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음운론(音韻論)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음운론(音韻論)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음운론(音韻論) (音韻論)은 언어학(言語學) 의 하위(下位) 분야(分野)의 하나로 특정(特定) 개별(個別) 언어(言語) 또는 여러 언어(言語)의 소리 체계(體系)를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이다. 음성학(音聲學) 말소리 의 물리적(物理的)인 발성(發聲)과 인지(印紙)를 연구(硏究)하는 데에 비해 음운론(音韻論)은 주어진 언어(言語) 내(內)에서 또는 범언어적(汎言語的)으로 소리 가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기술(記述)한다.

음운론(音韻論)의 중요(重要)한 연구(硏究) 분야(分野) 중(中)의 하나는 한 개별(個別) 언어(言語) 내(內)에서 어떠한 소리가 변별적(辨別的) 단위(單位)를 이루는가를 연구(硏究)하는 것이다. 예(例)를 들어, 한국어(韓國語) 에서 /ㅂ/, /ㅍ/, /ㅃ/는 변별적(辨別的)인 소리 단위(單位)이며 이들을 음소(音素) 라고 한다. 이들이 서로 다른 음소(音素)라는 것은 ‘불’, ‘풀’, ‘뿔’과 같은 서로 다른 의미(意味)를 지칭(指稱)하는 최소대립쌍(最小對立雙) 의 존재(存在)를 통해 확인(確認)할 수 있다.

동일(同一)한 음소(音素)라고 해서 음성적(陰性的)으로도 반드시 동일(同一)한 것은 아니다. 예(例)를 들어, /ㅂ/의(義) 경우(境遇)에 어떤 환경(環境)에 놓여 있는가에 따라 다른 소리가 될 수 있다. ‘박수(拍手)’의 첫소리 /ㅂ/은 무성음(無聲音) [p]로 발음되지만 ‘수박’의 두 번째(番째) 음절(音節)의 첫소리 /ㅂ/은 유성음(有聲音) [b]로 발음된다. 이들은 음성적(陰性的)으로는 다른 소리이며 이러한 차이(差異)는 음성학(音聲學) 의 연구(硏究) 대상(對象)이 된다.

또한, 어떠한 소리가 음소(音素)인가 아닌가는 언어(言語)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국어(韓國語) 에서는 유성음(有聲音) 무성음(無聲音) 두 소리가 구별(區別)되지 않기 때문에 ‘박수(拍手)’와 ‘수박’의 /ㅂ/이 하나의 음소(音素)이지만 영어(英語) 에서는 두 소리가 의미(意味) 차이(差異)를 유발(誘發)하여 ‘pin’의 /p/ 와 ‘bin’의 /b/ 가 서로 다른 음소(音素)가 된다. 반면(反面)에 한국어(韓國語)에서는 ‘풀’의 유기음(有氣音) /ㅍ/과(科) ‘뿔’의 무기음(無氣音) /ㅃ/이 각각(各各) 독립적(獨立的)인 음소(音素)로 구별(區別)되는 데에 비해 영어(英語)에서는 ‘spin’의 무기음(無氣音) [p] 와 ‘pin’의 유기음(有氣音) [p?] 가 음성학적(音聲學的)으로는 다름에도 불구(不拘)하고 하나의 음소(音素) /p/ 가 된다.

이러한 음소(音素) 에 관(關)한 연구(硏究) 외(外)에도 음운론(音韻論)에서는 음절(音節) 구조(構造) , 악센트 , 억양(抑揚) , 성조(聲調) , 리듬 등(等)을 연구(硏究)한다. 또한 음운론(音韻論)의 목적(目的)은 연구(硏究) 대상(對象) 언어(言語)에 존재(存在)하는 음형(音型) (音型, 영어(英語) : sound patterns )을 연구(硏究)한다.

음운론(音韻論) 이라는 용어(用語) 대신(代身) 음소론(音素論) 이라는 용어(用語)가 사용(使用)되는 경우(境遇)도 있다. 이 경우(境遇) 동일(同一)한 분야(分野)를 지칭(指稱)할 수도 있으나 음소론(音素論) 운소론 을 개념(槪念) 상(上) 구별(區別)하기 위하여 사용(使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意味)에서 음소론(音素論) 음소(音素) 만(灣)을 연구(硏究) 대상(對象)으로 하는 분야(分野)를 지칭(指稱)하며, 운소론 운율(韻律) 적(敵) 특징(特徵)인 소리의 높낮이(고저(高低)), 길이(장단(長湍)), 세기(世紀)(강약(强弱)) 등(等)의 악센트 억양(抑揚) 등(等) 운소(韻素) 를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를 지칭(指稱)한다.

음소(音素) 표기(表記) [ 편집(編輯) ]

음운론(音韻論)에서 의미(意味)를 구별(區別)하는 소리의 제일(第一) 작은 단위(單位)를 음소(音素) 라고 한다. 음소(音素)는 /t/, /d/, /k/, /?/ 처럼 / / 로 표기(表記)한다.

한 언어(言語)의 음소(音素) 개수(個數) [ 편집(編輯) ]

홀소리 의 수(數)는 적게는 2개(個)( 압하스어(語) )에서 많게는 55개(個)( 세당어 )까지 있고, 닿소리 의 수(數)도 6개(個)( 로토카스어 )에서 117개(個)( 꽁옹어 )까지 다양하다. 전체(全體) 음운(音韻)은 적게는 10개(個)( 피라하어(下語) ), 11개(個)( 로토카스어 ), 12개(個)( 하와이어(語) )가 있는 언어(言語)부터 많게는 141개(個)( 꽁옹어 )까지 있는 언어(言語)도 있다.

음형(音型)의 정의(正義) [ 편집(編輯) ]

대상(對象) 언어(言語)에 존재(存在)하는 음운목록(音韻目錄) [ 편집(編輯) ]

단어(單語)의 뜻을 구별(區別)시킬 수 있는(변별적 기능(機能))을 가지는 음(音)의 집합(集合)

형태소(形態素) 내(內)에서 그들 음운(音韻)의 가능(可能)한 배열(配列) [ 편집(編輯) ]

음운(音韻)들의 분포(分布) 제약(制約) ①음소(音素)들 상호간(相互間)의 배열(配列) 제약(制約) ②개별(個別) 음소(音素)의 분포(分布) 제약(制約)

어간(語幹)과 어미(語尾)의 기저형(基底形)이 통합(統合)하는 경우(境遇)에 일어나는 음운과정(音韻過程) [ 편집(編輯) ]

어간(語幹)의 기저형(基底型)과 어미(語尾)의 기저형(基底形)이 통합(統合)하는 경우(境遇)에 어간(語幹)말이나 어미초(語尾初)의 형태음소(形態音素)가 교체(交替),탈락(脫落),통합(統合)되거나 어간(語幹)말과 어미초(初) 사이에 새로운 음소(音素)가 첨가(添加)되는 것

음운목록(音韻目錄), 음운배열(音韻配列), 형태음운(形態音韻)의 변화(變化) [ 편집(編輯) ]

어떤 시기(時期)와 다음 시기(時期) 사이에 일어난 변화(變化)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문헌(文獻) [ 편집(編輯) ]

  • 배주채 (1996). 《국어음운(國語音韻)론 개설(開設)》. 신구문화사. ISBN   9788976682406 .  
  • 이진호 (2005). 《국어음운(國語音韻)론 강의(講義)》. 삼경문화사(三更文化史). ISBN   9788988408391 .  
  • 전상범 (2013). 《음운론(音韻論)》.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서울大學校出版文化院). ISBN   9788952115539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