센터가 운영중(運營中)이다. 2017년(年) 5월(月) 25일(日)에는 청전동 산 12-9일대(一帶)에 '시민공원(市民公園)'이(李) 개장(開場)되었다. 이 공원(公園)은 충북(忠北) 도내(道內) 최초(最初) 방재기능(防災機能)이 도입(導入)된 재해(災害) 저감형(減刑) 다목적(多目的) 도시공원(都市公園)이다. 제천시청(堤川市廳)에서 운영중(運營中)인 실업선수단(失業選手團)으로 육상(陸上), 여자기계체조(女子機械體操), 사격(射擊), 남자탁구(男子卓球) 선수단(選手團)이 운영중(運營中)에 있으며 2020년(年) 2월(月) 2일(日) 가가와 마루가메 국제(國際)하프마라톤 대회(大會)에서 육상선수단(陸上選手團) 최경선 선수(選手)가 3위(位)로 골인하며 한국여자(韓國女子)하프마라톤 신기록(新記錄)을 수립(樹立)했다.(기록 1시간(時間) 8분(分) 35초(秒)) [26]

교육(敎育) [ 편집(編輯) ]

세명대학교(學校)

제천시(堤川市)에는 조선시대(朝鮮時代)부터 제천향교(堤川鄕校), 청풍향교(淸風鄕校) 등(等)의 교육기관(敎育機關)이 있었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인 1942년(年) 에 지역(地域) 최초(最初)의 현대식(現代式) 교육기관(敎育機關)인 2년제(年制) 제천실과여학교(堤川實科女學校) 가 설립(設立)된 이래(以來)로 현재(現在)까지 1개(個)의 종합대학(綜合大學)을 포함(包含)하여 전문대학(專門大學)·고등학교(高等學校)·중학교(中學校) 등(等) 거의 모든 과정(過程)의 교육기관(敎育機關)이 설립(設立)되었다.

각각(各各) 1942년(年) 1943년(年) 에 설립(設立)된 제천실과여학교(堤川實科女學校)와 제천공립농업학교(堤川公立農業學校) 는 현재(現在)까지도 지역(地域) 교육(敎育)에서 중요(重要)한 위치(位置)를 차지하고 있으며, 1948년(年) 에 지역(地域) 최초(最初)로 설립(設立)된 사립학교(私立學校)인 대제중학교(大祭中學校)를 비롯한 네 개(個)의 사립학교(私立學校)도 급속히(急速히) 성장(成長)하여 교육(敎育)·문화(文化)는 물론(勿論)이고 지역(地域) 경제(經濟)에도 큰 영향(影響)을 주고 있다.

2007년(年) 현재(現在) 이 지역(地域)에는 1개(個)의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 1개(個)의 전문대학(專門大學), 1개(個)의 폴리텍대학(大學), 7개(個)의 고등학교(高等學校), 13개(個)의 중학교(中學校), 24개(個)의 초등학교(初等學校), 36개(個)의 유치원(幼稚園), 1개(個)의 특수학교(特殊學校)가 설립(設立)되어 운영(運營)되고 있다. [23]

2006년(年) 에는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 에 의(依)해 평생교육도시(平生敎育都市)로 지정(指定)되었다. [27] 이에 따라 제천시립도서관(堤川市立圖書館) · 제천학생회관(堤川學生會館) · 세명대학교(學校) 평생교육원(平生敎育院) 등에서는 평생교육(平生敎育) 강좌(講座)를 개설(開設)하여 운영(運營)하고 있다.

2010년(年)에 폐교(廢校)된 한국(韓國)폴리테대학(大學) 자리에는 2012년(年)에 산업인력공단(産業人力工團)에서 다문화가정(多文化家庭)의 자녀(子女)들을 위한 기술대안학교(技術代案學校)인 다솜학교(學校)로 개교(開校)하여 현재(現在) 운영(運營)하고 있다. [28]


  
  
  
  
  
  
  • 각종학교(各種學校)
  
  • 특수학교(特殊學校)
  

교통(交通) [ 편집(編輯) ]

철도(鐵道) [ 편집(編輯) ]

1941년(年) 중앙선(中央線) 이 개통(開通)된 이래(以來)로, 제천시는 충북(忠北) 북동부(北東部) 철도(鐵道) 교통(交通)의 결절점(結節點) 역할(役割)을 하고 있다. 제천시의 서북부(西北部)와 동부(東部)를 가로질러서 중앙선(中央線) 이 지나며, 화물(貨物) 운송(運送)에 큰 역할(役割)을 담당(擔當)하는 충북선(忠北線) 봉양역(奉養驛) 에서 시작(始作)하고, 태백선(太白線) 제천역 에서 시작(始作)한다.

지역(地域)에서 가장 큰 역(驛) 인(人) 제천역 은 영천동에, 동양(東洋) 최대(最大)의 조차장(操車場) 인(人) 제천조차장(堤川操車場) 은 천남동에, 태백선(太白線) 화물(貨物) 열차(列車)의 주요(主要) 착발역(着發役)인 입석리역(驛) 은 송학면 시곡리에 있다. 제천역의 2006년(年) 연간(年間) 이용객(利用客) 숫자(數字)는 1,220,331명(名)으로, 하루에 약(約) 3389명(名)꼴로 이용(利用)하였다. [29] 제천역의 2006년(年) 도 화물(貨物) 수송(輸送) 톤키로는 하행(下行) 6,061,229.0톤km, 상행(上行) 27,318,032.4톤km이고, 제천조차장(堤川操車場)의 화물(貨物) 수송(輸送) 톤키로는 하행(下行) 1,736,201.0톤km, 상행(上行) 36,606,512.5톤km이다. [29]

한국철도시설공단 에서는 점점(漸漸) 확장(擴張)되는 제천시(堤川市) 동지역(洞地域) 동부(東部)를 지나가는 태백선(太白線) 제천(堤川)-입석리 구간(區間)을 현재(現在)보다 동쪽(東쪽)으로 더 먼 곳으로 이설(移設)할 계획(計劃)을 세우고 있다. 또한 중앙선(中央線)의 수송량(輸送量) 증대(增大)를 위해 중앙선(中央線) 제천(堤川) - 도담 구간(區間)의 복선(複線) 전철화(電鐵化) 공사(工事)가 진행(進行)되고 있으며, 중앙선(中央線)의 여객(旅客) 열차(列車) 소요시간(所要時間) 단축(短縮)을 위해 원주(原州) - 제천간(堤川間)의 선로(線路) 이설(異說) 및 복선(複線) 전철화(電鐵化) 및 선형(線型) 개량(改良) 공사(工事)가 현재(現在) 실시(實施) 설계(設計) 중(中)이다. 또한 중앙선(中央線) 영주역(榮州驛) 안동역 방면(方面)으로도 복선(伏線) 개량(改良) 전철화(電鐵化)가 추진(推進) 중(中)이며, 코레일 한국형(韓國型) 틸팅열차(列車) 를 도입(導入)하게 하여 제천(祭天)을 거쳐 태백선(太白線) 지역(地域)으로 운행(運行)하게 하려는 노력(努力)도 지역(地域) 사회(社會)에서 진행(進行)되고 있다.

도로(道路) [ 편집(編輯) ]

2010년(年) 8월(月) 부터 운행(運行)되기 시작(始作)한 소형(小型) 시내(市內)버스

제천시의 북부(北部)와 남동부(南東部)를 관통(貫通)하여 중앙고속도로 국도(國道) 제5호선 이 원주시(原州市)와 단양군(丹陽郡)을 잇고 있으며, 주요(主要) 나들목에는 제천(堤川) 나들목 (옛 서제천 나들목 )과 금성면의 남제천(祭天) 나들목 이 있다. 또한 서북부(西北部)와 동부(東部)를 가로지르는 국도(國道) 제38호선 영월군(寧越郡) 충주시(忠州市) 를 잇는데, 충주(忠州) - 제천(堤川) - 영월간(寧越間) 4차선(車線) 확장(擴張) 및 선형개량(先刑改良) 공사(工事)가 완료(完了)되어 지역간(地域間) 교류(交流) 증대(增大)에 큰 기여(寄與)를 하고 있다. 또한 동서고속도로(東西高速道路)의 한 축(軸)인 평택제천고속도로(平澤堤川高速道路) 가 2015년(年) 6월(月) 개통(開通)했다.

사방(四方)으로 연결(連結)된 도로망(道路網)을 이용(利用)해 버스 교통(交通)도 잘 발달(發達)되어 있다. 두 개(個)의 터미널 인(人) 제천시외버스(堤川市外버스)터미널 제천고속버스(堤川高速버스)터미널 이 있으며, 이 외(外)에도 서부동·하소동· 세명대 · 봉양(奉養) ·학산· 탁사정 ·백운 등(等)에 정류장(停留場) 이 있다. 제천시외(堤川市外)버스터미널에는 시외버스(市外버스) 가 정차(停車)하며, 제천고속버스(堤川高速버스)터미널 에는 고속(高速)버스 가 정차(停車)한다. 제천(諸天)과 서울 · 대전(大戰) · 대구(大邱) 등(等) 대도시(大都市)를 잇는 시외직행(市外直行)·시외고속버스(市外高速버스)가 매일(每日) 운행(運行)하고 있다. 제천(諸天)과 서울 을 잇는 고속버스(高速버스)의 연간(年間) 승차자(乘車者) 수(數)는 269,509명(名)이다. [30]

시내(市內)의 버스 교통(交通)은 공영(共營) 업체(業體)인 제천교통(堤川交通) 제천운수(堤川運輸) 가 맡고 있다. 제천시내(堤川市內)와 단양(丹陽)·주천(酒泉)·백운·청풍(靑風)·학산·쌍용 등(等)을 잇는 시내버스(市內버스)가 매일(每日) 운행(運行)하고 있으며, 단양군(丹陽郡)의 농어촌(農漁村)버스 인(人) 단양(丹陽)버스 가 매포(梅浦)를 거쳐 제천역까지, 충주시의 시내(市內)버스 인(人) 삼화(三火)버스공사(工事) , 충주교통(忠州交通) 은 송계(松契)까지, 원주시의 시내(市內)버스 인(人) 동(桐)신운수 태창운수(運輸) 가 학산면(鶴山面)까지 운행(運行)하고 있다. 2003년(年) 부터 시외지역(市外地域)을 운행(運行)하는 버스에는 두 자리, 시내지역(市內地域)을 운행(運行)하는 버스에는 기(氣)·종점(終點)에 따라 세 자리의 노선(路線) 번호(番號)가 부여(附與)되었으나 2010년(年) 7월(月) 무임(無賃) 환승(換乘) 및 환승(換乘) 할인제(割引制)가 시행(施行)되면서 두 자리 번호(番號)의 노선(路線)과 세 자리 번호(番號)의 노선(路線)을 상호(相互) 맞교환(맞交換)했다. 현금(現金)을 내거나 회수권(回數券)을 우구입(禹購入)하여 버스에 승차(乘車)할 수 있으며 [31] , 충청북도(忠淸北道)의 다른 지역(地域)과 마찬가지로 마이비카드 , 티머니 , 캐시비(非) , 하나로카드 등(等)을 이용(利用)해 운임(運賃)을 지불(支拂)할 수 있고 교통(交通)카드 를 이용(利用)하여 40분(分) 내(內)에 1회(回)에 한정(限定)하여 다른 노선(路線)으로 갈아탈 수 있으며 2010년(年) 8월(月) 부터 소형(小型) 시내(市內)버스 인(人) 현대(現代) 카운티 1대(臺)를 도입(導入)해 운행(運行)하고 있다.

2006년(年) 기준(基準)으로 제천시에 등록(登錄)된 자동차(自動車)는 모두 47,781대(臺)로, 통합(統合) 제천시의 통계(統計)가 시작(始作)된 이래(以來)로 꾸준히 증가(增加)하고 있다. [23]

40
고속국도 제40호선
동충주(桐忠州) 나들목 제천(堤川) 분기점(分岐點) 남제천(祭天) 나들목
55
고속국도 제55호선
북단양(北丹陽) 나들목 남제천(祭天) 나들목 제천(堤川) 분기점(分岐點) 제천(堤川) 나들목 신림(宸臨) 나들목


5
국도 제5호선
36
국도 제36호선
38
국도 제38호선


82
지방도 제82호선
402
지방도 제402호선
522
지방도 제522호선
532
지방도 제532호선
534
지방도 제534호선
597
지방도 제597호선

주요(主要) 기관(機關) [ 편집(編輯) ]

제천시(堤川市)에는 다음의 주요(主要) 행정(行政) 및 공공기관(公共機關)이 있다.

자매(姊妹) 도시(都市) [ 편집(編輯) ]

지역(地域) & 국가(國家) 도시(都市)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경기도(京畿道) 광명시(光明市)
안산시(安山市)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동대문구(東大門區)
서초구(瑞草區)
성북구(城北區)
용산구(龍山區)
전라남도(全羅南道) 함평군(咸平郡)
충청남도(忠淸南道) 논산시(論山市)
러시아의 기 러시아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미국의 기 미국(美國) 워싱턴주(워싱턴州) 스포캔
아랍에미리트의 기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장시성(장시省) (江西省) 장수시 (樟?市)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中華民國) 화롄현(縣) (花?縣)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021년(年) 12월(月) 주민등록(住民登錄) 인구(人口)” .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2. 칙령(勅令) 제(第)98호(號)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年) 음력(陰曆) 5월(月) 26일(日))
  3. 칙령(勅令) 제(第)36호(號)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年) 8월(月) 4일(日))
  4.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111호(號) ( 1913년(年) 12월(月) 29일(日) )
  5. 조선총독부령(朝鮮總督府令) 제(第)221호(號) ( 1940년(年) 10월(月) 23일(日) )
  6. 동해시등시설치와시(等市設置瓦市)·군관할구역(軍管轄區域)및명칭변경(名稱變更)에관한법률 [시행(施行) 1980. 4. 1.] [ 법률(法律) 제(第)3188호(號)], 1979. 12. 28., 제정(制定)]
  7.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11027호(號) 시(時)·군(郡)·구(區)·읍(邑)·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 1983년(年) 1월(月) 10일(日) ) 제3조
  8. 대통령령(大統領令) 제(第)12007호(號) 시(時)·군(郡)·구(區)·읍(邑)·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 1986년(年) 12월(月) 23일(日) ) 제5조
  9. 법률(法律) 제(第)4774호(號) 경기도(京畿道)남양주시등(等)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 1994년(年) 8월(月) 3일(日) ) 제4조
  10. 시조례(市條例) 제(第)136호(號) 봉양읍 설치(設置)에 관(關)한 조례(條例) ( 1995년(年) 3월(月) 2일(日) )
  11. 시조례(市條例) 제(第)333호(號) 행정운영동의(行政運營同意) 설치(設置) 및 동장정수조례(洞長精髓條例) ( 1998년(年) 9월(月) 25일(日) )
  12. 시조례(市條例) 제(第)591호(號) 행정운영동의(行政運營同意) 설치(設置) 및 동장정수조례(洞長精髓條例) ( 2003년(年) 7월(月) 7일(日) )
  13. 고암모산동→의암동, 중앙의림명동(中央醫林明洞)→인성동(人城東), 남천동현동→남현동, 서부(西部)영천동→영서동(嶺西桐), 신백(神帛)두학동→신백동
  14. 의암동→의림지동(義林池桐), 인성동(人城東)→중앙동
  15. http://www.okjc.net/bottom.html?&orderConst=10102&const=10102&level=2&TIC=2010016&menu_id=270%7C Archived 2007년(年) 9월(月) 28일(日) - 웨이백 머신 제천시청(堤川視聽)
  16. “우리나라 기후평년값(氣候平年값)(1991~2020) 제천(堤川)(221)” .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 2021년(年) 3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17. “순위(順位)값 - 구역별조회(區域別照會) 제천(堤川)(221)” . 대한민국(大韓民國) 기상청(氣象廳) . 2021년(年) 10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18. “5만(萬) 지질도(地質圖)”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 “堤川 地質圖幅說明書 (제천(堤川) 지질도폭설명(地質圖幅說明)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7년(年).  
  20. “黃江里 地質圖幅說明書 (황강리 지질도폭설명(地質圖幅說明)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5년(年).  
  21. 손영운 (2013년(年)).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科學) 답사기(踏査記) 2> 134 페이지》.  
  22. 최근인구현황(最近人口現況) - 제천시통계(堤川市統計)
  23. 《제천시통계연보(堤川市統計年報)》, 제천시청(堤川視聽), 2006년(年)
  24. 충청북도(忠淸北道) 시군단위(市郡單位) 지역내총생산(地域內寵生産)(GRDP) 통계청(統計廳)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25. 충청북도(忠淸北道) 기본통계(基本統計) 통계청(統計廳)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
  26. “제천(堤川) 시민공원(市民公園), 오는 25일(日) 개장(開場)” . 2017년(年) 12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7. 06년(年) 25개(個) 평생학습도시(平生學習都市) 추가(追加) 선정(選定)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2006년(年) 4월(月) 14일(日) ,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
  28. “교육전문기업(敎育專門企業) 박문각, 제천(堤川)에 대학(大學) 설립(設立) 추진(推進)” . 2017년(年) 12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철도통계연보(鐵道統計年報)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 2006년(年)
  30. 연도별(年度別) 노선별(路線別) 고속(高速)버스 수송인원(輸送人員) Archived 2005년(年) 5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전국(全國)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運送事業組合聯合會), 2006년(年)
  31. 회수권(回數券)을 구입(購入)하여 승차(乘車)하는 승객(乘客)은 거의 전무(全無)하다. 이때문에 2010년(年) 5월(月) 31일(日) 부(部)로 회수권(回數券) 제도(制度)가 폐지(廢止)되었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