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예천읍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예천읍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예천읍
醴泉邑
로마자(로마字) 표기(表記) Yecheon-eup
행정(行政)
국가(國家) 대한민국(大韓民國)
지역(地域) 경상북도(慶尙北道)   예천군(醴泉郡)
행정(行政) 구역(區域) 29 리(리) , 305 반(半)
법정리 18 리(리)
관청(官廳) 소재지(所在地) 효자로(孝子路) 89 (노하리 72)
지리
면적(面積) 47.36km 2
인문(人文)
인구(人口) 14,543명(名)(2022년(年) 3월(月))
세대(世代) 7,478세대(世代)
인구(人口) 밀도(密度) 307.1명(名)/km 2
지역(地域) 부호(富豪)
웹사이트 http://city.ycg.kr/ko/yecheon/

예천읍 (醴泉邑)은 예천군(醴泉郡) 행정(行政)과 산업(産業)의 중심지(中心地)이며 경상북도(慶尙北道) 내 북서부(北西部) 지방(地方)의 물산(物産) 집산지(集散地)이다. 전(前)에는 경상북도(慶尙北道)의 개성(開城) 이라고 일컬을 만큼 상업(商業)이 성한 곳이었고 또 옛날에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북부지방(北部地方)의 중심지(中心地)였다. 읍내(邑內)에서 생산(生産)되는 예천(醴泉) 소주(燒酒) 는 유명(有名)하며, 상주(尙州) 다음 가는 양잠업(養蠶業)이 성한 곳으로서 현대적(現代的) 시설(施設)을 갖춘 제사공장(祭祀工場)이 건설(建設)되어 우수(優秀)한 실을 뽑아 내어 외화(外貨)를 획득(獲得)하고 있다.

연혁(沿革) [ 편집(編輯) ]

  • 조선시대(朝鮮時代) : 보주군(步主君) 및 예천군(醴泉郡)의 동읍내(洞邑內)(東邑內), 서읍내(鉏邑內)(西邑內), 남읍내(邑內)(南邑內), 북읍내(北邑內)(北邑內) 4개(個) 면(面)으로 구성(構成)되었다.
  • 1914년(年) 4월(月) 1일(日) : 예천면(醴泉面)(醴泉面)으로 개칭(改稱)
  • 1937년(年) 7월(月) 1일(日) : 예천읍(醴泉邑)으로 승격(昇格)
  • 1973년(年) 7월(月) 1일(日) : 개포면 상동을 편입(編入)
  • 1983년(年) 2월(月) 15일(日) : 보문면 고평동(考評棟)을 편입(編入)
  • 1990년(年) 1월(月) 1일(日) : 예천읍 대심(對審)1리(里)를 대심(對審)1리(里)와 대심(對審)3리(里)로 분리(分離)
  • 2000년(年) 10월(月) 1일(日) : 호명면 월포리(월촌마)를 편입(編入)
  • 2007년(年) 3월(月) 2일(日) : 예천읍 상리(商利)를 상동리로 명칭(名稱) 변경(變更)

행정(行政) 구역(區域) [ 편집(編輯) ]

법정리 행정리(行政里) 비고(備考)
갈구리 갈구(渴求)1리(里), 갈구(渴求)2리(里)
고평리 고평(考評)1리(里), 고평(考評)2리(里)
남본리 남본(藍本)1리(里), 남본(藍本)2리(里)
노상리 노상리
노하리 노하리 읍(邑) 행정복지(行政福祉)센터 소재지(所在地)
대심리(對審理) 대심(對審)1리(里), 대심(對審)2리(里), 대심(對審)3리(里)
동본리 동본(同本)1리(里), 동본(同本)2리(里)
백전리 백전(百戰)1리(里), 백전(百戰)2리(里)
상동리 상동리
생천리 생천리
서본리 서본1리, 서본2리
석정리 석정리
왕신리 왕신1리(里), 왕신2리(里)
용산리 용산(龍山)1리(里), 용산(龍山)2리(里)
우계리 우계리
지내리 지내리
청복리 청복(靑복)1리(里), 청복(靑복)2리(里)
통명리 통명리

교육(敎育) 기관(機關)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시설(施設) [ 편집(編輯) ]

예천역(醴泉驛) 전경(前景)


아파트 [ 편집(編輯) ]

  • 예천대심(醴泉大審) 주공(住公) - ㈜동산건설(建設) / 2007년(年) 7월(月) 입주(入住)

간선(幹線) 도로(道路) [ 편집(編輯) ]

구분(區分) 도로(道路) 이름

경서(經書)로 , 중앙(中央)로 , 보문로 , 충효(忠孝)로 , 도효자로(度孝子路) , 봉덕(鳳德)로 , 양궁(洋弓)로 , 예성로 , 예지(叡智)로 , 흑(黑)응로 , 시장(市場)로 , 용문경천로(天路) , 효자로(孝子路)

남산공원(南山公園)길, 가수내길, 갈구(渴求)1길, 갈구(渴求)2길, 광대원길(原길), 구남골길, 군청(郡廳)길, 군청(郡廳)앞길, 나부(裸婦)들길, 남본(藍本)1길, 남본(藍本)2길, 남본(藍本)3길, 남부초등(南部初等)길, 남읍내(邑內)길, 노상리길, 노트기(機)길, 농공단지(農工團地)길, 대심(對審)1길, 대심(對審)2길, 대심(對審)3길, 대창학교(대槍學校)길, 도립대학(道立大學)길, 동읍내(桐邑內)길, 땅골(骨)못길, 맛고을길, 못골길, 무리(無理)실길, 밤나무골길, 백전고원(百戰高原)길, 부리실길, 상동길, 상설시장(常設市場)1길, 상설시장(常設市場)2길, 상시(常時)당길, 새동네(洞네)길, 생내실(生內實)길, 석정길, 솔천지(天地)길, 신리(新里)길, 양궁장(洋弓場)길, 양촌(陽村)길, 역전(逆轉)길, 예천중뒷길, 예천중앞길, 왕신1리(里)길, 왕신길(王新吉), 용산(龍山)길, 용정(舂精)길, 웃통명길, 원(願)고개길, 원골(怨骨)길, 이미기길, 지내길, 청복(靑복)골마길, 청복리길, 통명(通名)길, 한천길, 고평길, 옥반(玉盤)골길

참고(參考) 자료(資料)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