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正規) 음반(音盤)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정규(正規) 음반(音盤) (Studio album)은 녹음실(錄音室) 에서 만들어진 음반(音盤) 을 뜻한다. 이전(以前)에 녹음(錄音)한 곡(曲)의 컴필레이션 음반(音盤) , 리패키지 음반(音盤), 공연(公演) 실황(實況)을 담은 라이브 음반(音盤) 과는 구별(區別)되며, 대체로(大體로) 이전(以前)에 공개(公開)되지 않은, 새로 녹음(錄音)된 신곡(新曲)을 중심(中心)으로 구성(構成)된다. 기존(旣存)에 출시(出市)된 곡(曲)의 새로운 버전의 리믹스 를 포함(包含)하기도 한다.

정규(正規) 음반(音盤)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10곡(曲) 이상(以上)의 녹음(錄音)된 신곡(新曲)이 실린다. [1] 음반(音盤)을 곡(曲) 수(數)에 따라 싱글 , 익(益)스텐디드 플레이 (EP), 앨범(album)으로 구분(區分)할 때, 정규(正規) 음반(音盤)은 대체로(大體로) 앨범과 동의어(同義語)로 쓰인다. [1] [2]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정규(正規) 음반(音盤) [ 편집(編輯) ]

해방(解放) 이후(以後)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음반(音盤) 시장(市場)에서는 LP , 테이프 , CD 를 가리지 않고 싱글 이나 EP 대신(代身) 10곡(曲) 전후(前後)의 곡(曲)이 실리는 정규(正規) 음반(音盤)이 주로(主로) 발매(發賣)되었다. [3]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의 LP가 1958년(年)에 공보실(公報室) 레코드제작소(製作所)에서 제작(製作)된 이후(以後) [4] , 몇 곡(曲)을 싣든 단가(單價)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어 [5] 굳이 한 장(張)의 음반(音盤)에 적은 수(數)의 곡(曲)을 실을 필요(必要)가 없었을 뿐더러, 그 밖에도 싱글의 시장성(市場性)에 대(對)한 불확실성(不確實性), 싱글 출시(出市)로 인하여 시장(市場)에 찾아올 변화(變化)에 대(對)한 두려움, 담합(談合)으로 고정(固定)된 음반(音盤) 가격(價格) 등(等)이 그 요인(要因)으로 지적(指摘)되었다. [3] 그러나 음반(音盤) 시장(市場)이 실물(實物) 음반(音盤) 판매(販賣)보다는 음원(音源) 유통(流通)으로 기울게 되면서, 정규(正規) 음반(音盤)은 2000년대(年代) 후반(後半) 들어 줄어들고 대신(代身) 싱글과 EP가 늘어나는 추세(趨勢)이다. [6]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박혜민 (2019년(年) 1월(月) 5일(日)). ' 미니 앨범'은 서양(西洋)에선 낯선 영어(英語) ... EP로 써야 비슷한 의미(意味)”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김상화 (2017년(年) 4월(月) 20일(日)). “한국(韓國)에만 있는 '콩글리시' 앨범, 재정비(再整備)가 필요(必要)하다” . 오마이뉴스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성기완 (1999년(年) 4월(月) 8일(日)). “알뜰한 음반(音盤), ‘싱글’이 온다” . 한겨레21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4. 노재명 (2019년(年) 3월(月) 14일(日)). “음반(音盤) 콘텐츠, 효과음(效果音)에서 게임까지” . 《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웹진》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세라 (2007년(年) 3월(月) 22일(日)). “[blog+] 싱글앨범이란 뭐지?” . 중앙일보(中央日報)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6. 양자영 (2013년(年) 4월(月) 7일(日)). “싱글앨범 입지(立地)가 가요계(歌謠界)에서 점점(漸漸) 커지고 있다”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19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