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옥이 이모(姨母)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옥이 이모(姨母)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옥이 이모(姨母)
장르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TV
방송(放送) 기간(期間) 1995년(年) 5월(月) 14일(日) ~ 1995년(年) 12월(月) 31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토(土) , 일(日) 밤 8시(時) 50분(分) ~ 9시(時) 50분(分)
일(日) 밤 8시(時) 50분(分) ~ 10시(時) 50분(分)
방송(放送) 횟수(回數) 69부작(部作)
기획(企劃) 운군일
연출(演出) 성준기
극본(劇本) 김운경(金雲卿)
출연자(出演者) 옥소리 , 선우재덕 외(外)
외부(外部) 링크  <옥이이모> 공식(公式) 홈페이지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옥이이모> 전회차(前廻車) 무료(無料)보기

옥이 이모(姨母) 》는 1995년(年) 5월(月) 14일(日) 부터 1995년(年) 12월(月) 31일(日) 까지 방영(放映)된 SBS 주말극장(週末劇場) 이다.

트리비아(非我) [ 편집(編輯) ]

1995년(年) 10월(月) 21일(日) 부터 《 코리아게이트 》가 토요일(土曜日) 2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됨에 따라 그 해 10월(月) 22일(日) 부터는 일요일(日曜日) 2회(回) 연속(連續) 방영(放映)되었는데 후속작(後續作) 《 부자유친(父子有親) 》이 토요일(土曜日), 일요일(日曜日) 오후(午後) 8시(時) 50분(分) 편성(編成)되어 [1] 32부작(部作)으로 기획(企劃)된 《 코리아게이트 》가 1995년(年) 12월(月) 23일(日) 20회(回)로 막(幕)을 내려야 했다. 또한 지역민방(地域民放) 부산(釜山) , 대구(大邱) , 광주(光州) , 대전(大戰) 민영방송(民營放送) 개국(開國)하여 1996년(年) 부터 일본내(日本內) 한국어(韓國語)채널 KNTV (일본(日本)의 방송사(放送社)) 를 통해 방영(放映)될 예정(豫定)이다.

방송(放送) 시간(時間)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채널 방송(放送) 기간(期間) 방송(放送) 시간(時間)
SBS 1995년(年) 5월(月) 14일(日) 일요일(日曜日) 8시(時) 50분(分) ~ 10시(時) 50분(分)
1995년(年) 5월(月) 20일(日) ~ 1995년(年) 10월(月) 15일(日) 토요일(土曜日) , 일요일(日曜日) 밤 8시(時) 50분(分)
1995년(年) 10월(月) 22일(日) ~ 1995년(年) 12월(月) 31일(日) 일요일(日曜日) 밤 8시(時) 50분(分) ~ 10시(時) 50분(分)

기획(企劃) 의도(意圖) [ 편집(編輯) ]

1962년(年)부터 1980년(年)까지 약(約) 20여(餘) 년(年) 동안 어려웠던 세월(歲月)을 살아간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시대극(時代劇)이자 가족(家族) 성장(成長) 드라마. 인생(人生)에 대(對)한 진지(眞摯)함 뿐만 아니라 향수(鄕愁)를 불러일으키는 정감(情感) 어린 이야기 및 장면(場面)들이 서정성(抒情性)과 함께 잔잔한 웃음을 선사(膳賜)한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 옥소리  : 최순옥 (옥이 이모(姨母)) 역(驛)
준석(樽石)과 순임의 어머니. 종락(種落)과 사랑에 빠져 종락(種落)의 아이를 임신(妊娠)한다. 종락(種落)이 원양어선(遠洋漁船) 사고(事故)로 사망(死亡)하고 자신(自身)의 과거(過去)를 사랑해주는 성(性) 주사(主事)와 결혼(結婚)한다. 하지만 시댁(媤宅)에서 다른 남자(男子)의 아이라는 것을 알고 모진 시집살이(媤집살이)를 한다.
  • 선우재덕  : 김상구(金相球) 역(驛) (아역(兒役) 류재영) - 훗날(後날) 미순과 결혼(結婚)
  • 차기환  : 권복태 역(驛) (아역(兒役) 김형기 )
  • 임대호  : 장학교(場學校) 역(驛) (아역(兒役) 안경용 ) - 훗날(後날) 금순(金錞)과 결혼(結婚)
  • 박지훈  : 김금순 역(驛) (아역(兒役) 박지혜 ) - 훗날(後날) 학교(學校)와 결혼(結婚)
  • 황주효 : 심종호 역(驛) (아역(兒役) 장우성 )
  • 송윤경 : 윤은실 역(驛) (아역(兒役) 이민정)
  • 김인태  : 상구의 외할아버지(外할아버지) 역(驛)
  • 임현식  : 최평수 역(驛) - 상구의 외삼촌(外三寸)
  • 김보미  : 상구의 외숙모(外叔母) 역(驛)
  • 이수나  : 서울댁(宅) 역(驛) - 미순 엄마
상구 외할아버지(外할아버지)의 후처(後妻)이자 만악(萬惡)의 근원(根源)으로 상구(商邱) 외할아버지(外할아버지)가 평생(平生) 모아놓은 복덕방(福德房) 재산(財産)을 가지고 딸(미순)도 내버린채 도망(逃亡)간다.이후 사기혐의(詐欺嫌疑)로 체포(逮捕)되어 교도소(矯導所)에 수감(收監),출소후(出所後) 다방(茶房)에서 일한다.
  • 박민아  : 박미순 역(役) (아역(兒役) 임주영) - 훗날(後날) 상구와 결혼(結婚)
  • 주현  : 풀빵 역(驛) - 상구의 작은 아버지
  • 조양자  : 상구의 작은 어머니 역(役)
  • 김인문  : 심(沈) 서방(西方) 역(驛) - 본명(本名) 심갑술, 종락(種落)과 종호의 아버지
  • 김지영  : 좌천댁(左遷宅) 역(驛) - 종락(種落)과 종호 어머니
  • 정종준  : 박달수 역(驛) - 상구의 담임선생(擔任先生)
  • 권오현(權五鉉)  : 뻥대포(大砲) 역(役) / 박대수 역(驛)
  • 송경철  : 때워 역(驛)
  • 천호진  : 대길(大吉) 역(驛) - 옥이네 머슴 1
  • 김동수(金東秀)  : 팔복(八福) 역(驛) - 옥이네 머슴 2
  • 이원재  : 성(性) 주사(注射) 역(驛)
옥이의 남편(男便). 성주사는 저수지(貯水池)에 빠져있는 옥이를 발견(發見)하고 목숨을 살린다. 옥이와 결혼(結婚)하지만 건강(健康)이 나빠져 간경화(肝硬化)로 사망(死亡)한다.
  • 반효정  : 이(李) 여사(女史) 역(役) - 옥이의 시어머니(媤어머니)
  • 권기선  : 동경댁(東京宅) 허여사(許女史) 역(役) - 복태(卜駄) 엄마
  • 송채환  : 경자 역(役)
  • 서혜린  : 애자(礙子) 역(驛)
  • 황범식  : 엿장수 망태(網태) 역(驛)
  • 홍성민  : 상구의 아버지 역(驛)
  • 조재현  : 심종락 역(驛) - 종호 형(兄), 옥이의 첫사랑
  • 김하균  : 박(朴) 형사(刑事) 역(役) - 정보과(情報科) 과장(課長)
  • 노영국  : 박(朴) 사장(社長) 역(役) - 본명(本名) 박동만, 동경댁(東京宅)의 옛 애인(愛人)
  • 안대용  : 칠정리 아저씨 역(役)
  • 곽정희 : 칠정리 아줌마 역(驛)
  • 박현  : 성용수 역(役) - 옥이의 시동생(媤同生)
  • 우인식 : 박(朴) 사장(社長) 역(役) - 서울댁(宅)의 애인(愛人)
  • 송송이  : 대길(大吉) 처(妻) 역(役)
  • 박영규(朴榮圭)  : 장씨(張氏) 역(驛)
  • 김나운  : 써니 역(驛)
  • 박선영(朴善英)  : 조양(朝陽) 역(驛)
  • 김광영  : 성준석 역(役) - 옥이의 아들
  • 미상(未詳) : 성순임 역(驛) - 옥이의 딸
  • 김현석(金炫奭) : 김택모 역(驛) - 상구의 사촌(四寸)동생
  • 정미숙  : 성문숙 역(驛) - 옥이의 시누이(媤누이), 성주사의 동생
  • 최은숙  : 옥이의 전(前)빵집 종업원(從業員) 역(役)
  • 이제신 : 때워 처(妻) 역(役)
  • 민경조  : 임금순(荀) 간호사(看護師) 역(驛)
  • 정은수 : 복실이 역(驛) - 옥이네 식모(食母)
  • 김은수  : 다방(茶房) 마담 역(役)
  • 박종설  : 국민학교(國民學校) 교장(校長) 역(驛)
  • 조재훈  : 사기꾼(詐欺꾼) 역(驛)
  • 이기철 : 김(金) 계장(係長) 역(驛) - 박(朴) 형사(刑事)의 부하(部下)
  • 맹상훈  : 정선생(鄭先生) 역(驛)
  • 박유승 : 용수의 친구(親舊) 역(役)
  • 이한승 : 옥이의 당숙(堂叔) 역(驛)
  • 성동일  : 하용진 역(驛)
  • 추석양  : 이발소(理髮所) 주인(主人) 역(役)
  • 이숙  : 재치국(才致局)(재첩국) 아줌마 역(驛)
  • 김진구  : 포천댁(抱川宅) 역(驛)
  • 김희정(金姬廷)  : 포천댁(抱川宅) 딸 아지 역(驛)
  • 공형진  : 우동직 역(驛)
  • 박선영(朴善英)  : 우동직 처(妻) 안씨(安氏) 역(驛)
  • 김주일  : 종호 아내 역(役)
  • 최동균  : 향촌옥 손님 역(驛)
  • 김용헌
  • 전진아
  • 류세민(類細民)
  • 이수영

결방(決放) 사유(思惟)와 편성(編成) 변경(變更) [ 편집(編輯) ]

  • 1995년(年) 5월(月) 14일(日) : 1~2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 1995년(年) 6월(月) 17일(日) : 11~12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 1995년(年) 6월(月) 18일(日) : <서울특별시장(서울特別市葬)/대구광역시장(大邱廣域市腸)/광주광역시장(光州廣域市長)/부산광역시장(釜山廣域市長)/대전광역시장(大田廣域市長) 후보(候補) 100분(分) 대토론회(大討論會)> 편성(編成)으로 결방(決放)
  • 1995년(年) 8월(月) 12일(日) : 브라질 국가대표축구(國家代表蹴球)팀 초청경기(招請京畿) <한국(韓國) VS 브라질> 중계방송(中繼放送)으로 9시(時) 50분(分)부터 방영(放映)
  • 1995년(年) 8월(月) 26일(日) : 31~32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 1995년(年) 8월(月) 27일(日) : <생방송(生放送) 세계(世界) 슈퍼 엘리트모델 선발대회(選拔大會)> 편성(編成)으로 결방(決放)
  • 1995년(年) 9월(月) 24일(日) : 뉴스 특보(特報)로 결방(決放)
  • 1995년(年) 10월(月) 14일(日) : 45~46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 1995년(年) 10월(月) 15일(日): 뉴스 특보(特報)로 결방(決放)
  • 1995년(年) 12월(月) 31일(日) : 8시(時) 50분(分)부터 3회(回) 연속(連續) 방송(放送)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아역(兒役) 시절(時節)이 인기(人氣)를 얻자 이 부분(部分)의 방영(放映)을 늘려 속도감(速度感)을 떨어뜨린 데 이어 신변잡기(身邊雜記)의 재미에 치중(置重)했다는 비판(批判)이 있었다. [2]
  • 1996년(年) 3월(月) 열린 제(第) 8회(回) 한국방송작가상(韓國放送作家賞) 드라마 부문(部門) 최종(最終) 후보(候補)에 거론(擧論)되었으나 "화제성(話題性)에서 미치지 못했다"는 혹평(酷評)을 받아 탈락했다. 이후(以後) 한국방송작가상(韓國放送作家賞) 드라마 부문(部門)에서는 "한번(한番) 드라마 작가상(作家賞)을 받은 사람은 재수상(再修床)이 불가능(不可能)하다"는 규정(規定)이 생기기도 했는데, [3] 집필자(執筆者) 김운경(金雲卿) 작가(作家)가 MBC 《 서울의 달 》로 최초(最初) 한국방송작가상(韓國放送作家賞) 드라마 부문(部門) 수상(受賞)(7회(回))의 영예(榮譽)를 안은 것에서 추측(推測)된다. [4]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정천기 (1995년(年) 12월(月) 7일(日)). “「코리아게이트」 갑작스런 종영(終映)/“배경(背景) 뭐냐” 꼬리무는 의혹(疑惑)” . 세계일보(世界日報) . 2020년(年) 7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2. 김갑식 (1995년(年) 12월(月) 30일(日)). “옥이,장씨청혼(張氏請婚) 끝내 거절(拒絶)”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5년(年) 12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3. 채수범 (2003년(年) 12월(月) 11일(日)). ““올해도 드라마 작가상(作家賞) 줄수 없다”방송작가협 “대부분(大部分) 작품성(作品性) 미달(未達)”” . 서울신문(서울新聞) . 2018년(年) 12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정연욱 (1995년(年) 3월(月) 31일(日)). “제(第)7회(回) 방송작가상(放送作家賞) 시상식(施賞式)”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8년(年) 12월(月) 16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SBS 주말극장(週末劇場)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
이 여자(女子)가 사는 법(法)
(1994년(年) 10월(月) 8일(日) ~ 1995년(年) 5월(月) 13일(日))
옥이 이모(姨母)
(1995년(年) 5월(月) 14일(日) ~ 1995년(年) 12월(月) 31일(日))
부자유친(父子有親)
(1996년(年) 1월(月) 6일(日) ~ 1996년(年) 7월(月) 14일(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