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리아 테레지아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마리아 테레지아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마리아 테레지아
신성(神聖)로마황후(皇后)
이탈리아의 왕비(王妃)
독일(獨逸) 왕비(王妃)
재위(在位) 1745년(年) 9월(月) 13일(日) ~ 1765년(年) 8월(月) 18일(日)
대관식(戴冠式) 1743년(年) 5월(月) 12일(日)
전임(前任)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후임(後任) 마리아 요(要)제파 폰 바이에른 공녀(貢女)
헝가리 여왕(女王)
크로아티아 여왕(女王)
오스트리아 여대(餘臺)공
재위(在位) 1740년(年) 10월(月) 20일(日) ~ 1780년(年) 11월(月) 29일(日)
대관식(戴冠式) 1741년(年) 6월(月) 25일(日)
전임(前任) 카를 6세(歲)
후임(後任) 요제프 2세(歲)
보헤미아 여왕(女王)
재위(在位) 1740년(年) 10월(月) 20일(日) ~ 1741년(年)
1743년(年) ~ 1780년(年) 11월(月) 29일(日)
전임(前任) 카를 6세(歲)
카를 7세(歲)
후임(後任) 카를 7세(歲)
요제프 2세(歲)
파르마 여공작(餘工作)
재위(在位) 1740년(年) 10월(月) 20일(日) ~ 1748년(年) 10월(月) 18일(日)
전임(前任) 카를로 2세(歲)
후임(後任) 필리포 1세(歲)
이름
마리아 테레지아 발부르가 아말리아 크리스티나
Maria Theresia Walburga Amalia Christina
별호(別號) K.K (Konigin. Kaiserin)
신상정보(身上情報)
출생일(出生日) 1717년(年) 5월(月) 13일(日) ( 1717-05-13 )
출생지(出生地) 오스트리아 대공국(大公國) 호프부르크 왕궁(王宮)
사망일(死亡日) 1780년(年) 11월(月) 29일(日) ( 1780-11-29 ) (63세(歲))
사망지(死亡地) 오스트리아 대공국(大公國) 호프부르크 왕궁(王宮)
가문(家門)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부친(父親)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카를 6세(歲)
모친(母親)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배우자(配偶者)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프란츠 1세(歲)
자녀(子女) 요제프 2세(歲) , 레오폴트 2세(歲) 포함(包含) 16명(名)
아래 참조(參照)
종교(宗敎) 로마 가톨릭
묘소(墓所) 황가납골당(黃家納骨堂)
마리아 테레지아(兒)에 대(對)한 충성맹세(忠誠盟誓) 1740년(年) 11월(月) 22일(日)

마리아 테레지아 [1] ( 독일어(獨逸語) : Maria Theresia 마리아 테레지아 [ * ] , 체코어(語) : Marie Teresie 마리에 테레시에 [ * ] , 헝가리어(語) : Maria Terezia 마리어 테레지어 [ * ] , 슬로바키아어(語) : Maria Terezia 마리아 테레지아 , 크로아티아어 : Marija Terezija 마리야 테레지야(野) , 1717년(年) 5월(月) 13일(日) ~ 1780년(年) 11월(月) 29일(日) )는 합스부르크 군주국(君主國) [2] 의 유일(唯一)한 여성(女性) 통치자(統治者)이자,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의 마지막 군주(君主)였다. [3] 그녀(그女)는 오스트리아 , 헝가리 , 크로아티아 , 보헤미아 , 만토바 , 밀라노 , 갈리치아(齒牙)와 로도(路鼗)메리아 , 오스트리아령(領) 네덜란드 파르마 등(等)의 통치자(統治者)였다. 결혼(結婚)을 하면서 로렌 공작(公爵) 부인(婦人) 이 되었으며, 후(後)에 토스카나 대공비(對共費) , 신성(神聖)로마황후(皇后) 의 지위(地位)를 얻었다. [4]

그녀(그女)는 태어나자마자, 1713년(年) 국사조칙(局社詔勅) 에 의(依)해서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의 상속녀(相續女)로 공표(公表)되었으며, 카를 6세(歲) 는 결국(結局) 아들을 낳지 못하고 죽었으므로, 그의 사후(死後)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의 수장(首長)이 되었으며, 영토(領土)들을 물려받았다. [5] 하지만, 카를 6세(歲) 사후(事後) 프로이센 바이에른 , 프랑스 , 작센 에서는 그녀(그女)의 계승(繼承)의 반발(反撥)하였고, 그 결과(結果) 오스트리아 계승(繼承) 전쟁(戰爭) 이 발발(勃發)하게 되지만, 프로이센 슐레지엔 을 내주는 대신(代身) 각(各) 국(國)으로부터 그녀(그女)의 승인(承認)을 인정받는다. 그녀(그女)는 후(後)에 슐레지엔 을 찾으려고, 7년(年) 전쟁(戰爭) 을 일으키지만 실패(失敗)하고 만다.

그녀(그女)는 로트링겐의 프란츠 슈테판 과 혼인(婚姻)하였는데, 16명(名)의 자녀(子女)를 낳았다. 그녀(그女)의 자녀(子女)들 중(中)에는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황제(皇帝) 가 된 요제프 2세(歲) 레오폴트 2세(歲) 를 비롯하여서, 프랑스의 왕비(王妃) 마리 앙투아네트 , 나폴리의 왕비(王妃) 마리아 카롤리나 , 파르마의 공비(共匪) 마리아 아말리아 등(等)이 있다. 그녀(그女)가 생전(生前)에 사용(使用)했던 칭호(稱號)는 Konigin(여왕(女王))과 Kaiserin(황후(皇后))의 머릿글자(머리글字)를 딴 ‘K.K’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생애(生涯) 초기(初期) [ 편집(編輯) ]

출생(出生)과 젊은 시절(時節) [ 편집(編輯) ]

어린 시절(時節)의 마리아 테레지아

1717년(年) 5월(月) 13일(日) ,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카를 6세(歲)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사이에서 장녀(長女)로 태어났으며, 전(全)(前)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황후(皇后) 였던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아말리아 빌헬미네 , 팔츠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막달레네 가 그녀(그女)의 대모(代母)가 되었다. [6]

아버지 카를 6세(歲) 는 여러 번(番) 아들을 얻으려 하였으나 끝내 아들을 얻지 못했다. 카를의 형제(兄弟)들 역시(亦是) 20대(代) 이전(以前)에 요절(夭折)하였다. 카를 6세(歲) 시기(時期)에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에는 더 이상(以上)의 남자(男子) 상속인(相續人)이 남아있지 않게 되었고, 결국(結局) 1713년(年) 국사조칙(局社詔勅) 을 반포(頒布)하여, 남자(男子) 상속인(相續人)이 없는 경우(境遇)엔 가장 손위의 여성(女性)이 상속(相續)할 수 있도록 상속법(相續法)을 개정(改正) [7] 하고, 여러 나라에게 이를 승인(承認)해줄 것을 요청(要請)하였다.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잠재적(潛在的) 왕위(王位) 계승자(繼承者) [ 편집(編輯) ]

당시(當時)의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은 명분상(名分上)의 황제국(皇帝國)이었고 프랑스 , 영국(英國) 등(等)의 왕국(王國)과 동격(同格)으로 실추(失墜)되어 있었으며 스위스 , 벨기에 등(等)의 국가(國家)들은 이미 독립(獨立)하여 도시국가(都市國家)를 형성(形成)하고 있었다. 부왕(父王) 카를은 끝내 아들을 포기(抛棄)하고 그녀(그女)에게 상속권(相續權)을 주기 위해 부단히(不斷히) 노력(努力)했고, 영국(英國) 프랑스 , 작센 폴란드 , 네덜란드 , 스페인 [8] , 베네치아 [9] , 교황청(敎皇廳) , [9] , 러시아 [9] , 덴마크 [10] , 프로이센 [10] , 사르데냐 [10] , 바이에른 [10] 을 비롯하여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내(內)에 수(數) 많은 영방(領邦) 군주(君主)들에게도 승인(承認)을 받아낸다. 하지만 카를 6세(歲) 사후(事後) 프랑스 스페인 , 작센 폴란드 , 프로이센 , 바이에른 이 그녀(그女)의 계승(繼承)을 인정(認定)할 수 없다며, 전쟁(戰爭)을 일으키게 된다. 카를 6세(歲)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황후(皇后) 는 이후(以後)에도 두 명(名)의 아이를 낳지만, 모두 여대(餘臺)공이었으므로, 그녀(그女)는 계속(繼續) 추정상속인(推定相續人) 으로 머물러있었다.

결혼(結婚) [ 편집(編輯) ]

전(全) 유럽에서 가장 뛰어난 미모(美貌)를 가진 여대(餘臺)공 으로 널리 알려져 사람들로부터 인기(人氣)가 많았다. 1732년(年) 빈에 유학(留學)하러 온 로트링겐의 프란츠 슈테판 과 사랑에 빠졌는데, 항상(恒常) 밤에는 그를 생각하며 꿈을 꾸었고 낮에는 궁녀(宮女)들에게 그에 대(對)해 이야기하기를 즐겼을 정도(程度)였다고 그 당시(當時) 영국(英國) 대사(大使)가 적고 있다. 원래(元來) 카를 6세(歲)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왕세자(王世子) 스페인의 카를로스 왕세자(王世子) , 포르투갈의 주제(主題) 왕세자(王世子) 와의 결혼(結婚)을 생각해보기도 하였지만, 카를 6세(歲) 역시(亦是) 프란츠가 마음에 들었고, 특별히(特別히) 딸에게 결혼(結婚)할 수 있는 사람을 고를 수 있도록 하여 [11] 1736년(年) 2월(月) 12일(日)에 두 사람은 혼례(婚禮)를 올렸다. 연애(戀愛) 결혼(結婚)이기도 했지만 당시(當時) 로트링겐 공국(公國) 을 둘러싸고 프랑스와의 이해관계(利害關係)에 의(依)한 정치적(政治的) 결합(結合)이기도 하였다.

제위(祭位) 계승전(繼承戰) [ 편집(編輯) ]

오스트리아 계승전쟁(繼承戰爭) [ 편집(編輯) ]

하지만, 그녀(그女)의 장밋빛(薔薇빛) 인생(人生)은 카를 6세(歲) 가 서거(逝去)한 후(後) 곧바로 깨지고 만다. 즉(卽), 카를 6세(世)가 죽자 주변(周邊) 나라들이 그녀(그女)의 합스부르크 가 의 모든 영토(領土)에 대(對)한 상속권(相續權)에 대(對)해 이의(異議)를 제기(提起)하며 인정(認定)하려 들지 않았다. 독일(獨逸) 의 제후(諸侯)들은 그의 먼 친척(親戚)인 비텔스바흐 왕가(王家) 출신(出身) 카를을 카를 7세(歲) 로 추대(推戴)한다. 결국(結局) 합스부르크 가와 혈연(血緣) 관계(關係)를 맺고 있던 나라들이 서로 자신(自身)이야말로 합스부르크 가(街)의 상속권(相續權)을 물려받아야 한다며 영토(領土)를 분할(分割)하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쳐들어 갔다. 이것이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王位繼承戰爭) (1740년(年) - 1748년(年))이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歲) 가 처음으로 전쟁(戰爭) 공포(恐怖)도 없이 합스부르크 가 영토(領土)인 슐레지엔 을 공격(攻擊)하였다. 이에 대(對)해 마리아 테레지아는 슐레지엔을 결사(結社) 방어(防禦)하겠다는 결의(決意)를 분명히(分明히) 하여, 제(第)1차(次) 슐레지엔 전쟁(戰爭)이 발발(勃發)하였다. 그녀(그女)는 당시(當時) 23살이었던 데다가 네 번째(番째) 아이를 임신(妊娠) 중(中)이었지만, 1741년(年) 3월(月) 13일(日) 마침내 고대(苦待)하던 아들 요제프를 무사히(無事히) 낳아, 국내(國內) 사기(士氣)가 치솟아 올랐다. 1741년(年) 6월(月) 25일(日)에 마리아 테레지아는 우선(于先) 헝가리 여왕(女王) 으로 즉위(卽位)했다. 그러나 그 후(後), 바이에른 선제후(選帝侯) 카를 알브레히트 마저 오스트리아의 적(敵)으로 돌아섰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바이에른과 전쟁(戰爭)을 치르기로 결의(決議)했지만, 오스트리아는 거듭되는 전쟁(戰爭) 때문에 전비(戰費)가 갈수록 줄어든 데다가 원군(援軍)도 없고, 궁정(宮廷)의 중신(重臣)들은 어찌할 바를 몰라 우왕좌왕(右往左往)했다. 그러자 그녀(그女)는 1741년(年)에 헝가리로 가서 9월(月) 11일(日) 헝가리 의회(議會)에서 연설(演說)을 하여 군자금(軍資金)과 병력(兵力)을 얻었다. 그리고 군사력(軍事力) 증가(增加) 및 강화(强化)에 박차(拍車)를 가(加)하였다.

이후(以後) 전황(戰況)은 대역전(大逆轉)을 거듭하며, 한때는 황제(皇帝) 자리도 카를 알브레히트(카를 7세(歲))에게 빼앗기지만, 카를 사후(事後)에 탈환(奪還)하여 1745년(年) 10월(月) 4일(日)에 남편(男便) 프란츠 슈테판을 다시 제위(帝位)에 앉히는 데에 성공(成功)한다. 하지만 프로이센에게는 군대(軍隊)의 질(質) 등(等)의 격차(隔差)로 인해 연패(連霸)를 거듭하여 1745년(年) 드리스덴 조약(條約)을 맺어 슐레지엔의 프로이센 영유(領有)를 승인(承認)하였고, 프랑스 와의 전쟁(戰爭)은 한동안 더 계속(繼續)되다가 프랑스와 대립(對立)하던 영국(英國) 과 손을 잡아, 최종적(最終的)으로 1748년(年) 아헨 조약(條約)을 체결(締結)함으로써 종결(終結)되어 프라그마티셰 장크치온, 즉(卽) 국본조칙(國本詔勅)(國本詔勅)에 대(對)한 각국(各國)의 승인(承認)을 얻어내는 데 성공(成功)한다.

7년(年) 전쟁(戰爭) [ 편집(編輯) ]

마리아 테레지아가 새겨진 금화(金貨)

정치적(政治的)으로 능력(能力)이 별로(別로) 뛰어나지 못했던 남편(男便)을 대신(代身)하여 정치적(政治的) 국면(局面)에서 비상(非常)한 재능(才能)을 발휘(發揮)하였던 마리아 테레지아가 모든 국정(國政)을 총괄(總括)하였다. 그녀(그女)는 슐레지엔을 탈환(奪還)하려는 목적(目的)으로, 하우크비트를 등용(登用)한 내정(內政) 개혁(改革)과 다운에 의(依)한 군개혁(軍改革)을 실시(實施)하면서도, 외교면(外交面)에서는 카우니츠를 등용(登用)하여 프랑스에 접근(接近)하였다. 막시밀리안 1세(歲) 이래(以來) 오랫동안 합스부르크 가와 적대(敵對)해 온 프랑스는 당시(當時) 영국(英國)과도 대립(對立) 상태(狀態)였는지라 프로이센이 영국(英國)과 동맹(同盟)을 체결(締結)한 것에 자극(刺戟)받아 오스트리아와 화해(和解)하고 동맹(同盟)을 맺게 된다. 이것을 외교(外交) 혁명(革命)이라고 한다.

또, 프랑스의 루이 15세(歲) 의 애첩(愛妾)으로서 정치적(政治的)으로 중요(重要)한 위치(位置)를 차지하고 있던 퐁파두르 후작(侯爵) 부인(婦人) 러시아의 옐리자(子)베타 , 그리고 마리아 테레지아 이 세 명(名)의 여성(女性)들이 반(反)(反)프로이센 포위망(包圍網)을 결성(結成)한 것을 빗대어 ‘3자매(姊妹)의 패티코트 작전(作戰)’이라는 호칭(呼稱)이 붙었다.

1756년(年) ,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간(間)에 전쟁(戰爭)이 다시 발발(勃發)하였다. 훗날(後날) 7년(年) 전쟁(戰爭) 이라고 불리게 되는 이 전쟁(戰爭)은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王位繼承戰爭) 때와는 달리 프랑스 및 러시아와의 동맹(同盟)을 맺은 오스트리아가 초반(初盤)에 우세(優勢)하였지만, 프로이센의 끈질기게 버팀에 따라 재정적(財政的) 부담(負擔)이 계속(繼續) 커져갔다. 1762년(年), 러시아에서 오스트리아와의 동맹(同盟)을 추진(推進)해 온 옐리자(子)베타가 서거(逝去)하고 그녀(그女)의 이질(痢疾)이자 프리드리히 2세(歲)의 신봉자(信奉者)인 표트르 3세(歲) 가 즉위(卽位)한 결과(結果), 러시아가 종반(終盤)에 전쟁(戰爭)에서 이탈(離脫)하였고, 그 후(後) 오스트리아가 패전(敗戰)함으로써, 마리아 테레지아는 슐레지엔 탈환(奪還)을 단념(斷念)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해서 1763년(年) 프레스부르크 조약(條約)으로 강화(强化)하여, 프로이센의 슐레지엔 영유(領有)가 최종(最終) 확정(確定)되었다.

통치기간(統治期間) [ 편집(編輯) ]

종전(從前)과 내정(內定) 수습(收拾) [ 편집(編輯) ]

마리아 테레지아(兒)와 프란츠 1세(歲)의 무덤

7년(年) 전쟁(戰爭)이 종식(終熄)되자 마리아 테레지아는 오스트리아의 선진국화(先進國化)를 위해 여러 가지 내정(內政) 개혁(改革)을 실행(實行)에 옮겨 큰 성과(成果)를 거두었다. 명목상(名目上)의 황제(皇帝)인 남편(男便) 프란츠 1세(歲) 의 치세기간(治世期間) 중(中) 그는 실질적(實質的)인 통치자(統治者)로서 오스트리아 - 헝가리 왕국(王國) 은 물론(勿論)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의 정치(政治)에 관여(關與)하였다. 이에 각지(各地)의 제후국(諸侯國), 특히(特히)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대왕(大王) 같은 이는 노골적(露骨的)으로 불만(不滿)과 반감(反感)을 드러내기도 했다.

우선(于先) 그녀(그女)는 사병(士兵) 확충(擴充) 주장(主張)을 물리치고 다른 나라보다 먼저 전국(全國)에 초등학교(初等學校)를 신설(新設)하여 의무(義務) 교육(敎育)을 확립(確立)시켰다. 이에 따라 같은 내용(內容)의 교과서(敎科書)가 전국적(全國的)으로 배포(配布)되어 각(各) 지역(地域)마다 각각(各各)의 언어(言語)로 어린이들에 대(對)한 교육(敎育)을 실시(實施)하였다. 그 결과(結果) 국민(國民)들의 지적(知的) 수준(水準)이 크게 상승(上昇)했다.

또한 매춘(賣春)을 금지(禁止)시키고, 매춘(賣春) 여성(女性)과 포주(抱主), 중개인(仲介人)들을 잡아다가 채찍형(型)을 가(加)한 후(後) 노동(勞動) 교화소(敎化所)로 보내 강제(强制) 노역(奴役)을 시켰다. 그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 는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兒)의 이런 점(點)을 높이 사서 프랑스 내(內)에서의 매춘행위(賣春行爲)를 금지(禁止)하게 하였다.

계몽주의(啓蒙主義)와 보수성(保守性) [ 편집(編輯) ]

또한 그녀(그女)는 군사(軍事) 행정(行政) 위원(委員)을 설치(設置)하여 군세(軍勢) 징수(徵收) 등(等)에 관(關)한 외부(外部)의 개입(介入)을 배제(排除)시켰다. 1762년(年)에는 군사(軍事) 기구(機構)가 궁정(宮廷)의 군사청(軍士請) 아래로 통괄(統括)되어 궁정(宮廷) 군사청(軍事廳)이 최고(最高) 결정(決定) 기관(機關)이 되었다. 또, 일반(一般) 징병제(徵兵制)가 채용(採用)되었다. 이 징병제(徵兵制)는 전국민(全國民)의 무차별적(無差別的)인 병역(兵役)을 의무화(義務化)하고 있어(실제로는 신분(身分) 차별(差別)이 있지만), 농민(農民) 출신(出身)이라도 급료(給料)를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병사(兵士)들의 안정(安定)된 생활(生活)이 보장(保障)되어 오스트리아의 군사력(軍事力)은 현격(懸隔)히 급증(急增)하였다.

그러나 세월(歲月)이 흐르면서 계몽주의(啓蒙主義) 적인(敵人) 관료(官僚)의 기세(氣勢)가 드세져, 그녀(그女)의 개혁(改革) 정책(政策)도 점차(漸次) 계몽주의적(啓蒙主義的) 색채(色彩)를 띠게 되었다. 의복(衣服)의 자유화(自由化)(1766년(年))나 예수회 탄압(彈壓)(1773년(年)) 등(等)이 대표적(代表的)이지만, 그녀(그女) 자신(自身)은 점차(漸次) 보수화(保守化)해 갔다. 1765년(年) 서거(逝去)한 남편(男便) 프란츠의 뒤를 이어 제위(帝位)에 오른 아들 요제프 2세(歲) 의 급진주의적(急進主義的) 개혁(改革) 성향(性向)에 자주 대립(對立)하여 견제(牽制)하였다.

1765년(年) 남편(男便) 프란츠 1세(歲) 가 서거(逝去)하고 아들 요제프 2세(歲) 가 제국(帝國) 황제(皇帝)로 즉위(卽位)하였다. 그녀(그女)는 아들 요제프의 후견인(後見人)이자 제국(帝國) 황제(皇帝)의 섭정(攝政)의 지위(地位)로 영향력(影響力)을 행사(行使)했으나, 요제프 2세(歲) 는 친정(親庭)을 원(願)했고 사사건건(事事件件) 갈등(葛藤)을 빚었다. 요제프 마리 앙투아네트 를 염려(念慮)하여 프랑스 에 지원(支援)하려는 그녀(그女)의 견해(見解)에 반대(反對)하기도 한다.

사후(事後) [ 편집(編輯) ]

말년(末年)에는 그녀(그女)의 딸인 마리 앙투아네트 의 사치스러운 생활(生活)을 걱정해 폭동(暴動)의 염려(念慮)와 찰스 1세(歲) 의 최후(最後), 영국(英國)의 명예혁명(名譽革命) 에 관련(關聯)된 경고(警告)를 여러 차례(次例) 편지(便紙)를 보냈으나 딸은 이를 거절(拒絶)하였다.

1780년(年) 서거(逝去)하였으며, 시신(屍身)은 가장 사랑했던 남편(男便) 프란츠와 함께 합스부르크 가(街)의 묘소(墓所)인 카푸치나 예배당(禮拜堂)에 매장(埋葬)되었다. (마리아 테레지아(兒)의 죽음 이후(以後) 합스부르크왕가(王家)의 오스트리아가 점차(漸次) 해체(解體)되었다고도 말하기도 한다.)

가정(家庭) 생활(生活) [ 편집(編輯) ]

마리아 테레지아(兒)와 그녀(그女)의 가족(家族)들

마리아 테레지아는 첫사랑인 프란츠 슈테판과 당시(當時)로서는 극히(極히) 드물었던 연애(戀愛) 결혼(結婚)에 성공(成功)하였으며(비록 남편(男便)이 이 결혼(結婚)을 위해 자신(自身)의 영지(領地) 로트링겐 공국(公國) 을 포기(抛棄)해야 했지만), 금실(琴瑟)이 좋아 부부(夫婦) 생활(生活)은 매우 원만(圓滿)했다. 결혼(結婚)하기 4일(日) 전(前)에 프란츠에게 보낸 편지(便紙)를 모아둔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는데, 미래(未來)의 남편(男便)에 대(對)해 그녀(그女)가 얼만큼 정열(情熱)을 쏟았는가를 알 수 있다. 이 편지(便紙)는 라틴어(語) 프랑스어(프랑스語) 등(等) 여러 가지 언어(言語)로 쓰여있어 그녀(그女)의 교양(敎養)의 깊이도 엿볼 수 있다. 프란츠는 때때로 다른 여성(女性)과 염문(艶聞)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정치가(政治家)로서 탁월(卓越)했던 그녀(그女)는 그것을 모두 눈치채고 있음에도 눈감아 주었다. 또 남편(男便)이 죽은 후(後) 자신(自身)이 뒤따라 죽을 때까지 15년간(年間) 상복(喪服)을 벗지 않았다고 전(傳)해진다.

마리아 테레지아는 프란츠와의 사이에서 총(總) 16명(名)의 아이를 낳았다. 그녀(그女)는 프로이센을 타도(打倒)하기 위해서는 막시밀리안 1세(歲) 이후(以後) 200년간(年間)의 숙적(宿敵)이었던 프랑스와 화해(和解)할 필요(必要)가 있다고 판단(判斷)했다. 그러한 이유(理由)로 자녀(子女)들의 대부분(大部分)을 프랑스, 에스파냐 , 이탈리아 부르봉 가 일족(一族)과 정략(政略) 결혼(結婚)을 맺게 하였지만, 이는 나중에 독일(獨逸) 제후(諸侯)로서 합스부르크 가(家)의 몰락(沒落)의 한 원인(原因)이 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19세기(世紀) 이후(以後)의 독일(獨逸) 정세(情勢)를 보았을 때, 이러한 결혼(結婚) 정책(政策)은 성공적(成功的)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아이들의 교육(敎育)과 계몽(啓蒙)에 관심(關心)이 많았던 그녀(그女)는 이상적(理想的)인 어머니상의(相議) 이미지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녀(그女)는 아이들 각자(各自)에 대(對)한 편애(偏愛)가 있었는데, 그 중(中)에서도 4녀(女) 마리아 크리스티나 를 가장 사랑했으며 그녀(그女)에게만은 작센 선제후(選帝侯)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歲)의 아들 알베르트 와의 연애(戀愛) 결혼(結婚)을 1766년(年) 에 승낙(承諾)해 주었다. 이 때문에 마리아 테레지아가 죽은 후(後), 이 부부(夫婦)는 요제프 2세(世)로부터 푸대접(푸待接)을 받게 된다. 또 몸이 불편(不便)하여 정략(政略) 결혼(結婚)에 이용(利用)할 수 없었던 마리아 안나 에게는 차갑게 대(對)하는 등(等) 이상적(以上的)인 어머니상(像)과는 다소(多少) 거리(距離)가 멀었다.

또한 그녀(그女)는 죽기 직전(直前) 프랑스 왕비(王妃)가 된 11녀(女) 마리 앙투아네트 를 항상(恒常) 염려(念慮)하였다. 그녀(그女)가 매춘(賣春)을 불법(不法)으로 규정(規定)하고 매춘(賣春), 매음굴(賣淫窟)을 단속(團束)했던 것을 알던 마리 앙투아네트 프랑스 루이 15세(歲) 의 매춘부(賣春婦) 출신(出身) 후궁(後宮) 뒤바리 부인(夫人) 을 심(甚)히 경멸(輕蔑)하였고, 마리아 테레지아는 이를 염려(念慮)하여 카우니츠 백작(伯爵)과 메르시 백작(伯爵) 등(等)을 통해 그들의 훈령(訓令), 건의(建議) 형식(形式)으로 앙투아네트에게 조언(助言)하였다.

그녀(그女)는 활발(活潑)하여 유달리(類달리) 노는 것을 좋아하는 딸에게 봉기(蜂起)( 프랑스 혁명(革命) )의 발생(發生)을 경고(警告)하는 편지(便紙)와 찰스 1세(歲) 의 처형(處刑)을 경고(警告)하는 편지(便紙)를 여러 번(番) 보내기도 하였다. 프랑스 주재(主宰) 오스트리아 대사(臺詞)를 통해 여러 번(番) 훈령(訓令)을 보내기도 했지만 마리 앙투아네트 는 이를 무시(無視)하였다. 또, 츠바이브뤼켄 공자(孔子) 카를과의 연애(戀愛) 결혼(結婚)을 허락(許諾)받지 못하고 파르마 공 페르디난도(度)의 아내가 된 6녀(女) 마리아 아말리아 는 시집간 후(後) 방약무인(傍若無人)한 행동(行動)을 일삼았기 때문에 마리아 테레지아는 그녀(그女)의 오스트리아 및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입국(入國)을 금지(禁止)하였다.

기타 [ 편집(編輯) ]

일반적(一般的)으로 ‘여제(女帝)’라고 불리며 실제로(實際로)도 여제(女帝)나 다름없었지만, 공식적(公式的)으로는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 가 아닌 황후(皇后) 였다. 그럼에도 불구(不拘)하고 그녀(그女)는 당시(當時) 사람들에게 사실상(事實上) 여제시(餘提示) 되고 있었다. 정식(正式)으로는 황후(皇后)에 지나지 않는 그녀(그女)가 이처럼 다루어지는 이유(理由)는 다음과 같다.

  • 남편(男便)인 황제(皇帝)가 프랑스 국경(國境) 주변(周邊)의 로트링겐 공국(公國) 출신(出身)이며, 실제(實際) 정치적(政治的)인 권한(權限)을 거의 갖고 있지 않았던 것.
  • 제위(諸位)는 남편(男便)의 소유(所有)가 되었지만,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은 사실상(事實上) 군소(群小) 국가(國家)의 독립(獨立) 체제(體制)로서 통일(統一) 국가(國家)를 이루지 못하여 실질적(實質的)으로는 명예(名譽) 작위(作爲)이었던 반면(反面), 법적(法的)으론 국가(國家)가 아니였지만 군주(君主)의 권한(權限)이 강(剛)했던 합스부르크 군주국(君主國) 의 당주권(黨主權)은 마리아 테레지아(兒)에게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프란츠는 부군(夫君)으로서의 이미지로, 마리아 테레지아는 여제적(與制的) 이미지(실제로(實際로)는 황후(皇后)이며 여왕(女王))로 세간(世間)에 널리 퍼졌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어(韓國語)로 쓰인 백과사전(百科事典)에서도 마리아 테레지아를 여제(女帝)(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여제(女帝) 또는 오스트리아의 여제(女帝))로서 게재(揭載)하는 경향(傾向)이 많다.

마리아 테레지아 시대(時代)부터 궁전(宮殿)에서 남은 음식(飮食)을 근처(近處) 레스토랑에 하사했다. 바바라 로만이 경영(經營)하는 '골든쉽'이라는 가게가 그 권리(權利)를 얻었다. 궁정요리(宮廷料理)를 먹고 싶어한 미식가(美食家)들이 몰려들어 성황(盛況)을 이뤘다.

자녀(子女) [ 편집(編輯) ]

마리아 테레지아는 프란츠 1세(世)와의 사이에서, 5남(男) 11녀(女)(총(銃) 16명(名))의 자녀(子女)를 두었다.

사진(寫眞) 이름 생일(生日) 사망(死亡) 기타
마리아 엘리자베트 1737년(年) 2월(月) 5일(日) ( 1737-02-05 ) 1740년(年) 6월(月) 6일(日) ( 1740-06-06 ) (3세(歲)) 요절(腰絶)
마리아 안나 1738년(年) 10월(月) 6일(日) ( 1738-10-06 ) 1789년(年) 11월(月) 19일(日) ( 1789-11-19 ) (51세(歲)) 수녀(修女) 가 됨
마리아 카롤리나 1740년(年) 1월(月) 12일(日) ( 1740-01-12 ) 1741년(年) 1월(月) 25일(日) ( 1741-01-25 ) (1세(歲)) 요절(腰絶)
요제프 2세(歲) 1741년(年) 3월(月) 13일(日) ( 1741-03-13 ) 1790년(年) 2월(月) 20일(日) ( 1790-02-20 ) (48세(歲))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
이사벨라 디 파르마 공녀(貢女) 와 결혼(結婚), 2녀(女)(요절(腰絶))
마리아 요(要)제파 폰 바이에른 공녀(貢女) 와 재혼(再婚), 자녀(子女) 없음
마리아 크리스티나 1742년(年) 5월(月) 13일(日) ( 1742-05-13 ) 1798년(年) 6월(月) 24일(日) ( 1798-06-24 ) (56세(歲)) 알베르트 카지미어 폰 테셴 공작(工作) 과 결혼(結婚), 1녀(女)(요절(腰絶))
마리아 엘리자베트 1743년(年) 8월(月) 13일(日) ( 1743-08-13 ) 1808년(年) 9월(月) 22일(日) ( 1808-09-22 ) (65세(歲)) 미혼(未婚)
카를 요제프 1745년(年) 2월(月) 1일(日) ( 1745-02-01 ) 1761년(年) 1월(月) 18일(日) ( 1761-01-18 ) (15세(歲)) 천연두(天然痘) 로 요절(腰絶)
마리아 아말리아 1746년(年) 2월(月) 26일(日) ( 1746-02-26 ) 1804년(年) 6월(月) 18일(日) ( 1804-06-18 ) (58세(歲)) 페르마의 페르디난도 1세(歲) 과 결혼(結婚), 슬하(膝下) 3남(男) 6녀(女)
레오폴트 2세(歲) 1747년(年) 5월(月) 5일(日) ( 1747-05-05 ) 1792년(年) 3월(月) 1일(日) ( 1792-03-01 ) (44세(歲))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 황제(皇帝)
스페인 공주(公州) 마리아 루도비(壘徒費)카 폰 슈파니엔 과 결혼(結婚), 12남(男) 4녀(女)
마리아 카롤리나 1748년(年) 9월(月) 17일(日) 1748년(年) 9월(月) 17일(日) 요절(腰絶)
마리아 요한나 가브리엘라 1750년(年) 2월(月) 4일(日) ( 1750-02-04 ) 1762년(年) 12월(月) 23일(日) ( 1762-12-23 ) (12세(歲)) 천연두(天然痘) 로 요절(腰絶), 미혼(未婚)
마리아 요(要)제파 1751년(年) 3월(月) 19일(日) ( 1751-03-19 ) 1767년(年) 10월(月) 15일(日) ( 1767-10-15 ) (16세(歲)) 천연두(天然痘) 로 요절(腰絶),
양시칠리아 페르디난도 1세(歲) 와 결혼(結婚) 전(前) 사망(死亡)
마리아 카롤리나 1752년(年) 8월(月) 13일(日) ( 1752-08-13 ) 1814년(年) 9월(月) 8일(日) ( 1814-09-08 ) (62세(歲)) 양시칠리아 페르디난도 1세(歲) 왕비(王妃), 8남(男) 11녀(女)
페르디난트 1754년(年) 6월(月) 1일(日) ( 1754-06-01 ) 1806년(年) 12월(月) 24일(日) ( 1806-12-24 ) (52세(歲)) 외(外)스터라이히에스테 대공(對空)
마리아 베아트리스 데스테 와 결혼(結婚), 5남(男) 5녀(女)
마리아 안토니아
훗날(後날)의 마리 앙투아네트
1755년(年) 11월(月) 2일(日) ( 1755-11-02 ) 1793년(年) 10월(月) 16일(日) ( 1793-10-16 ) (37세(歲)) 프랑스 왕국(王國) 루이 16세(歲) 와 결혼(結婚), 2남(男) 2녀(女)
프랑스 혁명(革命) 으로 처형당함
막시밀리안 프란츠 1756년(年) 12월(月) 8일(日) ( 1756-12-08 ) 1801년(年) 7월(月) 26일(日) ( 1801-07-26 ) (44세(歲)) 쾰른 선제후(選帝侯) 겸(兼) 대주교(大主敎), 미혼(未婚)

직함(職銜)과 작위(爵位) [ 편집(編輯) ]

마리아 테레지아(兒)의 문장(文章)

마리아 테레지아는 수(數) 많은 작위(作爲)를 지녔다. 대표적(代表的)인 작위(作爲)로는,

등(等)이 있다.

그녀(그女)의 남편(男便)이 사망(死亡)하고 난 후(後)의 정식(正式) 호칭(呼稱)은 다음과 같다.

  • 한국어(韓國語) : 경애(敬愛)하는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 신(神)의 은총(恩寵)으로,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황태후(皇太后)이자 헝가리와 보헤미아,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갈리치아, 로도메리아의 여왕(女王), 독일(獨逸)의 왕태후이자 이탈리아의 왕태후, 오스트리아의 여대(餘臺)공(Archduchess), 부르고뉴와 슈타이어마르크, 케른텐, 카르니올라 여공작(餘工作)(Duchess), 트란실바니아의 여대(餘臺)공(Grand Princess), 모라비아의 변경백(邊境伯), 브라반트와 림부르크, 룩셈부르크, 겔데른, 뷔르템베르크, 상하(上下) 슐레지엔, 밀라노, 만투아(兒), 파르마, 피아(彼我)첸차(車), 구아스텔라, 아우슈비츠, 자(者)토르 여공작(餘工作)(Duchess), 슈바벤의 여후작(餘侯爵)(Princess), 합스부르크와 플랑드르, 티롤, 헨네가우, 키부르크, 고리치아(齒牙)그라디스카 여백작(餘伯爵), 부르가우(佳友)와 상하(上下) 라우시츠의 여변경백(餘邊境伯), 나무르의 여백작(餘伯爵), 웬디쉬마크와 메클린의(隣) 여영주, 로트링겐과 바르 공작(公爵)의 미망인(未亡人), 투스카나 대공(大公)의 미망인(未亡人)
  • 영어(英語) : Maria Theresa, by the Grace of God , Dowager Empress of the Romans, Queen of Hungary, of Bohemia, of Dalmatia, of Croatia, of Slavonia, of Galicia, of Lodomeria, etc.; Archduchess of Austria; Duchess of Burgundy, of Styria, of Carinthia and of Carniola; Grand Princess of Transylvania; Margravine of Moravia; Duchess of Brabant, of Limburg, of Luxemburg, of Guelders, of Wurttemberg, of Upper and Lower Silesia, of Milan, of Mantua, of Parma, of Piacenza, of Guastalla, of Auschwitz and of Zator; Princess of Swabia; Princely Countess of Habsburg, of Flanders, of Tyrol, of Hennegau, of Kyburg, of Gorizia and of Gradisca; Margravine of Burgau, of Upper and Lower Lusatia; Countess of Namur; Lady of the Wendish Mark and of Mechlin; Dowager Duchess of Lorraine and Bar, Dowager Grand Duchess of Tuscany.
  • 독일어(獨逸語) : Maria Theresia von Gottes Gnaden Heilige Romische Kaiserinwitwe, Konigin zu Ungarn, Bohmen, Dalmatien, Kroatien, Slavonien, Gallizien, Lodomerien, usw., Erzherzogin zu Osterreich, Herzogin zu Burgund, zu Steyer, zu Karnten und zu Crain, Großfurstin zu Siebenburgen, Markgrafin zu Mahren, Herzogin zu Braband, zu Limburg, zu Luxemburg und zu Geldern, zu Wurttemberg, zu Ober- und Nieder-Schlesien, zu Milan, zu Mantua, zu Parma, zu Piacenza, zu Guastala, zu Auschwitz und Zator, Furstin zu Schwaben, gefurstete Grafin zu Habsburg, zu Flandern, zu Tirol, zu Hennegau, zu Kyburg, zu Gorz und zu Gradisca, Markgrafin des Heiligen Romischen Reiches, zu Burgau, zu Ober- und Nieder-Lausitz, Grafin zu Namur, Frau auf der Windischen Mark und zu Mecheln, Herzoginwitwe zu Lothringen und Baar, Großherzoginwitwe zu Toskana.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그녀(그女)는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지역(地域)에서 마리아 테레지아라고 불렸지만, 오스트리아령(領) 네덜란드 에선 마리 1세(歲) 가 있었으므로, 마리 2세(歲) 테레즈 라고도 불렸으며, 헝가리 에선 마리어 1세(歲) 가 존재(存在)했으므로, 마리어 2세(歲) ( 헝가리어(語) : II. Maria )라고 불렸다. Ellenius, 210.
  2. 합스부르크 왕가(王家) 가 다스리는 곳을 통칭(統稱)하는 말.
  3. 그녀(그女)의 자식(子息)들은 합스부르크 에다 추가(追加)로 그녀(그女)의 남편(男便) 성(性)이었던 로트링겐 을 덧붙여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의 성(姓)을 가지게 되었다.
  4. Marie Theresa . (2009). 브리태니커백과사전(百科事典). 2009년(年) 4월(月) 22일(日) 읽어봄.
  5. Crankshaw, 11?12.
  6. Morris, 21?22.
  7. 그러나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 여성(女性) 이 제위(帝位)에 오를 수 없었으므로, 후(後)에 마리아 테레지아(兒)의 부군(夫君)인 프란츠 슈테판 이 제위(帝位)에 오르는 것으로 결정(決定)된다.
  8. Jones, 89.
  9. Crankshaw, 37.
  10. Pragmatic Sanction of Emperor Charles VI 2009년(年) 10월(月) 15일(日) 읽음.
  11. 당시(當時) 대부분(大部分)의 유럽의 공주(公主)들은 다른 군주제(君主制) 국가(國家)와의 관계(關係) 개선(改善)을 위하여, 왕자(王子)들과 정략결혼(政略結婚)을 하였다.
  12. 역대(歷代) 신성(神聖)로마제국(帝國)의 황제(皇帝)는 이탈리아의 왕(王)을 겸하였다.
  13. 그녀(그女)는 대관식(戴冠式) 때 헝가리의 왕(王)(King of Hungary)가 되었지만, 헝가리의 여왕(女王)(Queen of Hungary)으로도 불렸다.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전임(前任)
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카를로테
로트링겐 공작(公爵) 부인(婦人)
1736년(年) 2월(月) 12일(日) ~ 1737년(年) 7월(月) 9일(日)
후임(後任)
카타르지나 오팔린스카
전임(前任)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안나 마리아 프란지스카
토스카나 대공비(對共費)
1737년(年) 7월(月) 12일(日) ~ 1765년(年) 8월(月) 18일(日)
후임(後任)
스페인의 마리아 루도비(壘徒費)카
전임(前任)
카를 6세(歲)
보헤미아 여왕(女王)
1740년(年) 10월(月) 20일(日) ~ 1741년(年)
후임(後任)
카를 7세(歲)
전임(前任)
카를 7세(歲)
보헤미아 여왕(女王)
1743년(年) ~ 1780년(年) 11월(月) 29일(日)
후임(後任)
요제프 2세(歲)
전임(前任)
카로이 3세(歲)
헝가리 여왕(女王)
크로아티아 여왕(女王)
오스트리아 여대(餘臺)공
1740년(年) 10월(月) 20일(日) ~ 1780년(年) 11월(月) 29일(日)
후임(後任)
요제프 2세(歲)
전임(前任)
카를로 2세(歲)
파르마 여공작(餘工作)
1740년(年) 10월(月) 20일(日) ~ 1748년(年) 10월(月) 18일(日)
후임(後任)
필리포 1세(歲)
전임(前任)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신성(神聖)로마황후(皇后)
이탈리아의 왕비(王妃)
독일(獨逸) 왕비(王妃)
1745년(年) 9월(月) 13일(日) ~ 1765년(年) 8월(月) 18일(日)
후임(後任)
바이에른의 마리아 요(要)제파
전임(前任)
신설(新設)
갈리치아(齒牙)와 로도메리아의 여왕(女王)
1772년(年) ~ 1765년(年) 8월(月) 18일(日)
후임(後任)
요제프 2세(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