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니콜라오   정진석(鄭鎭奭)   사제급(私製級) 추기경(樞機卿)
추기경(樞機卿) 직책(職責) 산타 마리아 임마콜라타 디 루르데스 아 보체아 성당(聖堂) 명(名)의 주임사제(主任司祭)
대교구(大敎區)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1998년(年)-2012년(年))
관구(管區) 서울관구(館區) 관구장(管區長)(1998년(年)-2012년(年))
교구(敎區) 청주교구장(淸州敎區長)(1970년(年)-1998년(年))
평양교구장(平壤敎區長) 서리(1998년(年)-2012년(年))
전임자(前任者) 김수환(金壽煥) 추기경(樞機卿)
후임자(後任者) 염수정(廉洙政) 추기경(樞機卿)
성직(聖職)
사제서품(司祭敍品) 1961년(年) 3월(月) 18일(日)
수여(授與)  노기남(盧基南) 주교(主敎)
주교서품(主敎敍品) 1970년(年) 10월(月) 3일(日)
수여(授與)  노기남(盧基南) 대주교(大主敎)
추기경(樞機卿) 2006년(年) 3월(月) 24일(日)
서임(敍任)  교황(敎皇) 베네딕토 16세(歲)
개인정보(個人情報)
출생(出生) 1931년(年) 12월(月) 7일(日) ( 1931-12-07 )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조선(朝鮮) 경기도(京畿道) 경성부(京城府)
(현(現)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수표동)
선종(腺腫) 2021년(年) 4월(月) 27일(日) ( 2021-04-27 ) (89세(歲))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聖母病院)
교파(敎派) 천주교(天主敎)
부모(父母) 정원모(부(簿)), 이복순(모(某))
재직(在職) 천주교(天主敎) 서울대교구(大敎區) 유지재단(維持財團) 이사장(理事長), 가톨릭학원(學院) 이사장(理事長)
학력(學歷) 가톨릭대학교 졸업(卒業), 로마 우르바노대학교(大學校) 대학원(大學院) 석사(碩士),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화학공학과(化學工學科)(2018년(年) 명예졸업(名譽卒業))
모교(母校) 가톨릭대학교
사목표어(社目標語) 모든 이에게 모든 것(Omnibus Omnia)
문장(文章)

정진석(鄭鎭奭) (鄭鎭奭, 1931년(年) 12월(月) 7일(日) ~ 2021년(年) 4월(月) 27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 천주교(天主敎) 성직자(聖職者)이자 가톨릭 추기경(樞機卿) 이다. 세례명(洗禮名)은 니콜라오 이며, 전직(前職) 천주교(天主敎) 서울대교구(大敎區) 교구장(敎區長)과 평양교구장(平壤敎區長) 서리(署理)를 역임(歷任)하였다.

유년(幼年) 시절(時節) [ 편집(編輯) ]

1931년(年) 12월(月) 7일(日) 경기도(京畿道) 경성부(京城府) 수표정(獸表情)(현(現)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중구(中區) 수표동)에서 정원모와 이복순(루시아)의 아들로 출생(出生)하였다. 정진석의 아버지 정원모는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사회주의(社會主義) 운동(運動)을 하다가 1931년(年) 여름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 재건(再建) 국내공작위원회(國內工作委員會) 사건(事件) 의 핵심(核心) 인물(人物)로 구속(拘束)돼 3년(年)의 옥고(獄苦)를 치렀으며 1944년(年) 다시 공산주의자협의회(共産主義者協議會) 사건(事件) 으로 구속(拘束)돼 경기도경(京畿道警)에서 조사(調査) 받던 중(中) 광복(光復)을 맞아 석방(釋放)되었다. 광복(光復) 후(後) 월북(越北)한 정원모는 북한(北韓) 정부(政府)에서 공업성(工業性) 부상(浮上)(차관(次官))을 지내다가 숙청(肅淸)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1931년(年) 12월생(月生)인 정진석(鄭鎭奭)은 아버지가 처음 체포(逮捕)될 당시(當時) 태중(胎中)에 있었으며, 옥고(獄苦)를 치르고 나온 아버지가 새 가정(家庭)을 꾸리면서 인연(因緣)이 끊어져 아버지의 얼굴을 모른 채 외동아들로 성장(成長)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진석(鄭鎭奭)은 아버지에 대(對)한 이야기를 거의 듣지 못하고 자랐으며, 어머니로부터 아버지가 일본(日本) 으로 간 다음 연락(連絡)이 끊겼다는 이야기만 전(傳)해들었다. [1]

사제(司祭)와 주교(主敎) [ 편집(編輯) ]

정진석(鄭鎭奭)은 계성보통학교(普通學校)(현(現) 계성초등학교 )와 6년제(年制) 중앙중학교(中央中學校) 를 졸업(卒業)하고 1951년(年)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공대(工大) 화공과(化工科)에 입학(入學)했으나 한국전쟁(韓國戰爭) 으로 중퇴(中退)하고 1955년(年) 성신대학교(誠信大學校)(현(現) 가톨릭대학교 )에 입학(入學), 1962년(年) 대학교(大學校)를 졸업(卒業)하고 사제(司祭)로 서품(敍品)되었다.

서품(敍品) 후(後)에 그는 중림동 성당(聖堂) 보좌신부(補佐神父), 성신중(性愼重)·고등학교(高等學校)(소신학교(小神學校)) 교사(敎師)를 거쳐 1962년(年) 서울대교구(大敎區) 법원(法院) 서기(書記), 1964년(年)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총무(總務), 1965년(年)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 비서(祕書) 겸(兼) 상서국(上書國) 부국장(副局長), 1966년(年) 상(上)서국장, 1967년(年) 성신중(性愼重)·고등학교(高等學校) 부교장(副校長) 등(等)을 역임(歷任)한 후(後) 1968년(年) 로마 우르바노 대학원(大學院)에 유학(遊學), 1970년(年) 동(同) 대학원(大學院)에서 교회법(敎會法) 석사학위(碩士學位)를 취득(取得)하고 귀국(歸國)했고 곧바로 1970년(年) 6월(月) 25일(日) 공석(空席) 중(中)이던 청주교구장(淸州敎區長) 주교(主敎)로 임명(任命)되어 그해 10월(月) 3일(日) 주교(主敎) 서품(敍品)을 받았다.

청주교구(淸州敎區) 교구장(敎區長) 이 된 정진석 주교(主敎)는 40세(歲)의 젊은 나이로 교구장(敎區長) 주교(主敎)가 되었지만 특유(特有)의 온화(溫和)한 성품(性品)으로 28년간(年間) 청주교구(淸州敎區)를 이끄는 목자(牧者)로서의 사목(司牧)을 수행(遂行)하였다. 1970년(年) 부터 1998년(年) 까지 재단법인(財團法人) 청주교구(淸州敎區) 천주교회(天主敎會) 유지재단(維持財團) 이사장(理事長)을 역임(歷任)하였으며, 1983년(年) 부터 1993년(年) 까지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 주교회의(主敎會議) 총무(總務)로 1993년(年) 부터 1996년(年) 까지는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 주교회의(主敎會議) 부의장(副議長)을 지내 한국(韓國) 천주교회(天主敎會)의 발전(發展)에 큰 역할(役割)을 했으며, 1983년(年) 부터 맡기 시작(始作)한 한국(韓國) 주교회(主敎會)의 교회법위원회(交會法委員會) 위원장(委員長)은 24년(年)이 지난 지금(只今)까지도 맡아오고 있다.

1996년(年) 부터 한국(韓國) 천주교(天主敎) 주교회의(主敎會議) 의장(議長)을 맡아오고 있던 그는 1998년(年) 고령(高齡)의 나이로 은퇴(隱退)하는 서울대교구(大敎區) 교구장(敎區長) 겸(兼) 서울관구장(管區長) 김수환(金壽煥) 추기경(樞機卿) 의 뒤를 이어 제(第)13대(代) 천주교(天主敎) 서울대교구(大敎區) 교구장(敎區長)인 대주교(大主敎)로 임명(任命)되었고 동시(同時)에 서울관구(館區) 관구장(管區長) 대주교(大主敎) 로 임명(任命)되었으며 본인(本人)(정진석(鄭鎭奭))이(李) 중앙중학교(中央中學校) 에 다닐 당시(當時) 교사(敎師)였던 [2] 김형석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명예교수(名譽敎授)가 김수환(金壽煥) 추기경(樞機卿)과 함께 조치대학교(學校) 에서 [3] 수학(數學)하기도 했다. 1998년(年) 평화방송 의 이사(理事)로 선임(選任)이 되었으며, 1999년(年) 부터 재단법인(財團法人) 서울대교구(大敎區) 유지재단(維持財團)의 이사장(理事長)을 현재(現在)까지 역임(歷任)하고 있으며, 1999년(年) 부터 2002년(年) 까지 학교법인(學校法人) 가톨릭학원(學院) 제(第)2대(代) 이사장(理事長)을 역임(歷任)했고, 2004년(年) 부터 2012년(年) 까지 학교법인(學校法人) 가톨릭학원(學院) 제(第)4대(代) 이사장(理事長)을 역임(歷任)하였다.

약력(略歷) [ 편집(編輯) ]

  • 1961년(年) 3월(月) 18일(日): 사제(司祭) 서품(敍品)
  • 1961년(年): 중림동(中林洞) 본당(本堂) 보좌신부(補佐神父)
  • 1961년(年) ~ 1967년(年): 서울 성신고등학교(聖神高等學校) 교사(敎師)
  • 1964년(年) ~ 1965년(年):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총무(總務)
  • 1965년(年) ~ 1967년(年):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 노기남(盧基南) 대주교(大主敎) 비서(祕書)
  • 1967년(年) ~ 1968년(年): 서울 성신고등학교(聖神高等學校) 부교장(副校長)
  • 1968년(年) ~ 1970년(年): 로마 유학(遊學)
  • 1970년(年) 6월(月) 25일(日): 제(第)2대(代) 청주교구장(淸州敎區長) 임명(任命)
  • 1970년(年) 10월(月) 3일(日): 주교(主敎) 서품(敍品), 청주교구장(淸州敎區長) 착좌(着座)
  • 1973년(年) 10월(月) 15일(日) ~ 1976년(年) 10월(月) 11일(日): 주교회(主敎會)의 교리교육위원회(敎理敎育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1975년(年) 2월(月) 26일(日) ~ 1981년(年) 5월(月) 28일(日): 주교회의(主敎會議) 상임위원(常任委員)
  • 1978년(年) 4월(月) 4일(日) ~ 1984년(年) 11월(月) 26일(日): 주교회의(主敎會議) 신앙교리위원회(信仰敎理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1983년(年) 2월(月) 25일(日) ~ 2007년(年) 10월(月): 주교회(主敎會)의 교회법위원회(交會法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1984년(年) 11월(月) 30일(日) ~ 1987년(年) 11월(月) 18일(日): 주교회의(主敎會議) 상임위원(常任委員)
  • 1987년(年) 11월(月) 18일(日) ~ 1993년(年) 10월(月) 13일(日): 주교회(主敎會)의 총무(總務)
  • 1991년(年) 3월(月) 4일(日) ~ 1996년(年) 10월(月) 17일(日): 주교회(主敎會)의 교리교육위원회(敎理敎育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1993년(年) 10월(月) 14일(日) ~ 1996년(年) 10월(月) 17일(日): 주교회의(主敎會議) 부의장(副議長)
  • 1996년(年) 10월(月) 17일(日) ~ 1999년(年) 10월(月) 14일(日): 주교회의(主敎會議) 의장(議長)
  • 1998년(年) 4월(月) 3일(日):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 임명(任命) 및 대주교(大主敎) 승품(陞品)
  • 1998년(年) 6월(月) 6일(日): 평양교구장(平壤敎區長) 서리(署理) 임명(任命)
  • 1998년(年) 6월(月) 29일(日):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 겸(兼) 평양교구장(平壤敎區長) 서리 착좌(着座)
  • 1998년(年) 6월(月) 29일(日) ~ 2003년(年) 2월(月): 학교법인(學校法人) 가톨릭학원(學院) 이사장(理事長)
  • 1998년(年) 10월(月) 13일(日) ~ 2004년(年) 10월(月) 14일(日): 주교회의(主敎會議) 민족화해주교특별위원회(民族和解主敎特別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1999년(年) 7월(月) 8일(日) ~ 2012년(年) 5월(月) 10일(日): 재단법인(財團法人) 천주교(天主敎) 서울대교구(大敎區) 유지재단(維持財團) 이사장(理事長)
  • 2004년(年) 10월(月) 4일(日) ~ 2012년(年) 6월(月) 20일(日): 학교법인(學校法人) 가톨릭학원(學院) 이사장(理事長)
  • 2004년(年) 10월(月) ~ 2012년(年) 5월(月): 한국외방선교회(韓國外方宣敎會) 총재(總裁)
  • 2006년(年) 3월(月) 24일(日): 추기경(樞機卿) 서임(敍任)
  • 2012년(年) 5월(月) 10일(日):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 겸(兼) 평양교구장(平壤敎區長) 서리 퇴임(退任)
  • 2021년(年) 4월(月) 21일(日): 선종(腺腫)

기타 [ 편집(編輯) ]

생명윤리(生命倫理) 강조(强調) [ 편집(編輯) ]

정진석 대주교(大主敎)는 황우석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석좌교수(夕座敎授)의 배아(胚芽)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가 활발(活潑)하게 진행(進行)되면서 전(全) 세계(世界)의 이목(耳目)을 받고 있던 2005년(年) 내내, 황(黃) 교수(敎授)의 연구(硏究)에 대(對)한 매파(매派)로 앞장 섰다. 정(鄭) 대주교(大主敎)는 성명서(聲明書)를 내고 황(黃) 교수(敎授)의 연구(硏究)는 “인간배아(人間胚芽) 파괴(破壞)를 전제(前提)로 하는 살인(殺人) 행위(行爲)”와 같다며 명백히(明白히) 반대(反對)한다고 밝혔다. 정(鄭) 대주교(大主敎)는 “황(黃) 교수(敎授)의 배아(胚芽)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가 난치병(難治病) 치료(治療)를 위한 목적(目的)이라고는 하지만 이는 인간(人間) 생명(生命)이 극도(極度)로 훼손(毁損)된다는 점(點)에서 심각(深刻)한 문제(問題)”라며 “가톨릭교회는 이에 명백히(明白히) 반대(反對)하며 연구(硏究)의 즉각적(卽刻的)인 중단(中斷)을 촉구(促求)한다.”라고 밝혔다.

정(鄭) 대주교(大主敎)는 또 “교회(敎會)가 황(黃) 교수(敎授) 연구(硏究)에 대(對)해 심각(深刻)하게 우려(憂慮)하는 것은 복제인간(複製人間)의 출현성(出現性)이 한층(한層) 높아졌다는 것”이라며“인간생명을 복제(複製)해 질병(疾病) 치료(治療)에 이용(利用)하는 것은 근본적(根本的)으로 인간(人間) 생명(生命)을 죽이는 행위(行爲)이자 존엄성(尊嚴性)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鄭) 대주교(大主敎)는 이어 “가톨릭교회는 난치병(難治病) 환자(患者)의 고통(苦痛)을 결코(決코) 외면(外面)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줄기세포(細胞)에 대(對)한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하다면 윤리적(倫理的)으로나 임상적(臨床的)으로 문제(問題)가 없는 성체(聖體)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가 대안(對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4]

황(黃) 교수(敎授)는 이를 전(傳)해듣고 즉각(卽刻) “필요(必要)한 경우(境遇) 가톨릭 지도자(指導者)를 만나 이해(理解)를 구(求)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에 정(鄭) 대주교(大主敎)도 “황(黃) 교수(敎授)가 귀국(歸國)하는 대로 가능(可能)한 한(限) 빨리 만나 의견(意見)을 나누고 싶다.”라고 밝혔다. [5]

생명윤리(生命倫理)에 대(對)한 종교인(宗敎人)과 과학자(科學者)의 뜨거운 논쟁(論爭)이 벌어질 것으로 관심(關心)을 모았던 정(鄭) 대주교(大主敎)와 황(黃) 교수(敎授)의 만남은 2005년(年) 6월(月) 15일(日) 서울대교구청(敎區廳) 주교관(主敎館)의 대교구장(大敎區長) 집무실(執務室)에서 비공개(非公開)로 진행(進行)됐다. 이 자리에서 두 사람 사이에는 1시간가량(時間假量) 화기애애(和氣靄靄)한 분위기(雰圍氣) 속에 다양한 줄기세포(細胞)의 유도(誘導) 방법(方法)과 그들이 각각(各各) 지니고 있는 임상의학(臨床醫學) 적(敵) 장단점(長短點) 및 생명(生命)의 시작(始作)과 여성(女性) 난자(卵子) 사용(使用)에 대(對)한 윤리적(倫理的) 문제(問題) 등(等)에 대(對)한 폭넓은 의견(意見) 교환(交換)이 이루어졌으나, 배아(胚芽)를 생명체(生命體)로 볼 수 있느냐는 근본적(根本的) 문제(問題)에 대(對)해서는 이견(異見)을 좁히지 못했다. 이 자리에서 정(鄭) 대주교(大主敎)는 “가톨릭교회는 수정(修正)을 인간(人間) 생명(生命)의 시작(始作)으로 보고 있어서 배아(胚芽) 파괴(破壞)를 인간(人間) 파괴(破壞)로 간주(看做)한다. 이번(이番) 황(黃) 교수(敎授)의 줄기세포(細胞) 역시(亦是) 인간배아(人間胚芽)로 규정(規定)하고 있다.”라고 언급(言及)했다. [6]

배아(胚芽)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에 맞서기 위해 성체(聖體)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를 적극(積極) 홍보(弘報) 지원(支援)키로 한 정(鄭) 추기경(樞機卿)은 서울대교구(大敎區) 안에 생명위원회(生命委員會)를 신설(新設)하면서 성체(聖體)줄기 세포(細胞) 연구(硏究)와 임상실험(臨床實驗)을 위해 약(約) 100억(億)원을 투입(投入)하여 세포치료(細胞治療) 사업단(事業團)을 2005년(年) 10월(月) 5일(日) 발족(發足)하였다. 또한, 국내(國內) 모든 성체(聖體)줄기세포(細胞) 연구(硏究) 관련(關聯) 기관(機關) 및 단체(團體)와 협력(協力)해 연구(硏究)를 진행(進行)하기 위한 ‘성체(聖體)줄기세포연구협력단(細胞硏究協力團)’을 조직(組織)하고 서울대교구(大敎區)를 중심(中心)으로 사회(社會) 단체(團體)와 연대(連帶)해 생명존중운동(生命尊重運動) 기구(機構)인 ‘생명연대(生命連帶)’도 발족(發足)하였다. [7]


서울시(서울市) 뉴타운 재개발(再開發) [ 편집(編輯) ]

2009년(年) 7월(月) 19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은 서울시(서울市)의 뉴타운 재개발(再開發) 정책(政策)의 문제점(問題點)을 지적(指摘)하였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대규모(大規模) 재개발(再開發) 예정지(豫定地)로 지정(指定)되어 강제(强制) 철거(撤去)될 위기(危機)에 처(處)한 서울 서대문구(西大門區) 가좌동성당(加佐洞聖堂) 에서 주일(主日)미사를 집전(執典)하면서 강론(講論)을 통해 “재개발(再開發)을 추진(推進)하는 과정(過程)에서 그 지역(地域)의 세입자(貰入者)와 서민(庶民)의 처지(處地)를 도외시(度外視)한다면 그 정책(政策)은 보완(補完)돼야 한다.”라면서 “가장 중요(重要)한 것은 돈보다 사람을 중심(中心)으로 한 정책(政策)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또 “재개발(再開發) 사업(事業)은 주거복지(住居福祉) 향상(向上)을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실제로(實際로)는 복지(福祉)는커녕 추가(追加) 부담금(負擔金) 때문에 원주민(原住民)의 70% 이상(以上)이 다른 지역(地域)으로 쫓겨나고 있다. 서민(庶民)에게 혜택(惠澤)을 줄 거라는 뉴타운 재개발(再開發)이 오히려 이들에게 고통(苦痛)을 안겨주는 것이라면 이런 정책(政策)은 분명히(分明히) 변(變)해

쌍용자동차(雙龍自動車) 사태(事態) [ 편집(編輯) ]

2009년(年) 7월(月) 30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은 쌍용자동차(雙龍自動車) 노사(勞使) 대립(對立) 사태(事態)에 대(對)해 “모든 문제(問題)를 힘으로만 해결(解決)하는 것은 불의”라고 지적(指摘)했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서울대교구청(敎區廳) 주교관(主敎館)에서 사전(事前) 조율(調律) 없이 찾아온 쌍용자동차 노조원(勞組員) 가족(家族) 10명(名)을 만나 위로(慰勞)하며 “모든 문제(問題)를 힘으로 해결(解決)하려는 것은 불의(不義)의 악순환(惡循環)을 가져온다.”라면서 “모든 문제(問題) 해결(解決)에는 인내(忍耐)의 대화(對話)와 타협(妥協)이 필요(必要)하다.”라고 했다. “이번(이番) 문제(問題)가 폭력(暴力)이 아니라 평화적(平和的)으로 해결(解決)되기를 간절히(懇切히) 바란다. 선의(善意)를 가진 많은 이들이 이번(이番) 사태(事態)가 좋게 해결(解決)될 수 있도록 노력(努力)하고 있고, 또 노력(努力)할 것”이라며 “부족(不足)한 나도 최선(最善)의 노력(努力)을 다하겠다. 여러분을 위해 계속(繼續) 기도(祈禱)하겠다.”라고 말했다. 서울대교구청(敎區廳)은 “노조원(勞組員) 가족(家族)들이 ‘물에 빠져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마음으로 다급(多急)하고 간절(懇切)한 마음에 왔다.’라면서 사측(社側)의 의약품(醫藥品)·음식(飮食)·식수(食水) 공급(供給) 차단(遮斷)에 따른 어려움과 인권(人權) 침해(侵害) 현실(現實)을 토로(吐露)했고, 정(鄭) 추기경(樞機卿)은 심각(深刻)한 표정(表情)으로 경청(傾聽)했다.”라고 전(傳)했다. [8]

용산 철거(撤去) 현장(現場) 화재(火災) 사건(事件) [ 편집(編輯) ]

2009년(年) 12월(月) 8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은 용산(龍山)4구역(區域) 철거(撤去) 현장(現場) 화재(火災) 사고(事故) 의 조속(早速)한 사태(事態) 해결(解決)을 호소(呼訴)하였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용산(龍山) 참사(慘事)의 핵심(核心)은 억울(抑鬱)한 사람들이 법(法)의 보호(保護)를 받지 못한다는 것”이라며 “재개발(再開發)을 하는 곳마다 문제(問題)가 생기고 억울(抑鬱)한 사람들이 법(法)의 보호(保護)를 받지 못한다는 것은 관련법(關聯法)이 미비(未備)하다는 것을 뜻하므로, 입법기관(立法機關) 종사자(從事者)들이 법(法) 제도(制度) 정비(整備) 등(等)에 적극(積極) 나서서 해결(解決)해야 한다.”라고 강조(强調)했다. 이어 정(鄭) 추기경(樞機卿)은 “우리 사회(社會)는 입법기관(立法機關) 종사자(從事者)들에게 특권(特權)도 부여(附與)하고 있지만, 과연(果然) 그들이 대우(待遇)를 받는 만큼 국민(國民)을 위해 봉사(奉仕)하는지 의문(疑問)”이라며 일침(一鍼)을 가(加)했다. [9]

천안함(天安艦) 사건(事件) [ 편집(編輯) ]

2010년(年) 4월(月) 4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은 백령도(白翎島) 인근(隣近) 해상(海上)에서 발생(發生)한 천안함(天安艦) 침몰(沈沒) 사건(事件) 을 언급(言及)하며, 희생자(犧牲者)들의 안식(安息)을 기원(祈願)하고 유가족(遺家族)들에게는 위로(慰勞)의 말을 전(傳)했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명동(明洞) 주교좌(主敎座) 성당(聖堂)에서 주례(主禮)한 예수부활대축일(復活大祝日) 미사를 시작(始作)하면서 “지난 3월(月) 26일(日) 갑작스런 사고(事故)로 가족(家族)의 생사(生死)를 알지 못해 애태우고 있는 천안함(天安艦) 승조원(乘組員) 가족(家族)들에게 위로(慰勞)의 말을 전(傳)한다”며 “실종자(失踪者)들이 하루빨리 가족(家族)들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느님께 간절히(懇切히) 기원(起源)드린다.”라고 밝혔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또 “실종자(失踪者) 구조작업(救助作業)을 위해 자신(自身)의 몸을 아끼지 않고 애써 주시는 모든 분에게도 감사(感謝)의 말씀을 드린다”며 “구조(救助) 작업(作業)을 하다가 안타깝게 희생(犧牲)되신 분들의 영혼(靈魂)을 위해 이 미사 중(中)에 하느님께 함께 기도(祈禱)하자”고 강조(强調)했다.

정(情) 추기경(樞機卿)은 또한 4월(月) 6일(日) 정정길 대통령실(大統領室) 실장(室長)의 예방(豫防)을 받은 자리에서도 “용산(龍山) 참사(慘事) 때도 그래야 했지만, 이번(이番) 천안함(天安艦) 희생자(犧牲者)들과 유족(遺族)들에게도 정부(政府)가 더욱 따뜻하게 대(對)하고 배려(配慮)를 하는 모습이 필요(必要)하다.”라면서 “국민(國民)들이 잘 이해(理解)할 수 있도록 하는 등(等) 정부(政府)가 국민(國民)과 소통(疏通)하는 노력(努力)을 보였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10]

문장(文章) [ 편집(編輯) ]

방패(防牌) 왼편(왼便)의 문양(文樣)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을 돌보는 성모(聖母) 마리아 의 보호(保護)(세 별) 아래, 순교(殉敎) 성인(成人) 들의 정신(精神)으로(붉은색 바탕의 빨마(魔)와 칼), 성덕(聖德)을 실천(實踐)함으로써(별과 칼의 금색(金色)), 한반도(韓半島) 에 빛을 비추어(노란색 무궁화(無窮花) ) 한국(韓國) 사람들의 복음화(福音化)와 일치(一致)를 이룩하여 온 백성(百姓)이 성가정(聖家庭) 즉(卽), 그리스도 의 부모(父母)인 성(聖) 요셉 성모(聖母) 마리아 , 아기 예수 가 이룬 가정(家庭)을 본받아 화목(和睦)한 한 가족(家族)을 이루도록 하고자 함을 뜻한다.

방패(防牌) 오른편(오른便)의 문양(文樣)은 그리스도 의 몸인 성체(聖體) (작은 원)를 중심(中心)으로, 성령(聖靈) (비둘기)과 함께 이 땅에 사는 “모든 이에게 모든 것”(큰 원)이(李) 되어 무한(無限)한 사랑을 베풀어 “그들이 (그분 자신(自身)이 생명(生命)인 예수 그리스도 를 통하여 영원(永遠)한) 생명(生命)을 얻고 또 얻어 넘치게 하도록”( 요한 복음서(福音書) 10장(章) 10절(節)) 복음(福音)을 전(傳)하며, 평화(平和) 를 증진(增進)하고자 하는 염원(念願)을 나타낸다.

왼편(왼便)은 교구(敎區), 오른편(오른便)은 자신(自身)을 나타냄으로써 완벽(完璧)한 문장(文章)이 된다.

문장(文章) 아랫쪽 리본에는 라틴어(語) 로 “OMNIBUS OMNIA”라고 씌어 있는데, 이는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라는 의미(意味)로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의 사목표어(司牧標語)이다.

은퇴(隱退) [ 편집(編輯) ]

2012년(年) 5월(月) 10일(日) 교황(敎皇) 베네딕토 16세(歲) 는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의 서울대교구(大敎區) 교구장주교직(敎區長主敎職) 은퇴(隱退)를 받아들이고, 후임(後任) 교구장(敎區長)으로 서울대교구(大敎區) 보좌주교(補佐主敎)이자 총대리인(總代理人) 염수정(廉洙政) 안드레아 주교(主敎) 를 새로운 서울대교구(大敎區)의 교구장(敎區長)으로 임명하였다.

선종(腺腫) [ 편집(編輯) ]

2021년(年) 2월(月) 노환(老患)으로 인(因)해 서울성모병원(聖母病院) 에 입원(入院)했고, 깨끗하고 편안(便安)한 선종(船種)을 준비(準備)하고 싶다면서 수술(手術)과 연명(延命) 치료(治療)를 거부(拒否)했으며, 두 달 후(後)인 4월(月) 27일(日) 향년(享年) 90세(歲)로 선종(善終)하였다. 선종(腺腫) 직전(直前) 사후(事後) 장기기증(臟器寄贈)에 서약(誓約)하였고, 자신(自身)의 각막(角膜)을 기증(寄贈)한 뒤에 선종(善終)하였다. 장례(葬禮)는 서울대교구장(大敎區長)으로 명동대성당에서 5일장(日場)으로 치러질 예정(豫定)이다. [11]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권재현 (2006년(年) 3월(月) 2일(日)). “정진석(鄭鎭奭) 대주교(大主敎) 황우석 교수(敎授) 연구(硏究) 반대(反對) 표명(表明)”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09년(年) 4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2. 양민경 (2020년(年) 12월(月) 29일(日)). “[역경(逆境)의 열매] 김형석 (11) 중앙중·고(高)서 7년간(年間) 교편(敎鞭)… 학교(學校) 밖에선 성경공부(聖經工夫)”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22년(年) 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양민경 (2020년(年) 12월(月) 21일(日)). “[역경(逆境)의 열매] 김형석 (5) 학도병(學徒兵) 징집(徵集) 압박(壓迫)에 기도(祈禱)… 신검(身檢)서 ‘불합격(不合格)’”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22년(年) 2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정진석(鄭鎭奭) 대주교(大主敎) 황우석 교수(敎授) 연구(硏究) 반대(反對) 표명(表明)” . 한겨레신문(新聞). 2005년(年) 6월(月) 11일(日) . 2009년(年) 2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정진석 대주교(大主敎) 만나 연구(硏究) 윤리문제(倫理問題) 논의(論議)” 황우석교수(敎授) 밝혀” . 서울신문(서울新聞). 2005년(年) 6월(月) 12일(日). 2016년(年) 3월(月) 5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2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6. “정진석(鄭鎭奭) 대주교(大主敎)-황우석 교수(敎授)“생명존중(生命尊重)엔 이견(異見)없다”” . 크리스천투데이. 2005년(年) 6월(月) 16일(日) . 2009년(年) 2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7. “천주교계(天主敎系), “성체(聖體)줄기세포연구(細胞硏究)”..황교수(黃敎授) 연구(硏究)에 맞서” . 크리스천투데이. 2005년(年) 8월(月) 12일(日) . 2009년(年) 2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8. 김종목 기자(記者) (2009년(年) 7월(月) 30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 쌍용차(雙龍車) 노조원(勞組員) 가족(家族) 만나 위로(慰勞)”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09년(年) 7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9. 주정아 기자(記者) (2009년(年) 12월(月) 20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 용산참사(龍山慘事) 조속(早速)한 사태(事態) 해결(解決) 촉구(促求)” . 평화신문 . 2011년(年) 3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10. 주정아 기자(記者) (2010년(年) 4월(月) 11일(日)). “정진석(鄭鎭奭) 추기경(樞機卿), 천안함(天安艦) 희생자(犧牲者) 안식(安息) 기원(起源)” . 평화신문 . 2011년(年) 3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1580984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전임(前任)
제임스 파디
제(第)2대(代) 천주교(天主敎) 청주교구(淸州敎區) 교구장(敎區長)
1970년(年) - 1998년(年)
후임(後任)
장봉훈 (가브리엘)
전임(前任)
김수환(金壽煥) (스테파노)
제(第)12대(代) 천주교(天主敎) 서울대교구(大敎區) 교구장(敎區長)
천주교(天主敎) 평양교구장(平壤敎區長) 서리
1998년(年) - 2012년(年) 5월(月) 10일(日)
후임(後任)
염수정(廉洙政) (안드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