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접속(接續) (영화(映畫))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접속(接續) (영화(映畫))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접속(接續)
감독(監督) 장윤현
각본(脚本) 조명주
장윤현
김은정
제작(製作) 이은
심보경
심재명
출연(出演) 한석규
전도연(全度姸)
김태우
추상미(抽象美)
촬영(撮影) 김성복
편집(編輯) 박곡지
음악(音樂) 최만식
배급사(配給社) 명필름
개봉(開封)일
  • 1997년(年) 9월(月) 13일(日)  ( 1997-09-13 ) (대한민국(大韓民國))
시간(時間) 104분(分)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언어(言語) 한국어(韓國語)

접속(接續) 》은 1997년(年) 개봉(開封)한 대한민국(大韓民國) 로맨스 영화(映畫) 이다. 장윤현 감독(監督)이 공동(共同)으로 각본(脚本)을 쓰고 한석규 , 전도연(全度姸) 등(等)이 출연(出演)하였다. PC통신(通信) 을 통해 사랑의 아픔을 가진 두 사람의 만남이 이루어진다는 내용(內容)의 로맨스 영화(映畫)로,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인터넷 이 아직 활성화(活性化)되기 전(前)에 PC통신(通信)을 소재(素材)로 했던 영화(映畫)이다. 작품(作品) 속에 나온 PC통신(通信) 유니텔 이(李) 널리 홍보(弘報)되어 사용자(使用者) 수(數)가 늘어나게 한 영화(映畫)이기도 하다. 1997년(年) 청룡영화제(靑龍映畫祭) 한국(韓國) 최다(最多) 관객상(觀客賞)을 받은 작품(作品)이다.

줄거리 [ 편집(編輯) ]

라디오 음악(音樂) 프로그램 담당(擔當) PD인 동현(同縣)은 담당(擔當) 작가(作家)인 은희의 대시를 받고 있지만, 자신(自身)은 과거(過去) 사랑했던 선배(先輩) 영혜를 잊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홈쇼핑 전화(電話) 판매원(販賣員)인 수현은 룸메이트의 남자친구(男子親舊)인 기철을 짝사랑하고 있다. 수현은 어느 날 혼자 운전(運轉)을 하다가 교통사고(交通事故) 를 목격(目擊)하고, 그때 동현(同縣)의 라디오 채널에서 나온 벨벳 언더그라운드 의 음악(音樂)에 매료(魅了)된다. 그 음악(音樂)은 예전에 동현(同縣)이 영혜에게서 받은 음반(音盤)을 튼 것이었다. 수현이 그 음악(音樂)을 신청(申請)하자, 동현(同縣)은 이 사람이 영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컴퓨터 통신(通信) 채팅을 통해 수현에게 연락(連絡)한다. 수현은 친구(親舊)에게 부탁(付託)받은 거라고 둘러댄다. 둘은 대화(對話)를 하면서 둘 다 짝사랑의 외로움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確認)하고 동질감(同質感)을 느낀다.

동현(同縣)은 외로움을 이기지 못하고 은희와 한번(番) 잠자리를 같이 한다. 그러나 그 이후(以後) 둘은 어색(語塞)한 사이가 된다. 더욱이 상사(上司)인 윤차장(尹次長)이 은희를 마음에 두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은희를 더욱 껄끄러이 여기게 된다. 한편(한便) 수현은 기철에 대(對)한 마음을 계속(繼續) 키워가지만, 기철이 여자친구(女子親舊)에게 청혼(請婚)을 하자 큰 충격(衝擊)을 받는다. 그런데 기철의 청혼(請婚)은 직장(職場) 문제(問題)로 포항(浦項) 으로 가서 살자는 기철의 요구(要求)를 여자친구(女子親舊)가 거절(拒絶)하는 바람에 실패(失敗)하고, 두 사람은 결별(訣別)하게 된다. 기철이 떠난 뒤, 수현은 혼자서 기철을 찾아가서 자신(自身)의 마음을 고백(告白)하고서 되돌아온다. 동현(同縣)은 사랑을 포기(抛棄)할 수 있는 용기(勇氣)를 가지라고 수현에게 충고(忠告)한다.

수현과 동현(同縣)은 직접(直接) 만나자는 약속(約束)을 하고, 수현은 종로(鍾路) 의 피카디리극장(劇場) 앞에서 동현(同縣)을 기다린다. 그러나 동현(同縣)은 그 자리에 나오지 않았는데, 영혜가 죽었다는 소식(消息)을 듣고 병원(病院)으로 달려갔기 때문이다. 동현(同縣)은 이후(以後) 직장(職場)을 정리(整理)하고 오스트레일리아 (호주(濠洲))로 이민(移民)을 간다는 결정(決定)을 내린다. 수현은 동현(同縣)을 만나려고 연락(連絡)하지만 계속(繼續) 엇갈린다. 동현(同縣)이 오스트레일리아로 가기 전날(前날)도 수현은 극장(劇場) 앞에서 동현(同縣)을 기다린다. 동현(同縣)은 약속(約束) 장소(場所)에 가기는 했지만 수현을 볼 용기(勇氣)가 나지 않아서, 카페로 몸을 숨기고 자신(自身)을 계속(繼續) 기다리는 수현을 지켜본다. 수현은 마지막으로 동현(同縣)이 있는 카페에 와서 공중전화(公衆電話)로 음성(音聲)메시지를 남기고 돌아가려 한다. 수현의 메시지를 바로 옆에서 들은 동현(同縣)은 비로소 수현을 붙잡고 그제서야 두 사람이 만난다.

등장인물(登場人物) [ 편집(編輯) ]

주조연(主助演) 인물(人物) [ 편집(編輯) ]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희진 : 강민아
  • 민영혜 : 박수영
  • 진행자(進行者) : 강정식
  • 민영(民營) : 최철호
  • 한정태 : 손민석
  • PD 1 : 이주석
  • PD 2 : 배정길
  • 엔지니어 : 김진욱(金鎭煜)
  • 아파트 여인(女人) : 김연교
  • 가이드 여직원(女職員) : 이호영
  • 의사(醫師) : 전영(全榮)
  • 운송부(運送夫) 직원(職員) : 이범수
  • 편의점(便宜店) 여직원(女職員) : 김민경
  • 백화점(百貨店) 점원(店員) : 박경희
  • 패스트푸드 점원(店員) : 유정(惟政)아
  • 호주(濠洲) 대사관(大使館) 직원(職員) : 마이클 피츠제럴드
  • 희진 남자(男子) 친구(親舊) : 이장욱
  • 레코드 가게 점원(店員) : 표제(標題)가
  • 연구실(硏究室) 경비(警備) : 신순식
  • 카페 주인(主人) : 배장수
  • 보조출연(補助出演) 지휘(指揮) : 류광현
  • 카 스턴트 책임(責任) : 설치국(設置國)
  • 카 스턴트 : 전상준

제작진(製作陣) [ 편집(編輯) ]

  • 감독(監督) : 장윤현
  • 조감독(助監督) : 박대영, 이영은, 임우석, 채기웅
  • 기록(記錄) : 김혜숙
  • 각본(脚本) : 조명주, 장윤현, 김은주
  • 조명(照明) : 임재영
  • 조명부(照明部) : 이철오, 문형준, 김은미, 박상욱, 이재호
  • 촬영(撮影) : 김성복
  • 촬영부(撮影部) : 윤흥식, 조용현, 김태성, 김영운
  • 그립 : 김학수, 황경준, 정일서
  • 키그립 : 김태영, 전근수
  • 스틸 : 나희수
  • 제작(製作) : 이은, 심보경
  • 제작실장(製作室長) : 황재우
  • 제작부장(製作部長) : 이우정(李祐汀)
  • 제작투자(製作投資) : 김승범
  • 공동투자(共同投資) : 구본한
  • 제작진행(製作進行) : 류수철
  • 제작지원(製作支援) : 김위진
  • 제작경리(製作經理) : 이경란
  • 동시녹음(同時錄音) : 이승철(李承哲)
  • 음향(音響) : 김석원(金錫元)
  • 사운드이펙트 : 김창섭
  • 음악(音樂) : 최만식
  • 미술(美術) : 신보경
  • 특수효과(特殊效果) : 정도안
  • 시각효과(視覺效果) : 윤영복
  • 시각효과(視覺效果)팀 : 박효숙, 박수진, 박경돈
  • 분장(扮裝) : 송중희
  • 의상(衣裳) : 김문희
  • 편집(編輯) : 박곡지
  • 네가편(加鞭)집 : 김혜숙
  • 편집조수(編輯助手) : 남나영
  • 소품(小品) : 이우갑, 서명혜
  • 세트 : 오상만
  • 현상(現象) : 채동겸(洞兼), 최광진
  • 사운드현상(現象) : 신영균(申榮均)
  • 색보정(色補正) : 김승호
  • 스토리보드 : 이광섭
  • 마케팅 : 심재명
  • 미술(美術)팀 : 이대훈, 이광호, 신보경, 김영주(金榮珠)
  • 의상(衣裳)/분장(扮裝)팀 : 최영진, 최현정, 김수연
  • 제(第)1붐맨 : 정진욱
  • 제(第)2붐맨 : 이상희
  • 코디네이터 : 최낙권
  • 대사(臺詞)녹음 : 이준호
  • 대사(大使)디자인 : 홍예영
  • 대사편집(大使編輯) : 김도연
  • 폴리 : 이성진
  • 음악선곡(音樂選曲) : 조영옥
  • 노래 : 손지예, 방대식
  • 광학녹음(光學錄音) : 김용훈
  • 현장사진조수(現場寫眞助手) : 김정현
  • 마케팅실장(室長) : 김주희
  • 마케팅진행(進行) : 정금자
  • 디자인책임(責任) : 석명홍
  • 디자인실장(室長), 타이틀디자인 : 권기순
  • 특수장비책임(特殊裝備責任) : 김치성
  • 스태디캠촬영(撮影) : 김석진
  • 조명탑차(照明塔車) : 강기동
  • 발전차책임(發電車責任) : 홍기호
  • 제(第)2발전차(發電車) : 이정훈
  • 조명(照明)크레인조정(調整) : 윤여진
  • 보조출연지휘(補助出演指揮) : 류광현
  • 카스턴트책임(責任) : 설치국(設置國)
  • 카스턴트 : 전상준
  • 수송책임(輸送責任) : 신순식
  • 제(第)1버스 : 이진호
  • 제(第)2버스 : 김종기
  • 옵티칼 : 윤종두, 서광열
  • 애니메이션촬영(撮影) : 주광동
  • 제(第)1강우기(降雨期) : 김철석
  • 제(第)2강우기(降雨期) : 김태용
  • 필름조달(調達) : 홍성진

수상(受賞) 목록(目錄) [ 편집(編輯) ]

연도(鳶島) 상(上) 부문(部門) 수상자(受賞者) 결과(結果) 출처(出處)
1997 제(第)35회(回) 대종상(大鐘賞) 최우수작품상(最優秀作品賞) 《접속(接續)》 수상(受賞) [1]
조연여우상(助演女優賞) 추상미(抽象美) 후보(候補)
각색상(脚色賞) 김은정 수상(受賞)
편집상(編輯賞) 박곡지 수상(受賞)
기획상(企劃上) 심재명 후보(候補)
조명상 임재영 수상(受賞)
신인여우상(新人女優賞) 전도연(全度姸) 수상(受賞)
신인감독상(新人監督賞) 장윤현 수상(受賞)
부천국제(富川國際)판타스틱영화제(映畫祭) 네티즌 초이스 장윤현 수상(受賞)
제(第)18회(回) 청룡영화상(靑龍映畫賞) 신인여우상(新人女優賞) 전도연(全度姸) 수상(受賞)
한국영화최다관객상(韓國映畫最多觀客上) 명필름 수상(受賞)
1998 제(第)34회(回) 백상예술대상(藝術大賞) 영화부문(映畫部門) 여자인기상(女子人氣賞) 전도연(全度姸) 수상(受賞)
제(第)8회(回) 후쿠오카 국제(國際) 영화제(映畫祭) 상영작(上映作) 장윤현 후보(候補)
2005 제(第)1회(回) 제천국제음악영화제(堤川國際音樂映畫祭) 음악인(音樂人)의 강추(强推) 장윤현 후보(候補)
2013 제(第)11회(回) 피렌체 한국영화제(韓國映畫祭) 상영작(上映作) 장윤현 후보(候補)
제(第)6회(回) FILM LIVE: KT&G 상상(想像)마당 음악영화제(音樂映畫祭) 한석규 장윤현 후보(候補)
2017 제(第)21회(回) 부천국제(富川國際)판타스틱영화제(映畫祭) 배우(俳優) 특별전(特別展) 장윤현 후보(候補)
2019 제(第)14회(回) 런던한국영화제(韓國映畫祭) 특별상영(特別上映) 장윤현 후보(候補)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세라 본 의 노래 《A Lover's Concerto》가 영화(映畫) 《접속(接續)》의 OST로 사용(使用)되었다.
  • 일본(日本)에선 일본(日本) 영화(映畫) 모리타 요시미쓰 감독(監督)의 '하루'와 비슷하다는 의혹(疑惑)이 있었으나 남녀(男女) 둘이 채팅한다는 것 외(外)에는 공통점(共通點)이 없었다. 그럼에도 이 하루 제작자(製作者)인 재일교포(在日僑胞) 이봉우는 표절(剽竊)이라면서 고소(告訴)까지 했으나 패소(敗訴)하였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제(第)35회(回) 대종상(大鐘賞) 후보작(候補作) 선출(選出)” . 《 문화일보(文化日報) 》. 1997년(年) 9월(月) 26일(日) . 2020년(年) 3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