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재봉틀(裁縫틀)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재봉틀(裁縫틀)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싱어제 재봉틀(裁縫틀) Singer Symphonie 300

재봉틀(裁縫틀) (裁縫-)은 천, 가죽, 종이, 비닐 등(等)을 실(失)(thread)로 바느질 을 하는데 사용(使用)하는 기계(機械)다. 재봉기(裁縫機) , 바느질틀 , 미싱 등이라고도 부른다. ‘미싱’이라는 명칭(名稱)은 영어(英語)의 ‘소잉 머신’(sewing machine)이(李) 일본(日本) 에 전(傳)해지면서, 뒷부분(뒷部分) ‘머신’이(李) 변(變)하여 된 것이다.

발을 굴려 작동(作動)하는 수동식(手動式)과 전기(電氣) 를 이용(利用)해 모터 를 돌리는 전동식(電動式)으로 분류(分類)하는데, 현재(現在) 출시(出市)되는 제품(製品)은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전동식(電動式)이다.

개요(槪要) [ 편집(編輯) ]

재봉틀(裁縫틀)은 겹쳐진 천을 윗실과 밑실의 2가닥의 실로 꼬듯이 꿰매는 기계(機械)이다. 윗실은 상하운동(上下運動)을 하는 바늘에 따라 천 밑으로 내려가는데 그 때 밑실을 공급(供給)하는 보빈을 가진 북(北)의 둘레를 한바퀴 돌아서 밑실을 얽어가지고 천(千) 위로 올라온다. 그러면 동시(同時)에 천은 천(千) 옮기는 장치(裝置)에 의(依)해 한(韓)바늘분(分) 전진(前進)하기 때문에, 바늘이 내려와 천에 실이 꿰일 때에는 다음 자리를 지나서 실이 내려가 밑실을 얽어서 올라온다.

따라서 재봉틀(裁縫틀)에는 ① 바늘을 상하운동(上下運動)시키는 바늘대, ② 천 밑에서 윗실이 밑실의 둘레를 한바퀴 돌도록 하는 중북(中北)집과 그 돌기(突起), ③ 윗실을 잡아당겨서 밑실과 같이 팽팽하게 죄는 파닥쇠, ④ 천을 한자리씩 이동(移動)시키는 보냄쇠 등(等)의 4가지 기구(器具)가 있다. 이러한 기구(機構)들은 모두 페달 또는 모터에 의(依)한 회전운동(回轉運動)을 캠(cam)·크랭크(crank)·크랭크로드(crankrod)·지레 등(等)에 의(依)하여 왕복운동(往復運動)이나 반회전운동(半回轉運動)(半回轉運動)으로 바꿔서 작용시키고 있다. 전기재봉틀(電氣裁縫틀)은 발판(발板)과 풀리(pulley) 대신(代身)에 직접(直接) 플라이 휠에 소형(小型)의 정류자(整流子)(整流子)모터로 회전(回轉)을 전달(傳達)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回戰) 조절(調節)의 컨트롤러라고 불리는 플라이 휠식이(食餌) 가변저항기(可變抵抗器)(可變抵抗器)로 행(行)한다. [1]

원리(原理) [ 편집(編輯) ]

일반적(一般的)인 가정용(家庭用) 재봉틀(裁縫틀)의 경우(境遇)에는 재봉의 대상(對象) 위에서, 재봉틀(裁縫틀)의 바늘 구멍에 꿰인 실(失)(윗실)이(李) 바늘 채로 재봉의 대상(對象)을 관통(貫通)한다. 대상(對象) 밑에는 아랫실(室)이 있어, 관통시(貫通時)에 두 실을 교차(交叉)하여 꿰맨다. 바늘이 다시 위로 돌아왔을 때에 재봉 대상(對象)을 다음 재봉 측(側)으로 옮긴 뒤, 다시 바늘이 관통(貫通)한다. 이러한 동작(動作)을 기계(機械)에 의(依)하여 연속적(連續的)으로 실시(實施)하여 재봉(裁縫)하게 된다. 각(各) 부품(部品)에는 노루발( 영어(英語) : presser foot )과 같은 고유(固有)한 이름이 붙어 있다. 이것은 최초(最初)로 유럽의 산업(産業) 혁명(革命) 때 발명(發明)되었다.

사진(寫眞) [ 편집(編輯) ]

전기(電氣) 재봉틀(裁縫틀) [ 편집(編輯) ]

전기재봉틀(電氣裁縫틀)은 발판(발板)과 풀리 (pulley) 대신(代身)에 직접(直接) 플라이 휠 에 소형(小型)의 정류자(整流子) (整流子)모터로 회전(回轉)을 전달(傳達)하는 것으로, 컨트롤러의 가변저항(可變抵抗) 으로 플라이휠의 회전(回轉) 속도(速度)를 조절(調節)한다. [2]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재봉틀(裁縫틀)〉
  2.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