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태원(梨泰院)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이태원(梨泰院)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이태원(梨泰院)

이태원(梨泰院) (梨泰院/利泰院)은 조선(朝鮮) 시대(時代) 역원(驛員) (驛院)의 하나로, 현재(現在) 대한민국(大韓民國)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용산구(龍山區) 이태원동(梨泰院洞) 일대(一帶)의 지명(地名)이다. 이 지역(地域)은 수많은 외국인(外國人)과 주한(駐韓) 미군(美軍) 이 거주(居住)하여 여러 나라의 문화(文化)가 어우러져 있는 특징(特徵)이 있다. 서울중앙성원(中央聲援) 이 이곳에 위치(位置)하며, 대한민국(大韓民國) 에 주재(主宰)하는 여러 나라들의 대사관(大使館) 이 이곳 또는 근처(近處)의 서빙고동 , 한남동(漢南洞) 등(等)에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조선시대(朝鮮時代) [ 편집(編輯) ]

이태원이라는 지명(地名)은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역원제(驛院制)에서 유래(由來)한다. 역(驛)(驛)은 파발(擺撥)이나 관리(官吏)에게 말을 대여(貸與)해주는 시설(施設)을, 원(院)은 관리(管理)와 여행자(旅行者)에게 숙식(宿食)을 제공(提供)하는 시설(施設)을 의미(意味)하는데, 과거(過去) 이 장소(場所)에 있었던 원의 이름이 이태원(梨泰院)이었던 것이다. [1] 이태원의 존재(存在)는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 고려(考慮)를 침공(侵攻)한 원나라(元나라) 홍건적(紅巾賊) 무리들을 피(避)해 피란(避亂)하는 기사(記事)에서 처음 등장(登場)한다. 당시(當時) 공민왕(恭愍王)은 개경(開京) 에서 안동(安東) 으로 몽진(蒙塵)할 때 파주(坡州) 분수리 를 거쳐 양주(洋酒) 영서역(嶺西役)(현(現) 은평구(恩平區) 대조동 )을 지나 사평도(社評度) 로 한강(漢江)을 도강(渡江)했는데, 이 때 이태원을 지난다. [2] 조선(朝鮮) 효종(孝宗) 때 이곳에 배나무가 많았다는 이유(理由)로 이태원(梨泰院)(梨泰院)이라고 불렸다는 기록(記錄)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에서 당시(當時) 이태원의 위치(位置)를 목멱산(木覓山) (남산(南山)) 남쪽(南쪽)으로 기록(記錄)하고 있고,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과 [내용주(內容主) 1] 용재총화(慵齋叢話) 》에서는 [내용주(內容主) 2] 이태원(梨泰院)에 고산사(高山社)(高山寺)라는 절이 있어 그 동쪽(東쪽)에 샘물이 솟아나고 큰 소나무가 골짜기에 가득 심어져 있다고 기록(記錄)한다. 이러한 정보(情報)와 《 경조오부도 》상(上)의 위치(位置)를 근거(根據)로 당시(當時) 이태원의 위치(位置)는 이태원동(梨泰院洞) 이 아닌 용산고등학교(高等學校) 부지(敷地)로 비정(比定)된다. [3] [4] 이유원(李裕元)의 《임하필기》에도 이태원을 목멱산(木覓山) (남산(南山)) 남쪽(南쪽)으로 기록(記錄)하고 있으나 이태원은 천일정(千日程) 가는 길에 있다고 기록(記錄)되어 있다. 천일정(千日程)은 지금(只今) 용산구 한남대로 12에 유허비(遺墟碑)가 있다. 또한 이름을 이태원(梨泰院)(異胎院)이라 하며, "임진왜란(壬辰倭亂) 이후(以後) 왜인(倭人)(倭人)들을 살게 해 준 곳이다. 그 풍속(風俗)이 지금(只今)도 사납고 독하니 왜인(倭人)의 종자(種子)가 남아 있어서일 듯"하다고 기록(記錄)해 두었다.

이태원은 고려(高麗) 시대(時代)에도 교통(交通)의 중심지(中心地)였지만,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새로운 수도(首都)인 한양(漢陽) 과 영남지역(嶺南地域)을 이어주는 영남(嶺南)로(嶺南路)의 출발지(出發地)로써 그 기능(機能)이 더욱 부각(浮刻)된다. 한양(漢陽)에서 영남(嶺南) 지방(地方) 으로 가기 위한 사신(使臣)들이 첫 번째(番째)로 묵는 숙소(宿所)가 되었으며, 이후(以後) 서빙고(西氷庫) /한강(漢江)나루, 사평진(社評眞) , 양재(良才), 판교(板橋) , 용인(龍仁) 의 용인로(龍仁路)를 거쳐 영남(嶺南)로 가 이어진다.

이태원이 교통(交通)의 요지(要地)로 사용(使用)된 데에는 여러 이유(理由)가 있다. 첫째로 교통(交通) 복지(福祉)의 편리(便利)함이다. 숭례문(崇禮門) 을 지나 이태원을 거쳐 서빙고(西氷庫)로 가는 길에는 별다른 하천(河川)이 없고, 둔지산 이 113m로 야트막하기 때문에 길이 험(險)하지 않고, 도둑을 당(當)할 일도 별로(別로) 없다는 것이다. [5] 둘째는 지리적(地理的) 이점(利點)이다. 서빙고(西氷庫)나루는 사평리와 동작진 사이에 위치(位置)하여 사평리를 통(通)해 기존(旣存)의 영남(嶺南)로인 용인(龍仁)으로 이동(移動)하거나, 아니면 동작진을 통(通)해 과천(果川) 이나 수원(水原) 으로도 이동(移動)하기 편리(便利)하다는 것이다. [내용주(內容主) 3] [내용주(內容主) 4] 교통요지(交通要地)로서의 이태원은 막중(莫重)한 것이어서, 연산군 의정부(議政府) 에서 왕십리(往十里) 까지의 지역(地域)을 모두 금표(金表)(禁標)에 넣었을 때에도 이태원(梨泰院)만은 특별히(特別히) 제외(除外)하였다. [6] [3]

이처럼 많은 교통량(交通量)에 따라 자연(自然)스럽게 상권(商圈)이 형성(形成)되었다. 특히(特히) 일본국 , 유구국 등(等)에서 오는 외국(外國) 사신(使臣)들이 이태원을 거쳤기 때문에 색주가(色酒家)와 시장(市場)도 같이 형성(形成)되었다. [7] 또한 당시(當時) 조선(朝鮮) 관청(官廳)에서 직접(直接) 관리(管理)했던 역(驛)(驛)과는 달리 원(院)은 국가(國家)가 관리비(管理費)만 지불(支拂)하고 나머지는 모두 민간(民間)이 운영(運營)하였기 때문에, [8] 이들을 중심(中心)으로 이태원 주변(周邊)에 마을이 형성(形成)된 것으로 여겨지고, [3] 이 위치(位置)는 현(現) 이태원주공(梨泰院住公)아파트 위치(位置)로 비정(比定)된다. [1]

이처럼 교통(交通)이 편리(便利)하고 마을이 형성(形成)되자 남쪽(南쪽)에서 올라온 빈민(貧民)들이 많이 정착(定着)하니, 세종(世宗) 때에 이들을 구휼(救恤)하기 위한 진제장(陣諸將)(賑濟場)을 설치(設置)하기도 한다. [9] [10] 이후(以後) 임오군란(壬午軍亂) 때에 여기서 사회(社會) 하층민(下層民)들이 많이 동조(同調)하고, [11] 이를 진합(眞合)하기 위한 부대(部隊)가 파견(派遣)되는 등(等) 하급(下級) 군인(軍人)과 빈민(貧民)들이 조선(朝鮮) 말기(末期)까지도 많이 거주(居住)했음을 알 수 있다. [12] 또한 여뀌 등(等)의 작물(作物)을 재배(栽培)하는 등(等) 거란 여진(餘震) 의 풍습(風習)이 이태원의 기록(記錄)에서 특별히(特別히) 발견(發見)되는 사실(事實)로부터 귀화(歸化)한 외국인(外國人)들을 고려(高麗) 말기(末期)부터 여기에 정착시켰을 것이라는 추측(推測)도 존재(存在)한다. [13] [14] [15] 이후(以後)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倭軍)에 의(依)해 겁탈(劫奪)당한 여승(女僧)의 자식(子息)들이 여기에 살았다 하여 이태원(異胎院)이라 불리기도 하고, 왜란(倭亂) 이후(以後) 귀화(歸化)한 일본인(日本人)들을 여기에 거주(居住)시키는 등(等) 외국인(外國人)의 후손(後孫)들이 여기에 많이 거주(居住)하였다. [3] [16] [17] 이러한 인식(認識)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에도 계속(繼續)되었다. [18] 이외(以外)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끌려갔다가 돌아온 환향녀(還鄕女)(還鄕女)라 불리며 천시당한 부녀자(婦女子)들도 여기에 모여 정착(定着)하였다. [19]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 편집(編輯) ]

포츠머스 조약(條約) , 가쓰라-태프트 밀약(密約) 으로 인해 조선(朝鮮)에 대(對)한 배타적(排他的) 지배권(支配權)을 획득(獲得)한 일본(日本)은 1906년(年)부터 용산에 군사기지(軍事基地)를 건설(建設)하기 시작(始作)한다.

해방(解放) 이후(以後) [ 편집(編輯) ]

미(美)8군(軍) 이 여기에 미군기지(美軍基地)를 조성(造成)한다.

관광(觀光) [ 편집(編輯) ]

이태원 거리는 세계(世界)의 축약(縮約)이다. 국적(國籍)도 다르고 인종(人種)도 다른 다양한 외국인(外國人)들이 모인다. 세계(世界) 각국(各國)의 음식(飮食)들을 맛볼 수 있고, 이국적(異國的)인 분위기(雰圍氣)의 이슬람 사원(寺院)도 볼 수 있다. 내국인(內國人)들도 많이 찾는다. [20]

갤러리 [ 편집(編輯) ]

교통(交通) [ 편집(編輯) ]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내용주(內容主) [ 편집(編輯) ]

  1. "목멱산(木覓山) 남쪽(南쪽) 이태원의 들에는 고산사(高山社)의 동쪽(東쪽)에 솟아나는 샘물이 있으며 큰 소나무가 골에 가득하여 성(城) 안의 부녀자(婦女子)들이 빨래하러 많이 간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16권(卷) 지리전고(全高) '산천(山川)의 형승(形勝)'
  2. "목멱산(木覓山) 남쪽(南쪽) 이태원의 들에는 높은 산(山)에서 샘물이 솟아나고 절 동쪽(東쪽)에는 큰 소나무가 골에 가득 차 빨래하는 성중 부녀자(婦女子)들은 많이 이 곳으로 간다", 《용재총화(慵齋叢話)》 1권(卷)
  3. "선생(先生)이 동작진에서 강(江)을 건넜는데 도중(途中)에서 김오랑을 만나 이태원에서 묵었다.", 《 백호전서 》, 백호전서 부록(附錄) 5, 연보(年譜), 연보(年譜), 윤휴(尹鑴)
  4. "백언(言)(白彦)이(李) 수원부(水原府)(水原府)로 어버이를 뵈러 가니, 윤봉 (尹鳳)이(李) 이태원(梨泰院)(利太院)에서 위로(慰勞)하여 보내었다",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세종(世宗) 8년(年) 병오(丙午), 5월(月) 15일(日)

참조주(參照週) [ 편집(編輯) ]

  1. 서울시사편찬위원회(서울市史編纂委員會) (1980). 《동명(東明)연혁고 V》. 서울시사편찬위원회(서울市史編纂委員會).  
  2. 고려사(高麗史) 권(卷) 39 세기(世紀) 공민왕(恭愍王) 10년(年) 11월조(月條)
  3. 김철호. 《이태원의 역사적(歷史的) 전개(展開)》. 서울역사박물관(서울歷史博物館).  
  4. “용산구문화관광(龍山區文化觀光)” . 2020년(年) 1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2000). 《서울의 고개》. 예서문화사(禮書文化史). 127쪽.  
  6.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연산군(燕山君) 10년(年), 10월(月) 10일(日) 기사(記事)
  7. 정학진, 2000: 59
  8. 이상백(李相伯) (1962). 《한국사(韓國史): 근세전기편(近世電氣便)》. 을유문화사. 507쪽.  
  9.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세종(世宗)18년(年) 8월(月) 5일(日) 기사(記事)
  1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성종(成宗) 4년(年) 12월(月) 28일(日) 기사(記事)
  11. 역사학연구소(歷史學硏究所) (2004). 《함께 보는 근현대사(近現代史)》. 서해문집. 19쪽.  
  12. 이경재(李敬載) (1994). 《서울 정도(程度) 육백년(六百年) 2》. 서울신문사(서울新聞社). 131쪽.  
  13. 정학진 (2000). “이태원(梨泰院) 상업가(商業家)로 매력요소(魅力要素)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서울대(서울大) 석사논문(碩士論文): 58.  
  14. 《용재총화(慵齋叢話)》 7권(卷)
  15.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26권(卷) 설부(說郛) 5, '도문대작(屠門大嚼)'
  16. 임하필기(林下筆記) 》 25권(卷), 춘명일사, 고려촌(高麗村), 이유원
  17. 동국여지비고(餘地備考) 》 역원조(逆援助)
  18. 橫山彌三 (1926). 《향토자료(鄕土資料) 경성오백년(京城五百年)》.  
  19. 한희숙. 《용산(龍山) 속의 전쟁사(戰爭史)와 군사문화(軍事文化)》. 용산문화원(龍山文化院). 59쪽.  
  20. “이태원 거리” . 2022년(年) 5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이태원(梨泰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韓國民族文化大百科)》.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 . 2020년(年) 1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