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태음력(太陰曆)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태음력(太陰曆)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 음력(陰曆) 에서 넘어옴)

태음력(太陰曆) (太陰曆)은 의 차고 기욺을 기준(基準)으로 한 달을 정(定)하는 역법(曆法) 을 말하는 데, 주로(主로) 대부분(大部分) 계절(季節)의 변화(變化)(즉(卽), 태양(太陽)의 일주(一周))까지 고려(考慮)한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 이나 이슬람력 이 속(屬)한 순태음력(純太陰曆)으로 나뉠수도 있다.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 [ 편집(編輯) ]

아시아 권(卷)에서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동아시아(東아시아)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 을 가리키는 경우(境遇)가 많으며, 한국(韓國)에서는 흔히 음력(陰曆) (陰曆)이라고 한다. 음력(陰曆)에서는 한 달에 29일(日)과 30일(日)을 번갈아서 쓰며, 그렇게 하면 한 해가 354일(日)이 되어 지구(地球)의 태양(太陽) 공전(空轉) 주기(週期)와 어긋나게 된다. 이때 순태음력(純太陰曆)에서는 윤달(閏달)이 없으나, 태양태음력(太陽太陰曆)에서는 19년(年)에 일곱 번(番)씩 윤달(閏달) 을 둔다. [1] 이렇게 19년(年)에 일곱 번(番) 윤달(閏달)을 두는 방법(方法)을 장법(葬法) (章法)이라고 한다.

순태음력(純太陰曆) [ 편집(編輯) ]

순태음력(純太陰曆) (純太陰曆)은 의 차고 기욺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만든 역법(曆法) 으로, 이슬람의 이슬람력 (회회력(回回曆))이(李) 여기에 속(屬)한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2년(年) 내지(乃至) 3년(年)에 한 번(番)씩 둔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