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올림픽 의식(意識)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올림픽 의식(意識)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1988년(年) 서울 올림픽 개막식(開幕式)

올림픽 의식(意識) ( 영어(英語) : Olympic Games ceremonies , 프랑스어(프랑스語) : Ceremonies olympiques )은 올림픽 대회(大會)에서 진행(進行)되는 의식(意識) 행사(行事)를 말한다. 고대(古代) 올림픽 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요소(要素) 중(中) 하나였으며, 오늘날의 근대(近代) 올림픽 에서도 개막식(開幕式)과 폐막식(閉幕式), 그리고 메달수여식(授與式)을 행(行)한다. 근대(近代) 올림픽의 의식(意識) 중(中)에는 고대(古代) 올림픽을 되새기고자 하는 요소(要素)들도 존재(存在)하며, 대표적(代表的)으로 고대(古代) 그리스의 발상지(發祥地)인 그리스가 개폐막식(閉幕式)의 첫번째(番째) 순서(順序)로 입장(入場)하는 것을 들 수가 있다. 2004년(年) 아테네 올림픽 에서는 메달리스트에게 올리브 가지를 수여(授與)하여, 우승자(優勝者)에게 올리브 화환(花環) 을(乙) 주었던 고대(古代) 올림픽의 관례(冠禮)를 온전히(穩全히) 재현(再現)하기도 했다. 올림픽 의식(意識)은 올림픽 헌장(憲章)에 따라 진행(進行)되며 이를 올림픽 개최국이 임의(任意)로 변경(變更)할 수는 없다. 설상 개최국의 특성(特性)을 마음껏 살려내는 개폐막식(閉幕式)의 문화행사(文化行事)라 하더라도 국제(國際)올림픽위원회(委員會) (IOC)의 최종(最終) 승인(承認)이 있어야 가능(可能)하다.

올림픽 의식(意識)은 수(數) 세기(世紀)를 넘어 계속(繼續)해서 진화(進化)해 왔다. 고대(古代) 올림픽은 매(每) 대회(大會)의 시작(始作)과 끝을 알리기 위해 의식(意識)을 치렀다. 그러나 근대(近代) 올림픽의 의식(意識)에는 고대(古代) 올림픽과 유사(類似)하면서도 다른 점(點)이 공존(共存)한다. 대회(大會) 행사(行事)는 자국(自國)의 예술적(藝術的) 감각(感覺)을 여실히(如實히) 보여주고자 하는 개최국의 욕구(欲求)와 기술적(技術的) 진보(進步)에 따라 진화(進化)하고 있지만 각(各) 의식(意識)마다 존재(存在)하는 기본적(基本的)인 행사(行事)는 여전히(如前히) 바뀌지 않고 있다. 특히(特히) 올림픽 개폐막식(閉幕式)은 대회(大會)를 치를수록 예산(豫算)과 규모(規模), 범위(範圍)가 계속(繼續)해서 증가(增加)해 왔지만, 공식행사(公式行事)와 같은 부분(部分)들은 여전히(如前히) 전통(傳統)을 준수(遵守)하고 있는 모습이다.

고대(古代) 올림픽 [ 편집(編輯) ]

그리스에서 기원전(紀元前) 776년경(年頃)부터 기원후(紀元後) 393년경(年頃)까지 열렸던 고대(古代) 올림픽 은 오늘날 올림픽 의식(意識)의 기원(起源)이라 할 만한 행사(行事)들을 창시(創始)했다고 볼 수 있다. [1] 특히(特히) 대회(大會) 마지막에 승리(勝利)를 축하(祝賀)하는 행사(行事)에서는 축제(祝祭)와 음주가무(飮酒歌舞), 시(詩) 낭송(朗誦) 등(等)을 벌였는데 오늘날의 메달 수여식(授與式)이나 폐막식(閉幕式)에도 어느 정도(程度) 흔적(痕跡)이 남아 있다. 대회(大會) 우승자(優勝者)가 부유(富裕)하면 부유(富裕)할수록 축하행사(祝賀行事)도 더욱 화려(華麗)했다. [2] 우승자(優勝者)는 올리브 화환(花環)이나 목관(木管)을 수여(授與)받았다. 이때 쓰이는 나무는 올림픽용(用)으로 특별히(特別히) 준비(準備)한 것으로, 아이에게 금(金)낫을 쥐여 가지를 따서 만들었다. [2] 이 축제(祝祭)에는 우승자(優勝者)가 맹세서약(盟誓誓約)을 하거나 신세(身世)를 진 여러 신(神)들에게 의식용(儀式用) 제물(祭物)을 바치는 행사(行事)를 벌이기도 했다. [2]

고대(古代) 올림픽은 약(約) 11세기(世紀)가 넘는 세월(歲月) 동안 대회구성(大會構成) 면(面)에서 급격(急激)한 변화(變化)를 겪어왔다. 특히(特히) 제(第)77대(代) 올림피아드가 열릴 당시(當時)에는 총(總) 18종목(種目)에 달(達)하는 경기(競技)가 진행(進行)됐다고 한다. [3] 이처럼 규모(規模)가 커지자 고대(古代) 그리스의 대회(大會) 주최자(主催者)들은 대회(大會)를 시작(始作)하는 축제(祝祭)를 열 필요성(必要性)을 느꼈고, 이것이 오늘날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의 기원(起源)이다. 고대(古代) 올림픽의 개막식(開幕式)은 선수(選手)들의 스포츠맨십 서약(誓約)이 끝나고 나서 이뤄졌으며, 개막식(開幕式) 행사(行事) 중(中) 하나로 대회(大會) 첫번째(番째) 시합(試合), 나팔(喇叭) 연주자(演奏者)들과 전령(傳令)들이 벌이는 예술대회(藝術大會)가 포함(包含)됐다. [3]

올림픽 개막식(開幕式) [ 편집(編輯) ]

2016년(年) 리우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의 예술(藝術) 행사(行事)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은 올림픽 대회(大會)의 시작(始作)을 공식적(公式的)으로 알리는 행사(行事)다. 다만 최근(最近) 대회(大會)에서는 개막식(開幕式) 이전(以前)부터 올림픽 경기(競技)를 시작(始作)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예컨대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대회(大會) 개막식(開幕式) 전날(前날)인 2월(月) 8일(日)에 컬링 믹스더블 경기(競技)와 스키점프 예선(豫選)이 열렸다. [4]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은 올림픽을 기념(記念)하는 개막식(開幕式)의 골격(骨格) 요소(要素)들을 규정(規定)한 올림픽 헌장(憲章)에 따라 기획(企劃)된다. [5] [6] 이들 의례(儀禮) 중(中) 대부분(大部分)은 1920년(年) 안트베르펜 올림픽 부터 정례화(定例化)되기 시작(始作)하였다. [7]

예술(藝術) 행사(行事) [ 편집(編輯) ]

개막식(開幕式)을 여는 예술(藝術) 행사(行事) (artistic program)는 각(各) 올림픽 대회(大會)의 특성(特性)을 이루는 행사(行事)이다. [8] 초창기(草創期) 쿠배르탱 백작(伯爵)이 근대(近代) 올림픽을 바라보는 시선(視線)은 선수(選手)들의 경기(競技) 못지않게 예술적(藝術的) 성취도(成就度) 중요(重要)한 자리를 차지했다. [9] 근대(近代) 올림픽이 스포츠의 기념행사(記念行事)로 발돋움해 왔기에, 그 올림픽의 개막식(開幕式)은 쿠베르탱의 이상(以上)이 거의 드러난 의식(意識)이라 할 수 있다. 개막식(開幕式)은 올림픽 대회(大會)의 중요(重要)한 절차(節次)로서, 개최국과 전세계(全世界) 사이의 문화적(文化的) 동질성(同質性) 뿐만 아니라 유사(類似)한 특성(特性)과 메시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廣範圍)한 요소(要素)들을 전달(傳達)한다. [10] 이에 개막식(開幕式) 예술행사(藝術行事)는 개최국의 과거(過去)와 미래(未來)를 종합적(綜合的)으로 보여주는 역할(役割)을 한다. [10] 보통(普通) 개최국 국기(國旗) 게양(揭揚)과 국가(國歌) 연주(演奏)로 시작(始作)하는 것이 보통(普通)이며, [5] [6] 개최국의 문화(文化)와 역사(歷史), 그리고 올림픽의 모토를 상징(象徵)하는 예술공연(藝術公演)을 음악(音樂), 노래, 무용(舞踊), 영상(映像) 등(等)을 혼합(混合) 구성(構成)하며 펼치게 된다. [7] 예술행사(藝術行事)의 규모(規模)와 질(質)은 1980년(年) 모스크바 올림픽 를 시작(始作)으로 대폭(大幅) 늘어왔으며,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의 경우(境遇) 약(約) 6000억(億) 원의 예산(豫算)을 투입(投入)했으며 그 중(中) 대부분(大部分)이 예술공연(藝術公演)에 들어갔다. [11] [12] 그러나 최근(最近)에는 올림픽 적자(赤字)를 방지(防止)하기 위해 예술행사(藝術行事)를 고효율(高效率) 저비용(低費用)으로 기획(企劃)하는 경우(境遇)가 늘고 있는데, 2016년(年) 리우 올림픽 (개폐막식(閉幕式) 합계(合計) 620억(億)원)과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개폐막식(閉幕式) 합계(合計) 668억(億)원) 등(等)이 대표적(代表的)이다. [13] [14]

선수단(選手團) 입장(立場) [ 편집(編輯) ]

공연(公演) 후(後)에는 개막식(開幕式) 공식행사(公式行事)로 선수단(選手團) 입장(立場) (Parade of Nations)이 시작(始作)된다. 올림픽에 참가(參加)하는 대부분(大部分)의 선수(選手)들이 한 국가(國家) 한 국가(國家)씩 스타디움으로 행진(行進)해 들어오는 절차(節次)이다. 여기서 선수(選手)들이 꼭 개막식(開幕式)에 참석(參席)해야 할 의무(義務)는 없는데, 대회(大會) 종목(種目)에 따라 개막식(開幕式) 전날(前날)이나 다음날, 심지어(甚至於)는 당일(當日)에 경기(競技)가 치러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경기(競技)에 출전(出戰)하고 대비(對備)해야 하는 선수(選手)들은 개막식(開幕式)에 참석(參席)하지 않는 쪽을 택(擇)한다.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에는 어느 특정한 주제(主題)가 설정(設定)되기 마련인데, 선수단(選手團) 입장(立場) 행사(行事)에서도 개최국의 문화적(文化的)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고 사회적(社會的) 입지(立地)를 전세계(全世界)에 전(傳)하기도 한다. 예컨대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 의 주제(主題)는 '통합(統合)'이었다. 2008년(年) 5월(月) 12일(日) 쓰촨성(쓰촨省)에서 대지진(大地震)이 발생(發生)한 이후(以後), 중국(中國)은 전설적(傳說的)인 농구선수(籠球選手) 야오밍 과 지진(地震)으로부터 학교(學校) 친구(親舊)들을 구(求)해낸 9살 소년(少年) 린하오가 손을 맞잡고 걸어가는 퍼포먼스로 대지진(大地震)을 추모(追慕)하고자 했다. [10] 2016년(年) 리우 올림픽 에서는 환경보존(環境保存)을 생각하는 브라질의 메시지를 전세계(全世界)로 전(傳)하기 위해 ' 씨앗 '을 중간주제(中間主題)로 삼고, 선수단(選手團)이 입장(入場)할 때마다 씨앗 하나씩을 선물(膳物)해 심는 행사(行事)를 가졌다. [15]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행동(行動)하는 평화(平和)'라는 주제(主題)에 걸맞게, 개최국 대한민국(大韓民國) 선수단(選手團)의 단독입장(單獨立場) 대신(代身) 남북(南北) 공동입장(共同立場)을 결정(決定)하고 선수단(選手團) 입장행사(立場行事)의 하이라이트로 삼으며 평화(平和)의 메시지를 전(傳)했다. [16]

각국(各國) 선수단(選手團)의 입장(立場)은 맨 처음에 해당(該當) 국가명(國家名)이 적힌 피켓과 국기(國旗)를 들면서 이뤄진다. [5] [6] 전통적(傳統的)으로 그리스 선수단(選手團)이 가장 먼저 입장(入場)해 퍼레이드를 이끄는데, 이는 올림픽의 발상지(發祥地)인 그리스를 예우(禮遇)해주기 위한 의도(意圖)다. 그리고 선수단(選手團) 입장행사(立場行事)의 마지막에는 개최국의 선수단(選手團)이 입장(入場)한다. [7] [17] 그리스와 개최국 선수단(選手團) 이외(以外)의 나머지 선수단(選手團)들은 개최도시(開催都市) 지역(地域)에서 쓰이고 개최국 조직위원회(組織委員會)가 지정(指定)한 언어(言語)에서의 국명순으로 순서(順序)가 정(定)해진다. 선수단(選手團) 입장(立場) 시(時) 장내(場內) 아나운서는 영어(英語), 프랑스어(프랑스語), 개최국 언어(言語) 순(順)으로 국가명(國家名)을 소개(紹介)한다. 다만 영어(英語)나 프랑스어(프랑스語)가 공용어일(公用語日) 때에는 그 두 언어(言語)로만 소개(紹介)한다.

2004년(年) 아테네 올림픽 에서는 그리스 국기(國旗)만 먼저 나오고, 그리스어 로 가장 먼저 나오는 국가(國家)인 ' 세인트루시아 ' (Αγ?α Λουκ?α)가 입장(入場)한 뒤, 마지막에 그리스 선수단(選手團)이 그냥 입장(入場)하는 식(式)으로 진행(進行)했다. 1992년(年) 바르셀로나 올림픽 에서는 스페인어(語) 카탈루냐어(語) 모두 대회(大會) 공식(公式) 언어(言語)로 지정(指定)됐지만 카탈루냐어(語)를 쓰는 것이 정치적(政治的)으로 민감(敏感)한 사항(事項)이었던 탓에 프랑스어(프랑스語) 알파벳순으로 입장(入場)했다. 그리고 일본(日本) 에서 열린 역대(歷代) 세 번(番)의 올림픽 대회(大會)에서는 어떠한 이유(理由)에선지 일본어(日本語) 가 아닌 영어(英語) 알파벳순으로 선수단(選手團)이 입장(入場)했다.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 당시(當時)에는 중국어(中國語) 국명(國名)을 한자획순(漢字劃順)에 따라 배열(配列)하였다. [18] 2010년(年) 밴쿠버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캐나다의 공용어(公用語)가 영어(英語)와 프랑스어(프랑스語) 둘 다로, 올림픽 공식(公式) 언어(言語)와 같았지만 개최지(開催地)인 브리티시컬럼비아 주(州)와 밴쿠버에서는 영어(英語)가 더 많이 쓰인다는 점(點) 때문에 영어(英語) 알파벳순으로 선수단(選手團)이 입장(入場)하였다. 러시아에서 열린 1980년(年) 모스크바 하계(夏季) 올림픽 2014년(年) 소치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러시아어(語)의 키릴 문자(文字) 순(順)으로 입장(入場)했으며,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열린 1988년(年) 서울 하계(夏季) 올림픽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한글 의 가나다순(가나다順)으로 입장(入場)했다.

공식(公式) 행사(行事) [ 편집(編輯) ]

모든 선수(選手)가 들어온 뒤에는 올림픽 조직위원회(組織委員會) 회장(會長)이 연설(演說)을 하고, 뒤이어 IOC 위원장(委員長) 도 연설(演說)을 한다. 연설(演說) 말미(末尾)에는 개최국의 국가원수(國家元首)에게 대회(大會) 공식(公式) 개회(開會)를 선언(宣言)해달라는 요청(要請)을 건넨다. 올림픽은 어느 한 도시(都市)가 무대(舞臺)이지 나라 전체(全體)가 무대(舞臺)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現在) 올림픽 헌장(憲章)에는 개최국의 국가원수(國家元首) 가 개회선언(開會宣言)을 하도록 되어 있다. [19] 하지만 국가원수(國家元首)가 아닌 사람이 대회(大會)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한 사례(事例)도 만만찮다. 그 첫번째(番째) 사례(事例)는 1900년(年) 파리 올림픽 때로, 애초(애初)에 올림픽이 1900년(年) 만국박람회(萬國博覽會)의 행사(行事) 중(中) 하나로 열렸기 때문에 개막식(開幕式) 자체(自體)가 없었다. 파리 올림픽 외(外)에도 초창기(草創期) 올림픽 대회(大會)에서는 국가원수(國家元首)가 아닌 사람이 개회(開會) 선언(宣言)을 한 사례(事例)가 많은데 특히(特히) 미국(美國)에서 열린 역대(歷代) 올림픽 중(中) 다섯 차례(次例)가 여기에 해당(該當)됐다. [20]

올림픽 헌장(憲章)에서는 대회(大會) 개막(開幕) 선언(宣言)을 하는 사람이 동하계(桐下溪) 여부(與否)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문구(文句)를 낭독(朗讀)하면서 선언(宣言)을 하도록 명시(明示)되어 있다. [21] [22]

  • 올림피아드 대회(大會)(하계(夏季) 올림픽)일 경우(境遇) - "나는 제(순번)회 근대(近代) 올림피아드를 축하(祝賀)하면서 (개최(開催) 도시(都市) 이름) 올림픽 대회(大會)의 개회(開會)를 선포(宣布)합니다."
  • 동계(冬季) 올림픽일 경우(境遇) - "나는 제(순번)회 (개최(開催) 도시(都市) 이름) 동계(冬季) 올림픽 대회(大會)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합니다."

1936년(年)까지만 하더라도 국가원수(國家元首) 역시(亦是) 간단(簡單)한 환영사(歡迎辭)를 낭독(朗讀)한 뒤 개막(開幕) 선언(宣言)을 해야 했다. 그러나 1936년(年)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冬季) 올림픽 베를린 올림픽 의 개막(開幕) 선언(宣言)을 맡은 아돌프 히틀러 가 선언(宣言)만 진행(進行)한 이래(以來) 일종(一種)의 공식(公式)이 되었다. 최근(最近)에 동계(冬季)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에서는 두번째(番째)가 아닌 첫번째(番째) 문구(文句)로 선언(宣言)하는 추세(趨勢)인데, 2002년(年) 솔트레이크시티 동계(冬季) 올림픽 2010년(年) 밴쿠버 동계(冬季) 올림픽 , 그리고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이 여기에 해당(該當)됐다. [23] 그밖에도 해당(該當) 형식(形式)을 따르지 않은 선언문(宣言文)이 역대(歷代) 네 차례(次例) 정도(程度) 있었다.

우선(于先) 1976년(年) 몬트리올 올림픽 에서 엘리자베스 2세(歲) 캐나다 여왕(女王) 으로서 대회개막(大會開幕) 선언(宣言)을 할 당시(當時) "나는 제11회 근대(近代) 올림피아드를 축하(祝賀)하면서 1976년(年) 올림픽 대회(大會)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한다"며 '몬트리올'이라는 개최(開催) 도시(都市) 이름을 뺐다. [24] 1984년(年)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에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大統領)이 대회개막(大會開幕) 선언(宣言)을 할 당시(當時)에는 "제(第)13회(回) 근대(近代)올림픽을 축하(祝賀)하면서, 나는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대회(大會)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한다" [25] 라고 순서(順序)를 바꿔 말했다. 2002년(年) 솔트레이크시티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조지 W. 부시 대통령(大統領)이 9.11 테러 가 벌어진 지 5개월(個月)밖에 되지 않았음을 감안(勘案)해 "자랑스럽고 결심(決心)이 굳고 감사(感謝)한 이 나라를 대표(代表)해서..."라는 첫머리를 붙였으며, 2016년(年)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에서는 미(美)셰우 테메르 대통령(大統領) 권한대행(權限代行)이 국가원수(國家元首) 소개(紹介)나 바흐 위원장(委員長)의 연설문(演說文) 소개(紹介) 없이 "이 놀라운 무대(舞臺)에 이어, 나는 제31회 근대(近代) 올림피아드를 축하(祝賀)하면서 리우 올림픽 대회(大會)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한다"고 말했다.

2012년(年) 런던 올림픽 에서는 엘리자베스 2세(歲) 영국(英國) 여왕(女王) 으로서 대회개막(大會開幕)을 했는데 엘리자베스 2세(歲)의 올림픽 개막선언(開幕宣言)은 1976년(年)에 이어 이번(이番)이 두번째(番째)였다. [26] 한편(한便)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열린 두 번(番)의 올림픽 개막(開幕) 선언(宣言)은 각각(各各) 다음과 같다.

공식(公式) 개회선언(開會宣言)이 끝나면 올림픽기 가 수평(水平)으로 펼쳐진 채 스타디움으로 입장(入場)하고, 깃대(旗대)에 게양(揭揚)되며 올림픽 찬가(讚歌) 가 울려퍼진다. 올림픽기 입장(立場)과 게양(揭揚)은 1960년(年) 로마 올림픽 부터 시작(始作)된 것으로, 올림픽 헌장(憲章)에서는 이 올림픽기가 "본경기장의 중요(重要)한 위치(位置)에 놓인 깃대에서 올림픽 대회(大會) 전(前) 기간(期間)동안 휘날려야 한다"고 되어 있다. [19] 올림픽기가 스타디움에 들어올 때에는 개최국의 유명선수(有名選手)들을 선정(選定)해 들게 하도록 하는 것이 관례(慣例)였는데, 2012년(年) 런던 올림픽 에서는 무함마드 알리 를 비롯, 올림픽 가치(價値)를 실현(實現)한 다국적(多國籍) 선수(選手)들과 비선수(非選手)들이 들도록 하였다.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도 절반(折半) 4명(名)은 동계(冬季)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나머지 절반(折半) 4명(名)은 신인(新人) 유망주(有望株)가 들도록 하였다.

이후(以後) 모든 국기(國紀) 기수(騎手)들이 연단(演壇) 주변(周邊)을 에워싸고, 연단(演壇) 위에서는 개최국 선수(選手) (1920년(年) 올림픽부터 시작(始作)) 한 명(名)과 심판(審判) (1972년(年) 올림픽부터 시작(始作)) 한 명(名)이 올림픽 선서(宣誓) 를 하며, 각(各) 경기(競技)의 규칙(規則)에 따라 공정(公正)하게 참가(參加)하고 심판(審判)할 것을 선언(宣言)한다. [19] 선수(選手) 선서(宣誓)는 1920년(年) 안트베르펜 올림픽부터, 심판(審判) 선서(宣誓)는 1972년(年) 뮌헨 올림픽부터 시작(始作)됐으며 2010년(年) 하계(下溪) 청소년(靑少年) 올림픽 2012년(年) 런던 올림픽 부터는 개최국의 코치도 선서(宣誓)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부터는 세 선서(宣誓)가 통합(統合)되어 선수(選手), 심판(審判), 코치가 각각(各各) 이름을 걸고 선수(選手)가 나머지 선언(宣言)을 끝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성화(聖火) [ 편집(編輯) ]

2016년(年) 리우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에서 성화대(聖火臺)에 불을 붙이고 있는 반데를레이 지 리마 선수(選手)

개막식(開幕式)의 마지막 순서(順序)로 올림픽 성화(聖火) 스타디움 내(內)로 들어와 한 선수(選手) 한 선수(選手)씩 성화봉송(聖火奉送) 을 진행(進行)한다. 그리고 개최국의 유명(有名) 선수(選手)가 마지막 성화(聖火) 주자(走者)로서 전달(傳達)받아 성화대(聖火臺)에 불을 붙인다. [5] [6] IOC 규정(規定)에 따라 올림픽 성화대(聖火代)의 점화(點火)는 개막식(開幕式)에 참석(參席)한 사람들이 꼭 지켜보는 가운데에서 이뤄져야 하며, 그말인즉슨 올림픽 성화대(聖火代)가 개막식(開幕式)이 치러지는 장소(場所) 내(內)에 위치(位置)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규정(規定)에서는 성화대(聖火臺)가 개최도시(開催都市)의 전(全) 시민(市民)이 바깥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놓아야 한다고 정(定)하고 있다. 이는 2010년(年) 밴쿠버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 문제(問題)가 되었는데, 올림픽 스타디움으로 정(定)해진 경기장(競技場)이 BC 플레이스 스타디움 으로 공기(空氣)로 하중(荷重)을 견디는 구조(救助)의 돔구장(球場)이어서 스타디움 밖으로 성화대(聖火臺)를 내보일 수 있는 방법(方法)이 없었던 탓에 성화대(聖火臺)를 두 대(臺)씩 설치(設置)해야 했다. 개막식(開幕式) 당시(當時)에는 캐트리오나 르메이 도언(徒言) , 낸시 그린 , 스티브 내시 , 웨인 그레츠키 등(等) 네 명(名)의 선수(選手)가 모여 총(總) 네 개(個)의 기둥에 각각(各各) 점화(點火)하고, 개막식(開幕式)이 공식적(公式的)으로 마무리된 뒤 그레츠키 선수(選手)가 대기차량(待機車輛)을 타고 두번째(番째) 성화대(聖火臺)로 가서 다시금 불을 지폈다. 다만 스타디움 내(內) 점화행사(點火行事)를 진행(進行)할 당시(當時) 르메이 도언(徒言)이 맡은 기둥이 올라가지 않아 미완성(未完成)되는 일이 벌어졌는데, 폐막식(閉幕式)에서 기둥 하나를 마저 끌어올리는 퍼포먼스로 수습(收拾)하기도 했다.

2012년(年) 런던 올림픽 에서는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 의 중앙(中央)에 성화대(聖火臺)가 자리해 있어 스타디움 바깥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대회(大會) 첫주(週) 동안에는 스타디움 지붕 위 스크린을 통해 불타는 성화대(聖火臺)의 모습이 전달(傳達)됐고 [28] 런던올림픽 중계권(中繼權)을 갖고 있는 모든 방송국(放送局)에 생방송(生放送) 영상(映像)을 제공(提供)하였다. [29]

비둘기 [ 편집(編輯) ]

2014년(年) 소치(所致) 올림픽의 비둘기 형상(形象)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 끝난 뒤 처음으로 열린 1920년(年) 안트베르펜 올림픽에서는 올림픽 성화(聖火) 점화(點火)에 앞서 평화(平和)의 상징(象徵) 비둘기 를 풀어놓았다 [30] (당시(當時) 선수(選手)들은 비둘기똥을 맞을 것을 우려(憂慮)해 신문(訊問)을 챙겨 가리며 피(避)했다고 한다.) [31] 이후(以後)로도 비둘기를 푸는 일은 관례적(慣例的)으로 이어져 왔지만, 1988년(年) 서울 올림픽 개막식(開幕式)에서 아직 점화(點火)되지 않은 성화대(聖火臺)에 앉았던 비둘기들이 성화(成火)가 붙여지면서 산채로 타죽는 사건(事件)이 벌어지는 바람에 중단(中斷)되었다. [30] 서울올림픽 이후(以後)로는 성화(聖火)를 점화(點火)한 뒤에 비둘기를 풀던가, 비둘기 형상(形象)과 모티브로 대체(代替)하는 식(式)으로 방식(方式)이 바뀌었다. [5] [6]

2000년(年) 시드니 올림픽 에선 흰색(흰色) 옷을 입은 수많은 선수(選手)들이 스타디움 무대(舞臺)에 등장(登場)해 비둘기 형상(形象)을 이뤘다. 2004년(年) 아테네 올림픽 에선 LED 스크린을 이용(利用)하였고, 2006년(年) 토리노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도 곡예가(曲藝家)들이 비둘기의 형상(形象)을 취(醉)했다.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 에서는 비둘기 모양(模樣)의 불꽃놀이를 펼쳤고, 2010년(年) 밴쿠버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역시(亦是) 무대(舞臺)위에 비둘기 인형(人形)이 등장(登場)하였다. 2012년(年) 런던 올림픽 에서는 LED로 불을 밝힌 비둘기 날개의 바이클 선수(選手)들이 등장(登場)했으며, 2014년(年) 소치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푸른색(푸른色) LED 라이트를 든 여러 명(名)의 무용수(舞踊手)들이 스타디움 무대(舞臺)에 전사(傳寫)된 비둘기 형상(形象) 위에서 춤을 선보였다. 2016년(年) 리우 올림픽 에선 비둘기 모양(模樣)의 연(鳶)을 날리는 아이들이 초대(招待) 올림픽 월계수(月桂樹) 수상자(受賞者)인 킵초게 케이노(勞) 와 함께 달리는 모습이 등장(登場)했다.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촛불 을 든 수많은 사람들이 비둘기 형상(形象)을 이루고, 비둘기 풍선(風船)을 저 멀리 날려보내 드론 쇼와 이어지는 연출(演出)을 택(擇)했다.

메달 수여식(授與式) [ 편집(編輯) ]

2008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사이클 남자(男子) 단체(團體) 계주(契主) 시상식(施賞式)

올림픽의 매(每) 경기(競技)가 끝나면 메달 수여식(授與式)이 진행(進行)된다. 하계(夏季)올림픽에서는 시합(試合)이 열린 경기장(競技場)에서 시상식(施賞式)을 바로 여는 경우(境遇)가 일반적(一般的)이지만, 동계(冬季)올림픽에서는 실내종목(室內種目)이 아닌 이상(以上) 메달 플라자라는 별도(別途)의 시설(施設)에서 한밤중(한밤中)에 메달 수여식(授與式)을 하는 경우(境遇)가 많다. 경기(競技)에서 메달을 딴 선수(選手)들이 올라가는 세 개(個)의 단상(斷想) 중(中)에서 금메달리스트(金메달리스트)가 올라가는 단상(斷想)은 가장 높고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해 있으며, 은메달(銀메달)과 동메달(銅메달)리스트의 단상(斷想)은 그 양옆(兩옆)에 달려있는 모습이다. 메달은 IOC 위원(委員)이 수여(授與)한다. [32] 이때 IOC 위원(委員)은 해당(該當) 종목(種目)을 주관(主管)하는 국제(國際)스포츠연맹(聯盟) (예: 육상(陸上)은 IAAF , 수영(水泳)은 FINA ) 소속(所屬) 대변인(代辯人)과 동반(同伴)하는 것이 보통(普通)이며, 연맹(聯盟) 대변인(代辯人)은 꽃다발이나 그밖에 증정품(贈呈品)을 선수(選手)에게 전달(傳達)하는 일을 한다. 2004년(年) 아테네 올림픽 에서는 고대(古代) 올림픽의 전통(傳統)을 잇는다는 의미(意味)에서 올리브 화환(花環) 을 같이 수여(授與)했다. 2016년(年) 리우 올림픽 에서는 꽃 대신(代身) 대회(大會) 로고의 3D 모형(模型)을 증정(贈呈)했으며,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도 대회명(大會名)을 산 형태(形態)로 굴곡지게 뽑아낸 모형(模型)을 증정(贈呈)하였다. 메달이 수여(授與)되면 세 국가(國家)의 국기(國旗)가 게양(揭揚)된다. 금메달리스트(金메달리스트)의 국기(國旗)는 중앙(中央)에 자리하고 은메달(銀메달)은 왼편(왼便), 동메달(銅메달)은 오른편(오른便)에 둔다. 금메달리스트(金메달리스트) 국기(國旗)를 조금 더 높이 띄우며, 은메달(銀메달)과 동메달(銅메달)리스트 국기(國旗)는 동일선상(同一線上)으로 둔다. 그리고 금메달(金메달)을 딴 나라의 국가(國家)가 울려펴지고, 국가(國家)가 끝나면 다시 하강(下降)한다. [33] 한편(한便) 메달 수여식(授與式)이 진행(進行)되는 동안 개최국 시민(市民)들이나 자원봉사자(自願奉仕者)가 나서 메달을 수여(授與)하는 사람을 안내(案內)하고 기수(機首)를 맡는 등(等)의 보조역할도(補助役割度) 한다. [34]

메달 수여식(授與式)을 진행(進行)하는 동안 선수(選手)들에게는 엄격(嚴格)한 규칙(規則)이 적용(適用)된다. 예컨대 수여식(授與式)에서 차려입고 나오는 옷은 그 선수(選手)의 국가대표(國家代表)팀 표준복으로서 사전(事前) 승인(承認)된 것만 허용(許容)한다. 연단(演壇)에 선 이후(以後)에는 어떠한 정치적(政治的) 소속(所屬)을 드러내거나 정치적(政治的) 발언(發言)을 해서는 아니 된다. [19] 이를 위반(違反)한 대표적(代表的)인 사례(事例)가 1968년(年) 멕시코시티 올림픽 당시(當時) 토미 스미스 존 카를로스 가 벌인 블랙 파워 설루트 사건(事件)이다. 이 때의 행동(行動)으로 애버리 브런디지 당시(當時) IOC 위원장(委員長)은 해당(該當) 선수(選手)들의 올림픽 영구(永久) 추방(追放)을 요구(要求)하기도 했다. [35] 미국(美國) 올림픽 위원회(委員會) 측(側)이 별다른 대응(對應)을 하지 않자 브런디지 위원장(委員長)은 이번(이番)에는 육상종목(陸上種目) 미국(美國) 팀 전원(全員) 추방(追放)을 요구(要求)하였고, 미국(美國)올림픽위원회(委員會) 측(側)은 결국(結局) 처음 요구(要求)를 수용(受容)하여 스미스와 카를로스를 영구제명(永久除名) 조치(措置)하게 된다. [36]

올림픽 폐막식(閉幕式) [ 편집(編輯) ]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 폐막식(閉幕式)이 열린 스타디움 내(內)에 모여있는 각국(各國) 선수(選手)들
2016년(年) 리우 올림픽의 국기(國紀) 퍼레이드
2012년(年) 런던 올림픽의 성화(聖火) 소화(消化) 장면(場面)

올림픽 개막식(開幕式)과는 달리 폐막식(閉幕式)은 공식(公式) 헌장(憲章)으로 규정(規定)되어 있기보다는 지난 대회(大會)에서의 관례(慣例)에 따라 조금씩 발전(發展)되어 온 요소(要素)들이 많다. [37]

개막식(開幕式)과 마찬가지로 폐막식(閉幕式)에서는 대회(大會) 개최국 국기(國旗)가 게양(揭揚)되고 국가(國歌)가 연주(演奏)된다. [37] 이후(以後) '국기(國紀) 퍼레이드'라는 폐막식(閉幕式) 특유(特有)의 행사(行事)가 시작(始作)되는데, [37] 국기(國紀) 행진(行進)이란 말 그대로 대회(大會) 참가국(參加國)들의 국기(國旗)와 기수(騎手)들만 일렬(一列)로 먼저 입장(入場)하는 것이다. 그 뒤로는 국적(國籍) 구분(區分)과는 관계없이(關係없이) 모든 선수(選手)들이 한데 어울려 동시(同時)에 입장(入場)하는데 이를 '선수(選手) 퍼레이드'라 칭(稱)한다. [37] 모든 선수(選手)가 동시(同時) 입장(入場)하는 것은 1956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부터 시작(始作)된 것으로, 당시(當時) 멜버른의 남학생(男學生)이던 존 이언 윙 이 전세계(全世界) 모든 선수(選手)가 '하나의 국가(國家)'로서 다함께 입장(入場)할 수 있다고 처음 제안(提案)해 진행(進行)된 것이 지금(只今)까지도 관례(慣例)로 남아 있다. 1956년(年) 올림픽 이전(以前)에는 근대(近代) 올림픽과 고대(古代) 올림픽을 통틀어 대회(大會)에 참가(參加)한 선수(選手)들이 행진(行進)하는 일은 없었으며, 전세계(全世界) 평화(平和) 행진(行進)의 사상(史上) 첫 사례(事例)라고 할 수 있다. [38] [39] 동계(冬季)올림픽은 1960년(年) 대회(大會) 부터 도입(導入)되었다. 다만 이 같은 행진(行進)은 대회(大會) 구성(構成)에 따라 살짝 변형(變形)되기도 하는데, 일례(一例)로 2006년(年) 토리노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각국(各國) 선수(選手)들이 서로 국적(國籍)을 구분(區分)해 입장(入場)한 후(後) 흩어져 다시 한데 어우러지는 방식(方式)을 취(取)했다.

모든 선수(選手)가 스타디움 안으로 들어오면 이번(이番) 대회(大會)의 마지막 메달 시상식(施賞式)이 진행(進行)된다. 개최도시(開催都市)의 조직위원회(組織委員會)는 IOC와의 상의(上衣)를 통해 어떤 종목(種目)에서 최후(最後)의 메달 시상식(施賞式)을 진행(進行)할지를 결정(決定)한다. [37] 하계(夏季)올림픽에서는 이 마지막 종목(種目)이 남자(男子) 마라톤이 되는 경우(境遇)가 많다. [37] 예로부터 남자(男子) 마라톤 경기(競技)는 올림픽 대회(大會) 마지막 날 마지막 차례(次例)에 진행(進行)되고, 폐막식(閉幕式) 직전(直前)에 경기결과(競技結果)가 판가름나며 시상식(施賞式)을 진행(進行)해 왔다. 하지만 최근(最近)에 1996년(年) 애틀랜타 올림픽 , 2008년(年) 베이징 올림픽 , 2012년(年) 런던 올림픽 , 2016년(年) 리우 올림픽 등(等)의 대회(大會)에서는 개최도시(開催都市)에 문제(問題)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理由)로 아침 일찍 시작(始作)하는 경향(傾向)이 생겼다. 동계(冬季)올림픽의 경우(境遇) 2006년(年) 토리노 동계(冬季) 올림픽 부터는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種目)의 시상식(施賞式)이 폐막식(閉幕式)에서 진행(進行)된다. 2014년(年) 소치 동계(冬季)올림픽까지는 크로스컨트리 남자(男子) 50km 경기(競技)의 시상식(施賞式)이,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부터는 여자(女子) 30km 경기(競技)의 시상식(施賞式)이 이뤄졌다. 어찌 되었든 폐막식(閉幕式)의 메달 시상식(施賞式)에서는 여느 시상식(施賞式)과 똑같이 메달리스트의 국기(國旗)가 게양(揭揚)되고 금메달리스트(金메달리스트)의 국가(國家)가 연주(演奏)된다.

이후(以後) 개최국 국기(國旗) 깃대(旗대)와 더불어 서있는 빈 깃대(旗대)에 두 개(個)의 국기(國旗)가 게양(揭揚)되는데, 하나는 올림픽의 발상지(發祥地)인 그리스를 기리기 위한 그리스 국기(國旗)가 걸리고, 다른 하나는 차기(次期) 올림픽 대회(大會) 개최국의 국기(國旗)가 게양(揭揚)된다. [37] 특이(特異)한 사례(事例)로는 1980년(年) 모스크바 올림픽 당시(當時) 서방(西方) 국가(國家)들의 보이콧 으로 인해 차기(次期) 개최국의 미국(美國) 국기(國旗)가 아닌, 개최도시(開催都市)인 로스앤젤레스 의 시기(時期)가 게양(揭揚)되었다. [40] 2000년(年) 시드니 올림픽 2004년(年) 아테네 올림픽 에서는 그리스가 각각(各各) 차기(次期) 개최국, 현(現) 개최국이었던 탓에 그리스 국기(國旗)가 두 개(個)씩 게양(揭揚)됐다. 국기(國旗)가 모두 게양(揭揚)되면 올림픽 찬가(讚歌)가 울려퍼지는 가운데, 개막식(開幕式)에서 게양(揭揚)됐던 올림픽기가 깃대(旗대)에서 내려 스타디움을 떠난다. [37]

이후(以後) 올림픽기 이양식이 진행(進行)되는데, 이 관례(冠禮)를 처음 시작(始作)한 안트베르펜 올림픽의 이름을 따서 '안트베르펜 의식(意識)' (Antwerp Ceremony)이라고도 부른다. 본 대회(大會)를 조직(組織)했던 도시(都市)의 수장(首長)이 특별(特別)한 올림픽기를 두어 차례(次例) 휘날린 다음 IOC 위원장(委員長)에게 전달(傳達)하고, 위원장(委員長)은 다시 차기(次期) 올림픽 대회(大會)를 치를 도시(都市)의 수장(首長)에게 전달(傳達)한다. [19] 올림픽기를 전달(傳達)받은 차기(次期) 개최지(開催地) 수장(首長)은 깃발(旗발)을 여덟 번(番) 휘날린다. 여기서 쓰이는 올림픽기 는 역대(歷代) 총(總) 네 개(個)가 있었다.

  • 안트베르펜기(機) - 1920년(年) 안트베르펜 올림픽 당시(當時) 안트베르펜 시(時) 측(側)에서 제작(製作)해 IOC에 전달(傳達)한 올림픽기로(岐路) 60여년(餘年) 간(間) 차기(次期) 개최도시(開催都市)에 전달(傳達)되다가 1984년(年)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까지 쓰였다.
  • 오슬로기(機) - 1952년(年) 오슬로 동계(冬季) 올림픽 당시(當時) 오슬로 시(市)가 IOC에 전달(傳達)한 올림픽기로(岐路), 차기(次期) 동계(冬季) 올림픽 개최도시(開催都市)에 전달(傳達)됐다.
  • 서울기(機) - 1988년(年) 서울 올림픽 당시(當時)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가 IOC에 전달(傳達)한 올림픽기로(岐路) 안트베르펜기(氣)를 대체(代替)하기 위해 제작(製作)됐다. 2012년(年) 런던 올림픽까지 쓰였다.
  • 리우기(機) - 2016년(年)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당시(當時) 리우데자네이루 시가(市價) IOC에 전달(傳達)한 올림픽기(基)로 서울기(氣)를 대체(代替)하기 위해 제작(製作)됐다. 아직 현역(現役)으로 쓰이는 올림픽기(基)로 차기(次期) 하계(夏季)올림픽 개최도시(開催都市)에 전달(傳達)된다.

2006년(年) 토리노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이양식에 살짝 변화(變化)가 있었다. 세르조 참파리노 토리노 시장(市場)이 샘 설리번 밴쿠버 시장(市長)에게 올림픽기를 전달(傳達)하고, 올림픽기를 한손에 쥔 설리번 시장(市長)은 사지마비(四肢痲痹) 를 앓고 있었던 탓에 전동(電動) 휠체어에 앉아서 앞뒤로 여덟 번(番) 왔다갔다 하는 행동(行動)을 취(取)했다. [41]

이양식이 끝난 뒤에는 차기(次期) 개최국의 주도(主導)로 해당(該當) 국가(國家)나 도시(都市)를 대표(代表)하는 예술공연(藝術公演)이 진행(進行)된다. 차기(次期) 개최국 소개무대(紹介舞臺)는 1976년(年) 몬트리올 올림픽 부터 시작(始作)됐다. 2016년(年) 리우 올림픽 에서는 2020년(年) 하계(夏季) 올림픽 을 개최(開催)하는 도쿄의 무대(舞臺)가 펼쳐졌는데, 도쿄의 문화(文化)를 여실(如實)히 드러낸 영상(映像)과 미디어 아트, 현대무용(現代舞踊), 그리고 아베 신조(新潮) 일본(日本) 총리(總理)의 깜짝 등장(登場) 퍼포먼스로 진행(進行)됐다. [42]

이후(以後) 올림픽 조직위원회(組織委員會) 회장(會長)의 연설(演說)이 진행(進行)되고, IOC 위원장(委員長) 도 감사인사(感謝人事)를 비롯한 연설(演說)을 진행(進行)한 뒤 대회(大會) 폐막(閉幕)을 공식(公式) 선언(宣言)한다. 다음은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의 선언문(宣言文)이다. [43]

이제 저는 2018 평창(平昌) 동계(冬季)올림픽의 폐회(閉會)를 선언(宣言)해야 합니다. 저는 전통(傳統)에 따라, 전세계(全世界)의 청년(靑年) 여러분이 지금(只今)으로부터 4년(年) 뒤 중국(中國) 베이징에서 제(第)24회(回) 동계(冬季) 올림픽 대회(大會)를 기념(記念)하러 모여주실 것을 요청(要請)하는 바입니다.
And now it is my obligation to declare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clos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 I call upon the youth of the world to assemble four years from now in Beijing,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celebrate with all of us, the 24th Olympic Winter Games.

2018년(年) 평창(平昌)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이례적(異例的)으로 IOC 회장(會長)의 연설(演說) 도중(途中), 5대륙(大陸) 대표(代表) 선수(選手)들과 차기(次期) 개최국 선수(選手)를 선발(選拔)해 다같이 어울려, 손가락 하트 를 취(取)하는 퍼포먼스를 취(醉)했다. [44] 선언(宣言)이 마무리되면 마지막으로 올림픽 성화(聖火)가 소화(消化)되며 대회(大會)의 막(幕)을 알린다. [37]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Ancient Olympic Games” . The Olympic Movement . 2010년(年) 2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2. Swaddling, Judith (1999). 《The Ancient Olympic Games》. University of Texas Press. 90?93쪽. ISBN   0-292-77751-5 .  
  3. Howell, Maxwell L. (1975). “The Ancient Olympic Games:A Reconstruction of the Program”. San Diego State University.  
  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06/0200000000AKR20180206180600007.HTML
  5. “Fact sheet: Opening Ceremony of the Summer Olympic Games” (PDF) .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October 2014 . 2016년(年) 8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6. “Fact sheet: Opening Ceremony of the Winter Olympic Games” (PDF) .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October 2014 . 2016년(年) 8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7. 〈The development of the Games ? Between festival and tradition〉 (PDF) . 《The Modern Olympic Games》 (PDF) .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09년(年) 9월(月) 12일(日). 5쪽 . 2012년(年) 8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8. Arning, Chris (2013), “Soft Power, Ideology and Symbolic Manipulation in Summer Olympic Games Opening Ceremonies: A Semiotic Analysis”, 《Social Semiotics》 23 (4): 523?544, doi : 10.1080/10350330.2013.799008  
  9. de Coubertin, Pierre (1997). 《Olympic Memoirs》.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SBN   92-9149-015-6 .  
  10. Chen, Chwen Chwen ; Colapinto, Cinzia ; Luo, Qing , “The 2008 Beijing Olympics Opening Ceremony: Visual Insights into China's Soft Power”, 《Visual Studies》 27 (2): 188?195, doi : 10.1080/1472586x.2012.677252  
  11. “Beijing Dazzles: Chinese History, on Parade as Olympics Begin” . Canadian Broadcasting Centre. 2008년(年) 8월(月) 8일(日)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http://m.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443235
  1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24/0200000000AKR20180224042600007.HTML?input=1195m
  14.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122_0000208969&cID=10701&pID=10700
  15. http://news1.kr/articles/?2740379
  16. http://news1.kr/articles/?3244951
  17. Athletes Parade-Opening Ceremony London 2012 Olympics - 유튜브
  18. Walker, Peter (2008년(年) 8월(月) 8일(日)). “Beijing Olympics open with spectacular ceremony” . London: The Guardian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9. “Olympic Charter” (PDF) .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5 . 2018년(年) 8월(月) 27일(日)에 확인(確認)함 .  
  20. 1904년(年)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은 루이지애나 상업박람회(商業博覽會) 회장(會長)인 데이비드 프랜시스가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했으며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大統領)을 초대(招待)하는 일은 애초(애初) 계획(計劃)부터 없었다. 1932년(年) 레이크플래시드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당시(當時) 뉴욕 시장(市場)이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했고, 1932년(年)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에서는 찰스 커티스 부통령(副統領)이 대통령(大統領) 대신(代身) 개막선언(開幕宣言)을 했다. 1960년(年) 스쿼밸리(리)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大統領) 대리(代理)로 리처드 닉슨 당시(當時) 부통령(副統領)이 개막(開幕)을 선언(宣言)하였고, 1980년(年) 레이크플래시드 동계(冬季) 올림픽 에서도 지미 카터 대통령(大統領) 대리(代理)로 월터 먼데일 부통령(副統領)이 나섰다.
  21. “Olympic Charter” (PDF) .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1 . 2012년(年) 8월(月) 13일(日)에 확인(確認)함 .  
  22. “올림픽헌장(憲章) 영한(英韓) 대조본(大棗本)” (PDF) . 대한체육회(大韓體育會) . 2019년(年) 3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23. “Opening Ceremony: 2010 Winter Games declared open” . Vancouver 2010. 2010년(年) 2월(月) 12일(日). 2010년(年) 4월(月) 1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0년(年) 2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Montreal 1976 Olympics Opening - 유튜브
  25. 1984 LA Opening Ceremonies ? Lighting of the Cauldron - 유튜브
  26. Queen Elizabeth Opened London Olympic Games 2012 - 유튜브
  27. https://www.youtube.com/watch?v=1CwplL71AKI
  28. “London 2012 News” . 2017년(年) 1월(月) 24일(日). 2012년(年) 12월(月) 1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29. “London 2012 News” . 2017년(年) 1월(月) 24일(日). 2013년(年) 1월(月) 2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2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30. “When messengers of peace were burnt alive” . Deccan Herald. 2004년(年) 8월(月) 13일(日). 2004년(年) 8월(月) 2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1. Fraioli, Mario (2010년(年) 11월(月) 29일(日)). “The Best Ever: Exclusive Interview With Jim Ryun” . Competitor.com. 2014년(年) 3월(月) 18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4년(年) 3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32. “Olympic Games ? the Medal Ceremonies” . Encyclopædia Britannica. 2017년(年) 4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3. “Symbols and Traditions” . USA Today. 1999년(年) 7월(月) 12일(日)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4. “Medal Ceremony Hostess Outfits Revealed” . China Daily. 2008년(年) 7월(月) 18일(日)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5. “1968 Black Athletes make silent protest” . BBC. 1968년(年) 10월(月) 17일(日)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6. “Mexico 1968” .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37. 사(社) 자(者) “Closing Ceremony Factsheet” (PDF) .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4년(年) 9월(月) 1일(日) . 2016년(年) 8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38. “Baron Pierre de Coubertin had a 'Dream ' . 《www.johnwing.co.uk》.  
  39. “Melbourne (Equestrian ? Stockholm) 1956” . British Olympic Association . 2008년(年) 12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1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40. “Moscow 1980 ? Closing Ceremony ? Los Angeles and Moscow's flags in the stadium.” . Olympic.org. 1980년(年) 8월(月) 3일(日) . 2014년(年) 2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41. Thomas, Andrew (2008년(年) 4월(月) 18일(日)). “Vancouver Mayor Achieves his Dreams with a Big Heart and Mechanical Help” . Disabled World. 2008년(年) 10월(月) 1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2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42. http://www.joongang.co.kr/article/20485655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43. https://stillmed.olympic.org/media/Document%20Library/OlympicOrg/News/2018/02/closing-ceremony/President-speech-PyeongChang-2018-Closing-Ceremony.pdf#_ga=2.178570017.462310004.1519672465-646764680.1519471178
  4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2/25/0200000000AKR20180225062500007.HTML?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