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節氣)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절기(節氣)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24절기(節氣), 二十四節氣)는 한국(韓國) , 중국(中國) , 일본(日本) 등(等) 동아시아(東아시아) 지역(地域)에서 태양년(太陽年)(太陽年)을 태양(太陽) 황경(黃經) (黃經)에 따라 24등분(等分)하여 계절(季節) 을 자세히(仔細히) 나눈 것으로 절후(節候)·시령(時令)(時令)이라고도 한다.

황경(黃經) 이란 태양(太陽)이 춘분점(春分點) 을 기점(起點)으로 황도(黃道) 를 움직인 각도(角度)로, 황경(黃經)이 0°일 때를 춘분(春分)으로 하여 표(表)와 같이 15°간격(間隔)으로 24절기(節氣)를 구분(區分)한다. 절기(節氣)와 절기(節氣) 사이는 대략(大略) 15일(日) 간격(間隔)이며, 양력(陽曆) 날짜는 거의 같지만 음력(陰曆) 으로는 조금씩 달라지므로 가끔 윤달(閏달) 을 넣어 계절(季節)과 맞추고 있다. 24절기(節氣)는 절(節)(節)과 중(中)(中)으로 분류(分類)되는데, 입춘(立春) 등(等) 홀수번째(홀數番째) 절기(節氣)는 절(節), 우수(優秀) 등(等) 짝수번째(짝數番째) 절기(節氣)는 중이 된다. 사계절(四季節)은 입춘(立春) · 입하(立夏) · 입추(立秋) · 입동(立冬) 등(等) 4립(立)(四立)의 날에서 시작(始作)된다. [2]

태양(太陽)이 황도상을 진행(進行)하는 속도(速度)는 일평균(日平均) 0.9856°이며, 태양(太陽)의 겉보기 지름은 약(約) 32'이므로 하루에 지름의 두 배(倍) 가까이 움직이는 셈이 된다. 더욱이 이 속도(速度)는 일정하지 않으며, 1월(月) 초(秒)가 가장 빠르고, 07월(月) 초(秒)가 가장 느리며, 그 속도(速度)는 평균치(平均値)에서 약(約) 3% 정도(程度) 달라진다. [3] 속도(速度)가 일정하지 않은 이유(理由)는 케플러 법칙(法則) 때문이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24절기(節氣)는 중국(中國)의 황하(黃河) 유역(流域)에서 기원(祈願)한다. [4] [5] [6] 옛날 중국(中國)에서는 춘분점(春分點)에서 출발(出發)하여 황경(黃經) 30°, 60°, ...와 같이 30도(度) 간격(間隔)으로 12개(個)의 점(點)을 생각하여 태양(太陽)이 각(各) 점(點)을 통과(通過)하는 순간(瞬間)을 중(中)(中)이라고 하였으며, 또 중간(中間)의 황경(黃經) 15°, 45°, ...의 점(點)을 태양(太陽)이 통과(通過)하는 순간(瞬間)을 절(節)이라 하여 이 중과(重課) 절을 합쳐서 24절기(節氣)로 불렀다. 그리고 각(各) 계정(計定)에 어울리는 이름을 붙여 그것을 달력(달曆)에 표시(表示)하였다. 사실(事實) 중국(中國)에서는 24절기(節氣) 시각(時刻)을 구(求)하는 것이 그 당시(當時)에 달력(달曆)을 만드는 데있어 중요(重要)한 의미(意味)를 갖고 있었다. 한국(韓國)도 중국(中國)의 역법(曆法)을 도입(導入)하였기 때문에 24절기(節氣)를 달력(달曆)에 표시(表示)하였는데, 계절(季節)을 나타내는 좋은 표시(標示)가 되기 때문에 현재(現在)까지도 달력(달曆)에 표시(表示)하고 있다. [7]

2017년(年) 1월(月) 1일(日) 중국(中國)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人類無形文化遺産) 으로 등재(登載)됐다. [8]


황경을 구분(區分)으로 나타낸 24절기(節氣)
(한자(漢字)와 베트남어(語)( 꾸옥(玉)응으 )로 표기(表記))
24절기(節氣)
황경(黃經) 한국어(韓國語) 중국어(中國語) 일본어(日本語) [9] 베트남어(語) 날짜 대한민국(大韓民國) (2024년(年)) 중국(中國) (2021년(年))
315° 입춘(立春) (立春) 중국어(中國語) : 立春 , 병음 : lich?n 리(理)춘 [ * ] りっしゅん 릿슌 [ * ] L?p xuan 럽쑤언 [ * ] 2월(月) 4일(日) 또는 2월(月) 5일(日) 2월(月) 4일(日) 2월(月) 3일(日)
330° 우수(優秀) (雨水) 중국어(中國語) : 雨水 , 병음 : y?shu? 위수(衛戍)이 [ * ] うすい 우스이 [ * ] V? th?y 부투이 [ * ] 2월(月) 19일(日) 또는 2월(月) 20일(日) 2월(月) 19일(日) 2월(月) 18일(日)
345° 경칩(驚蟄) (驚蟄) 중국어(中國語) 간체자(簡體字) : ?? , 정체자(正體字) : 驚蟄 , 병음 : j?ngzhe 징저 [ * ] けいちつ 게이치쓰 [ * ] Kinh tr?p 낀쩝 [ * ] 3월(月) 5일(日) 또는 3월(月) 6일(日) 3월(月) 5일(日) 3월(月) 5일(日)
춘분(春分) (春分) 중국어(中國語) : 春分 , 병음 : ch?nf?n 춘펀 [ * ] しゅんぶん 슌분(分) [ * ] Xuan phan 쑤언펀 [ * ] 3월(月) 20일(日) 또는 3월(月) 21일(日) 3월(月) 20일(日) 3월(月) 20일(日)
15° 청명(淸明) (淸明) 중국어(中國語) : ?明 , 병음 : q?ngming 칭(稱)밍 [ * ] せいめい 세이메이 [ * ] Thanh minh 타인민(他人民) [ * ] 4월(月) 4일(日) 또는 4월(月) 5일(日) 4월(月) 4일(日) 4월(月) 4일(日)
30° 곡우(穀雨) (穀雨) 중국어(中國語) 간체자(簡體字) : 谷雨 , 정체자(正體字) : 穀雨 , 병음 : g?y? 구위(球威) [ * ] こくう 고(高)쿠우 [ * ] C?c v? 꼭부(部) [ * ] 4월(月) 19일(日) 에서 4월(月) 21일(日) 4월(月) 19일(日) 4월(月) 20일(日)
45° 입하(立夏) (立夏) 중국어(中國語) : 立夏 , 병음 : lixia 리(리)샤 [ * ] りっか 릿카 [ * ] L?p h? 럽하(下) [ * ] 5월(月) 5일(日) 또는 5월(月) 6일(日) 5월(月) 5일(日) 5월(月) 5일(日)
60° 소만(小滿) (小滿) 중국어(中國語) 간체자(簡體字) : 小? , 정체자(正體字) : 小滿 , 병음 : xi?om?n 샤오만 [ * ] 小?
しょうまん 쇼만 [ * ]
Ti?u man 띠에우(右)만 [ * ] 5월(月) 20일(日) 또는 5월(月) 21일(日) 5월(月) 20일(日) 5월(月) 21일(日)
75° 망종(芒種) (芒種) 중국어(中國語) 간체자(簡體字) : 芒? , 정체자(正體字) : 芒種 , 병음 : mangzhong 망중(網中) [ * ] ぼうしゅ 보슈 [ * ] Mang ch?ng 망쭝(網重) [ * ] 6월(月) 5일(日) 또는 6월(月) 6일(日) 6월(月) 5일(日) 6월(月) 5일(日)
90° 하지 (夏至) 중국어(中國語) : 夏至 , 병음 : xiazhi 샤즈 [ * ] げし 게시(揭示) [ * ] H? chi 하찌 [ * ] 6월(月) 21일(日) 또는 6월(月) 22일(日) 6월(月) 21일(日) 6월(月) 21일(日)
105° 소서(小暑) (小暑) 중국어(中國語) : 小暑 , 병음 : xi?osh? 샤오수 [ * ] しょうしょ 쇼쇼 [ * ] Ti?u th? 띠에우트 [ * ] 7월(月) 6일(日) 에서 7월(月) 8일(日) 7월(月) 6일(日) 7월(月) 7일(日)
120° 대서(大暑) (大暑) 중국어(中國語) : 大暑 , 병음 : dash? 다수(多數) [ * ] たいしょ 다이쇼 [ * ] đ?i th? 다(多)이트 [ * ] 7월(月) 22일(日) 또는 7월(月) 23일(日) 7월(月) 22일(日) 7월(月) 22일(日)
135° 입추(立秋) (立秋) 중국어(中國語) : 立秋 , 병음 : liqi? 리추(里錘) [ * ] りっしゅう 릿(里)슈 [ * ] L?p thu 럽투 [ * ] 8월(月) 7일(日) 또는 8월(月) 8일(日) 8월(月) 7일(日) 8월(月) 7일(日)
150° 처서(處暑) (處暑) 중국어(中國語) 간체자(簡體字) : ?暑 , 정체자(正體字) : 處暑 , 병음 : ch?sh? 추수(秋收) [ * ] ?暑
しょしょ 쇼쇼 [ * ]
X? th? 쓰트 [ * ] 8월(月) 22일(日) 또는 8월(月) 23일(日) 8월(月) 22일(日) 8월(月) 23일(日)
165° 백로(白鷺) (白露) 중국어(中國語) : 白露 , 병음 : bailu 바이루 [ * ] はくろ 하쿠로 [ * ] B?ch l? 바익(益)로 [ * ] 9월(月) 7일(日) 또는 9월(月) 8일(日) 9월(月) 7일(日) 9월(月) 7일(日)
180° 추분(秋分) (秋分) 중국어(中國語) : 秋分 , 병음 : qi?f?n 추(秋)펀 [ * ] しゅうぶん 슈분(分) [ * ] Thu phan 투펀 [ * ] 9월(月) 22일(日) 또는 9월(月) 23일(日) 9월(月) 22일(日) 9월(月) 23일(日)
195° 한(韓)로 (寒露) 중국어(中國語) : 寒露 , 병음 : hanlu 한루 [ * ] かんろ 간로(干櫓) [ * ] Han l? 한(韓)로 [ * ] 10월(月) 7일(日) 또는 10월(月) 8일(日) 10월(月) 8일(日) 10월(月) 8일(日)
210° 상강(霜降) (霜降) 중국어(中國語) : 霜降 , 병음 : shu?ngjiang 솽장 [ * ] そうこう 소코 [ * ] S??ng giang 스엉장 [ * ] 10월(月) 22일(日) 또는 10월(月) 23일(日) 10월(月) 23일(日) 10월(月) 23일(日)
225° 입동(立冬) (立冬) 중국어(中國語) : 立冬 , 병음 : lid?ng 리(리)둥 [ * ] りっとう 릿토(里土) [ * ] L?p đong 럽동(桐) [ * ] 11월(月) 7일(日) 또는 11월(月) 8일(日) 11월(月) 7일(日) 11월(月) 7일(日)
240° 소설(小說) (小雪) 중국어(中國語) : 小雪 , 병음 : xi?oxu? 샤오쉐 [ * ] しょうせつ 쇼세쓰 [ * ] Ti?u tuy?t 띠에우뚜옛 [ * ] 11월(月) 21일(日) 또는 11월(月) 22일(日) 11월(月) 22일(日) 11월(月) 22일(日)
255° 대설(大雪) (大雪) 중국어(中國語) : 大雪 , 병음 : daxu? 다쉐 [ * ] たいせつ 다이세쓰 [ * ] đ?i tuy?t 다이뚜옛 [ * ] 12월(月) 7일(日) 또는 12월(月) 8일(日) 12월(月) 7일(日) 12월(月) 7일(日)
270° 동지(同志) (冬至) 중국어(中國語) : 冬至 , 병음 : d?ngzhi 둥즈 [ * ] とうじ 도지 [ * ] đong chi 동(桐)찌 [ * ] 12월(月) 21일(日) 또는 12월(月) 22일(日) 12월(月) 21일(日) 12월(月) 21일(日)
285° 소한(小寒) (小寒) 중국어(中國語) : 小寒 , 병음 : xi?ohan 샤오한(韓) [ * ] しょうかん 쇼칸 [ * ] Ti?u han 띠에우(右)한 [ * ] 1월(月) 5일(日) 또는 1월(月) 6일(日) 1월(月) 5일(日) 1월(月) 5일(日)
300° 대(對)한 (大寒) 중국어(中國語) : 大寒 , 병음 : dahan 다한(多恨) [ * ] だいかん 다이칸 [ * ] đ?i han 다이(多異)한 [ * ] 1월(月) 20일(日) 또는 1월(月) 21일(日) 1월(月) 20일(日) 1월(月) 20일(日)

기타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조선(朝鮮) 세종(世宗) 26년(年)( 1444년(年) )에 간행(刊行)됨
  2.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3.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4. “24 Chinese Feasts (Jieqi, ??), equivalent to the 24 Chinese Solar Terms: Year 2023” . 2023년(年) 4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UNESCO - The Twenty-Four Solar Terms, knowledge in China of time and practices developed through observation of the sun’s annual motion” (영어(英語)) . 2023년(年) 4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6. “なぜずれる? 二十四節?と季節感 (No.0702)” . 2023년(年) 4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7.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8. '입춘(立春)' '입동(立冬)' 등(等) 24절기(節氣), 유네스코 문화유산(文化遺産)됐다
  9. 신자체(神自體) 를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만 한자(漢字)를 표기(表記)했다.
  10. 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에서는 춘분(春分) 춘분점(春分點) 의 차이점(差異點)을 알 수 없지만, 영어(英語) 위키백과(百科)에서는 둘 사이의 차이점(差異點)을 알 수 있다. 즉(卽), Chunfen March equinox (또는 Vernal equinox )으로 둘을 구분(區分)해서 설명(說明)하고 있다.
  11.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천문학백과(天文學百科))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위키천문백과사전(天文百科事典)) 천문학적(天文學的)으로는 춘분(春分), 하지, 추분(秋分), 동지(冬至)만 의미(意味)가 있고 나머지 20개(個)에 대응(對應)하는 용어(用語)는 없다.
  12.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천문학백과(天文學百科))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위키천문백과사전(天文百科事典)) 태양(太陽)의 적위(赤緯)가 황경(黃經)에 선형비례(線形比例)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節氣)에 따라 태양(太陽)의 남중고도(南中高度)가 일정하게 증가(增加)하거나 감소(減少)하는 것은 아니다.
  13. 한국천문연구원(韓國天文硏究院) 천문우주지식정보(天文宇宙知識情報) - 생활천문관(生活天文觀) - 태양고도(太陽高度)/방위각계산(方位角計算) 을 통해 계산(計算)하면, 태양(太陽)의 황경(黃經) 315°인 입춘(立春) 과, 적위(赤緯) 약(約) -11.7°인 우수(優秀) , 그리고 적위(赤緯) 약(約) +11.7°인 곡우(穀雨) 와, 황경(黃經) 45°인 입하(立夏) , 또 황경(黃經) 135°인 입추(立秋) 와, 적위(赤緯) 약(約) +11.7°인 처서(處暑) , 또 적위(赤緯) 약(約) -11.7°인 상강(霜降) 과, 황경(黃經) 225°인 입동(立冬) 사이는 몇십(十) 일(日) 차이(差異)가 난다.
  14. 이는 태양(太陽)의 적위(赤緯) 가 0°일 때와, 태양(太陽)의 황경(黃經) 이 0°일 때 ( 춘분(春分) , 춘분점(春分點) ), 그리고 적위(赤緯)가 +23.44°일 때와, 황경(黃經)이 90°일 때 ( 하지 , 하지점(夏至點) ), 또 적위(赤緯)가 0°일 때와, 황경(黃經)이 180°일 때 ( 추분(秋分) , 추분점(秋分點) ), 또 적위(赤緯)가 -23.44°일 때와, 황경(黃經)이 270°일 때 ( 동지(同志) , 동지점(冬至點) )의 사이가 몇십(十) 분(分)~몇 시간(時間) 차이(差異)인 것에 비해, 차이(差異)가 큰 것이다. ( 적위(赤緯) 참고(參考))
  15. 전세계적(全世界的)으로 보면 , 위도(緯度) 가 높아질수록, 하지 동지(同志) 때의 "낮의 길이" 차이(差異)는 점점(漸漸) 커진다. 즉(卽), 북위(北緯) 66.5° 이상(以上)인 지역(地域)에서는, 하지 때 하루 24시간(時間), 1,440분(分) 중(中)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比率)은 100% 이고, 동지(同志) 때는 0%이다. 반대(反對)로, 남위(南緯) 66.5° 이상(以上)인 지역(地域)에서는, 하지 때는 0% 이고, 동지(同志) 때는 100%이다. ( 백야(白夜) , 극야(極夜) 참고(參考))
  16. 나주(羅州) '배' 대신(代身) '레드향(香)'…늘어난 한반도(韓半島) 아열대(亞熱帶) 작물(作物) 재배(栽培) TV조선(朝鮮). 2024년(年) 1월(月) 20일(日)
  17.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천문학백과(天文學百科)) 절기(節氣) (한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 위키천문백과사전(天文百科事典)) 절기(節氣)가 계절(季節)을 구분(區分)하는 절대적(絶對的)인 기준(基準)은 아니지만, 4계절(季節)은 입춘(立春),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 등(等) 4립(立)의 날에서 시작(始作)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節氣)의 이름이 중국(中國) 주나라(周나라) 때 화북(華北) 지방(地方)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記憶)한다면 24절기(節氣)를 현대 동아시아(東아시아) 전역(全域)에 엄격(嚴格)하게 적용(適用)하는 것은 타당(妥當)하지 않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및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