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백과(百科):중재(仲裁)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위키백과(百科) : 중재(仲裁)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위키백과(百科) 중재(仲裁)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
자료(資料)

v  ?  d  ?  e  ?  h
분쟁(紛爭) 해결(解決)
분쟁(紛爭) 해결(解決)을 위한 도움말
분쟁(紛爭) 해결(解決) 절차(節次)

중재(仲裁) (仲裁, Arbitration)는 위키백과(百科)에서 일어나는 분쟁(紛爭)을 해결(解決)하기 위한 마지막 방법(方法)으로, 제(第)3자(者)의 입장(立場)에서 강제력(强制力)이 있는 중재안(仲裁案)을 내놓는 제도(制度)입니다. 중재(仲裁)의 진행(進行)은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 가 담당(擔當)합니다.

중재(仲裁)는 분쟁(紛爭) 당사자(當事者)가 직접(直接) 요청(要請)하거나, 위키백과(百科) 공동체(共同體)가 특정(特定) 분쟁(紛爭) 해결(解決)이 계속(繼續) 실패(失敗)하고 있다는 총의(總意) 를 가지고 있을 때에만 시작(始作)됩니다. 이때 분쟁(紛爭) 당사자(當事者)는 자신(自身)이 분쟁(紛爭) 해결(解決)을 위해 충분히(充分히) 노력(努力)했다는 근거(根據)를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에 제시(提示)해야 합니다. 당사자(當事者)의 근거(根據)가 제시(提示)되지 않거나 당사자(當事者)의 노력(努力)이 불충분(不充分)하다면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중재(仲裁) 요청(要請)을 받아 들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관리자(管理者) 는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조사(調査) 활동(活動)에 협조(協助)하며,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결정(決定)을 돕습니다.

2017년(年) 3월(月) 18일(日)부터 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 의 기능(機能)은 무기한(無期限) 정지(停止)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아래의 중재(仲裁) 관련(關聯) 내용(內容)은 실제로(實際로) 수행(遂行)되지 않습니다. 분쟁(紛爭) 해결(解決)을 위해서는 중재(仲裁) 이외(以外)에도 다양한 해결(解決) 방법(方法)이 있으므로, 토론(討論) , 조정(調整) , 의견(意見) 요청(要請) , 사용자(使用者) 관리(管理) 요청(要請) , 관리자(管理者) 권한(權限) 회수(回收) , 다중(多衆) 계정(計定) 검사(檢査) 요청(要請) 등(等) 다른 분쟁(紛爭) 해결(解決) 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권한(權限)과 의무(義務)

위원회(委員會)는 다음과 같은 항목(項目)을 중재(仲裁)해야 할 권한(權限)과 의무(義務)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용자간(使用者間)의 분쟁(紛爭)
  2. 관리자간(管理者間)의 분쟁(紛爭)
  3. 사용자(使用者)와 관리자간(管理者間)의 분쟁(紛爭)
  4. 관리자(管理者)의 권한(權限) 남용(濫用)에 대(對)한 분쟁(紛爭)
  5. 차단(遮斷) 대상(對象)은 아니지만 공공연히(公公然히) 위키백과(百科)에 해(害)를 끼치는 행동(行動) 혹은(或은) 사용자(使用者)에 관련(關聯)된 분쟁(紛爭)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에 접수(接受)된 중재(仲裁) 요청(要請)을 승낙(承諾)하거나 거부(拒否)할 권한(權限)이 있습니다. 요청(要請)이 중재(仲裁) 없이 해결(解決)될 수 있거나 중재(仲裁)가 전혀(全혀) 필요(必要)없는 일방적(一方的)인 사안(事案)에서는 거부(拒否)할 수도 있습니다. 적합하지 않거나 사적(私的)인 이유(理由)에서의 중재(仲裁) 거부(拒否)는 허용(許容)되지 않습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중재(仲裁)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분쟁(紛爭) 해결(解決) 방법(方法) 의 최후(最後) 단계(段階)에서 분쟁(紛爭) 당사자(當事者)의 요청(要請)이 있는 경우(境遇)나 중재(仲裁) 개시(開始)에 대(對)한 위키백과(百科) 전체(全體) 공동체(共同體)의 총의(總意)가 있는 경우(境遇)에만 개입(介入)할 수 있으며, 개입(介入)할 조건(條件)이 갖춰졌더라도 분쟁(紛爭) 당사자간(當事者間) 분쟁(紛爭)을 해결(解決)하기 위한 토론(討論)이 아직 충분히(充分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判斷)되면 각각(各各)의 중재위원(仲裁委員)은 스스로 개입(介入)을 거부(拒否)할 수 있습니다. 차단(遮斷)된 편집자(編輯者)도 중재(仲裁)를 요청(要請)할 수 있으며, 차단(遮斷)된 사용자(使用者)의 분쟁(紛爭) 해결(解決)을 위하여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일시적(一時的) 차단(遮斷) 해제(解除)를 요구(要求)할 수 있습니다.

중재(仲裁)가 개시(開始)되면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가 분쟁(紛爭) 당사자(當事者)로 인정(認定)한 사용자(使用者)는 중재(仲裁)가 끝날 때까지 심각(深刻)한 문서(文書) 훼손(毁損) 행위(行爲)를 저지른 경우(境遇)를 제외(除外)하고는 차단(遮斷)되지 않습니다. 중재위원(仲裁委員)들은 해당(該當) 분쟁(紛爭)에 개입(介入)되어 중립(中立)을 지킬 수 없는 경우(境遇)에 스스로 중재(仲裁)에 참여(參與)하지 말아야 합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가 정(定)한 분쟁(紛爭) 당사자(當事者)는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청문에 증거(證據)를 제시(提示)하거나 자신(自身)의 입장(立場)을 밝혀야 합니다. 당사자(當事者)가 아닌 관심(關心)을 가진 편집자(編輯者)도 중재위원(仲裁委員)의 허가(許可) 하(下)에 증거(證據)나 의견(意見)을 제시(提示)할 수 있습니다.

중재(仲裁)를 위해 회의(會議)를 할 때는 중재위원(仲裁委員)들만 모여 진행(進行)하지만, 회의(會議)가 종료(終了)되면 중재안(仲裁案)에 의사록(議事錄)을 공개(公開)할 것을 권장(勸奬)합니다. 중재안(仲裁案)은 당사자(當事者)들과 위키백과(百科) 공동체(共同體)가 충분히(充分히) 납득(納得)할 수 있는 수준(水準)으로 작성(作成)되어야 합니다. 중재안(仲裁案)은 강제력(强制力)을 가지며, 관리자(管理者)에 의(依)하여 집행(執行)됩니다.

중재(仲裁) 결과(結果)에 대(對)해 재심(再審)의 요청(要請)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재심(再審)의 요청(要請) 또한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동의(同意) 하(下)에 승인(承認)되어 재토론(再討論)을 거치며, 기존(旣存) 토론(討論)의 내용(內容)도 면밀히(綿密히) 검토(檢討)될 것입니다. 사용자(使用者)의 권리(權利)에 대(對)한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의 결정(決定) 번복(飜覆)으로 기존(旣存)에 차단(遮斷) 또는 권한(權限) 박탈(剝奪)을 행(行)한 관리자(管理者) 내지(乃至) 사무장(事務長)은 해당(該當) 행동(行動)에 대(對)한 책임(責任)이 없으며, 결정(決定)의 번복(飜覆) 및 판례(判例)들은 의사록(議事錄)에 채워질 것입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가 내릴 수 있는 결정(決定)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중재(仲裁)가 개시(開始)된 이후(以後), 중재(仲裁)를 집행(執行)하는 과정(過程)에서 다음과 같은 결정(決定)을 내릴 수 있습니다.

  1. 사용자(使用者)에 대(對)한 경고(警告)
  2. 사용자(使用者)에 대(對)한 차단(遮斷)
  3. 사용자(使用者)에 대(對)한 차단(遮斷) 기간(期間) 유지(維持)
  4. 사용자(使用者)에 대(對)한 차단(遮斷) 기간(期間) 조정(調整)
  5. 사용자(使用者)에 대(對)한 차단(遮斷) 해제(解除)
  6. 제한(制限) 정책(政策)에 따른 제한(制限)
  7. 관리자(管理者)의 권한(權限) 제한(制限)
  8. 관리자(管理者)의 권한(權限) 회수(回收) 투표(投票) 개시(開始)
  9. 문서(文書) 보호(保護) 조치(措置)
  10. 문서(文書) 임시(臨時) 복원(復元)

다만, 중재위원(仲裁委員)들은 자신(自身)들의 중재안(仲裁案) 결정(決定)을 스스로 이행(履行)할 수 없습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가 내릴 수 없는 결정(決定)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중재(仲裁)를 해결(解決)하는 과정(過程)에서 분쟁(紛爭)이 일어난 문서(文書)의 본질적(本質的)인 내용(內容)을 침해(侵害)할 수 없습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는 분쟁(紛爭) 당사자간(當事者間)의 처우(處遇)를 결정(決定)하는 의무(義務)와 권한(權限)만이 있으며 분쟁(紛爭)이 일어난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및 제목(題目)을 특정(特定) 방향(方向)으로 수정(修正)하거나 삭제(削除)하라는 결정(決定)을 내릴 수 없습니다. 문서(文書)의 보호(保護) 조치(措置) 및 임시(臨時) 복원(復元) 권한(權限) 또한 중재(仲裁) 토론(討論)을 도와주기 위한 부가적(附加的)인 요소(要素)로만 활용(活用)해야 합니다.

중재위원회(仲裁委員會) 결정(決定)의 근거(根據)

그 외(外)에 여론(輿論)몰이에 흔들리지 않는 이성(異性)과 건전(健全)한 토론(討論) 태도(態度) 그리고 인류(人類) 보편적(普遍的) 가치(價値)의 상식(常識)에 근거(根據)를 두어야 합니다.

참고(參考) 자료(資料)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