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音樂) 이론(理論)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음악이론(音樂理論) (音樂理論)은 음악(音樂) 이 나타나는 현상(現象)과 그 가능성(可能性)을 연구(硏究)하는 학문(學問)이다. 옥스퍼드 음악(音樂) 안내서(案內書)(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에서는 "음악이론(音樂理論)"을 세 가지 용법(用法)으로 활용(活用)하고 있는데, 그 첫째는 음악(音樂)의 표기법(表記法)을 이해(理解)하기 위해 필요(必要)한 기초적인 요소(要素)들(조표(調標), 박자표(拍子標), 장단 등(等))이요, 둘째는 고대(古代)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음악(音樂)에 관(關)한 학자(學者)들의 견해(見解)를 배우는 학문(學問)이요, 셋째는 음악학(音樂學)의 한 분야(分野)로서 음악(音樂)을 구성(構成)하는 방법(方法)이나 음악(音樂)의 일반적(一般的)인 원리(原理)를 규정(規定)하는 방법(方法)을 추구(追求)하는 학문(學問)이다. 음악학(音樂學)의 이론적(理論的) 접근(接近)은 그 시점(時點)을 개별작품(個別作品)이나 연주(演奏)로부터 잡지 않고, 그러한 작품(作品)들을 만든 근본적(根本的)인 재료(材料)로부터 잡는다는 점(點)에서 음악분석(音樂分析)(Music Analysis)과는 다르다. [1]

음악이론(音樂理論)은 조율(調律)이나 작곡(作曲)을 하는 방법(方法) 등(等) 음악가(音樂家)나 작곡가(作曲家)들이 음악(音樂)을 만드는 방법(方法)을 묘사(描寫)할 때 자주 연관(聯關)되곤 한다. 음악(音樂)이 무엇으로 구성(構成)되는가에 관(關)한 개념(槪念)을 더욱 확장(擴張)하여 생각해보면, 이는 음파(音波)적 현상(現象), 심지어(甚至於) 침묵(沈默)의 상태(狀態)까지도 포함(包含)한 음파(音波)적 현상(現象)의 총체(總體)로서 좀 더 포괄적(包括的)으로 정의(定義)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절대적(絶對的)인 지침(指針)은 아니다. 가령(假令), 중세(中世)유럽에서 일반적(一般的)이었던 4과 교양대학(敎養大學)( Quadrivium liberal arts university)의 교육과정(敎育課程)을 보면, 음악(音樂)에 대(對)한 연구(硏究)는 실제(實際) 음악행위(音樂行爲)의 현상(現象)과는 다소(多少) 거리(距離)를 둔 채, 조심스럽게 연구(硏究)되었던 분야(分野)로서 아주 추상적(抽象的)인 체계(體系)를 가지고 있었다. [2] 그러나 이 중세적(中世的) 분야(分野)는 수세기(數世紀) 후(後)에 조율체계(調律體系)의 기초(基礎)가 되었고, 음악이론사상(音樂理論史上) 현대적(現代的) 학문(學問)의 영역(領域)에 일반적(一般的)으로 포함(包含)되어 있다. [3]

실용적(實用的)인 훈련(訓鍊)으로서의 음악이론(音樂理論)은 작곡가(作曲家)들과 다른 음악가(音樂家)들이 음악(音樂)을 창작(創作)할 때 사용(使用)하는 방법(方法)이나 개념(槪念)을 두루 포괄(包括)한다. 이런 의미(意味)에서 음악이론(音樂理論)의 발전(發展)과 보존(保存), 전파(傳播)는 구전(口傳)과 기록(記錄)으로 전(傳)해지는 음악(音樂)을 만드는 전통(傳統), 악기(樂器), 그리고 그 밖에 다른 공예품(工藝品)들의 형태(形態)로 발견(發見)된다. 가령(假令),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선사지대(禪師地帶) 유적(遺跡)에서 출토(出土)된 고대(古代)의 악기(樂器)들을 살펴보면, 당시(當時) 사람들이 만든 음악(音樂)과 그들이 만든 악기(樂器)를 사용(使用)하는 음악적(音樂的) 이론(理論) 같은 것들에 대(對)한 세부적(細部的)인 내용(內容)들을 알 수 있다. 전(全) 세계적(世界的)으로 고대(古代)의 생활문화(生活文化)에서 음악이론(音樂理論)의 유서(由緖) 깊은 근원(根源)은 악기(樂器)와 구전(口傳), 그리고 오늘날의 음악(音樂) 제작(製作)을 통해 발견(發見)할 수 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ISBN   0-19-866212-2 .  
  2. Porsani, Mariana Yukari Hayasaki; de Oliveira, Vinicius Vasques; de Oliveira, Ariane Galdino; Teixeira, Fabio Alves; Pedrinelli, Vivian; Martins, Camila Marinelli; German, Alexander James; Brunetto, Marcio Antonio (2020년(年) 9월(月) 21일(日)). “What do Brazilian owners know about canine obesity and what risks does this knowledge generate?” . 《PLOS ONE》 15 (9): e0238771. doi : 10.1371/journal.pone.0238771 . ISSN   1932-6203 .  
  3. Tymoczko, Dmitri (2003년(年) 6월(月)). “Thomas Christensen (Editor). The Cambridge History of Western Music Theory. (Cambridge History of Music.) xxiv + 998 pp., illus., fig., tables, index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50 (cloth).” . 《Isis》 94 (2): 343?345. doi : 10.1086/379408 . ISSN   0021-1753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