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장르 역사(歷史)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KBS 1TV
방송(放送) 기간(期間) 2016년(年) 9월(月) 3일(日) ~ 2016년(年) 9월(月) 29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본문(本文) 참조(參照)
방송(放送) 분량(分量) 55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5화(話) + 번외편(番外篇)
책임(責任)프로듀서 임세형
프로듀서 김종석(金鍾奭), 신재국, 강희중, 황대준,
이재혁
촬영(撮影) 백홍종, 진아영
제작사(製作社) KBS
연출(演出) 김한솔 (1 ~ 3화(話), 번외(番外))
박성주 (4 ~ 5화(話), 번외(番外))
장판, 천둥
(4 ~ 5화(話))
각본(脚本) 김한솔 (1 ~ 3화(話))
김정애 (4 ~ 5화(話))
고은희 (번외(番外))
출연자(出演者) 최수종 , 김응수 , 이철민 , 정진(精進) , 조재완 외(外)
해설(解說) 정유미 (1 ~ 5화(話))
이광용 (번외(番外))
음악(音樂) 이필호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UHD 해상도(解像度)로 제작함(製作函).
외부(外部) 링크  KBS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홈페이지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는 2016년(年) 9월(月) 3일(日) 부터 2016년(年) 9월(月) 29일(日) 까지 KBS 1TV 에서 방영(放映)된 5부작(部作) 드라마 로, 중국(中國) CCTV 와 공동(共同)으로 제작(製作)하였다. 역사적(歷史的) 사실(事實)에 근거(根據)한 다큐멘터리에 드라마를 결합(結合)한 극사실주의(極寫實主義) 드라마라는 팩츄얼 드라마 (Factual Drama) 장르를 대한민국(大韓民國) 처음으로 도입(導入)하여 좀더 사실적(事實的)이고 생생한 임진왜란(壬辰倭亂) 이야기를 만들었다. [1]

이 드라마는 임진왜란(壬辰倭亂) 이 지금(只今)까지 그려졌던 거와 달리 거북선(거북船) 의 전투(戰鬪) 장면(場面)과 이순신(李舜臣) 장군(將軍)의 해상전투(海上戰鬪) 전략(戰略)을 더욱 세밀(細密)하고 생동감(生動感) 있게 표현(表現)함으로써 시청자(視聽者)들로부터 뜨거운 호응(呼應)을 얻었다. [1] 그리고 임진왜란(壬辰倭亂) 을 중세(中世) 한일(韓日) 간(間)의 전쟁(戰爭)보다는 16세기(世紀) 동아시아(東아시아) 최초(最初)의 국제전(國際戰)으로 보고, 중국(中國) 대륙(大陸)까지 넘봤던 도요토미 히데요시 를 중심(中心)으로 일본(日本) 역사(歷史)에서 임진왜란(壬辰倭亂) 이 갖는 의미(意味)가 무엇이며, 평양성(平壤城) 전투(戰鬪) 를 승리(勝利)로 이끈 명나라(明나라)의 역할(役割)도 재조명(再照明)하였다. [1]

이 과정(過程)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 를 연기(演技)한 배우(俳優) 김응수 가 시청자(視聽者)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1] 한국방송촬영감독연합회(韓國放送撮影監督聯合會)가 주최(主催)하는 제(第)29회(回) 그리메상(上) 에서 남자(男子) 최우수연기자상(最優秀演技仔詳)을 수상(受賞)하기도 했다. 더불어 같은 시상식(施賞式)에서 우수작품상(優秀作品賞)(백홍종, 진아영)과 연출상(演出賞)(김한솔)을 수상(受賞)했다.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放送通信審議委員會) 로부터 ‘9월(月)의 좋은 프로그램’으로 선정(選定)되었다. [2]

한편(한便), 방송(放送) 기간(期間) 중(中) 추석(秋夕) 연휴(連休)( 2016년(年) 9월(月) 15일(日) ~ 9월(月) 17일(日) )가 있어 이 기간(期間) 중(中)에는 본방송(本放送)이 결방(決放)되었으며 앞서 방영(放映)된 1부(部)부터 3부(部)까지를 재방송(再放送)되었다. 하지만 방송(放送) 순서(順序)와는 다르게 역사적(歷史的)인 순서(順序)에 따라 3부(部)를 먼저 방영(放映)하고 1부(部) ~ 2부(部)를 차례(次例)대로 방영(放映)하였다.

그리고 VOD 다시보기 서비스는 중지(中止)되었으나 [3] , 저작권(著作權) 침해(侵害) 논란(論難)이 있다.

방송(放送) 시간(時間) [ 편집(編輯) ]

회차(廻車) 방영일 부제(副題) 방송(放送) 시간(時間)
1부(部) 2016년(年) 9월(月) 3일(日) 조선(朝鮮)의 바다에는 그가 있었다 토요일(土曜日)
밤 9시(時) 40분(分) ~ 10시(時) 35분(分)
2부(部) 2016년(年) 9월(月) 8일(日) · 금요일(金曜日)
밤 10시(時) ~ 10시(時) 55분(分)
3부(部) 2016년(年) 9월(月) 9일(日) 침략자(侵略者)의 탄생(誕生) - 도요토미 히데요시
4부(部) 2016년(年) 9월(月) 22일(日) 평양성(平壤城) - 삼국대전(三國大戰)
5부(部) 2016년(年) 9월(月) 23일(日) 암흑(暗黑)의 종말(終末) - 노량(露梁) 해전(海戰)
번외(番外) 2016년(年) 9월(月) 29일(日) 숨겨진 이야기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조선(朝鮮) [ 편집(編輯) ]

  • 김광영  : 선조(宣祖) 역(驛)
  • 이철민  : 이기남 역(驛) - 귀선(歸船) 돌격장(突擊將)
  • 정진(精進)  : 나대용 역(驛) - 귀선(歸船) 제작자(製作者)
  • 조재완  : 막둥이 아빠 역(役)
  • 백봉기  : 탐망(探望)꾼 역(驛)
  • 차상호 : 개똥 아빠 역(役)
  • 임윤주 : 개똥 엄마 역(役)
  • 박원석 : 목동(木洞) 김천(金泉)손 역(驛)
  • 서희수 : 억대(億臺) 역(驛)
  • 신서(信書)아 : 모리 역(驛)
  • 이석근 : 류성룡 역(驛)
  • 미상(未詳) : 김완(金完) 역(驛)
  • 무술(武術)팀 일원(一圓) : 권준(權晙) 역(驛)

일본(日本) [ 편집(編輯) ]

명나라(明나라) [ 편집(編輯) ]

그 외(外) [ 편집(編輯) ]

  • 고한민
  • 고한수
  • 김현창
  • 유민섭
  • 송민환
  • 양태성(樣態性)
  • 정영
  • 함영준
  • 정수연
  • 김현태
  • 황선홍
  • 정우림
  • 최진욱
  • 최준혁
  • 최선(最善)일
  • 한건(件)
  • 좌(座)정우
  • 박성민(朴聖敏)
  • 박서현
  • 진선우
  • 고원석
  • 김완수
  • 조완기
  • 이상용
  • 박익준
  • 최현종
  • 서덕인
  • 윤승훈
  • 임지환
  • 차강석
  • 송승민
  • 유영돈
  • 오민준
  • 이상경(李相庚)
  • 김소연(金素延)
  • 강다솔(江多率)
  • 조강우
  • 남솔비
  • 신희철
  • 장미(薔薇)

특별(特別) 출연(出演) [ 편집(編輯) ]

시청률(視聽率) [ 편집(編輯) ]

최저(最低) 시청률(視聽率) 최고(最高) 시청률(視聽率) 시청률(視聽率) 조사회사(調査會社)와 지역별(地域別)로 시청률(視聽率)에 차이(差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차(廻車) 방송(放送)일 TNMS 시청률(視聽率) [4] AGB 시청률(視聽率) [5]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대한민국(大韓民國)(전국(全國)) 서울(수도권(首都圈))
제(第)1부(部) 2016년(年) 9월(月) 3일(日) 8.2% 8.3% 9.2% 9.6%
제(第)2부(部) 2016년(年) 9월(月) 8일(日) 8.3% - 8.1% 8%
제(第)3부(部) 2016년(年) 9월(月) 9일(日) 8.2% 6.4% 7.6% 7.5%
제(第)4부(部) 2016년(年) 9월(月) 22일(日) 7.3% - 7.2% -
제(第)5부(部) 2016년(年) 9월(月) 23일(日) 8.0% - 7.1% -
번외편(番外篇) 2016년(年) 9월(月) 29일(日) 6.6% - 6.2% 6.0%
재방송(再放送)
제(第)1부(部) 2016년(年) 9월(月) 16일(日) 7.2% - - -
제(第)2부(部) 2016년(年) 9월(月) 17일(日) - - 8% 7.9%
제(第)3부(部) 2016년(年) 9월(月) 15일(日) 8% 8.1% 7.4% 7.2%
2017년(年) 재방송(再放送)
제(第)1부(部) 2017년(年) 6월(月) 1일(日) - - 4.8% -
제(第)2부(部) 2017년(年) 6월(月) 2일(日) - - 5.5% -
제(第)3부(部) 2017년(年) 6월(月) 3일(日) - - 4.0% -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이웅 기자(記者) (2016년(年) 9월(月) 30일(日)). “막 내린 명품(名品) 사극(史劇)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작품성(作品性)·흥행(興行) 한손에” . 연합뉴스(聯合뉴스).  
  2. 윤준필 기자(記者) (2016년(年) 11월(月) 17일(日)). “방통심의위(放通審議會), 9월(月)의 좋은 프로그램에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선정(選定)” . 텐아시아. 2017년(年) 1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1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3. 1 ~ 5회(回) 방송분(放送分) 삭제(削除)하고, 번외편(番外篇) 방송분(放送分)을 그대로이다.
  4.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參照).
  5.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參照).” . 2017년(年) 3월(月) 17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9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