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키백과(百科):외래어(外來語)의 한글 표기(表記)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위키백과(百科) : 외래어(外來語)의 한글 표기(表記)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 의 모든 문서(文書)는 되도록 한글 로 쓰여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언어(言語)로 된 지명(地名)이나 인명(人命) 등(等)의 고유(固有) 명사(名詞)를 음역(音譯)하는 경우(境遇) 원래(元來)의 명칭(名稱)과 한글로 음역(音域)된 것이 항상(恒常) 일대일(一對一) 대응(對應)이 되지는 않습니다. 고유명사(固有名詞) 하나에 대응(對應)하는 한글 표기(表記)가 여러 개(個)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에서는 외래어(外來語)를 표기(表記)할 때 널리 사용(使用)되는 표기(表記)(통용표기(通用表記))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원칙(原則) 입니다. 통용(通用) 표기(表記)로 선택(選擇)할 수 있는 표기(表記) 방식(方式)이 여러 개(個)일 경우(境遇) 토론(討論)을 통해 해결(解決)해야 합니다.

통용(通用) 표기(表記)란? [ 편집(編輯) ]

통용(通用) 표기(表記)는 대중(大衆)이 널리 사용(使用)하는 표기(表記)를 의미합니다. 통용(通用) 표기(表記)는 특정(特定) 표기법(表記法)을 의미하지 않으며, 관용적(慣用的)인 표기(表記), 단체(團體)나 인물(人物), 지명(地名) 등(等)이 사용(使用)하는 정식(正式) 명칭(名稱), 전문가(專門家) 집단(集團)에서 사용(使用)하는 전문(專門) 용어(用語),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의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에 의(依)해 정(定)해진 표기(表記) 등(等) 널리 쓰이는 표기(表記)입니다. 통용(通用) 표기(表記)를 사용(使用)하면 그것을 읽는 다수(多數)의 사용자(使用者)가 문서(文書)를 이해(理解)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통용(通用) 표기(表記)를 선택(選擇)하기 위해서는 해당(該當) 표기(表記) 방식(方式)이 얼마나 널리 사용(使用)되는지 확인(確認) 가능(可能)한 출처(出處) 를 통해 검증(檢證)해야 합니다. 언론(言論) 보도(報道)나 학술(學術) 논문(論文), 또는 저명(著名)한 출판사(出版社)에서 발행(發行)한 단행본(單行本) 등(等)을 통해 이를 입증(立證)할 수 있습니다. 검색(檢索) 엔진을 사용(使用)하는 것도 검증(檢證) 방법(方法) 중(中) 하나일 수 있지만, 그 결과(結果)를 해석(解釋)할 때에는 신중(愼重)하게 다른 여러 요인(要因)을 고려(考慮)해야 합니다.

가능(可能)한 표기(表記) 방식(方式) [ 편집(編輯) ]

아래의 방법(方法)들은 통용(通用) 표기(表記)로 쓰이는 표기(表記) 방식(方式) 중(中) 많은 용어(用語)들이 따르는 방식(方式)이며, 표기(表記) 방식(方式)을 선택(選擇)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식(正式) 명칭(名稱) [ 편집(編輯) ]

기업(企業)이나 단체(團體)에 소속(所屬)된 인물(人物)이나 제품(製品), 소유물(所有物)의 공식적(公式的)인 표기(表記)가 존재(存在)한다면 그 표기법(表記法)을 고려(考慮)할 수 있습니다.

  • 같은 서적(書籍)을 여러 출판사(出版社)가 다른 이름으로 발행(發行)하는 경우(境遇)가 존재(存在)합니다. 이 경우(境遇) 여러 표기(表記) 중(中) 알맞은 것을 토론(討論)을 통하여 결정(決定)해주세요. 기업(企業) 이름의 경우(境遇), 해당(該當) 기업(企業)에서 스스로 한국어(韓國語) 표기(表記) 방식(方式)을 정(定)하여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가 존재(存在)합니다. 이 경우(境遇) 그 기업(企業)에 관련(關聯)된 이름에 대(對)하여 그 표기(表記)를 고려(考慮)할 수 있습니다.
예?: 토요타 자동차(自動車) 는 해당(該當) 기업(企業)의 한국(韓國) 지사(支社) 등록명인(登錄名人) 한국토요타자동차 를 기준(基準)으로 합니다.
  • 해당(該當) 기업(企業)에서 공식적(公式的)인 한국어(韓國語) 표기(表記)가 존재(存在)하지 않지만 기업(企業)의 보도자료(報道資料) 등(等)에서 비공식적(非公式的)으로 한국어(韓國語) 표기(表記)를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境遇) 비공식(非公式) 표기(表記)가 시간(時間)/환경(環境)에 따라 변(變)하기도 하므로, 신중하게 결정(決定)해야 합니다.

전문(專門) 분야(分野) 용어(用語) [ 편집(編輯) ]

전문(專門) 분야(分野)의 용어(用語)의 경우(境遇) 일반(一般) 단어(單語)와 다른 용어(用語)를 사용(使用)하기도 하고, 관련(關聯) 자료(資料)가 적은 경우(境遇) 용어(用語)를 선택(選擇)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境遇) 서적(書籍)·논문(論文)이나 용어집(用語集) 등(等)의 잘 알려진 표기법(表記法)을 참고(參考)할 수 있습니다.

자세(仔細)한 사항(事項)은 각(各) 분야(分野) 위키프로젝트 에서 논의(論議)할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표기법(表記法)과 용례집(用例集)·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의 표기(表記) 관련(關聯) 지침(指針)과 방침(方針)과 사례(事例) 등(等) [ 편집(編輯) ]

표기법(表記法)의 기준(基準)이 될 수 있는 것 중(中)의 하나는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 과 정부(政府)·언론(言論) 외래어(外來語) 심의(審議) 공동위원회(共同委員會)에서 발표(發表)하는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 용례집(用例集)입니다. 특히(特히) 통용(通用) 표기(表記)라 할 만한 널리 알려진 표기(表記)가 없는 경우(境遇),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을 이용(利用)하여 표기(表記)하는 것을 한글 표기(表記)의 가능(可能)한 대안(代案)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의 본문(本文)은 여기 에서 볼 수 있으며, 위키백과(百科):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 에서도 같은 내용(內容)을 찾을 수 있습니다.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 용례집(用例集)은 여기 등(等)에서 검색(檢索)을 통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에는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 같은 저명(著名)한 표기법(表記法)이 없거나, 불확실(不確實)한 언어(言語)를 위한 표기법(表記法)이 준비(準備)되어 있습니다. 또한, 분야별(分野別)로 표기(表記) 방침(方針)을 합의(合意)한 경우(境遇)도 있습니다. 이러한 표기(表記) 방침(方針)은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표기법(表記法)과 비슷하게 아직 널리 알려진 표기(表記)가 없는 경우(境遇) 그 대안(代案)으로 사용(使用)할 수 있습니다.

표기(表記) 방식(方式)의 제안(提案) [ 편집(編輯) ]

이 지침(指針)에서 제공(提供)하는 여러 방법(方法)들은 이전(以前)에 한국어(韓國語) 위키백과(百科) 사용자(使用者)들이 합의(合意)한 것들입니다. 토론(討論)을 통해서 기존(旣存)의 방법(方法)이 타당(妥當)하지 않거나 수정(修正)이 필요(必要)하다는 의견(意見)이 나오거나, 새로운 방법(方法)을 찾았다면, 과감(果敢)하게 제안(提案) 해주세요.

표기(表記)에 논란(論難)이 있을 때 [ 편집(編輯) ]

다른 사용자(使用者)와 어떤 표기(表記)를 우선(優先)으로 할지 논란(論難)이 있거나 다양한 표기(表記) 중(中) 어떤 것을 제목(題目)으로 결정(決定)할지 힘든 경우(境遇), 이와 관련(關聯)된 정책(政策)과 지침(指針) 들을 활용(活用)하여 토론(討論)을 통해 결정(決定)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느 쪽을 제목(題目)으로 선택(選擇)하든 다른 표기(表記)들을 넘겨주기 문서(文書) 로 만들고 문서(文書) 첫머리에서 다른 표기(表記)를 분명히(分明히) 제시(提示)해야 합니다.

만일(萬一) 여러 표현(表現)이 거의 같은 빈도(頻度)로 사용(使用)되고, 제목(題目)으로 사용(使用)할 표기(表記)를 다른 정책(政策)·지침(指針)과 토론(討論)으로도 결정(決定)하기 힘들 경우(境遇), 가장 최근(最近)의 안정(安定)된 판(板)에서 사용(使用)된 표기(表記)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정(安定)된 판을 찾기가 힘들다면, 문서(文書)에 대(對)한 기여도(寄與度)가 가장 높은 사용자(使用者)가 사용(使用)한 표기(表記)를 사용(使用)할 수도 있습니다.

도움 요청(要請) [ 편집(編輯) ]

해당(該當) 분야(分野)에 관(關)한 위키프로젝트 외국어(外國語)의 한글 표기(表記) 프로젝트 를 방문(訪問)해 도움을 요청(要請)하세요. 논의(論議)가 지지부진(遲遲不進)하여 적당(適當)한 표기(表記)를 선택(選擇)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境遇) 의견(意見) 요청(要請) 을 이용(利用)할 수도 있습니다.

표기(表記)를 선택(選擇)하기 위한 토론(討論)에서는 '맞는 한글 표기(表記)란 없다'는 사실(事實)을 명심(銘心)해야 합니다. 외국어(外國語)를 완벽(完璧)하게 한글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不可能)하기 때문에 일반적(一般的)인 경우(境遇)에는 가능(可能)한 표기(表記)가 여러 개(個)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표기법(表記法)이나 전문(專門) 용어(用語)의 용어집(用語集)과 같은 표기(表記) 원칙(原則)의 경우(境遇)에도 학자(學者)들 사이에 표기(表記) 방법(方法)에 대(對)한 논란(論難)이 계속(繼續)되고 있어, 여러 가능(可能)한 표기(表記) 중(中)에서 학술적(學術的)으로 더 나은 표기(表記)를 찾는 것 역시(亦是) 굉장히(宏壯히)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표기(表記) 문제(問題)는 '옳다/그르다'나 (원래(元來)의 외국어(外國語)와)'가깝다/멀다'와 같은 주관적(主觀的)인 흑백(黑白) 논리(論理)보다는, '잘 쓰인다', '저명(著明)하다'의 측면(側面)에서 바라보아야 합니다.

표기(表記) 선택(選擇) 사례(事例) [ 편집(編輯) ]

원어(原語) 표기(表記) 제목(題目) 표기(表記) 가능(可能)한 표기(表記) 사유(事由)
Slavoj ?i?ek 슬라보예 지젝 슬라보예 지젝
슬라보이 지제크
한국어(韓國語)로 출간(出刊)된 대부분(大部分)의 저서(著書)에서 슬라보예 지젝을 사용(使用)하고 있습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Vannevar Bush 버니바 부시 버니바 부시
배(倍)니버 부시
배너바 부시
용례(用例)가 부족(不足)하다고 보아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의 용례집(用例集)을 따랐습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 꾸란 코란
꾸란
쿠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대다수(大多數) 무슬림이 '코란' 대신(代身) '꾸란'을 사용(使用)합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Reino de Espana 스페인 스페인
에스파냐
한국어권(韓國語圈)에서 에스파냐보다 스페인으로 더 많이 쓰이고 있으며, 관련(關聯) 기관(機關)인 스페인 대사관(大使館) 또한 스페인으로 국호(國號)를 표기(表記)하고 있습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San Jose 산호세 산호세
새너제이
국어원(國語院) 표기(表記)인 새너제이가 한국어(韓國語) 언론출판계(言論出版界)에서 정착중(定着中)이지만 산호세가 고빈도(高頻度)로 사용(使用)되고 있으며 특히(特히) 미국(美國) 산호세 거주민(居住民)들도(度) /산호세/ 혹은(或은) /샌호제이/에 가깝게 발음(發音)하고 있어 통용표기(通用表記)를 대표(代表)로 삼았습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尖閣諸島 / ??台群? 센카쿠 열도(列島) 센카쿠 열도(列島)
조어도 제도(制度)
댜오위타이 군(軍)도
피너클 제도(制度)
대한민국(大韓民國) 언론(言論)들이, 주로(主로) 센카쿠 열도(列島)라는 표기(表記)를 사용(使用)하고 있습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霧雨魔理沙 (きりさめ まりさ) 키리사메 마리사 키리사메 마리사
기리사메 마리사
통용(通用) 표기(表記)는 키리사메 마리사,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표기(表記)는 기리사메 마리사로 갈리는데, 한국어(韓國語)로 출판(出版)된 관련(關聯) 작품(作品)에서 키리사메 마리사로 표기(表記)하고 있습니다. ( 토론(討論) 참조(參照))

한글 표기(表記)의 예외(例外) [ 편집(編輯) ]

로마자(로마字) 머리글자(글字) 표기(表記) [ 편집(編輯) ]

한글 표기(表記)의 편집(編輯) 지침(指針) [ 편집(編輯) ]

주로(主로) 사용(使用)되는 것보다 빈도(頻度)는 낮지만 충분히(充分히) 널리 사용(使用)되는 표기(表記)(유효(有效)한 표기(表記))가 여러 개(個) 있는 경우(境遇) 문서(文書) 내(內)에 널리 쓰이는 표기(表記) 모두를 언급(言及)해야 합니다. 또 필요(必要)한 경우(境遇) 한국어(韓國語)로 번역(飜譯)된 여러 표기(表記)의 근원(根源)이 되는 원어(原語) 표기(表記) 또한 제시(提示)해야 합니다. 예(例)를 들어 스페인 의 경우(境遇) 영어식(英語式) 명칭(名稱)인 스페인과 스페인어(語) 명칭(名稱)인 에스파냐가 모두 쓰이므로 스페인과 에스파냐를 모두 표기(表記)하며, 기반(基盤)이 되는 영어(英語)와 스페인어(語) 명칭(名稱)인 Spain, Reino de Espana 를 모두 알려주고 있습니다.

검색(檢索)의 편의(便宜)를 위해 제목(題目)으로 선택(選擇)된 표기(表記)가 아닌 다른 표기(表記)를 제목(題目)으로 하는 넘겨주기 문서(文書) 를 만들면 더욱 좋습니다. 예(例)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의 수도(首都)인 北京市에 대(對)해 가장 널리 쓰이는 표기(表記)는 베이징 시(市) 이지만 북경(北京) , 베이핑 , 페킹 등(等)의 여러가지 표현(表現)을 사용(使用)할 수 있으며 넘겨주기 문서(文書) 또한 만들어져 있습니다.

첫 문단(文段) [ 편집(編輯) ]

편집(編輯) 지침(指針) 에 따라 제목(題目)으로 사용(使用)되는 통용(通用) 표기(表記)를 가장 먼저 쓰게 됩니다. 유효(有效)한 다른 표기(表記)들은 이름을 제시(提示)한 뒤에 딸려 나옵니다. 가장 간편(簡便)한 방법(方法)은 이름 뒤에 '또는'으로 이어 굵은 글씨로 쓰는 것이지만, 문서(文書)에 따라 좀 더 효과적(效果的)으로 설명(說明)하는 방법(方法)이 있을 수 있으며, 표기(表記)의 논란(論難)이 있거나 표기(表記) 변화(變化)에 대(對)해 설명(說明)할 필요(必要)가 있는 경우(境遇) 문단(文段)을 따로 만들어서 제시(提示)할 수도 있습니다. 문서(文書)에 따라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방식(方式)을 사용(使用)해서 다른 표기(表記)를 언급(言及)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 이상(以上) 사용(使用)되지 않는 옛 표기(表記)나, 사용(使用)되고는 있지만 빈도(頻度)가 낮은 다른 표기(表記)들은 추가(追加)로 명기(明記)하여 간단(簡單)하게 제시(提示)하는 것으로 충분(充分)할 수 있습니다. 만일(萬一) 가장 널리 쓰이는 표기(表記)가 정식(正式) 명칭(名稱)의 준말이라면, 가장 널리 쓰이는 표기(表記) 대신(代身) 정식(正式) 명칭(名稱)의 한글 표기(表記)를 대상(對象)의 이름으로 쓸 수 있습니다.

원래(元來)의 외국어(外國語)를 밝힐 때는 유효(有效)한 표기(表記)들을 나열(羅列)한 뒤에 괄호(括弧)를 넣어 씁니다. 단(單), 유효(有效)한 표기(表記)들이 두 가지 이상(以上)의 언어(言語)를 사용(使用)하는 경우(境遇)(영어권(英語圈) 인물(人物)이 아니지만 영어식(英語式) 이름으로 잘 알려진 경우(境遇) 등(等))에는 같은 언어(言語)를 사용(使用)한 표기(表記)끼리 묶어서 나열(羅列)합니다. 이 때, 보통(普通) 이 단어(單語)가 처음으로 나온 언어(言語)의 표기(表記)는 잘 쓰이지 않는 경우(境遇)가 많지만, 유효(有效)한 표기(表記)로 인정(認定)됩니다. 이에 대(對)한 적절(適切)한 표기(表記)를 사용자(使用者) 재량(裁量)에 따라 찾아 넣어주세요.

외국어(外國語)의 번역(飜譯)을 제목(題目)으로 채택(採擇)한 경우(境遇), 원어(原語)를 밝히는 {{ Llang }}의 도움말 고리에 가급적(可及的) 한국어(韓國語) 음역(音域)을 적지 않도록 하고, 국제(國際) 음성(音聲) 기호(記號) 나, 특히(特히) 일본어(日本語)의 경우(境遇)는 {{ Ruby-ja }}를 사용(使用)하여 후리가나 로 쓰도록 합니다. 단(單), 원래(元來) 언어(言語)에서 쓰이던 줄임말이 한국어(韓國語)로 음역(音譯)되어 널리 사용(使用)되는 등(等), 음역(音域)을 밝힐 만한 특별한 이유(理由)가 있을 때는 편집자(編輯者) 재량(裁量)에 따라 적절(適切)한 음역(音域)을 사용(使用)하여 강조(强調)하도록 합니다.

예시(例示) [ 편집(編輯) ]

본문(本文) [ 편집(編輯) ]

한 번(番) 표기(表記) 방식(方式)을 결정(決定)했을 경우(境遇) 해당(該當) 문서(文書) 내부(內部)에서는 선택(選擇)된 제목(題目)으로 통일(統一)해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문서(文書)나 일반적(一般的)인 명칭(名稱)을 표제어(標題語)로 선정(選定)하고 학술적(學術的)으로 기술(記述)하는 문서(文書) 등(等)에서 언급(言及)할 때에는 본 문서(文書)에서 사용(使用)하는 통용(通用) 표기(表記) 대신(代身) 다른 유효(有效)한 표기(表記)를 사용(使用)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문서(文書)로 내부(內部) 연결(連結)을 할 때는 반드시 사용(使用)한 표기(表記)(넘겨주기 문서(文書)) 그대로 연결(連結)하시기 바랍니다. 해당(該當) 문서(文書)의 제목(題目)이 바뀌면, 링크가 꼬일 수 있습니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Hangulize :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의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 규칙(規則)에 따라 자동(自動)으로 표기(表記)를 변환(變換)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