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종목(種目) 야구(野球)
주최(主催) WBCI( MLB ,MLBPA)
선수단(選手團) 20개국(個國)
역사(歷史)
설립(設立) 2006년(年)
최다(最多) 우승(優勝) 일본(日本) (3회(回))
최근(最近) 우승(優勝) 일본(日本) ( 2023년(年) )
현재 스포츠 경기 2026년(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영어(英語) : World Baseball Classic, WBC )은 국가간(國家間) 야구(野球) 토너먼트 대회(大會)이다. 이 대회(大會)는 미국(美國)의 WBCI( 메이저 리그 ) 선수(選手) 및 다른 국가(國家)의 프로 리그 선수(選手)들이 모두 참가(參加)하는 국가(國家) 대항전(對抗戰)을 열어 야구(野球)의 저변(底邊)을 넓히자는 취지(趣旨)로 추진(推進)해 2006년(年) 부터 4년(年)마다 열리고 있다.

역사(歷史) [ 편집(編輯) ]

본래(本來) 2005년(年)에 개회(開會) 예정(豫定)이었으나 1년(年) 연기(延期)된 첫 대회(大會) 2006년(年) 3월(月) 3일(日) 부터 3월(月) 20일(日) 까지 진행(進行)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WBC의 시작일(始作日)은 2006년(年)이라고 하는 것이 올바르다. 첫 대회(大會)에는 조별(組別) 리그 후(後) 일반적(一般的)인 순위별(順位別) 교차(交叉) 토너먼트 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조(組)의 팀들이 재대결(再對決)하도록 한 것이 논란(論難)이 되었으며, 미국(美國)이 강팀과의 대전(對戰)을 피(避)하기 위해 이번(이番) 대회(大會)의 대진표(對陣表)를 일반적(一般的)이지 않은 재대결(再對決) 방식(方式)으로 결정(決定)했다는 비난(非難)을 받았다. [1]

제(第)3회(回) 대회(大會)부터는 하계(夏季) 올림픽 , FIFA 월드컵 등(等)이 개최(開催)되는 연도(年度)를 피(避)해서 4년(年)마다 개최(開催)되었다. 2023년(年)에 열린 WBC는 2017년(年) 이후(以後) 5년(年)만에 열리는 대회(大會)이다. 원래(元來)는 2021년(年)에 개최(開催)될 예정(豫定)이였지만 2020년(年)부터 시작(始作)된 코로나19 범유행(汎流行) 으로 인해 2년(年) 연기(延期)된 2023년(年)에 개최(開催)되었다. [2]

역대(歷代) 대회(大會) 결과(結果) [ 편집(編輯) ]

연도(鳶島) 결승전(決勝戰) 개최지(開催地) 우승(優勝) 결과(結果) 준우승(準優勝) 3위(位) 4위(位)
2006년(年) 미국 샌디에이고 일본
일본(日本)
10 - 6 쿠바
쿠바
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共和國)
2009년(年) 미국 로스앤젤레스 일본
일본(日本)
5 - 3 (10회(回)) 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미국
미국(美國)
2013년(年) 미국 샌프란시스코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共和國)
3 - 0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
일본
일본(日本)
네덜란드
네덜란드
2017년(年) 미국 로스앤젤레스 미국
미국(美國)
8 - 0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
일본
일본(日本)
네덜란드
네덜란드
2023년(年) 미국 마이애미 일본
일본(日本)
3 - 2 미국
미국(美國)
멕시코
멕시코
쿠바
쿠바
2026년(年) 미국

4강(强) 진출(進出) 국가(國家) 기록(記錄) [ 편집(編輯) ]

국가대표(國家代表)팀 우승(優勝) 준우승(準優勝) 3위(位) 4위(位) 4강(强) 진출(進出) 횟수(回數)
일본(日本) 3 ( 2006 , 2009 , 2023 ) ? 2 ( 2013 , 2017 ) ? 5
미국(美國) 1 ( 2017 ) 1 ( 2023 ) ? 1 ( 2009 ) 3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共和國) 1 ( 2013 ) ? ? 1 ( 2006 ) 2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 ? 2 ( 2013 , 2017 ) ? ? 2
대한민국(大韓民國) ? 1 ( 2009 ) 1 ( 2006 ) ? 2
쿠바 쿠바 ? 1 ( 2006 ) ? 1 ( 2023 ) 2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 ? 1 ( 2006 ) ? 1
멕시코 ? ? 1 ( 2023 ) ? 1
네덜란드 ? ? ? 2 ( 2013 , 2017 ) 2

통산(通算) 성적(成跡) [ 편집(編輯) ]

2006년(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부터 2023년(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까지 5번(番)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각(各) 국가(國家)가 기록(記錄)한 성적(成跡)을 순위별(順位別)로 나열(羅列)한 통계표(統計表)다.

순위(順位) 국가(國家) 진출(進出) 경기(京畿) 승(勝) 패(牌) 승(勝)룰 득점(得點) 실점(失點) 득실차(得失差) 최고(最高) 순위(順位)
1 일본(日本) 5 38 30 8 0.789 257 106 +151 우승(優勝) (3)
2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 5 34 23 11 0.676 175 96 +79 준우승(準優勝)
3 미국(美國) 5 35 21 14 0.600 203 142 +61 우승(優勝) (1)
4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共和國) 5 28 20 8 0.714 136 75 +61 우승(優勝) (1)
5 쿠바 쿠바 5 32 18 14 0.563 179 157 +22 준우승(準優勝)
6 대한민국(大韓民國) 5 26 17 9 0.654 140 92 +48 준우승(準優勝)
7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5 29 16 13 0.552 142 150 -8 3위(位)
8 네덜란드 5 28 13 15 0.464 122 132 -10 4위(位)
9 멕시코 5 24 11 13 0.458 144 138 +6 3위(位)
10 이탈리아 5 20 7 13 0.350 98 116 -18 2라운드
11 중화 타이베이 대만(臺灣) 5 17 5 12 0.294 79 120 -41 2라운드
11 호주(濠洲) 5 17 5 12 0.294 75 91 -16 2라운드
13 캐나다 5 15 5 10 0.333 75 112 -37 1라운드
14 이스라엘 이스라엘 2 10 5 5 0.500 34 57 -23 2라운드
15 중국 중국(中國) 5 16 2 14 0.125 28 152 -124 1라운드
16 파나마 파나마 3 9 2 7 0.222 26 57 -31 1라운드
17 콜롬비아 콜롬비아 2 7 2 5 0.286 21 33 -12 1라운드
18 영국(英國) 1 4 1 3 0.250 18 31 -13 1라운드
18 체코 체코 1 4 1 3 0.250 16 30 -14 1라운드
20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 공화국(共和國) 2 5 0 5 0.000 16 60 -44 1라운드
21 니카라과 니카라과 1 4 0 4 0.000 4 22 -18 1라운드
22 브라질 브라질 1 3 0 3 0.000 7 15 -8 1라운드
22 스페인 스페인 1 3 0 3 0.000 9 20 -11 1라운드

개최지(開催地) [ 편집(編輯) ]

WBC는 세계(世界) 여러 지역(地域)에서 분산(分散)하여 개최(開催)하는 방식(方式)을 이용(利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方式)으로 인해 지금(只今)까지 7개(個) 국가(國家)에서 적어도 한 라운드를 개최(開催)한 적이 있다. 준결승전(準決勝戰)과 결승전(決勝戰)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에서 사용(使用)되는 야구장(野球場)에서 개최(開催)된다.

국가별(國家別) 대회(大會) 개최(開催) 횟수(回數) [ 편집(編輯) ]

다음 표(表)는 예선전(豫選戰) 개최(開催) 여부(與否)를 포함(包含)하지 않으며, 한 국가(國家)가 동일(同一)한 대회(大會)에서 여러 라운드를 개최(開催)했는지의 여부(與否)에 관계없이(關係없이) WBC 라운드를 개최(開催)한 국가(國家)가 나열(羅列)되어 있다.

국가(國家) 유치(誘致) 횟수(回數) 연도(鳶島)
일본의 기 일본(日本) 5 2006, 2009, 2013, 2017, 2023
미국의 기 미국(美國) 5 2006, 2009, 2013, 2017, 2023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3 2006, 2009, 2013
멕시코의 기 멕시코 2 2009, 2017
중화민국의 기 대만(臺灣) 2 2013, 2023
캐나다의 기 캐나다 1 2009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1 2017

연도별(年度別) 대회(大會) 개최(開催) 국가(國家) [ 편집(編輯) ]

라운드 2006 2009 2013 2017 2023 2026
1라운드 일본의 기 일본(日本)
미국의 기 미국(美國)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일본의 기 일본(日本)
멕시코의 기 멕시코
캐나다의 기 캐나다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일본의 기 일본(日本)
중화민국의 기 대만(臺灣)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미국의 기 미국(美國)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일본의 기 일본(日本)
미국의 기 미국(美國)
멕시코의 기 멕시코
중화민국의 기 대만(臺灣)
일본의 기 일본(日本)
미국의 기 미국(美國)
2라운드 미국의 기 미국(美國)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미국의 기 미국(美國) 일본의 기 일본(日本)
미국의 기 미국(美國)
일본의 기 일본(日本)
미국의 기 미국(美國)
일본의 기 일본(日本)
미국의 기 미국(美國)
준결승(準決勝), 결승(決勝) 미국의 기 미국(美國) 미국의 기 미국(美國) 미국의 기 미국(美國) 미국의 기 미국(美國) 미국의 기 미국(美國)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장원주 (2006년(年) 3월(月) 19일(日)). “희한(稀罕)한 미(美) '꼼수대진표(對陣表)' 한국(韓國)이 최대피해자(最大被害者)” . 세계일보(世界日報).  
  2. “World Baseball Classic field selected - Expansion weighed for '13 as MLB boasts international growth” . 2014년(年) 3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4년(年) 6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