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유아(幼兒)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유아(幼兒)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1892년(年) 유아(幼兒)가 걷는 법(法)을 배우는 그림. 그들의 첫 번째(番째) 독립적(獨立的)인 단계(段階)를 밟는 것은, 일반적(一般的)으로 그들의 첫 번째(番째) 생일(生日) 이후(以後) 몇 달 동안, 아이들의 초기(初期) 인생(人生)에서 중요(重要)한 이정표(里程標) 중(中) 하나로 여겨진다. [1]

유아(幼兒) (幼兒)는 만(滿) 2세(歲)부터 만(滿) 5세(歲)까지의 어린아이를 가리킨다. [2]

The Mighty Toddler와 The Emotional Life of the Toddler에 따르면 유아(幼兒)는 만(滿) 4세(歲)부터 만(滿) 6세(歲)까지의 나이대(帶)에 속(屬)하는 어린이다. [3] [4] 대한민국(大韓民國) 영유아보육법(嬰幼兒保育法)에서 영유아(嬰幼兒)란 만(滿) 6세(歲) 미만(未滿)의 취학(就學) 전(前) 아동(兒童)을 말한다. [5] 이 시기(時期)에는 신체적(身體的)으로도 정신적(精神的)으로도 빠르게 발달(發達)하게 되며, 유치원(幼稚園) 또는 보육원(保育院) 에서 보육되는 시기(時期)에 해당(該當)한다. [6]

유아기(幼兒期)의 발달(發達) [ 편집(編輯) ]

유아기(幼兒期)에는 체중(體重)의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고, 체격(體格)이 눈에 띄게 튼튼해진다. 그리고, 이 시기(時期)에는 뛴다든지, 달린다든지, 기어오른다든지 하는, 몸 전체(全體)를 사용(使用)하는 신체(身體)의 운동(運動)이 발달(發達)하게 된다. 또한, 언어생활(言語生活)이 급속(急速)하게 발달(發達)하게 된다. [6]

행동(行動) [ 편집(編輯) ]

이 시기(時期)에 유아(幼兒)는 사회적(社會的) 역할(役割) 이동(移動) 능력(能力) 을 많이 배운다. 이 시기(時期)에 적어도 아기는 어떤 물건(物件) 을 짚고 걸어간다.

보통(普通) 유아(幼兒)는 먼저 배우는 것과 나중 배우는 것이 다르다. 또한, 형제(兄弟) 자매(姊妹) 들 사이에도 배우는 데 걸리는 시간(時間)이 차이(差異)가 많이 난다. 유아기(幼兒期)에는 언어(言語)를 배울 때 '맘마', '멍멍' 등(等)의 한 단어(單語) 수준(水準)에서 벗어나 '엄마, 까까' 등(等)의 두 단어(單語) 수준(水準)으로 올라가게 되고, 만(滿) 4세(歲)가 되면 말은 어느 정도(程度) 배워서 대화(對話)가 가능(可能)하다. [7]

이 시기(時期)를 때로는 "미운 네살" 이라고 불리는데, 변덕(變德)이 빈번(頻繁)하며 짜증을 많이 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계(段階)는 아이들의 사회(社會) 환경(環境) 마다 다르지만 빠르게는 9개월(個月)부터 시작(始作)된다. 이것은 아이가 엄마 나 돌보아 주는 사람들과 다르다는 것을 서서히(徐徐히) 발견(發見)하는 과정(過程)이며, 자신(自身)을 둘러싼 세상(世上)이 어떻게 반응(反應)하는지 시험(試驗)해 보는 시기(時期)이기 때문이다. 만(滿) 2세(歲)부터 만(滿) 5세(歲)까지 사이에 자신(自身)의 독립성(獨立性)을 발견(發見)하는 일을 되풀이한다. 따라서 아이를 돌보는 사람이 일관(一貫)되게 반응(反應)하고, 아이들의 안전(安全)과 돌보는 사람의 용납(容納)함이 균형(均衡)을 이루어야 한다. 사회적(社會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유아(幼兒) 발달(發達)에 아주 중요(重要)하다. 아이들이 계속(繼續)해서 어른의 목소리와 행동(行動)을 보고 듣고 반복(反復)하면서 언어(言語) 걸음마 , 사회(社會) 기술(技術) 을 익힌다.

대부분(大部分)은 유아기(幼兒期)에 기저귀 를 빼고 배변(排便) 을 훈련(訓鍊)한다. 약간(若干)의 개인적(個人的) 차이(差異)는 있지만 대부분(大部分)의 서구(西歐) 국가(國家)에서는 17개월(個月)부터 배변(排便) 훈련(訓鍊)을 하게 되며, 만(滿) 3살이 될 때까지 지속적(持續的)으로 훈련(訓鍊)을 해야 한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의 경우(境遇) 평균적(平均的)으로 24개월(個月) 이후(以後)에 배변(排便) 훈련(訓鍊)을 시작(始作)한다. 그러나 너무 이른 배변(排便) 훈련(訓鍊)은 유아(幼兒)가 강박관념(强迫觀念)을 갖게 되므로 피(避)해야 한다. 야뇨증(夜尿症) 에 걸린 유아(幼兒)는 기저귀 를 더 차게 되며, 배변(排便) 훈련(訓鍊)을 늦게 하기도 한다. 최근(最近)에는 아즈란식(式) 배변(排便) 훈련(訓鍊)이라고 해서 아이의 심리(心理)를 파악(把握)해서 단(單) 하루 만에 기저귀를 떼는 훈련법(訓鍊法)도 개발(開發)되었다.

운동(運動) 발달(發達) [ 편집(編輯) ]

유아기(幼兒期)에 있어서 운동발달(運動發達)은 현저(顯著)하다. 이동운동(移動運動)으로서 1세(歲) 전후(前後)로 기기(機器)·서기(西紀)· 걷기 등(等)이 가능(可能)해지고, 손·팔의 운동(運動)으로서 물건(物件)에 대(對)한 도달(到達)·파악(把握)·손놀림이 가능(可能)해진다. 따라서 이 시기(時期)부터 적절(適切)한 장난감 선택(選擇) 등(等) 아동(兒童)의 인지(認知), 소근육(筋肉) 및 대근육(大筋肉) 자극(刺戟)을 위한 부모(父母)의 노력(努力)이 중요(重要)해진다. [8]

이후(以後)로는 다시 많은 운동(運動)이 발달(發達)한다. 불안정(不安定)했던 보행(步行)은 속도(速度)나 거리(距離)가 증가(增加)하고, 양쪽(兩쪽) 다리의 벌린 간격(間隔)이 좁아진다. 3세(歲)에서는 계단(階段) 오르기가 가능(可能)해지고, 4세(歲)에서 달리기 · 뛰기 ·던지기·미끄러지기·올라가기·스킵(skip) 등(等)이 최초(最初)엔 어설프지만 차차(次次) 가능(可能)하게 된다. 5세(歲)에서는 동작(動作)이 민첩(敏捷)해지고, 6세(歲)에서는 자유로이 뛰어다닌다. [9]

손끝의 운동(運動)은 약간(若干) 늦어지나 2세(歲)에서 토막쌓기로 집짓기를 할 수 있고, 3세(歲)에서 수직선(垂直線)을 그리며, 가위 젓가락 을 사용(使用)할 수 있고, 4세(歲)에서 이나 사각형(四角形) 을 그리며, 5세(歲)에서 삼각형(三角形) 을 그리고, 6세(歲)에서 손끝을 상당히(相當히)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된다. [9]

정서(情緖) [ 편집(編輯) ]

유아기(幼兒期)에는 언어생활(言語生活)이 발달(發達)하여 대체로(大體로) 자유로이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동무들이나 어른들과도 그런대로 대화(對話)가 가능(可能)하게 된다. 그러나, 심리적(心理的)으로는 자기중심적(自己中心的)·의존적(依存的)(依存的)·정서적(情緖的)이다. [6]

유아기(幼兒期) 정서(情緖)는, 지속시간(持續時間)이 짧고, 폭발적(暴發的)·일과적(一過的)(一過的)이고, 자주 나타나는 특징(特徵)이 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정서적(情緖的)으로 불안정(不安定)한 시기(時期)이다. [10]

유유아기(乳幼兒機)(乳幼兒期)에는, 소음(騷音)이나 낯선 물건(物件)·낯선 장면(場面)·낯선 사람, 위에서 떨어지는 물건(物件) 등(等)을 두려워하며, 6세경이 되면서 상상력(想像力)의 발달(發達)과 더불어 상상(想像)의 생물(生物)·괴물(怪物) 등(等)에 대(對)한 무서움이 증가(增加)한다. 또한 어두움이라든가 위험(危險)한 것, 유해물(有害物) 등(等)에 대(對)한 두려움도 증가(增加)한다. [10]

사회성(社會性) [ 편집(編輯) ]

1년(年)쯤 되면 어른의 요구(要求)나 의사(意思)를 조금씩 이해(理解)하기 시작(始作)하며 모방(模倣)도 나타나는데, 이 무렵이 되면 처음 수동적(受動的)이었던 어른과의 사회적(社會的) 관계(關係)가 능동적(能動的)·적극적(積極的)·상호교섭적(相互交涉的)인 것으로 발전(發展)한다. 2세(歲) 이후(以後)가 되면 본격적(本格的)인 어린이끼리의 상호교섭(相互交涉)이 나타난다. 다른 어린이에게 말을 건다거나, 간단(簡單)한 놀이에 함께 참가(參加)하는데 아직 따로따로이다. 소위(所謂) 평행(平行)(平行)놀이가 특징적(特徵的)이다. 그러나, 진정(眞正)한 의미(意味)로서의 사회성(社會性)은 3세(世) 이후(以後)가 아니면 나타나지 않는다. 그 무렵이 되면 어린이끼리 함께 놀려고 하는 의욕(意欲)이 나타나고, 서로 주고받고 하면서 논다. 반면(反面) 자기주장(自己主張)이 강(剛)하고, 경쟁의식(競爭意識)도 나타나게 된다. 싸움이 많고, 어른에 대(對)해서 반항(反抗)하려는 경향(傾向)도 나타난다. 5, 6세(歲)가 되면 집단의식(集團意識)이 명료(明瞭)해진다. 놀이상대(相對)의 수(數)나 놀이시간(時間)은 증가(增加)하고, 서로 교섭(交涉)이 있는 놀이가 전개(展開)되어, 다른 어린이에 대(對)한 우호적(友好的)·협력적(協力的)인 접근(接近)을 찾는 행동(行動)을 차차(次次) 나타내게 된다. 동무들의 집에 놀러 간다든지, 간단(簡單)한 심부름이 가능(可能)해진다. 유치원생활(幼稚園生活) 따위의 생활공간(生活空間)의 확대(擴大)도 있으며, 사회성(社會性)이 여러 가지 면(面)에서 발달(發達)하는 시기(時期)이다. [11]

인성(人性) [ 편집(編輯) ]

유아기(幼兒期)는 인성(人性)의 형성(形成)에 중요(重要)한 시기(時期)로 여겨진다. 유아기(幼兒期)의 어린이는 주된 생활공간(生活空間)이 가정(家庭)이며, 부모(父母)와의 접촉(接觸)에 의(依)해서 여러 가지 반응양식(反應樣式)을 학습(學習)해 나간다. 가정(家庭)이 인성(人性)의 정상적(正常的)인 발달(發達)에 필요(必要)하다는 것은, 어떤 사정(事情)으로 양친(兩親)에서 떨어져서 유아원(幼兒園)이나 고아원(孤兒院) 등(等)에 수용(收容)된 어린이에 관(關)한 연구(硏究)에서도 명백(明白)하다. 다만, 모든 가정(家庭)이 바람직한 역할(役割)을 수행(遂行)한다고는 할 수 없으며, 관련(關聯) 연구(硏究)에 의(依)하면 부모(父母)의 교육태도(敎育態度)가 어린이의 인성(人性)에 많은 영향(影響)을 준다. [12]

어린이의 인성(人性) 형성(形成)은 양친(兩親)과의 인간관계(人間關係)뿐만 아니라, 친구(親舊)와의 관계(關係)에도 의존(依存)하고 있다. 그 경향(傾向)은 아동기(兒童期) 및 그 이후(以後)가 되면 더욱 강(剛)해진다. 친구관계(親舊關係)가 인성(人性)의 형성(形成)에 끼치는 영향(影響)의 형태(形態)는 부모자식관계(父母子息關係)와 다르게 상호작용적(相互作用的)이다. 즉(卽) 어린이의 인성(人性)이 친구관계(親舊關係)에 영향(影響)을 주는 반면(反面), 그와 같은 친구(親舊) 관계(關係)가 반대(反對)로 어린이의 인성(人性)을 형성(形成)하는 하나의 원인(原因)이 된다. [13]

신체발달(身體發達) [ 편집(編輯) ]

유아기(幼兒期)의 가장 눈에 띄는 변화(變化)는 신체(身體)의 크기나 모습에서 현저(顯著)한 변화(變化)한다. 영아기(嬰兒期) 이후(以後)에 신장(伸張)은 매년(每年) 7cm씩 증가(增加)하여 6세(歲)가 되면 115cm 정도(程度)로 성장(成長)한다. 유아기(幼兒期)의 신장(腎臟)은 성인(成人)이 되었을 때에 얼마만큼 자랄 것인가를 어느 정도(程度) 정확(正確)하게 예측(豫測)할 수 있는 지표(指標)가 된다. 신체(身體)의 비율(比率)에서도 신장(伸張)에 대(對)한 머리 크기의 비율(比率)이 급격히(急激히) 감소(減少)하여, 초등학교(初等學校) 입학시기(入學時期)가 되면 머리가 크고 무거워 보이는 모습에서 벗어나게 된다. 체중(體重)의 증가(增加)도 완만(緩慢)하게 이루어져, 6세(歲)가 되면 20kg 정도(程度)가 된다. 두뇌(頭腦)의 발달(發達)은 영어(英語)기와 마찬가지로 급속(急速)하게 이루어지며, 2세경에는 성인(成人)의 두뇌(頭腦)크기의 75%, 5세경에는 성인(成人)의 90%까지 성장(成長)한다.

1. 신체적(身體的) 성장(成長) [ 편집(編輯) ]

2. 뇌(腦)의 성장(成長) [ 편집(編輯) ]

유아기(幼兒期)의 가장 중요(重要)한 신체발달(身體發達) 중(中) 하나는 뇌(腦)와 신경계(神經系)의 지속적(持續的)인 성장(成長)이다. 영아기(嬰兒期)만큼 빠른 속도(速度)는 아니지만 뇌(腦)는 유아기(幼兒期)에도 계속(繼續)해서 성장(成長)한다.

유아(幼兒)의 역할(役割) 놀이에 나타난 모방(模倣)과 창조(創造)의 미학(美學) [ 편집(編輯) ]

연구(硏究)에서는 유아(幼兒)의 역할(役割) 놀이 활동(活動)을 기존(旣存)의 인지주의적(認知主義的) 이론(理論) 체계(體系)에서 벗어나 현상학적(現象學的) 미학(美學)의 관점(觀點)에서 조명(照明)하였다. 놀이란 주체객체(主體客體)의 구분(區分)이 사라지고 현상(現象) 자체(自體)가 생기(生氣)(生起)하는 일종(一種)의 창조적(創造的) ‘현상(懸賞)’으로서, 그 속에서 인간(人間)은 몰아와 자기(自己) 회복(回復)을 반복(反復)하며 고양(高揚)된 세계(世界) 인식(認識)을 얻게 된다. 한 어린이집의 만(萬) 4세아들의 놀이 활동(活動)을 관찰(觀察)한 이 연구(硏究)에서는 유아(幼兒)의 역할(役割) 놀이가, 첫째, 논리적비논리적(論理的非論理的) 가작화(佳作化)로 관념(觀念)의 연쇄(連鎖)고리를 이어가며 의미연관(意味聯關)을 창조(創造)하는 활기(活氣)차고 자유(自由)로운 지각(知覺)의 장(張)이며, 둘째, 놀이의 놀이성(性)에 대(對)한 성실함을 규칙(規則)으로 가상(假想)틀을 넘나드는 다중(多衆) 역할(役割)을 수행(遂行)하고 중층적(重層的) 현실(現實)을 창조(創造)하며 자체규제적(自體規制的)인 질서(秩序)를 갖는 다성체적(多聲體的) 현상(現象)이고, 셋째, 또래간(間)의 적극적(積極的)인 동조(同調)와 호흡(呼吸) 맞추기로 상황적(狀況的) 변수(變數)에 대처(對處)하면서 존재(存在)의 교접(交接) 현상(現象)과 대화적(對話的) 현실(現實)을 창조(創造)하는 흥(興)겨운 미적(美的) 현상(現象)임을 발견(發見)할 수 있었다. 유아(幼兒)의 놀이 현상(現象)에 대(對)한 기존(旣存)의 인지주의적(認知主義的) 접근(接近)이 현실(現實) 모방(模倣)의 효율성(效率性)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역할(役割) 놀이를 지적(知的) 발달(發達)의 반영물(反映物)로만 간주(看做)한 일면(一面)이 있음을 지적(指摘)하고, 유아(幼兒) 놀이에 대(對)한 새로운 이해(理解) 차원(次元)을 열고자 했다는 데서 연구(硏究)의 의의(意義)를 찾을 수 있겠다. [14]

유아(幼兒) 감염병(感染病) [ 편집(編輯) ]

일생(一生) 동안에 한 번(番)은 걸리는 감염병(感染病)으로 대개(大槪) 유아기(幼兒期)에 병(病)에 걸려 면역(免疫) 이 되는 것에 홍역(紅疫) · 백일해(百日咳) 볼거리 (유행성이하선염(流行性耳下腺炎)) 등(等)이 있다. 그 밖에 꼭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디프테리아 · 성홍열(猩紅熱) · 이질(異質) · 유행성소아마비(流行性小兒痲痹) · 뇌막염(腦膜炎) · 수족구병(手足口病) 등(等)이 유유아기(乳幼兒機)(乳幼兒期)에 많으며, 이들은 각각(各各) 특유(特有)한 증상(症狀)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醫師)는 쉽게 발견(發見)할 수 있다. 디프테리아나 성홍열(猩紅熱)·이질(痢疾) 등(等)에는 항균제(抗菌劑)가 잘 듣기 때문에 조기(早期)에 발견(發見)하여 치료(治療)를 받으면 된다. 홍역(紅疫)·볼거리에는 특효약(特效藥)은 없지만 성인(成人)의 혈청(血淸) 을 사용(使用)하여 가볍게 치료(治療)한다든지, 항균제(抗菌劑)로써 여병(餘甁)을 방지(防止)한다. [15]

기타 [ 편집(編輯) ]

유아(幼兒)가 걷게 되더라도 아기들이 지치거나 빨리 가고 싶은 경우(境遇) 유모차(乳母車) 버기 에 태워 가는 경우(境遇)가 많다. 대부분(大部分)은 유아기(幼兒期)에 유치원(幼稚園) 에 다니게 된다.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유아기(幼兒期)의 아이들은 오방장(五房帳) 두루마기를 입었다.

유아기(幼兒期)의 아이들에게 일어나는 교통(交通) 사고(事故) 도 '어린이 교통(交通) 사고(事故)'의 범주(範疇)에 포함(包含)된다.

각국(各國)의 유아(幼兒) [ 편집(編輯) ]

앙골라 , 케냐 , 탄자니아 , 토고 , 에티오피아 등(等) 아프리카 국가(國家) 또는 후진국(後進國) 에서는 유아기(幼兒期)의 아이들이 죽는 경우(境遇)도 있다. 중국(中國) 이나 인도네시아 에서는 유아기(幼兒期)의 아이들이 담배 를 피우기도 한다. (아르디 리(리)잘과 알디 수간(獸姦)다는 하루에 두 갑(匣)씩 담배를 피웠으나 현재(現在)는 알디 수간(獸姦)다만 하루에 2갑(匣)씩 담배를 피우고 있다.) 선진국(先進國)에서는 유아기(幼兒期)의 아이들을 거의 대부분(大部分) 유아원(幼兒園) 또는 유치원(幼稚園) 에 보낸다. 축구(蹴球) 강국(强國)인 네덜란드 에서는 축구(蹴球) 신동인 유아기(幼兒期)의 아이가 프로 축구팀과 계약(契約)을 맺은 경우(境遇)도 있었다. 영국(英國) 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에 입단(入團)한 유아(幼兒)라 해서 5살짜리 축구(蹴球) 신동인 찰리 윌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에 입단(入團)하여 화제(話題)가 되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Lewsley, Joanne (February 2019). “Developmental milestones: walking” .  
  2.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표준국어대사전(標準國語大辭典)” . 2021년(年) 5월(月) 20일(日)에 확인(確認)함 .  
  3. Barker, Robin (2001) The Mighty Toddler: The essential guide to the toddler years, Pan Macmillan Australia, Sydney, p1.
  4. Lieberman, Alicia F, (1993) The Emotional Life of the Toddler, The Free Press, New York, p1.
  5. 현재시행법령(현재施行法令)보기
  6. 유아기(幼兒期)의 교육(敎育),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7. 출처(出處):중학교(中學校) 1학년(學年) 국어(國語) 교과서(敎科書) 제(第) 6단원(段院) '언어(言語)의 세계(世界)' 212쪽;저자(著者):교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
  8. 돌아기 장난감 12개월(個月) 아기 장난감 무엇을 사야 하나? 정보(情報)클럽 2021년(年) 5월(月) 2일(日)
  9. 유아기(幼兒期)의 운동발달(運動發達),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10. 유아기(幼兒期) - 정서(情緖)·욕구(欲求)·동기(同期)의 발달(發達),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11. 유아기(幼兒期)의 사회성(社會性) 발달(發達),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12. 부모(父母)·자식관계(子息關係)와 인성(人性),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13. 친구관계(親舊關係)와 인성(人性),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14. 유혜령 (2004). “유아(幼兒)의 역할(役割) 놀이에 나타난 모방(模倣)과 창조(創造)의 미학(美學)” . 2021년(年) 5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15. 유아전염병(幼兒傳染病), 《글로벌 세계(世界) 대백과(大百科)》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