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잉글랜드 왕국(王國)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잉글랜드 왕국(王國)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잉글랜드 왕국(王國)
Kingdom of England
927년(年) ~ 1707년(年)
 

표어(標語) 신(神)과 나의 권리(權利)
( 프랑스어(프랑스語) : Dieu et mon droit )
( 영어(英語) : God and my right ) [1]
1190년 잉글랜드 왕국.
1190년(年) 잉글랜드 왕국(王國).
수도
정치(政治)
정치체제(政治體制)
국왕(國王)
927년(年) ~ 939년(年)
1016년(年) ~ 1035년(年)
1066년(年) ~ 1087년(年)
1558년(年) ~ 1603년(年)
1702년(年) ~ 1707년(年)

애설(說)스탠 (초대(初代))
크누트 대왕(大王)
윌리엄 1세(歲)
엘리자베스 1세(歲)
앤 여왕(女王) (말대)
입법부(立法府) 위테나예(儺藝)모트
( ~ 1066년(年))
쿠리아 레기스
(1066년(年) ~ 1215년(年))
잉글랜드 의회(議會)
(1215년(年) ~ )
인문(人文)
공용어(公用語)
데모님 잉글랜드인(人)
경제(經濟)
통화(通話) 파운드 스털링
종교(宗敎)
종교(宗敎) 로마 가톨릭교회 (927?1534; 1553?1558)
잉글랜드 성공회(聖公會) (1534?1553; 1558?1646; 1660?1707) [2]
청교주의 (1646?1660)
기타
현재(現在) 국가(國家) 잉글랜드 잉글랜드
웨일스 웨일스
이전(以前) 국가(國家)
다음 국가(國家)
웨식스
둠노니(老泥)아
머시아
이스트앵글리아
노섬브리아
웨일스 변경(變更)
웨일스 공국(公國)
그레이트브리튼 왕국(王國)
웨일스 공국(公國)

잉글랜드 왕국(王國) ( Kingdom of England , 고대(古代) 영어(英語) : Engla r?ce )은 그레이트브리튼섬 의 남쪽(南쪽)을 차지했던 옛 나라로 지금(只今)의 웨일스 잉글랜드 를 영토(領土)로 했다. 왕국(王國)의 수도(首都)는 1066년(年) 노르만 정복(征服) 이전(以前)까지는 햄프셔주 윈체스터 였다. 윌리엄 1세(歲) 가 수도(首都)를 런던 으로 옮겼다. 이후(以後) 런던은 잉글랜드 왕국(王國)은 물론(勿論) 그레이트브리튼 왕국(王國)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北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현재(現在)의 영국(英國))의 수도(首都)가 되었다.

영국(英國) ’의 ‘英’은 ‘England’의 ‘Eng-’의 음역(音域)이므로, 이 시기(時期)에서 ‘영국(英國)’이라고 하면 대개(大槪) 잉글랜드(또는 잉글랜드 왕국(王國))를 가리킨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871년(年) 앨프레드 대왕(大王) 을 시작(始作)으로 잉글랜드 왕국(王國)이 시작(始作)되었다. 899년(年) 대(臺) 에드워드 가 왕위(王位)에 오른 뒤 잉글랜드의 군주(君主)는 9명(名)이 더 올랐었다가 마지막 왕(王) 용맹왕(勇猛王) 에드먼드 2세(歲) 때에 덴마크 의 왕(王)들과 잉글랜드의 정통왕권(正統王權)에 대(對)한 논쟁(論爭)이 일어났고 덴마크 왕(王)들이 잉글랜드의 왕(王)을 겸했다.

1042년(年) 에 색슨족이 왕권(王權)을 복원(復元)했고 참회왕(懺悔王) 에드워드 를 포함(包含)해 3명(名)의 왕(王)이 오른 후(後) 노르만 정복(征服) 으로 색슨족이나 다른 국가(國家)가 아닌 왕조(王朝) 왕가(王家) 라는 말을 썼으며 윌리엄 1세(歲) 이후(以後) 3명(名)의 왕(王)이 오른 후(後) 노르만 왕조(王朝) 마틸다 조프루아 플랜태저넷 사이의 혼인(婚姻)으로 마틸다를 포함(包含)해 플랜태저넷 왕가(王家)로 바뀌었고 마틸다를 포함(包含) 3명(名)의 왕(王)의 즉위(卽位) 후(後) 아일랜드의 영주(榮州) 왕이 잉글랜드의 왕위(王位)를 계승(繼承)하고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군주(君主)를 겸했다.

존 왕(王)을 포함(包含)해 6인(人)의 왕(王)이 오르고 랭커스터 왕가(王家) 가 일어났는데 이는 헨리 4세(歲) 의 아버지의 작위(作爲) 랭커스터 공작(工作) 을 따와 랭커스터 왕가(王家)라 이름 붙였고 헨리 6세(歲) 까지 존속(存續)하다 요크 가와 장미(薔薇) 전쟁(戰爭) 이 일어났고 요크가의 승리(勝利)로 요크 왕가(王家) 가 일어났다. 하지만 요크 왕가(王家) 역시(亦是) 많은 왕(王)을 배출(排出)하지 못하고 3명(名)의 왕(王)만 배출(輩出)했으며 에드워드 5세(歲) 를 제외(除外)하고는 모두 적통성(敵통聲)이 없거나 형제(兄弟)이다.

그 후(後) 랭커스터 왕가(王家)의 헨리 튜더 가 다시 요크 가로부터 왕권(王權)을 찾았고 에드워드 3세(歲) 의 현손(玄孫) 신분(身分)으로 왕위(王位)에 오르며 헨리 8세(歲) 의 즉위(卽位)와 어린 헨리 8세(歲)의 아들인 에드워드 6세(歲) 를 마지막으로 튜더왕가(王家)는 더이상(以上) 남자왕(男子王)을 배출(輩出)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제인 이라는 헨리 7세(歲)의 증손녀(曾孫女)가 성공회(聖公會)의 노(老)섬벌랜드 공작(工作)에 의(依)해 추대(推戴)되는 등(等)의 사건(事件)으로 블러드 메리라 불리는 메리 1세(歲) 의 종교탄압(宗敎彈壓)을 불러오는 계기(契機)가 되었으며, 엘리자베스 1세(歲) 가 왕위(王位)에 올랐으나 결혼(結婚)을 하지 않고 죽었기 때문에 스코틀랜드의 스튜어트 왕가(王家)의 제임스 1세(歲) 가 왕위(王位)에 오르는 등(等)의 일이 일어났고 공화정(共和政)이 일어나 올리버 크롬웰과 가문(家門)이 호국경을 자처(自處)하고 잉글랜드를 통치(統治)했고 스튜어트 왕가(王家)의 복위(復位) 후(後)에 찰스 2세(歲) 를 시작(始作)으로 총(總) 8인(人)을 왕위(王位)에 올렸다.

찰스 2세(世)는 1675년(年) 에 상무부(商務部)(Lords of Trade)라 불리는 새 기구(機構)를 만들어 제국적(帝國的)인 개혁안(改革案)을 제시(提示)하도록 했다. 상무부의 권유(勸誘)에 따라 1679년(年)에는 매사추세츠에 대(對)한 지배력(支配力)을 강화(强化)하기 시작(始作)했다. 매사추세츠로부터 뉴햄프셔에 관(關)한 권한(權限)을 빼앗고, 뉴햄프셔를 왕령(王令) 식민지(植民地)로 독립시켜 자신(自身)이 직접(直接) 총독(總督)을 임명했다. [3] :117

그 이후(以後) 지금(只今)까지 연합(聯合)되었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가 하나의 국가(國家)로 통합(統合)된 이후(以後)에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王國) 으로 합쳐지고 잉글랜드 왕국(王國)의 통치(統治)는 끝이 났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he Royal Coat of Arms” . 《The Royal Family》. 2016년(年) 1월(月) 15일(日) . 2018년(年) 11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Carey 2011 , 41쪽.
  3. 앨런 브링클리 (2005).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美國史)》. 황혜성 외(外) 역(驛). 휴머니스트. ISBN   8958620293 .  
내용주(內容主)
  1. 고대(古代) 영어(英語) (until 1150), 중세(中世) 영어(英語) (1150?1550), 초기(初期) 현대영어(現代英語) , (1550?1707)
  2. 고대(古代) 웨일스어(語) (12세기(世紀)까지), 중세(中世) 웨일스어(語) (12세기(世紀) ~ 14세기(世紀)), 현대(現代) 웨일스어(語) (14세기(世紀) ~ 1707년(年))
  3. 고대(古代) 콘월어 (12세기(世紀)까지), 중세(中世) 콘월어 (12세기(世紀) ~ 16세기(世紀)), 후기(後記) 콘월어 (16세기(世紀) ~ 1707년(年))
  4. Widely used for administrative and liturgical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