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연안(沿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연안(沿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태평양(太平洋) 연안(沿岸).
대서양(大西洋) 연안(沿岸).
인도양(印度洋) 연안(沿岸).

연안(沿岸) (沿岸, 영어(英語) : coast, coastline ) 또는 해안(海岸) (海岸, 영어(英語) : seashore )은 일반적(一般的)으로 바다와 육지(陸地)가 맞닿아 서로 밀접(密接)한 영향(影響)을 미치는 지역(地域) 및 해역(海域)을 총칭(總稱)한다. 연안(沿岸)은 해변(海邊) , 갯벌 , 만(萬) , 삼각주(三角洲) 등(等)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해양(海洋) 생물(生物) 및 철새 등에는 산란장(産卵場)과 서식지(棲息地)이자, 사람들에게는 항만(港灣), 임해공단(臨海工團), 어항(魚缸) 및 어촌(漁村), 관광지(觀光地) 등(等)이 되고 있다.

최근(最近) 연안(沿岸)을 이용(利用)하는 행위(行爲)가 서로 상충(相衝)되고, 연안(沿岸) 자원(資源)의 무분별(無分別)한 이용(利用)으로 연안환경(沿岸環境)이 훼손(毁損)되는 사례(事例)가 많다. 이런 대표적(代表的)인 경우(境遇)가 갯벌이나 바다를 매립(埋立)하여 육지(陸地)로 만드는 경우(境遇)와, 육지(陸地)에서 발생(發生)한 환경(環境) 오염원(汚染源)을 그대로 바다에 버리는 경우(境遇)다. 대한민국(大韓民國)같은 경우(境遇), 2000년(年) 이후(以後)로 신규(新規) 매립(埋立)은 억제(抑制)하고 있으나 시화(始華) 방조제(防潮堤) 같은 경우(境遇) 심각(深刻)한 사회적(社會的) 갈등(葛藤)을 빚고 있기도 하다.

이런 문제(問題)로 세계(世界) 각국(各國)은 연안통합관리(沿岸統合管理)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라는 개념(槪念)으로 중앙정부(中央政府) 차원(次元)에서 연안(沿岸) 지역(地域)에 대(對)한 계획적(計劃的)인 관리(管理)를 추진(推進)하고 있으며, 연안(沿岸)을 가진 151개국(個國) 중(中) 71개국(個國)에서 시행(施行) 중(中)이다.

해안선(海岸線) [ 편집(編輯) ]

바다가 육지(陸地)와 맞닿은 선(線)을 해안선(海岸線) (海岸線) 또는 정선(旌善) (汀線)이라 하는데, 육지면(陸地綿)은 단기간(短期間)에는 거의 일정하다고 볼 수 있으나, 해면(海面)은 조석, 파랑, 기압(氣壓) 등(等)의 변화(變化)에 따라서, 혹은(或은) 주기적(週期的), 부정기적(不定期的)으로 오르내리므로 해안선(海岸線)은 일정한 선(線)이 아니고 계속(繼續) 이동(移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저(最低)조일 때의 해안선(海岸線)을 저조(低調) 해안선(海岸線),최고조(最高潮)일 때의 해안선(海岸線)은 고조(高調) 해안선(海岸線)이라 한다. 파랑이 높아지면 바닷물은 고조(高調) 해안선(海岸線)보다 더 육지(陸地)로 밀려든다. 지도(地圖)에 그려진 육지(陸地)의 연변선(延邊線)은 이 파랑이 미칠 수 있는 한계(限界)의 선(線)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일정기간(一定期間) 조석(朝夕)을 관측(觀測)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가장 높은 해수면인(海水面人) 약최고고조(約最高高祖)면을 해안선(海岸線)으로 정(定)한다. [1]

연안(沿岸)의 구분(區分) [ 편집(編輯) ]

연안(沿岸)은 연안해역(沿岸海域)과 연안육역(沿岸六逆)으로 나눈다.

연안해역(沿岸海域)은 해안선(海岸線)으로부터 12해리(海里) 이내(以內)의 해저(海底) 및 하층토(下層土)를 포함(包含)한 바다와 바닷가를 포함(包含)하며, 연안(沿岸) 육역(六逆)은 무인도(無人島) 전체(全體)와 유인도(有人島) 및 내륙(內陸)의 경우(境遇) 바다로부터 일정한 거리(距離)까지 연안(沿岸)으로 규정(規定)한다. 유인도(有人島)의 경우(境遇)에는 섬의 크기가 큰 편(便)이어서 섬 전체(全體)를 연안(沿岸)에 포함(包含)시키지는 않는다. 다만, 각(各) 나라마다 지정(指定)하는 범위(範圍)는 약간(若干)씩 차이(差異)가 있다.

국가(國家) 연안(沿岸) 육역(六逆) 연안(沿岸) 해역(海域)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평균(平均) 최고(最高) 분수령(分水嶺) 경계(警戒) 12해리(海里) 영해(領海)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500m 또는 1km 이내(以內) 12해리(海里) 이내(以內)
미국의 기 미국(美國) 로드아일랜드주 60m 이내(以內) 3해리(海里)
미국의 기 미국(美國) 알래스카주 해발고도(海拔高度) 100피트 (0.3km)  
미국의 기 미국(美國) 플로리다주(플로리다州) 연안인접지역(沿岸隣接地域) 대서양(大西洋) 3해리(海里) (5.6km)
미국의 기 미국(美國) 캘리포니아주(캘리포니아州) 평지고(平地高)조정선 5마일 (8km) 관할해역(管轄海域) 3마일 (4.8km)
미국의 기 미국(美國) 코네티컷주 1,000피트 이하(以下) 습지지역(濕地地域)  
브라질의 기 브라질 평균(平均) 고조선(古朝鮮)에서 2km  
스리랑카의 기 스리랑카 평균(平均) 고조선(古朝鮮)에서 300m 평균(平均) 저조선(低潮線)에서 2km
스웨덴의 기 스웨덴 2해리(海里)(3.7km)이내(以內)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3km 이내(以內) 1km 이내(以內)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평균저조선(平均低潮線)에서 200m
인도의 기 인도(印度) 고조선(古朝鮮)과 저조선(低潮線) 사이의 빈지와 육지측(陸地側) 500m
일본의 기 일본(日本) 해안선(海岸線)에서 1km 이내(以內)의 표고(標高) 100m이하(以下) 지역(地域) 만(萬)?간조시(干潮時) 기준(基準) 50m
중국의 기 중국(中國) 해안선기준(海岸線基準) 10km 수심(水深) 10~15m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 평균해수면(平均海水面)에서 200m 고조선(古朝鮮)과 저조선(低潮線) 사이
프랑스의 기 프랑스 100m 12해리(海里)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공간정보(空間情報)의 구축(構築) 및 관리(管理) 등(等)에 관(關)한 법률(法律) 2장(張) 측량(測量) 및 수로조사(水路調査). 1절(節) 6조(兆) 측량기준(測量基準)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 위키미디어 공용(公用)에 연안(沿岸) 관련(關聯) 미디어 분류(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