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제주항공(濟州航空) 502편(篇) 활주로(滑走路) 이탈(離脫) 사고(思考)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제주항공(濟州航空) 502편(篇) 활주로(滑走路) 이탈(離脫) 사고(事故)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제주항공(濟州航空) 502편(篇) 활주로(滑走路) 이탈(離脫) 사고(事故)

개요(槪要)
발생일시(發生日時) 2007년(年) 8월(月) 12일(日)
발생유형(發生類型) 활주로(滑走路) 이탈(離脫)
발생원인(發生原因) 기상(氣象) 악화(惡化)(강풍(强風))
발생장소(發生場所) 대한민국(大韓民國)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비행(飛行) 내용(內容)
기종(機種) 봄바디어 Q402
소속(所屬) 제주항공(濟州航空)
호출부호(呼出符號) JEJU AIR 502
등록번호(登錄番號) HL5256
출발지(出發地) 제주국제공항(濟州國際空港)
목적지(目的地)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탑승승객(搭乘乘客) 74
피(避)해 내용(內容)
사망자(死亡者) 0명(名)
부상자(負傷者) 약(約) 10명(名)
생존자(生存者) 74명(名)(전원(電源) 생존(生存))

제주항공(濟州航空) 502편(篇) 활주로(滑走路) 이탈사고(離脫事故) ( 영어(英語) : Jeju Air Flight 502 )는 제주항공(濟州航空) DHC-8-Q402 항공기(航空機)가 2007년(年) 8월(月) 12일(日) 대한민국(大韓民國)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에 착륙(着陸) 후(後), 주기장(駐機場)으로 이동(移動)하던 도중(途中) 강풍(强風)으로 인(因)해 활주로(滑走路)를 이탈(離脫)한 사고(思考)이다. 이 사고(事故)로 승객(乘客) 74명(名) 중(中) 약(約) 10여명(餘名)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事故) 이후(以後) 제주항공의 모든 Q400 퇴역(退役)했다. [1]

사고(事故) 내용(內容) [ 편집(編輯) ]

제주항공(濟州航空) 소속(所屬) 7C502편(篇)은 2007년(年) 8월(月) 12일(日)에 제주국제공항(濟州國際空港) 을 출발(出發)하여 오전(午前) 9시(時) 37분(分) 즈음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 에 착륙(着陸)한다. 당시(當時) 착륙(着陸) 지역(地域)인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김해시(金海市) 를 비롯한 한반도(韓半島) 의 남부(南部) 지역(地域)에는 평균(平均) 4.1m/s정도(程度)의 강풍(强風)이 불고 있었으며 [2] , 사고(事故) 당시(當時) 김해국제공항(金海國際空港)에는 최대(最大) 풍속(風速) 26m/s에 이르는 강풍(强風)이 일고 있었다. [3] 착륙(着陸) 후(後), 7C502편(篇)은 주기장(駐機場)으로 항공기(航空機)를 이동(移動)(Taxing)하던 중(中), 구(舊) 활주로(滑走路) G6과 G7사(社)이 지점(地點) 좌측(左側) 배수구(排水口)에 항공기(航空機)가 빠지는 사고(事故)가 발생(發生)하였다.

여담(餘談)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일어난 저비용(低費用) 항공사(航空社) 최초(最初)의 사고(事故)이자 한국(韓國)에서 유일(唯一)하게 발생(發生)된 Q400 여객기(旅客機) 사고(事故)이기도 하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김해서 여객기(旅客機) 활주로(滑走路) 이탈(離脫)..10여명(餘名) 부상(負傷) , 《연합뉴스(聯合뉴스)》, 2007년(年) 8월(月) 12일(日)
  2. 부산(釜山) 기상청(氣象廳) 8월(月) 12일(日) 평균(平均) 풍속(風速) 기준(基準) [ 출처(出處) 필요(必要) ]
  3. 제주항공(濟州航空) 502편(篇) 활주로(滑走路) 이탈(離脫), 10여명(餘名) 부상(負傷)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 《파이낸셜뉴스》, 2007년(年) 8월(月) 12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