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성(李允盛) (정치인(政治人))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이윤성(李允盛)
출생(出生) 1944년(年) 10월(月) 2일(日) ( 1944-10-02 ) (79세(歲))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조선(朝鮮) 함경북도(咸鏡北道) 청진부(淸津部)
성별(性別) 남성(男性)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國籍) 대한민국(大韓民國)
거주지(居住地) 대한민국(大韓民國)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본관(本館) 전주(全州) (全州)
학력(學歷)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서반아어학과(學科) 학사(學士) (1968년(年) 2월(月))
직업(職業) 정치인(政治人)
경력(經歷)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제(第)1부대변인(副代辯人)
청와대(靑瓦臺) 비서실(祕書室) 행정관(行政官) 겸(兼) 부대변인(副代辯人)
신한국당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대변인(代辯人)
인천학술진흥재단(仁川學術振興財團) 이사장(理事長)
가천대학교(嘉泉大學校) 행정학과(行政學科) 석좌교수(碩座敎授)
배우자(配偶者) 이순구
자녀(子女) 1남(男) 1녀(女)
(1972년생(年生) 맏아들, 1977년생(年生) 막내딸)
군복무(軍服務) 육군(陸軍) 중위(中尉) 전역(轉役)(1970년(年) 8월(月))
종교(宗敎) 개신교(改新敎) ( 감리회(監理會) )
의원(議員) 선수(選手) 4
의원(議員) 대수(臺數) 15·16·17·18
정당(正當) 국민의힘(國民의힘)
지역구(地域區) 인천(仁川) 남동구(南洞區) 갑(甲) (15·16·17·18)
당내(黨內) 직책(職責) 상임고문(常任顧問)
웹사이트 공식(公式) 사이트
이윤성(李允盛) - 대한민국(大韓民國)헌정회

이윤성(李允盛) (李允盛, 1944년(年) 10월(月) 2일(日) ~)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언론인(言論人) 출신(出身)의 정치인(政治人) 이다. 제(第)15·16·17·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을 지냈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1944년(年) 10월(月) 2일(日), 함경북도(咸鏡北道) 청진(淸津) 에서 출생(出生)하였고 1946년(年) 6월(月)(3세(歲) 시절(時節))에 직계(直系) 일가족(一家族)과 함께 경기도(京畿道) 김포(金浦) 로 이주하였기에 지난날 한때 경기도(京畿道) 김포(金浦)에서 잠시(暫時) 유아기(幼兒期)를 보낸 적이 있으며 1948년(年) 2월(月) 이후(以後)부터 경기도(京畿道) 인천(仁川) 제물포(濟物浦) 에서 성장(成長)하였고 제물포(濟物浦) 고등학교(高等學校)를 졸업(卒業)하였다. 1968년(年) 2월(月)에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서반아어학과(西班牙語學科)에서 학사(學士) 학위(學位) 를 취득(取得)하였으며, 1968년(年) 3월(月)부터 1970년(年) 8월(月)까지 육군(陸軍) 보병(步兵) 장교(將校) 로 복무(服務) 후(後) 1970년(年) 8월(月), 육군(陸軍) 중위(中尉) 로 전역(轉役)한 그는 1970년(年) 12월(月), 서울중앙방송국(지금(只今)의 KBS 한국방송공사 )에 입사(入社)를 하여 사회부(社會部) 기자(記者)로 재직(在職)했다. 1982년(年)부터 1986년(年)까지 보도본부(報道本部) 24시(時) 앵커를 맡아서 진행(進行)을 했지만 1992년(年)부터 KBS 뉴스광장(廣場) 이라는 아침뉴스를 맡아서 방송(放送)을 했고, 그토록 이른바 KBS 간판(看板) 앵커를 거쳐 1993년(年) 7월(月) 5일(日)부터 KBS 뉴스 9 의 진행자(進行者)를 맡았다. 참고(參考)로 그가 KBS 뉴스 9 의 진행(進行) 앵커 시절(時節)이던 1994년(年) 3월(月) 23일(日)과 1994년(年) 6월(月) 9일(日)에 KBS 1TV 의 채널은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폐지(廢止)하기로 결정(決定)을 했다. KBS 1TV 의 채널은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의 폐지(廢止)로 수신료(受信料) 징수(徵收) 제도(制度) 개선(改善)을 하겠다고 하면서 수신료(受信料)는 현행(現行) 2,500원으로 정(定)했다. [1] 그리고 그는 1994년(年) 10월(月) 1일(日) KBS 뉴스 9 의 진행자(進行者)를 맡아서 KBS 1TV 의 채널은 수신료(受信料) 징수(徵收) 제도(制度)가 바뀌었다고 하면서 수신료(受信料)값은 2,500원이라고 했다. KBS 1TV 의 채널은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모두 폐지(廢止)를 했다고 하면서 그와 동시(同時)에 무광고(無廣告) 채널을 만들었다. KBS 1TV 의 채널에서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폐지(廢止)를 임병걸기자(記者)한테 내보내서 뉴스를 만들기도 했다. [2] 1995년(年) 5월(月)에 KBS 퇴사(退社)를 했고, 이렇게 프리랜서 선언(宣言)한 그는 정치(政治)에 입문(入門), 4선(線) 국회의원(國會議員)을 지냈다. 19대(代) 총선(總選)에서 공천(公薦)을 받지 못하여 탈당(脫黨) 후(後) 무소속(無所屬) 으로 출마(出馬), 낙선(落選)하였다.

경력(經歷) [ 편집(編輯) ]

  • 1970년(年): KBS 기자(記者)로 입사(入社)
  • 1976년(年)~1981년(年): KBS 정치부(政治部) 차장(次長)
  • 1981년(年)~1988년(年): KBS 사회부(社會部) 차장(次長)
  • 1981년(年)~1987년(年): KBS 보도본부(報道本部) 24시(時) 뉴스 앵커
  • 1988년(年)~1989년(年): KBS 사회부(社會部) 부장(部長)
  • 1989년(年)~1990년(年): KBS 일본(日本) 도쿄(동경(東京)) 특파원(特派員)
  • 1990년(年)~1991년(年): KBS 국제외교부(國際外交部) 부장대우(部長待遇)
  • 1991년(年)~1992년(年): KBS 정치부(政治部) 부장대우(部長待遇)
  • 1992년(年) 1월(月)~1993년(年) 4월(月): KBS 뉴스광장(廣場) , 기동취재(機動取材) 현장(現場) 앵커
  • 1993년(年) 5월(月)~7월(月): 사건(事件) 25시(時) 진행자(進行者)
  • 1993년(年) 7월(月)~1995년(年) 5월(月): KBS 뉴스 9 앵커.
  • 1995년(年) 6월(月)~8월(月):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제(第)1부대변인(副代辯人)
  • 1995년(年) 8월(月)~10월(月): 김영삼(金永三) 대통령(大統領) 시대(時代) 청와대(靑瓦臺) 비서실(祕書室) 행정관(行政官) 겸(兼) 부대변인(副代辯人)
  • 1995년(年) 10월(月)~12월(月):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동당(棟當)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지역(地域) 지구당(地區黨) 위원회(委員會) 남동구갑(南洞區甲) 지구당원협의회(地球黨員協議會) 운영분과위원장(運營分課委員長)
  • 1995년(年) 12월(月)~1996년(年) 7월(月): 신한국당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대변인(代辯人)
  • 1995년(年) 12월(月)~1996년(年) 8월(月): 신한국당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동당(棟當)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지역(地域) 지구당(地區黨) 남동구갑(南洞區甲) 지구당원협의회(地球黨員協議會) 운영위원장(運營委員長)
  • 1996년(年) 5월(月)~2000년(年) 5월(月): 제(第)15대(代) 한나라당 국회의원(國會議員)
  • 한나라당 총재(總裁) 특별보좌역(特別補佐役)
  • 2000년(年) 5월(月)~2004년(年) 5월(月): 제(第)16대(代) 한나라당 국회의원(國會議員)
  • 2004년(年) 5월(月)~2008년(年) 5월(月): 제(第)17대(代) 한나라당 국회의원(國會議員)
  • 2004년(年) 6월(月)~2005년(年) 8월(月): 한나라당 인천광역시당(仁川廣域市黨) 위원장(委員長)
  • 2004년(年) 9월(月)~2005년(年) 6월(月): 제(第)17대(代) 국회(國會) 개혁특별위원회(改革特別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2006년(年) 6월(月)~2008년(年) 5월(月): 제(第)17대(代) 국회(國會) 산업자원위원회(産業資源委員會) 위원장(委員長)
  • 제(第)17대(代) 국회(國會) 건설교통위원회(建設交通委員會) 위원(委員)
  • 한나라당 인천지역(仁川地域) 선거대책위원장(選擧對策委員長)
  • 2008년(年) 5월(月)~2012년(年) 5월(月): 제(第)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인천(仁川) 남동구갑(南洞區甲)/한나라당)
  • 2008년(年) 7월(月)~2010년(年) 5월(月): 한중(韓中) 의회(議會) 간(間) 정기교류체제(定期交流體制) 회장(會長)
  • 2008년(年) 7월(月)~2010년(年) 5월(月): 제(第)18대(代) 국회(國會) 전반기(前半期) 부의장(副議長)
  • 2010년(年) 6월(月): 제(第)18대(代) 국회(國會) 외교통상통일위원회(外交通商統一委員會) 위원(委員)
  • 2012년(年) 2월(月)~2012년(年) 5월(月): 제(第)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인천(仁川) 남동구갑(南洞區甲)/새누리당(새누리黨), 무소속(無所屬))
  • 2012년(年) 10월(月)~2013년(年) 2월(月): 제(第)18대(代) 대통령선거(大統領選擧)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候補) 선거대책위원회(選擧對策委員會) 공동위원장(共同委員長)
  • 2013년(年) 10월(月): 2014 인천(仁川)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組織委員會) 고문(顧問)
  • 2013년(年)~: 가천대학교(嘉泉大學校) 석좌교수(碩座敎授)
  • 2017년(年) 3월(月)~: 제(第)13대(代)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仁川廣域市社會福祉協議會) 회장(會長)
  • 2021년(年) 3월(月)~: 국민의힘(國民의힘) 상임고문(常任顧問)
  • 2021년(年) 12월(月)~2022년(年) 3월(月): 국민의힘(國民의힘) 인천(仁川)을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選擧對策委員會) 선거대책위원장단(選擧對策委員長團) 명예선거대책위원장(名譽選擧對策委員長)
  • 2022년(年) 8월(月) ~: 국민의힘(國民의힘) 인천시당 상임고문(常任顧問)
  • 2024년(年) 3월(月)~2024년(年) 4월(月): 제(第)22대(代) 국회의원선거(國會議員選擧) 국민의힘(國民의힘) 인천선거대책위원회(仁川選擧對策委員會) 명예공동선거대책위원장(名譽共同選擧對策委員長)

방송(放送) [ 편집(編輯) ]

  • 2012년(年) : MBN 뉴스 8
  • 2013년(年) : 시사(時事)토크 두루치기

학력(學歷) [ 편집(編輯) ]

비학위(非學位) 수료(修了) [ 편집(編輯) ]

  • 1997년(年)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자연자원대학(自然資源大學)원 고위정책과정(高位政策過程) 수료(修了)
  • 1998년(年)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最高經營者過程) 수료(修了)
  • 2002년(年)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行政大學院) 고위관리자과정(高位管理者過程) 수료(修了)

이력(履歷) [ 편집(編輯) ]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함경북도(咸鏡北道) 청진(淸津) 에서 출생(出生)하였고, 대한민국(大韓民國) 경기도(京畿道) 인천(仁川) 에서 성장(成長)하였다. 1963년(年) 제물포고등학교 와 1968년(年)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서반아어학과(學科)(64학번(學番))를 나온 그는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남동구(南東區) 갑(甲) 지역구(地域區)의 제(第)15, 16, 17, 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을 역임(歷任)하였으며, 제(第)18대(代) 국회(國會) 전반기(前半期) 여당(與黨)몫의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출신(出身)이었다. 김영삼(金永三) 정부(政府) 시대(時代)의 신한국당 당무위원(黨務委員) 겸(兼) 대변인(代辯人) 등(等)을 지냈으며, 대표적(代表的)으로는 소위(所謂) 친이(親李) 계(系)로 분류(分類)된다. [4] 19대(代) 총선(總選)에서 새누리당의 공천(公薦)을 받지 못하자 탈당(脫黨), 무소속(無所屬)으로 출마(出馬)했다. [5] 이후(以後) MBN 시사(時事)토크 두루치기 [6] [7] 및 주말(週末) MBN 뉴스 8 진행자(進行者)로 활동(活動)하기도 했다.

주요(主要) 행적(行跡) 및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언론인(言論人)으로서의 행적(行跡) [ 편집(編輯) ]

이윤성은 1970년(年) KBS 기자(記者)로 입사(入社)한 뒤 일본(日本) 도쿄 특파원(特派員), 보도국(報道局) 사회부장(社會部長)을 거쳐 KBS 보도본부(報道本部)24시(時)(1981 ? 1988), KBS 뉴스광장(廣場)(1992 ? 1993), KBS 9시(時)뉴스(1993 ? 1995) 등(等) 굵직한 뉴스 프로그램의 앵커로 오랫동안 활동(活動)했다. 1995년(年) 6월(月)에 KBS 한국방송공사에서 퇴사(退社)하였으며 같은 해 1995년(年) 민자당에 입당(入黨)한 뒤 96년(年) 15대(代) 총선(總選)에서 신한국당 소속(所屬)으로 출마(出馬)해 국회의원(國會議員)에 당선(當選)됐으며 2000년(年) 재선(再選)됐다. 그동안 신한국당 대변인(代辯人)과 신한국당?한나라당 대선기획단(大選企劃團) 홍보본부(弘報本部) 전파매체단장(電波媒體團長)(97년(年)),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中央選擧對策委員會) 유세본부(遊說本部) 본부장(本部長)(2002년(年)) 등(等)을 역임(歷任)했다.

한편(한便) 전두환(全斗煥) 정권(政權) 시절(時節) 이윤성은 앵커로서 "군사독재정권(軍事獨裁政權)의 나팔수(喇叭手)" 역할(役割)을 했다는 비판(批判)이 있다. 실제로(實際로) 그는 KBS 부주간(副主幹)으로 《특별기획(特別企劃)-광주사태(光州事態)》 진행(進行)을 맡아서 80년(年) 광주(光州) 상황(狀況)에 대(對)해 "흥분(興奮)한 시위(示威) 군중(群衆)과 계엄군(戒嚴軍)의 충돌(衝突), 오해(誤解)로 감정(感情)이 폭발(暴發)되었고 여기에 불순분자(不純分子)들에 의(依)해 조작(造作)된 기상천외(奇想天外)의 유언비어(流言蜚語)는 지역감정(地域感情)마저 자극(刺戟), 선동(煽動)해서 군(軍)과 시민(市民)을 이간(離間)시키고 방화(放火), 파괴(破壞), 살상(殺傷)을 유도(誘導)하면서 끝내는 광주시(光州市) 일원(一圓)을 무정부(無政府) 상태(狀態)로까지 치몰아갔던 것"이라고 표현(表現)했다. 그는 또한 《보도기획(報道企劃)-학원안정법(學院安定法)》에서도 "좌경사상(左傾思想)에 오염(汚染)된 학생(學生)들은 하루 속히(速히) 치유(治癒)를 해서 학원(學院)으로 돌아오도록 하고, 또 면학(勉學)에 여념(餘念)이 없는 대다수(大多數) 학생(學生)들이 이들로부터 오염(汚染)되지 않도록 보호(保護)되어야 한다"고 주장(主張)했다. 2003년(年) KBS노보는 이윤성의 이러한 행적(行跡)을 이유(理由)로 그를 부역언론인(賦役言論人) 1호(號)로 선정(選定)했으며, 이러한 행적(行跡)에 대(對)해 "군사독재(軍事獨裁) 정권(政權)의 나팔수(喇叭手) 노릇을 충실히(忠實히) 했다"고 비판(批判)했다. 또 "민주화(民主化) 운동(運動) 앞에 위기(危機)를 맞은 정권(政權)을 옹호(擁護)하기 위한 학원안정법(學院安定法) 제정(制定)을 "정부(政府)의 결단(決斷)"으로 표현(表現)하며 독재정권(獨裁政權) 주장(主張)을 그대로 반복(反復)했다"고 지적(指摘)했다. KBS노보는 "전두환 정권(政權)과 노태우 정권(政權), 김영삼 정권(政權)에 모두 충성(忠誠)을 바쳤다는 비판(批判)을 받으며 떠나간 KBS의 대표적(代表的) 메인 앵커"라고 이(李) 의원(議員)을 평(評)한 뒤 "정계진출(政界進出)로 극우(極右) 보수세력(保守勢力)의 나팔수(喇叭手) 역할(役割)을 맡는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극우(極右) 보수세력(保守勢力)에 자랑스럽게 편입(編入)되는 길을 택(擇)한 것"이라고 비판(批判)했다.

천안함 사태(事態)가 다행(多幸)이라는 '망언(妄言)'에 대(對)한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전국(全國) 동시(同時) 지방(地方) 선거(選擧)를 앞두고 있던 2010년(年) 5월(月) 31일(日), 이윤성 의원(議員)은 여의도(汝矣島) 당사(黨舍)에서 열린 수도권(首都圈) 선대위원장(選對委員長) 기자간담회(記者懇談會)에서 인천시장(仁川市長) 선거(選擧)의 판세(판勢)를 분석(分析)했다. 그런데 여기서 그는 “또 하나 반가운 것은 10명(名)의 기초단체장(基礎團體長) 가운데 옹진군(甕津郡)은 무투표(無投票)로 당선(當選)됐고 나머지 9군데도 좀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다행히(多幸히) 천안함 사태(事態)가 바로 인천(仁川) 앞바다(에서 일어났)다 ”며 “그렇기 때문에 다른 계층(階層)보다 느끼는 바가 달라 기초단체장(基礎團體長)도 1∼2곳의 경합(競合) 지역(地域)을 빼놓고는 다 우세(優勢) 지역(地域)으로 궤도(軌道)에 진입(進入)했다”고 발언(發言)해 구설수(口舌數)에 올랐다. [8]

천안함 사태(事態)가 다행(多幸)이라는 그의 발언(發言)에 대(對)해 이후(以後) 각(各) 당(黨)으로부터 비난(非難)이 쏟아졌다. 민주당(民主黨) 김유정(金裕貞) 선대위(選對委) 대변인(代辯人)은 “자신(自身)의 지역구(地域區)인 인천(仁川) 앞바다에서 천안함 사태(事態)가 발생(發生)한 것이 다행(多幸)이고 행운(幸運)이었다는 말을 서슴없이 쏟아내는 이(李) 의원(議員)은 인천시민(仁川市民)을 대표(代表)할 자격(資格)이 없는 사람”이라며 "망언(妄言)"을 철회(撤回)하고 희생자(犧牲者)와 유가족(遺家族), 그리고 국민(國民)에 사죄(謝罪)할 것을 촉구(促求)했다. [8] 미래연합의 오형석 대변인(代辯人)도 논평(論評)에서 “이(李) 의원(議員)의 망언(妄言)을 규탄(糾彈)한다”며 “이번(이番) 발언(發言)은 국가적(國家的) 불행(不幸)인 천안함(天安艦) 사건(事件)이 한나라당에는 곧 행복(幸福)이었음을 고백(告白)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번(이番) 망언(妄言)에 대(對)한 책임(責任)으로 의원직(議員職)을 즉각(卽刻) 사퇴(辭退)하고 국민(國民)들에게 사죄(謝罪)하라”고 촉구(促求)했다. [9] 자유선진당(自由先進黨)의 박선영(朴善英) 대변인(代辯人)도“망발도 유분수(有分數)”라면서 6월(月) 1일(日) 논평(論評)을 통해 “천안함 사태(事態)가 한나라당 선거(選擧) 판세(판勢)에 도움이 됐다는 이유(理由)로 ‘반가웠고’, 또 ‘다행히(多幸히)’라니. 구천(九泉)을 떠도는 영령(英靈)들과 국민(國民) 모두가 가슴을 치며 통곡(痛哭)할 일”이라고 비판(批判)했다. [10] [11]

공무원(公務員) 연봉(年俸) 부풀리기 논란(論難) [ 편집(編輯) ]

사건(事件)의 발단(發端) [ 편집(編輯) ]

한나라당 이윤성의원(議員)은 2011년(年) 8월(月) 11일(日) 기획재정부(企劃財政部)와 외교통상부(外交通商部),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등(等) 15개(個) 중앙부처(中央部處)에 근무(勤務)하는 공무원(公務員)의 평균연봉(平均年俸)이 300인(人) 이상(以上) 민간기업(民間企業)의 평균연봉(平均年俸) 3,969만(萬)원에 비해 31%가량(假量) 많은 5,200만(萬)원으로 집계(集計)되었다고 밝혔다. [12]

반론(反論) [ 편집(編輯) ]

그러나, 이 의원(議員)의 이같은 주장(主張)은 사실(事實) 왜곡(歪曲)이라는 반론(反論)이 제기(提起)되었다. 이(李) 의원(議員)이 300인(人) 이상(以上) 민간기업(民間企業) 평균연봉(平均年俸)을 산출(産出)한 근거(根據) 자료(資料)는 국가통계(國家統計)포털(kosis.kr)에 있는 고용노동부(雇傭勞動部) 「사업체임금근로시간조사(事業體賃金勤勞時間調査)」의 2010년(年) 4분기(分期) 3개월(個月) 간(間)의 평균월급(平均月給)(3,332천(千)원)에 단순히(單純히) 12개월(個月)을 곱한 부정확(不正確)한 금액(金額)이라는 것이다. 실제로(實際로) 행정안전부(行政安全部) 관계자(關係者)는 "이(李) 의원(議員)이 공개(公開)한 민간기업(民間企業) 평균(平均) 연봉(年俸) 통계치(統計値)는 지난해 4.4분기(分期) 3개월간(個月間) 평균(平均) 임금(賃金)을 산정(算定)한 것"이라며 "실제(實際) 300인(人) 이상(以上) 민간기업(民間企業)의 월(月) 평균(平均) 임금(賃金)은 429만(萬)으로 평균(平均) 연봉(年俸)은 5천(千)150만(萬)원"이라고 설명(說明)했다. [13] 또한 민간부문(民間部門)은 일부(一部) 후생복지비용(厚生福祉費用) 등(等)이 드러나지 않는 추정치(推定値)로 직무성격(職務性格), 평균(平均) 근무년수(勤務年首) 등(等) 통제변수(統制變數)를 고려(考慮)하지 않고 전체(全體) 평균연봉(平均年俸)을 단순(單純) 비교(比較)한 것이다. 실제로(實際로) 지난 2010년말(年末) 기준(基準)으로 상용근로자(常傭勤勞者) 100이상(以上) 민간기업(民間企業)의 평균임금(平均賃金)과 공무원간(公務員間)의 통제변수(統制變數)를 적용(適用)한 임금비교(比較) 결과(結果) 공무원보수(公務員報酬)의 민간기업(民間企業) 임금(賃金) 접근율(接近率)은 84.4%로서 지난 2005년(年) 95%대(臺)의 접근율(接近率)에서 점차적(漸次的)으로 격차(隔差)가 더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現實)이라고 한다. 게다가 공노총에서 조사(調査)한 바에 따르면, 62만(萬) 행정부(行政府) 공무원(公務員) 중(中) 6급이하(級以下) 공무원(公務員)은 59만여명(萬餘名)으로서 전체(全體)의 95%정도(程度)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6급이하(級以下) 공무원(公務員)의 2010년(年) 평균연봉(平均年俸)은 3,600여만(餘萬)원 수준(水準)이고,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를 포함(包含)한 전체(全體) 공무원(公務員)으로 산정(算定)할 경우(境遇) 3,400여만(餘萬)원 수준(水準)으로 오히려 300인이상(人以上) 민간기업(民間企業) 대비(對備) 32%정도(程度)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14]

노조(勞組)의 반응(反應) [ 편집(編輯) ]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公務員勞動組合總聯盟)은 국회의원(國會議員)이 일선(一線) 민원현장(民願現場)에서 열악(劣惡)한 근무환경(勤務環境)과 부족(不足)한 인력(人力)으로 인한 과중(過重)한 업무(業務)에도 불구(不拘)하고 묵묵히(默默히) 본연(本然)의 업무(業務)에 최선(最善)을 다하는 공무원(公務員)의 처우(處遇)를 개선(改善)하여 대국민(對國民) 행정(行政)서비스의 질적향상(質的向上)을 꾀하는 정책제안(政策提案)을 해줘도 시원찮은데, 왜곡(歪曲)된 자료(資料)를 인용(引用)하여 공직(公職)을 매도(罵倒)하기 위해 음흉(陰凶)한 술책(術策)으로 국민(國民)을 현혹(眩惑)시키려는 현실(現實)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공노총은 또한 지난 8월(月)11일자(日子) 언론오보(言論誤報) 내용(內容)에 대(對)해 정정보도(訂正報道)를 요구(要求)하고, 공개(公開) 사과(謝過)를 요청(要請)하는 한편(한便), 공무원(公務員) 처우개선대책(處遇改善對策)에 솔선수범(率先垂範)하라고 요구(要求)했다. 또한 한나라당을 비롯한 모든 정치인(政治人)들에게 더 이상(以上) 공무원(公務員)을 정치적(政治的) 포퓰리즘으로 이용(利用)하지 말 것을 요구(要求)했다.

역대(歷代) 선거(選擧) 결과(結果) [ 편집(編輯) ]

실시년도(實施年度) 선거(選擧) 대수(臺數) 직책(職責) 선거구(選擧區) 정당(正當) 득표수(得票數) 득표율(得票率) 순위(順位) 당락(當落) 비고(備考)
1996년(年) 총선(總選) 15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인천(仁川) 남동구(南洞區) 갑(甲) 신한국당 41,048 표(票)
54.18%
1위(位) 초선(初選)
2000년(年) 총선(總選) 16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인천(仁川) 남동구(南洞區) 갑(甲) 한나라당(한나라黨) 38,438 표(票)
54.89%
1위(位) 재선(再選)
2004년(年) 총선(總選) 17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인천(仁川) 남동구(南洞區) 갑(甲) 한나라당(한나라黨) 35,855 표(票)
45.77%
1위(位) 3선(選)
2008년(年) 총선(總選) 18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인천(仁川) 남동구(南洞區) 갑(甲) 한나라당(한나라黨) 43,504 표(票)
57.81%
1위(位) 4선(選)
2012년(年) 총선(總選) 19대(代) 국회의원(國會議員) 인천(仁川) 남동구(南洞區) 갑(甲) 무소속(無所屬) 14,687 표(票)
12.25%
3위(位) 낙선(落選)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홍두표 전직(前職) KBS 사장(社長)은 KBS 1TV 의 채널을 수신료징수개도개선(受信料徵收個道改善)을 하려고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폐지(廢止) 결정(決定)을 하겠다고 발표(發表)를 했다. KBS 1TV 의 채널에서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 폐지(廢止)로 인해 수신료면제(受信料免除) 가구(家口)를 125만가구(萬家口)에서부터 242만가구(萬家口)로 늘려서 무광고(無廣告) 채널을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이 없는 채널을 만들겠다고 했다.
  2. 임병걸기자(記者)는 KBS 1TV 의 채널에서 KBS 뉴스 9 에 있는 1TV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 폐지(廢止) 내용(內容)을 공영방송(公營放送) 채널에 전기료(電氣料)에 수신료(受信料) 2,500원을 붙였고 수신료면제가구(受信料免除家口)를 저소득층(低所得層) 136만가구(萬家口) 및 난시청지역(難視聽地域) 106만가구(萬家口)를 총(銃) 242만가구(萬家口)를 만들었지만 수신료(受信料)를 받지 않는다고 했다. KBS재원구조(財源構造)는 광고대(廣告臺) 수신료(受信料)를 30:70에서 50:50으로 변경(變更)을 했다.
  3. 1994년(年) 3월(月) 23일(日)에 KBS 1TV 의 채널에서 방영(放映)을 한 KBS 뉴스 9 에서는 공영방송(公營放送) 채널에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가을 개편(改編)에 폐지(廢止)를 하겠다고 했다. 윤준호 기자(記者)를 내보내면서 공영방송(公營放送) KBS 1TV 의 채널에 있는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폐지(廢止)를 하게 되면 새로운 수신료징수제도개선(受信料徵收制度改善)을 마련을 하려고 한국전력공사에 있는 전기요금(電氣料金)을 함께 징수(徵收)할 수 있도록 했다. 수신료(受信料)는 2500원이고, 1TV의 채널을 광고방송(廣告放送)(상업광고방송(商業廣告放送))을 폐지(廢止)를 하면서 수신료면제가구(受信料免除家口)를 현재(現在) 125만가구(萬家口)에서 242만가구(萬家口)를 늘리게 되어 저소득층(低所得層), 난시청지역(難視聽地域), 도시지역(都市地域) 및 농어촌가구(農漁村家具)까지 포함(包含)을 했다.(수신료면제가구 : 242만가구(萬家口), 광고(廣告) 대(對) 수신료(受信料) 30:70에서 50:50)
  4. ‘주민투표(住民投票)’ 놓고 유승민(劉承旼)-이윤성(李允盛) ‘충돌(衝突)’ 데일리안(데일리안), 2011년(年) 7월(月) 27일(日)
  5. 이윤성(李允盛) 탈당(脫黨) 무소속(無所屬) 출마(出馬)… 이재오(李在五) "보복(報復) 공천(公薦)" Archived 2012년(年) 3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韓國日報), 2012년(年) 3월(月) 9일(日)
  6. 황소영 기자(記者) (2013년(年) 8월(月) 21일(日)). “이윤성(李允盛)·김미화·송지헌, MBN 시사(時事) 토크 프로 중심(中心)에 선다” . TV리포트 . 2013년(年) 8월(月) 21일(日)에 확인(確認)함 .  
  7. 강승태 기자(記者) (2013년(年) 9월(月) 2일(日)). “MBN 시사(時事)토크 두루치기 - 금기(禁忌) 없이 두루두루 ‘파헤친다’” . 매일경제(每日經濟) . 2013년(年) 9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8. “천안함 사태(事態),인천(仁川) 앞바다서 일어나 다행(多幸)”…한나라당 이윤성 의원(議員) 발언(發言) ‘구설(口舌)’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3일(日) - 웨이백 머신 국민일보(國民日報), 2010년(年) 6월(月) 1일(日)
  9. 韓이윤성(李允盛), ‘천안함(天安艦) 망언(妄言)’ 도마위 브레이크 뉴스, 2010년(年) 6월(月) 2일(日)
  10. 선진당(先進黨) “막상막하(莫上莫下),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이윤성(李允盛) 정몽준(鄭夢準) 싸잡아 비난(非難)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시사(示唆)서울, 2010년(年) 6월(月) 1일(日)
  11. <논평(論評)> 천안함(天安艦) 사고(事故)가 반갑고 다행(多幸)이라는 한나라당은 각성(覺醒)하라!
  12. 박재홍(朴在鴻), 공무원(公務員) 평균(平均) 연봉(年俸) 민간기업(民間企業) 웃돌아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아주경제(經濟), 2011년(年) 8월(月) 11일(日)
  13. "공무원(公務員) 평균연봉(平均年俸), 민간기업(民間企業)보다 많아"(종합) 연합뉴스(聯合뉴스), 2011년(年) 8월(月) 11일(日)
  14. 가슴에 상처(傷處)난 100만(萬) 공무원(公務員) 노컷뉴스, 2011년(年) 8월(月) 13일(日)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전임(前任)
이용희(李龍熙)
제(第)18대(代) 전반기(前半期) 국회부의장(國會副議長) (제(第)1당(黨))
2008년(年) 7월(月) 16일(日)~2010년(年) 5월(月) 29일(日)
후임(後任)
정의화(義意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