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정우 (법조인(法曹人))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이정우 (법조인(法曹人))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이정우 (李正雨, 1931년(年) 4월(月) 16일(日) ~ 2024년(年) 1월(月) 29일(日) )는 1966년(年) 4월(月) 17일(日)부터 대법관(大法官)을 역임(歷任)한 법조인(法曹人)이다.

1931년(年) 경상남도(慶尙南道) 진주시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법학과(法學科)를 졸업(卒業)하고 제(第)6회(回) 고등고시(高等考試)를 합격(合格)하여 판사(判事)에 임용(任用)되어 부산지방법원(釜山地方法院) 부장판사(部長判事), 서울형사지방법원장(刑事地方法院腸)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전두환(全斗煥) 대통령(大統領)에 의(依)해 1986년(年) 4월(月) 17일(日)부터 임기(任期) 5년(年)의 대법원(大法院) 판사(判事)에 임명(任命)되어 헌법(憲法) 개정이후(改正以後) 대법관(大法官)으로 계속(繼續) 재직(在職)하다가 [1] 노태우(盧泰愚) 대통령(大統領)에 의(依)해 제(第)41대(代)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에 임명(任命)되어 1992년(年) 10월(月) 9일(日)부터 1993년(年) 2월(月) 25일(日)까지 재직(在職)하였다. 법관(法官) 출신(出身)으로 최초(最初)의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으로 기용(起用)된 것에 대(對)해 대법원(大法院) 관계자(關係者)는 "중립(中立)이라는 측면(側面)에서 검찰(檢察) 출신(出身)보다 나은 것 아니냐"며 검찰(檢察)과는 반대(反對)로 환영(歡迎)했다. [2]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경향신문(京鄕新聞) 1986년(年) 4월(月) 3일자(日子)
  2. 한겨레신문(新聞) 1992년(年) 10월(月) 10일자(日子)
전임(前任)
김용철
제(第)8대(代) 법원행정처장(法院行政處長)
1986년(年) 4월(月) 16일(日)~1988년(年) 7월(月) 11일(日)
후임(後任)
최재호
전임(前任)
김기춘(金淇春)
제(第)41대(代)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
1992년(年) 10월(月) 9일(日)~1993년(年) 2월(月) 25일(日)
후임(後任)
박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