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Yonsei University


표어(標語) 진리(眞理)와 자유(自由)를 향(向)한 연세의 도전(挑戰)
건학이념(建學理念) 진리(眞理)가 너희를 자유(自由)케 하리라
( 요한복음(요한福音) 8:32) [주(週) 1]
종류(種類) 사립(私立) 종합대학(綜合大學)
설립(設立) 1885년(年)
종교(宗敎)
개신교(改新敎) [주(週) 2]
총장(總長) 윤동섭
부총장(副總長) 신촌캠퍼스
교학(敎學): 손영종
행정대외(行政對外): 김용호
의무(義務): 금기창
연구(硏究): 이원용
국제(國際)캠퍼스 : 이종수
미래(未來)캠퍼스 : 하연섭
설립자(設立者)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학교법인(學校法人)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학부생(學部生) 수(數) 17,412명(名) (2022년(年)) [4]
대학원생(大學院生) 수(數) 11,528명(名) (2022년(年)) [4]
교직원(敎職員) 수(數) 전임교원(專任敎員): 1,731명(名) (2022년(年)) [4]

비전임교원(非專任敎員)(강사포함(講師包含)): 3,795명(名) (2022년(年)) [4]

직원(職員): 1,032명(名) (2022년(年)) [4]
국가(國家) 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
위치(位置) 신촌캠퍼스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西大門區) 연세로 50
국제(國際)캠퍼스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연수구(延壽區) 송도과학(松島科學)로 85
미래(未來)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원주시(原州市) 연세대(延世大)길 1
[5]
규모(規模) 3캠퍼스(신촌/국제(國際),의료원(醫療院),미래(未來)), 24대학(大學), 2학부(學部), 20대학원(大學院) (2022년(年))
교색(驕色) 로얄 블루(Royal blue)      
상징물(象徵物) 독수리(禿수리)
웹사이트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Map 연세대학교의 위치(位置)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延世大學校, 영어(英語) : Yonsei University )는 1885년(年) 에 설립(設立)된 대한민국(大韓民國) 개신교(改新敎) 계통(系統) 사립(私立) 대학(大學) 이다. 약칭(略稱)으로 연대(連帶) (延大)라고 불린다.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西大門區) 신촌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원주시(原州市) 에 위치(位置)한 미래(未來)캠퍼스 ,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에 위치(位置)한 국제(國際)캠퍼스 [6] / 삼애캠퍼스 로 이루어져 있다.

학교법인(學校法人) 연세대학교에 의(依)해 운영(運營)되고 있으며, 24개(個)의 단과대학(單科大學), 2개(個) 학부(學部), 20개(個)의 대학원(大學院)으로 구성(構成)된다. 현재(現在)(제(第)20대(代)) 총장(總長)은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의학과(醫學科)를 졸업(卒業)한 윤동섭 이다.

오늘날 연세대학교의 교명(校名)은 1957년(年)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와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의 통합(統合) 후(後)에 공식적(公式的)으로 사용(使用)되었다.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는 1915년(年) 미국(美國) 북장로교(北長老敎) 선교사(宣敎師)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宣敎師)가 설립(設立)한 조선기독교학교(基督敎學校)에서 출발(出發)한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를 전신(前身)으로 하고,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은 1885년(年) 미국(美國) 북장로교(北長老敎) 호러스 뉴턴 앨런 선교사(宣敎師)가 고종(高宗) 의 지원(支援)을 받아 설립(設立)한 광혜원(廣惠院) 을 전신(前身)으로 한다. 두 대학(大學)의 통합(統合)은 1920년대(年代)부터 이루어진 지속적(持續的)인 협력(協力)이 낳은 결과(結果)였다. [7]

2023 QS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73위(位) 및 QS 아시아대학평가(大學評價) 사립대(私立大) 1위(位) (종합순위(綜合順位) 12위(位))를 차지했다. 2023 THE 세계대학평가(世界大學評價) 78위(位) 및 아시아 사립대(私立大) 1위(位), 학문분야별(學問分野別) 세계대학순위(世界大學順位)에서는 최다(最多) 분야(分野) 국내(國內) 1위(位) (4개(個) 분야(分野))를 차지했다. 2022 중앙일보(中央日報) 국내대학평가(國內大學評價) 사립대(私立大) 1위(位) (종합순위(綜合順位) 2위(位))에 차지했다.

심볼마크 [ 편집(編輯) ]

건학(建學) 이념(理念)인 ‘진리(眞理)가 너희를 자유(自由)케 하리라’( 요한복음(요한福音) 8:31~32)는 기독교(基督敎) 정신(精神)을 바탕으로 진리(眞理)와 자유(自由)의 정신(精神)을 체득(體得)한 인재(人材)를 양성(養成)하는 것을 뜻한다. [1] 상징(象徵) 동물(動物)은 독수리(禿수리) 이고, [8] 상징(象徵) 색(色)은 ‘연세 블루’(Yonsei blue)이다. [9] 연세대학교의 심볼마크에는 방패(防牌)가 그려져 있는데 방패(防牌) 속의 ‘ ’ 표시(標示)는 하늘을 의미하여 ‘ ’는 땅이고, ‘人’은 사람을 뜻한다. ‘ㅇ’표시(標示) 왼쪽에 그려진 ‘책(冊)’은 진리(眞理)를, 오른쪽에 그려진 ‘횃불’은 자유(自由)를 의미하며, 방패(防牌)는 이러한 두 이념(理念)을 수호(守護)한다는 뜻이다. [10]

연혁(沿革)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는 1957년(年)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와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이 통합(統合)한 대학(大學)이다.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는 1915년(年) 미국(美國) 북장로교(北長老敎) 선교사(宣敎師)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영어(英語) : Horace Grant Underwood , 한국어(韓國語) : 원두우(元杜尤) (元杜尤), 1859년(年) ~ 1916년(年)) 선교사(宣敎師)가 설립(設立)한 경신학교 의 대학과정인(大學課程人) 조선기독교대학(朝鮮基督敎大學)에서 출발(出發)하여, 1917년(年) 사립(私立) 연희전문학교 로 인가(認可)를 받아 발전(發展)하였다.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은 1885년(年) 미국(美國) 북장로교(北長老敎) 선교사(宣敎師) 호러스 뉴턴 앨런 ( 영어(英語) : Horace Newton Allen , 한국어(韓國語) : 안련 (安連), 1858년(年)~1932년(年))이(李) 고종(高宗) 의 지원(支援)을 받아 설립(設立)한 광혜원(廣惠院) 을 전신(前身)으로 한다.

광혜원(廣惠院),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 (1885년(年)~1957년(年)) [ 편집(編輯) ]

연세(延世) 역사(歷史)의 뜰에 있는 광혜원(廣惠院)

1884년(年)에 조선(朝鮮) 왕실부(王室部) 시의관(時衣冠)(侍醫官)이었던 미국(美國) 출신(出身) 앨런은 선교사(宣敎師)는 조선(朝鮮) 정부(政府)에 서양식(西洋式) 병원(病院) 건립(建立)을 제의(提議)하였다. 이 제안(提案)에 따라 1885년(年) 2월(月) 25일(日)에 고종(高宗)으로부터 병원(病院) 설립(設立)의 허락(許諾)을 받고, 4월(月) 10일(日)에 서울 종로구(鍾路區) 재동(齋洞)에 광혜원(廣惠院)(廣惠院)을 개원(開院)하게 되었는데, 조선(朝鮮) 최초(最初)의 서양식(西洋式) 병원(病院)이다. [11] 4월(月) 26일(日)에 개원(開院) 2주(週)만에 ‘은혜(恩惠)를 널리 펼친다’는 뜻의 광혜원(廣惠院)에서 ‘대중(大衆)을 널리 구(求)한다’는 제중원(濟衆院)(濟衆院)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2] 당시(當時) 미국(美國) 장로교(長老敎) 본부(本部)는 광혜원(廣惠院) 진료(診療)의 책임자(責任者)를 파견(派遣)하였고, 조선(朝鮮) 정부(政府)는 건물(建物)과 제반설비(諸般設備) 및 경상비(經常費) 등(等)을 부담(負擔)하였다. [13] 앨런 선교사(宣敎師)는 1886년(年) 제중원(濟衆院)에 의학당(醫學堂)을 개설(開設)하였고, 최초(最初)의 서양(西洋) 의학(醫學) 교육(敎育)을 시작(始作)하였다. 당시(當時) 조선(朝鮮) 정부(政府)는 전국(全國)에서 학생(學生) 16명(名)을 선발(選拔)하였는데, 3개월(個月)의 교육(敎育) 후(後)에 12명(名)이 본과(本科)로 진급(進級)하여 의사(意思) 교육(敎育)을 받았다. [14] 1887년(年)에 재동(宰棟)에서 현재(現在)의 을지로 입구(入口)인 구리개(銅峴)로 이전(移轉)했다. 1893년(年) 제중원(濟衆院)에 부임(赴任)한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大學校) 의과대학(醫科大學) 교수(敎授)였던 올리버 에비슨 ( 영어(英語) : Oliver R. Avison , 한국어(韓國語) : 어비신 (魚丕信) 1860년(年) ~ 1956년(年)) 박사(博士)는 조선(朝鮮) 정부(政府)와 6개월간(個月間) 협상(協商)을 벌인 끝에 1894년(年)에 제중원(濟衆院)을 미국(美國) 북장로교(北長老敎) 선교부(宣敎部)로 이관(移管)받았다. [13] 1899년(年)에 제중원(濟衆院) 의학교(醫學校)가 설립(設立)되고 에비슨이 초대(初代) 교장(校長)에 취임(就任)하였다.

1904년(年) 9월(月) 23일(日)에 미국인(美國人) 사업가(事業家) 루이스 세브란스 ( 영어(英語) : Louis H. Severance 루이스 H. 세버런스 [ * ] , 1838년(年) ~ 1913년(年))의 후원(後援)을 받아서 숭례문(崇禮門) 밖 복숭아골(骨)(현재(現在) 서울역(서울驛) 연세재단(年歲財團)세브란스빌딩 일대(一帶))에 병원(病院)을 신축(新築)하면서 제중원(濟衆院)은 기증자(寄贈者)의 이름을 따서 세브란스 기념(記念) 병원(病院) (Severance Memorial Hospital)으로 명칭(名稱)을 변경(變更)했으며, 제중원(濟衆院) 의학교(醫學校)는 세브란스병원(病院) 의학교(醫學校)로 명칭(名稱)을 변경(變更)했다. [15] 1908년(年) 6월(月) 4일(日)에 제(第)1회(回) 졸업생(卒業生) 7명(名)에게는 대한제국(大韓帝國) 내부(內部) 위생국(衛生局)으로부터 의료(醫療) 활동(活動)을 할 수 있는 최초(最初)의 의사면허증인(醫師免許證人) 의술개업인허장(醫術開業認許狀)이 발급(發給)되었다. [16] 1909년(年)에 교명(校名)을 ‘사립(私立) 세브란스 의학교(醫學校)’, 1913년(年) 4월(月)에는 ‘사립(私立) 세브란스 연합(聯合)의학교’로 각각(各各) 변경(變更)하였으며, 1917년(年) 5월(月) 14일(日)에 ‘세브란스 연합의학(聯合醫學) 전문학교(專門學校) ’로 발전(發展)하였으나, 1942년(年) 6월(月)에 일본(日本)의 강요(强要)로 교명(校名)을 ‘아사히 의학전문학교(醫學專門學校)’(旭醫學專門學校)로 변경(變更)하였다. 해방(解放) 이후(以後) 1945년(年) 11월(月)에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醫學專門學校)로 환원(還元)되고, 1947년(年) 7월(月)에 문교부로부터 6년제(年制)의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으로 인가(認可)를 얻었다. [17] 1955년(年) 3월(月)에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와 통합(統合)을 결정(決定)하였고, 5월(月)에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 신촌동(新村洞)에 병원(病院) 건물(建物)을 착공(着工)하면서 [18] 1962년(年)에 세브란스 병원(病院)을 신촌으로 이전(移轉)하였다. [19] 한편(한便), 1906년(年) 9월(月)에 쉴즈( 영어(英語) : Miss Esther L. Shields 미스 에스터 L. 실즈 [ * ] )가 세브란스 병원(病院)에 간호원(看護員) 양성전문기관(養成專門機關)으로 간호학교(看護學校)를 설치(設置)하면서 1910년(年)에 최초(最初)의 간호원(看護員)을 배출(輩出)하는 계기(契機)가 되었으며, 1968년(年)에는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간호대학(看護大學)으로 승격(昇格)하였다. [17]

연희전문학교,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 (1915년(年)~1957년(年)) [ 편집(編輯) ]

언더우드 동상(銅像)

1915년(年) 3월(月)에 미국(美國) 북장로교(北長老敎) 선교부(宣敎部)의 협조(協助)와 재한(災旱) 남(南)·북감리교(北監理敎) 선교부(宣敎部), 캐나다 장로교(長老敎) 선교부(宣敎部)의 협력(協力)을 얻어 조선기독교학교(朝鮮基督敎學校)(Chosun Christian College)를 서울 종로(鍾路)의 YMCA 에서 개교(開校)하였는데 [20] 초대(初代) 교장(校長)에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宣敎師)와 부교장(副校長)에 에비슨 박사(博士)가 취임(就任)하였다. [18] 1917년(年) 4월(月) 7일(日)에 사립(私立) 연희(演戱) 전문학교(專門學校) (延禧專門學校)로 발족(發足)하였고 [20] 같은 해인 1917년(年)에는 존 언더우드(John T. Underwood) 박사(博士)의 기부금(寄附金)으로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연희면 창천리(현재(現在)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부지(敷地))의 대지(垈地) 19만평(萬坪)을 교지(校誌)로 구입(購入)하였다. 1919년(年) 3월(月)에 연희전문학교 1회(回) 졸업생(卒業生) 배출(輩出)하였다. 1920년(年)에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의 기부금(寄附金)으로 스팀슨홀을 건립(建立)하여 학교(學校)를 이전(移轉)하였고 [18] 1923년(年) 3월(月)에 신교육령(新敎育令)에 의(依)해 교명(校名)이 연희전문학교로 바뀌었다. [20] 1926년(年)에 연희전문학교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醫學專門學校)의 합동(合同)에 대(對)한 의견(意見)이 피력(披瀝)되었고 1926년(年) 6월(月)에 본격적(本格的)인 논의(論議)가 진행(進行)되었지만 일제(日帝)의 간섭(干涉)으로 진전(進展)되지 못했다. [7] 1935년(年) 9월(月) 1일(日)에 연세춘추의 전신(前身)인 월간지(月刊誌)《연전(年前)타임스》가 창간(創刊)되었다. [18] 1944년(年) 4월(月)에 적산(赤山)(敵産)이라는 명목(名目)으로 학교(學校)가 몰수(沒收)되어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의 관리하(管理下)에서 조선인(朝鮮人) 간부(幹部)와 교수진(敎授陣)을 추방(追放)하였으며, 교명(校名)이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京城工業經營專門學校)로 변경(變更)되었다. [20]

해방(解放) 이후(以後) 재산(財産)과 운영권(運營權)을 미군정청(美軍政廳) 으로부터 인수(引受)받아 교명(校名)을 연희전문학교 로 회복(回復)하고 1946년(年) 8월(月) 15일(日)에는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 (延禧大學校, Chosun Christian University)로 승격(昇格)되어 4학원(學院) 11학(學)과(문학원, 상학원(上學院), 이학원, 신학원(神學院))의 종합대학교(綜合大學校)로 인가(認可)되었다.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의 초대(初代) 학장(學長)으로 백낙준 (白樂濬, 1895년(年) ~ 1985년(年))이(李) 취임(就任)하였고 [20] 1946년(年) 9월(月)에는 남녀공학(男女共學) 대학교(大學校)가 되었다. [18] 1949년(年)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 예과(豫科)를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에 두었으며, 이듬해 1950년(年)에는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 제(第)1회(回) 졸업생(卒業生)을 배출(輩出)하였고, 1950년(年) 4대학(大學) 17학(學)과(문과대학, 상경대학(大學), 이공대학(理工大學), 신과대학)로 증설(增設)하고 대학원(大學院)을 신설(新設)하였다. 그러나 한국(韓國) 전쟁(戰爭) 의 발발(勃發)로 3개월간(個月間) 임시(臨時) 휴교(休校)를 단행(斷行)하였으며, 11월(月) 3일(日) 재등록(再登錄)을 받아 개강(開講)하였지만 1·4 후퇴(後退) 로 인하여 1951년(年) 부산(釜山) 으로 학교(學校)를 옮겨 개강(開講)하였으며, 1953년(年) 8월(月)에 서울 본교(本校)로 돌아와 개강(開講)하였다. [20] 1953년(年) 대학원(大學院)에 의학(醫學)과 석사과정(碩士課程)을 설치(設置)하였고 [21] 1954년(年) 정법대학을 신설(新設)하였으며 같은 해 8월(月)에는 동방학연구소(東方學硏究所)에서 학술지(學術誌)인 《동방학지(東方學地)》를 발간(發刊)하였다. [18]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1957년(年)~) [ 편집(編輯) ]

학술정보원(學術情報院) 앞에 있는 백낙준 동상(銅像)

1955년(年)에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과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의 이사회(理事會)는 재단법인(財團法人) 연세대학교를 구성(構成)하는데 합의(合意)하였고 1956년(年)에 재단법인(財團法人)이 설립(設立)되었다. [21] 1957년(年) 1월(月) 5일(日),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와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이 통합(統合)하면서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延世大學敎, Yonsei University)로 교명(校名)을 변경(變更)하였는데 초대(初代) 총장(總長)은 백낙준, 부총장(副總長)은 최현배(崔鉉培) (崔鉉培, 1894년(年) ~ 1970년(年))가 취임(就任)하였다. 1959년(年)에 한국어학당(韓國語學堂) 을 설립(設立)하였고 1977년(年)에는 강원도(江原道) 원주시에 제(第) 2캠퍼스인 원주(原州)캠퍼스를 설립(設立)하였다. 1981년(年) 신촌캠퍼스의 스팀슨관(館),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觀)이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사적(史跡) 으로 지정(指定)되었다. 1985년(年) 5월(月) 11일(日)에 창립(創立) 100주년(周年) 기념식(記念式)을 거행(擧行)하였다. [18]

제(第)5공화국(共和國) 말기(末期)인 1987년(年) 6월(月) 9일(日)에 연세대학교 학생(學生) 1천여(千餘) 명(名)이 학교(學校) 정문(正門) 앞에서 경찰(警察)과 대치(對峙)하던 중(中) 경영학과(經營學科) 2학년(學年)에 재학(在學) 중(中)이던 이한열(李韓烈) 이 전경(戰警)이 쏜 최루탄(催淚彈)을 맞아 사망(死亡)하는 사건(事件)이 발생(發生)하였다. 이 사건(事件)은 6월(月) 항쟁(抗爭) 의 기폭제(起爆劑)가 되어 대통령(大統領) 직선제(直選制) 개헌(改憲) 을 이끌어 낸 대한민국(大韓民國) 현대사(現代史)의 분수령(分水嶺)이 되었다. [22] 1996년(年)에 학부제(學部制) 및 계열화(系列化)를 실시(實施)하였다. [18] 같은 해 8월(月)에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韓國大學總學生會聯合) 이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신촌캠퍼스에서 제(第)6차(次) 8.15 통일대축전(統一大祝典) 및 범민족대회(汎民族大會)를 강행(强行)하여 원천봉쇄(源泉封鎖)하려던 경찰(警察)과 충돌(衝突)을 벌였고, 종합관(綜合館)과 과학관(科學館)에서 8월(月) 13일(日)부터 20일(日)까지 점거(占據) 시위(示威)를 벌였다. [23]

2003년(年)에 부속기관인(附屬機關人) 김대중(金大中) 도서관(圖書館)을 설립(設立)하여 개관(開館)하였다. 2006년(年)에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와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송도(松島) 국제화(國際化) 복합단지(複合團地) 조성(造成) 양해각서(諒解覺書)를 체결(締結)하여 2010년(年)에 국제(國際)캠퍼스 약학대학(藥學大學) 신설(新設)하였고, 같은 해 3월(月) 3일(日)에 국제(國際)캠퍼스 봉헌식(奉獻式)을 거행(擧行)하였으며, 2011년(年) 3월(月) 2일(日)에 국제(國際)캠퍼스 정규학위과정(正規學位過程)을 시작(始作)하였다. 2011년(年) 5월(月) 31일(日)에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기술지주회사(技術持株會社)가 설립(設立)되었다. [18]

동문(同門) [ 편집(編輯) ]

캠퍼스 [ 편집(編輯) ]

신촌캠퍼스(본교(本校)) [ 편집(編輯) ]

신촌캠퍼스(新村-)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西大門區) 연세로 50 (연희동)에 위치(位置)한 연세대학교의 제(第)1캠퍼스이다. [24] 언더우드의 큰형(큰兄)인 존 토마스 언더우드(John Tomas Underwood)는 10만(萬) 달러를, 로스앤젤레스 의 찰스 스팀슨(Charles S. M. Stimson)은 대학(大學) 설립용(設立龍) 자금(資金)으로 2만(萬) 5천(千) 달러를 연희전문학교에 기부(寄附)하였다. 언더우드는 미국(美國)에 돌아가서 교사(敎師) 건립용(建立用) 기부금(寄附金) 모금(募金)을 했는데 스팀슨에게서 위 기부금(寄附金)을 얻은 후(後) 사망(死亡)하였고, 후임(後任) 교장(校長)인 에비슨이 기부금(寄附金)으로 교사(敎師)를 건립(建立)하였다. 연희전문학교는 당시(當時)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연희면 신촌리의 숲이 울창(鬱蒼)한 토지(土地) 190,320평(坪)을 매입(買入)하였다. 이곳은 조선(朝鮮) 정종(定宗) 때 세워진 연희궁(延禧宮)(延禧宮) 터와 영조(英祖) (英祖)의 후궁(後宮) 영빈(迎賓) 이씨(李氏) (映嬪李氏)의 수경원(綬慶園)이 자리 잡고 있었고, 학교명(學校名) ‘연희(演戱)’는 여기서 연유하였다. 캠퍼스 마스터플랜과 교사동(校舍棟) 설계(設計)는 예일 대학교(大學校) 건축과(建築科)를 졸업(卒業)한 미국인(美國人) 건축가(建築家) 헨리 머피(Henry Killian Murphy)에 의(依)하여 작성(作成)되었다. 현재(現在)의 백양로 등(等) 신촌캠퍼스의 골격(骨格)은 초기(初期) 마스터플랜에 의(依)해 조성(造成)되었다. 최초(最初)의 건물(建物)은 치원관(稚園館)(致遠館)이며, 목조(木造) 2층(層)으로 1918년(年)에 준공(竣工)되어 1950년(年)까지 있었다. [25] 치원관(稚園館) 이외(以外)에도 스팀슨관(館) , 언더우드관 , 아펜젤러관(館) , 한경관 등(等)이 준공(竣工)되었으며, 기숙사(寄宿舍)인 핀슨관(館)과 노천극장(露天劇場), 돌층계(돌層階) 등(等)이 만들어졌다. [26]

현재(現在) 신촌캠퍼스는 송림(松林)으로 둘러싸인 약(藥) 990,000m 2 의 규모(規模)로 성장(成長)하였다. 신촌캠퍼스를 가로지르는 백양로를 중심축(中心軸)으로 오른편(오른便)에 현대식(現代式) 건물(建物)로 약(約) 165,000m 2 에 달(達)하는 연세의료원(延世醫療院), 백주년기념관(百周年記念館), 수경원, 루스채플, 음악대학(音樂大學), 학생회관(學生會館), 대강당(大講堂), 경영관(經營觀) [주(週) 3] , 노천극장(露天劇場), 청송(靑松)대가 있으며, 왼편(왼便)에는 연세(延世)공학원, 공과대학(工科大學), 중앙도서관(中央圖書館), 체육관(體育館), 체육교육관(體育敎育館), 장기원기념관(張起元記念館), 연세과학원(延世科學院), 과학관(科學館), 백양관(館), 광복관(光復關)이 서로 대치(對峙)를 이루며 서 있다. [24]

백양로의 끝에는 대학(大學) 본부(本部)가 위치(位置)한 언더우드관을 중심(中心)으로 왼편(왼便)에 스팀슨관(館)과 오른편(오른便)에 아펜젤러관(觀)이 위치(位置)에 있고 세 건물(建物)의 중앙(中央)에는 학교(學校)의 창설자(創設者)이며 초석(礎石)을 이룬 언더우드의 동상(銅像)이 서 있다. 스팀슨관(館) 뒤편(뒤便) 언덕위 왼편(왼便)에는 한경관과 핀슨관(觀)이 나란히 서 있고, 그 뒤로 신학관이 동향(動向)을 바라보며 자리 잡고 있다. 언더우드관의 뒤편(뒤便)으로 사회과학대학(社會科學大學)이 자리한 연희관이 서 있으며 오른편(오른便)에 성암관(館), 왼편(왼便)에 유억겸 기념관(記念館), 그 뒤로 대우관(待遇觀)이 있다. 유억겸기념관(記念館) 뒤편(뒤便) 오른쪽에는 빌링슬리관이 자리 잡고 있으며 뒷산(뒷山) 중턱(中턱)에는 종합교실단(綜合敎室段)과 외솔관(館), 위당관(爲堂觀)이 서 있다. 성암관(館) 뒷길을 따라 동문방향(同門方向)으로 가면 우측(右側)에 새천년관, 국제학사(國際學社), 언어연구교육원(言語硏究敎育院), 제중학사(濟衆學士)가 있고, 대우관 뒤편(뒤便) 고개를 넘어 북문방향(北門方向)으로 가면 무악학사(舞樂學士)(학생기숙사(學生寄宿舍)) 5개동(個棟)이 자리 잡고 있다. [24]

스팀슨관(館)(왼쪽), 언더우드관과 언더우드 동상(銅像)(중앙(中央)), 아펜젤러관(館)(오른쪽)
  • 백양로(白楊路): 백양로는 1930년경(年頃) 만들어진 연희(演戱)의 관문(關門)으로 본래(本來) 백양목(白楊木)(白楊木)이 도로(道路) 좌우(左右)로 심어져 있었기에 현재(現在)의 이름을 얻었다. 1960년(年) 4월(月)에는 나무의 수명(壽命)이 다 되었기 때문에 베어 버리고, 대신(代身) 도로(道路) 양쪽(兩쪽)에 은행나무(銀杏나무) 를 심었다. [24] 백양로는 노폭(路幅) 22m의 아스팔트로 포장(鋪裝)된 도로(道路)로 차(車)가 다니던 길이었으나, 2013~2015년(年)의 백양로 재창조(再創造) 프로젝트를 통해 차(茶) 없는 도로(道路)로 재단장(再團長)되었다.
  • 스팀슨관(館)(Stimson Hall): 스팀슨관(官)은 1920년(年)에 지상(地上) 2층(層), 반지하층(半地下層)의 석조(石造) 건물(建物)로 준공(竣工)되었다. [25] 스팀슨의 기부금(寄附金)으로 지은 것으로, 대학(大學) 본부(本部)로 사용(使用)하다가 현재(現在)는 대학원(大學院)과 대외협력처(對外協力處)에서 사용(使用)하고 있으며, 1981년(年)에 사적(私的) 275호(號)로 지정(指定)되었고 [28] 일제시대(日帝時代) 대학(大學)캠퍼스 건물(建物)은 대부분(大部分) 석조(石造) 고딕풍(風)의 건축(建築)이었다. 이러한 건물(建物)들의 최초(最初) 건물(建物)이 스팀슨관(館)이다. [25]
연세전파천문대(延世電波天文臺)
  • 아펜젤러관(館)(Appenzeller Hall): 아펜젤러관(官)은 미국(美國) 매사추세츠주 피츠필드 시(詩)의 제일감리교회(第一監理敎會)(First Methodist Church)의 기부금(寄附金)으로 1924년(年) 지상(地上) 2층(層), 지하(地下) 1층(層)의 석조(石造) 건물(建物)로 준공(竣工)되었다. 아펜젤러관(官)은 이학관(理學館)으로 연희전문(演戱專門)캠퍼스에서 두 번째(番째)로 건립(建立)된 건물(建物)이다. [29] 현재(現在) 사회복지대학원(社會福祉大學院) 등(等)으로 사용(使用)되고 있으며, 1981년(年) 사적(私的) 277호(號)로 지정(指定)되었다. [28] 건물(建物) 명칭(名稱)은 언더우드와 함께 내한(來韓)한 미국(美國) 북감리교(北監理敎) 선교사(宣敎師) 헨리 아펜젤러 를 기념(記念)하기 위하여 명명(命名)되었다. 아펜젤러는 배재학당(學堂) (培材學堂)을 설립(設立)하는 등(等) 교육(敎育)과 선교(宣敎) 사업(事業)에 업적(業績)을 남겼다. [29]
  • 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언더우드관은 1925년(年) 지상(地上) 3층(層)(중앙탑(中央塔) 5층(層))의 석조(石造) 건물(建物)로 준공(竣工)되었다. 건물(建物)의 명칭(名稱)은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設立者)인 언더우드를 기념(記念)하기 위하여 명명(命名)되었다. 연희(演戱)캠퍼스에서 스팀슨관(館), 아펜젤러관(館)에 이어 3번째(番째) 석조(石造) 건물(建物)이다. [30] 건물(建物)은 문과대학(文科大學)에서 사용(使用)하여 오다가 1982년(年)부터 대학(大學) 본부(本部) 건물(建物)로 사용(使用)하고 있으며, 사적(史跡) 276호(號)로 지정(指定)되었다. [31] 언더우드관은 초기(初期) 마스터플랜의 중심축(中心軸)인 백양로의 종점(終點)에 위치(位置)하여 좌우(左右)에 스팀슨관(館)과 아펜젤러관(觀)이 같이 있어 캠퍼스 내(內)에서 시각적(視覺的) 정점(頂點)(terminal vista)을 형성(形成)하였다. 언더우드관은 20세기(世紀) 초기(初期)의 대표적(代表的)인 대학(大學) 캠퍼스인 연희전문학교 캠퍼스의 중심(中心) 건물(建物)이면서 보존(保存) 상태(狀態)가 우수(優秀)하여 역사적(歷史的) 가치(價値)가 크다. [30]
  • 언더우드 동상(銅像):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設立者)인 언더우드의 동상(銅像)은 1928년(年)에 교직원(敎職員)과 사회(社會) 인사(人士)들의 기부(寄附)를 통해 세워졌으나 [24] 1942년(年)에 일제(日帝)에 의(依)해서 전쟁(戰爭) 물자(物資)로 공출되어 그 자리에는 대리석(大理石) 으로 만든 흥아유신기념탑(記念塔) (興亞維新記念塔) [주(週) 4] 이 세워졌다. 1948년(年)에 두 번째(番째) 동상(銅像)을 세웠지만 한국(韓國) 전쟁(戰爭) 으로 다시 파괴(破壞)되었다가 1955년(年)에 세 번째(番째) 동상(銅像)을 세웠다. [32]
  • 청송(靑松)대(聽松臺):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정문(正門)에서 백양로를 따라 캠퍼스를 오르며 노천극장(露天劇場)을 끼고 돌면 마주하는 소나무 숲이 청송(靑松)대이다. [33] 청송(靑松)대는 ‘소나무(松) 소리를 듣는다(聽)’는 의미(意味)이다. [34] 청송(靑松)대에서 동문(同門)쪽으로 향(向)해 난 뒷길은 연희전문학교 시절(時節)부터 알려진 유명(有名)한 데이트 장소(場所)이다. 이양하(李敭河) 의 수필(隨筆) 《나무》, 《신록예찬(新綠禮讚)》 등(等)의 모티브가 되었다. [33]
  • 노천극장(露天劇場): 1932년(年) 밀러(Dr. Miller) 교수(敎授)에 의(依)하여 설계(設計)되어 1933년(年) 5월(月)에 준공(竣工)되었다. 이후(以後) 1957년(年) 여름에 보수공사(補修工事)를 거쳤으며 현재(現在)의 노천극장(露天劇場)은 동문(同門)들의 성금(誠金)을 모아 1999년(年) 5월(月) 준공(竣工)된 초현대식(超現代式) 건물(建物)로 성금(誠金)을 낸 동문(同門)들의 이름을 대리석(大理石)에 새겨놓고 있다. [24]
  • 100주년기념관(周年記念館)(百周年紀念館):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창립(創立) 100주년(周年)을 기념(記念)하여 1988년(年) 5월(月)에 준공(竣工)된 건물(建物)로 연세대학교 박물관(博物館) 과 콘서트홀로 구분(區分)하여 사용(使用)되고 있다. [35] 박물관(博物館)은 1924년(年) 설립(設立)되었으며, 1964년(年) 공주(公州) 석장리(石壯里) 유적(遺跡) 발굴(發掘)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의 구석기(舊石器) 문화(文化) 를 최초(最初)로 밝히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36] 신라(新羅) 삼층석탑(三層石塔)과 유물(遺物) 1803점(點)을 비롯한 여러 유물(遺物)들을 보관(保管)한 박물관(博物館)은 10개소(個所)의 전시실(展示室)과 소강당(小講堂), 4개소(個所)의 수장고(收藏庫)로 이루어져 있다. 콘서트홀은 900여(餘) 명(名)을 수용(收容)할 수 있는 객석(客席)과 휴게실(休憩室)을 갖추고 있다. [35]

국제(國際)캠퍼스(이원화(二元化) 캠퍼스)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국제(國際)캠퍼스(國際-)는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연수구(延壽區) 송도과학(松島科學)로 85( 송도국제도시(松島國際都市) )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연세대학교의 캠퍼스이다. [37] 615,000m 2 (약(約) 186,000평(坪))의 부지(敷地)에 캠퍼스를 조성(造成)하였다. [38]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학교본부(學校本部)는 국제(國際)캠퍼스의 건립(建立)을 서울캠퍼스의 공간적(空間的) 연장(延長)이라고 밝혔다. 즉(卽)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국제(國際)캠퍼스는 연세대학교의 이원화(二元化)캠퍼스이다. 연세대학교는 2006년(年) 1월(月)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와 양해각서(諒解覺書)(MOU)를 체결(締結)하고, 2008년(年) 11월(月) 캠퍼스 조성(造成) 공사(工事)를 시작(始作)하였다. 강의동(講義棟)과 연구시설(硏究施設) 등(等)을 건설(建設)하는 비용(費用) 6,500억(億)원은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가 부동산(不動産) 개발(開發) 이익(利益)으로 전액(全額) 부담(負擔)한다. [37] 2010년(年) 3월(月)에 일부(一部) 개교(個校)하였고 2014년(年) 기준(基準)으로 2B단계(段階)까지의 준공(竣工)을 마쳤다. 2011년도(年度)에 국제(國際)캠퍼스에 처음으로 개설(開設)된 전공(專攻)은 공과대학(工科大學) 글로벌융합공학부(融合工學部)·글로벌융합기술원(融合技術院), 언더우드국제대학(國際大學), 자유전공(自由專攻), 의예과(醫豫科), 치의예과(齒醫豫科), 약학대학(藥學大學)·약학대학원(藥學大學院), 외국인(外國人)글로벌학부(學部) 등(等)이다. [38]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학부(學部) 과정(課程)의 대부분(大部分)의 학생(學生)은 1학년(學年)을 국제(國際)캠퍼스에서 이수(履修)하고 약학대학(藥學大學), 공과대학(工科大學) 글로벌융합공학부(融合工學部), 언더우드국제대학(國際大學) HASS, ISED 재학생(在學生)을 제외(除外)한 학생(學生)은 나머지 재학(在學) 기간(期間)을 신촌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39]

국제(國際)캠퍼스의 건립(建立)으로 2013년(年) 이후(以後) 입학(入學)하는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신입생(新入生)은 국제(國際)캠퍼스에서 레지덴셜칼리지(Residential College, RC) 교육(敎育)을 이수(履修)해야 한다. 신입생(新入生) 대상(對象) RC 제도(制度) 시행(施行) 첫 학번(學番)이었던 13학번(學番)은 국제(國際)캠퍼스에서 한 학기(學期)를 의무적(義務的)으로 보냈으며 1학기(學期)에는 문과대학(文科大學), 공과대학(工科大學), 교육학과(敎育學科), 간호학과(看護學科)가, 2학기(學期)에는 상경대학(大學), 경영대학(經營大學), 이과대학(理科大學), 생명(生命)시스템대학(大學), 신과대학 사회과학대학(社會科學大學), 생활과학대학(生活科學大學) 학생(學生)들이 RC교육(敎育)을 이수(履修)했다. 2014년(年)부터는 모든 신촌캠퍼스 신입생(新入生)(음악대학(音樂大學) 제외(除外))이(李) 국제(國際)캠퍼스에서 두 학기(學期)를 의무(義務) 이수(履修)하도록 (체육교육학과(體育敎育學科), 스포츠응용산업학과(應用産業學科)는 한 학기(學期)) RC제도(制度)가 전면(全面) 시행(施行)되었다. [40]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약학대학(藥學大學), 공과대학(工科大學) 글로벌융합공학부(融合工學部), 언더우드국제대학(國際大學) HASS, ISED 소속(所屬) 학생(學生)들은 전(前) 교육(敎育) 과정(過程)을 국제(國際)캠퍼스에서 이수(履修)하며, 신촌캠퍼스 강의(講義)를 자유(自由)롭게 이수(履修)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삼애캠퍼스(이원화(二元化) 캠퍼스) [ 편집(編輯) ]

삼애캠퍼스(三愛-)는 경기도(京畿道) 고양시(高陽市) 일산동구(一山東區) 중산로 160-30 (중산동(中山洞))에 위치(位置)한 연세대학교의 또 다른 캠퍼스이다. 1976년(年) 배민수 목사(牧師)가 별세(別世)한 후(後) 그의 유족(遺族)들이 약(約) 181,819m 2 (55,000평(坪))을 기증(寄贈)하면서 캠퍼스가 조성(造成)되었다. 현재(現在) 삼애캠퍼스는 천문대(天文臺)와 운동장(運動場) 2개(個), 삼애교회(敎會)로 구성(構成)되어 있고 천문대(天文臺)는 천문우주학과(天文宇宙學科)에서 주로(主로) 이용(利用)하며 주변(周邊) 학교(學校)의 견학장소(見學場所)로 사용(使用)되고 있다. 운동장(運動場)의 경우(境遇) 운동부(運動部)들의 연습구장(練習球場)으로 사용(使用)되고 있지만 부대시설(附帶施設)이 부족(不足)해 사용(使用)하는 학생(學生)들이 불편(不便)을 겪고 있다. [41]

미래(未來)캠퍼스(분교(分校)) [ 편집(編輯) ]

미래(未來)캠퍼스(未來-)는 연세대학교의 분교(分校)로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원주시(原州市) 연세대(延世大)길 1에 위치(位置)한 종합대학(綜合大學)인 ‘매지캠퍼스’(梅芝-)와 일산(一山)로 20에 위치(位置)한 원주(原州)세브란스기독병원 과 의과대학(醫科大學)의 ‘일산(一山)캠퍼스’(一山-)로 구성(構成)되었다. [42] 2008년(年)에 원주(原州)캠퍼스 창립(創立) 30주년(周年) 기념식(記念式)을 거행(擧行)하였으며 2010년(年)에 원주(原州)캠퍼스 비전 2020+ 선포식(宣布式)을 개최(開催)하였다. 또한 전국(全國) 대학(大學) 최초(最初)로 RC프로그램을 성공적(成功的)으로 시행(施行)하여 정착시켰으며 이후(以後) 2013년(年)부터 국제(國際)캠퍼스로 확대시행(擴大施行)되었다. 매지캠퍼스에는 인문예술대학(人文藝術大學), 정경대학(政經大學), 과학기술대학(科學技術大學), 보건과학대학(保健科學大學), 동아시아국제학부(東아시아國際學部)(EIC)가 그리고 일산(一山)캠퍼스에 원주의과대학(原州醫科大學)이 존재(存在)한다. [43]

매지캠퍼스 [ 편집(編輯) ]

매지캠퍼스는 김우중(金宇中) 전(前) 대우(大宇)그룹 회장(會長)이 기증(寄贈)한 165만여(萬餘)m 2 부지(敷地)에 캠퍼스를 조성(造成)하였다. [42] 매지캠퍼스의 교내(校內)로 들어서면 왼편(왼便)으로 첨단의료기기(尖端醫療機器) 테크노타워, 환경친화기술(環境親和技術)센터, 기숙사(寄宿舍)인 매지 1, 2, 3학사(學事), 세연(世緣)1, 2학사(學事), 청연학사(靑煙學士)가 있고 학생식당(學生食堂), 편의점(便宜店), 우리은행(우리銀行), 우체국(郵遞局) 등(等)의 편의시설(便宜施設)이 있는 연세(延世)프라자가 있으며 그 앞으로는 언덕 위에 현운재가(玄運裁可) 보이고 옆으로는 무궁화동산(無窮花동산), 연세(延世)스포츠센터와 대운동장(大運動場), 매지호가 있다. 은행나무(銀杏나무) 가로수(街路樹)의 긴 진입로(進入路)에는 대학교회(大學敎會)와 대학본부건물(大學本部建物)이 서로 연결(連結)되어 있다 가로수(街路樹)길이 끝나는 곳의 앞에 학생회관(學生會館)과 도서관(圖書館)이 마주보고 있으며 그 사이엔 신촌(新村)캠보다 더 큰 독수리상(禿수리像)이 세워져 있다. 도서관(圖書館) 뒤로는 미래관(未來觀), 그 위쪽 좌측(左側)에 인문예술대학(人文藝術大學)이 사용(使用)하는 청송관과 정경대학(政經大學)이 사용(使用)하는 정의관(正義觀), 우측(右側)에 과학기술대학(科學技術大學)이 있는 창조관(創造館), 그 뒤편(뒤便)에 보건과학대학(保健科學大學)이 사용(使用)하는 백운관(白雲觀)이 있다. [44]

일산(一山)캠퍼스 [ 편집(編輯) ]

일산(一山)캠퍼스는 1959년(年)에 선교사(宣敎師) 주디 머레이가 세운 원주기독연합병원(原州基督聯合病院)에서 시작(始作)되어, 1978년(年)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의예과(醫豫科), 1982년(年)에 종합대학(綜合大學)으로 발전(發展)하였다.

의료원(醫療院)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 의료원(醫療院)(신촌 세브란스병원(病院))

연세대학교 의료원(醫療院) (延世大學校 醫療院,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은 세브란스병원(病院) , 강남(江南)세브란스병원(病院) , 용인(龍仁)세브란스병원(病院) ,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精神健康病院), 원주(原州)세브란스기독병원 (연세(延世)원주의료원 산하(傘下)), 의과대학(醫科大學), 치과대학(齒科大學), 간호대학(看護大學), 보건대학원(保健大學院), 간호대학(看護大學)원 등(等)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45]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대문구 신촌동(新村洞)에 위치(位置)한 세브란스 병원(病院)은 개원(開院) 101주년(周年)이 되는 2005년(年) 4월(月)에 병원(病院) 건물(建物)을 신축(新築)하였으며, [46] 현재(現在) 2,064개(個)의 병상(病床)을 갖추고 26개(個)의 과목(科目)의 진료(診療)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강남구(江南區) 도곡동에 위치(位置)한 강남(江南)세브란스병원(病院)은 1983년(年)에 개원(開院)하였으며, 2010년(年)에는 804개(個)의 병상(病床)을 갖추고 36개(個)의 과목(科目)의 진료(診療)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47] 경기도(京畿道) 용인시(龍仁市) 처인구(處仁區) 역북동에 위치(位置)한 용인(龍仁)세브란스병원(病院)은 한국(韓國)- 독일(獨逸) 수교(修交) 100주년(周年) 기념사업(記念事業)의 일환(一環)으로 1983년(年)에 개원(開院)하였으며, [48] 113개(個)의 병상(病床)을 갖추고 15개(個) 과목(科目)의 진료(診療)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49] 경기도(京畿道) 광주시(光州市)에 위치(位置)한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精神健康病院)은 1993년(年) 설립(設立)된 대한민국(大韓民國) 유일(唯一)의 대학(大學) 정신과(精神科) 전문병원(專門病院)이다. [50] 원주(原州)연세의료원의 원주(原州)세브란스기독병원 은 현재(現在) 중부권(中部圈) 제일(第一)의 대학병원(大學病院)으로 1,000병상(病床)을 갖추고 31개(個) 과목(科目)의 진료(診療)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51]

원주연세의료원(原州延世醫療院)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 원주의료원은 원주(原州)세브란스기독병원 , 원주의과대학(原州醫科大學), 원주간호대학(原州看護大學) 등(等)으로 구성(構成)된다.

기타(其他) 시설(施設) [ 편집(編輯) ]

  • 김대중 도서관(圖書館):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의 대통령(大統領) 도서관(圖書館)인 김대중(金大中) 도서관(圖書館)은 구(區) 아태평화재단으로부터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마포구(麻浦區) 동교동(東橋洞) 소재(所在) 토지(土地)와 건물(建物), 관련(關聯) 자료(資料)를 기증(寄贈) 받아 2003년(年)에 설립(設立)되어 개관(開館)하였다. [52] 김대중 도서관(圖書館)은 1·2층(層)에 도서관(圖書館), 3~5층(層)에 통일연구원(統一硏究院), 현대한국학연구소(現代韓國學硏究所) 등(等)의 연구기관(硏究機關)과 연구실(硏究室)이 있으며, 지하(地下) 1층(層)에는 컨벤션홀을 갖추고 있다. 도서관(圖書館)은 1만(萬) 6천여권(千餘卷)의 장서(藏書)를 소장(所藏)하고 있다. [53]
  • 우남관(愚男館)(雩南館):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종로구(鍾路區) 부암동(付巖洞) 소재(所在) 대지(垈地) 및 임야(林野)와 건물(建物)을 1996년(年) 8월(月) 최송옥, 최병설 남매(男妹)가 이승만(李承晩) 및 한국(韓國) 현대사(現代史) 연구(硏究)를 위해 기증(寄贈)하였다. 기증자(寄贈者) 최송옥씨(氏)를 기념(記念)하기 위하여 송암관(官)이라 불렀으나, 2002년(年) 10월(月)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을 기리기 위해 우남관(愚男館)이라 새로이 명명하였다. [53] 현재(現在) 이승만연구원(李承晩硏究院)이 사용(使用)하고 있으며 이승만(李承晩) 관련(關聯) 기록물(記錄物) 15만여(萬餘) 쪽을 보관(保管)하고 있다. [54] [55] [56]
  • 언더우드가 기념관(記念館): 언더우드가 기념관(記念館)은 연세대학교의 설립자(設立者)인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와 그 가족(家族)들을 기념(記念)하기 위해 이들이 거주(居住)하였던 연희동(連喜洞) 사택(舍宅)을 새롭게 조성(造成)하였다. [53] 언더우드 가문(家門)은 4대(代)에 걸쳐 한국(韓國)에 거주(居住)하면서 연세대학교의 기반(基盤)을 마련하였다. [57] 1930년대(年代) 당시(當時)의 사택(社宅) 내부(內部)의 모습으로 최대한(最大限) 복원(復元)되었으며, 2003년(年) 개관(開館)하였다. [53]
  • 덕소수양관(修養館): 덕소수양관(修養館)은 세미나 및 워크샵 등(等)을 개최(開催)하는 장소(場所)로 사용(使用)할 목적(目的)에서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의 출자(出資)로 덕소교육용지(敎育用地)(경기도(京畿道) 양주군(楊州郡) 와부면 도곡리 산(山) 164번지(番地), 현재(現在)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京江)로849번길 126)에 1970년(年)에 준공(竣工)되었다. [53]

학생(學生) 활동(活動) [ 편집(編輯) ]

총학생회(總學生會) [ 편집(編輯) ]

총학생회(總學生會)는 학교(學校) 당국(當局)과 독립적(獨立的)인 학생(學生)들의 요구(要求)를 대외적(對外的)으로 관철(貫徹)시키기 위한 학생자치기구(學生自治機構)이다. 1949년(年) 9월(月) 이승만(李承晩) 정권(政權) 당시(當時) 대통령령(大統領令) 86호(號)로 결성(結成)된 학도호국단(學徒護國團)을 [58] 해체(解體)하는 안(案)이 1960년(年) 5월(月)에 국무회의(國務會議)에서 4·19 혁명(革命) 이후(以後) 학원(學院) 민주화(民主化)의 여론(輿論)에 따라 통과(通過)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학생(學生) 자치기관(自治機關)이 탄생(誕生)하는 계기(契機)가 되었다. 그해 6월(月)에 각(各) 단과대학(單科大學) 대표(代表)들의 회합(會合) 결과(結果) ‘연세대학교 학생회(學生會)’라고 일컫는 학생(學生) 자치기구(自治機構)가 구성(構成)되었고 1961년(年) 1월(月)에 총학생회(總學生會)가 정식(正式)으로 발족(發足)하였다. [59] 1975년(年) 6월(月)에 군사정권(軍事政權)에 의(依)해서 다시 학도호국단(學徒護國團)으로 재편(再編)되지만 [60] 1983년(年) 12월(月)에 학원자율화(學院自律化) 조치(措置)와 1984년(年) 학도호국단(學徒護國團)의 폐지(廢止)로 총학생회(總學生會) 체제(體制)가 부활(復活)하였다. [61] 매년(每年) 선거(選擧)를 통해 총학생회(總學生會)가 선출(選出)되고 있으며 2020년(年) 기준(基準)으로 제(第)55대(代) 총학생회(總學生會) ‘Mate’가 활동(活動)하고 있다. 학생복지처가(學生福祉妻家) 총학생회(總學生會) 활동(活動)의 지원(支援)을 담당(擔當)하고 있으며, [62] 학생(學生) 복지(福祉)를 관장(管掌)하는 기구(機構)로 학생복지위원회(學生福祉委員會)라는 별도(別途)의 기구(機構)가 존재(存在)하여 생활협동조합(生活協同組合)의 운영(運營), 생협장학금(生協奬學金), 신촌판(版) 택리지(擇里志) 발간(發刊), 특강(特講) 개설(開設) 등(等)의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 [63]

한편(한便) 1988년(年) 3월(月) 총학생회(總學生會) 산하(傘下) 여학생부(女學生部)가 재편(再編)되어 [61] 총여학생회(總女學生會)가 31년간(年間) 매년(每年) 선출(選出)되었으나, 탄생(誕生) 이래(以來) 위상(位相)이 모호(模糊)하다는 비판(批判)을 받았으며 2019년(年) 1월(月) 학생총투표(學生總投票)로 폐지(廢止)가 가결(可決)됨으로써 사라지게 되었다. [64]

학내(學內) 공식(公式) 언론단체(言論團體) [ 편집(編輯) ]

신촌캠퍼스의 이한열(李韓烈) 추모비(追慕碑)
  • 연세춘추: 연세춘추는 1935년(年) 《연전(年前)타임스》라는 제호(題號)로 최초(最初) 간행(刊行)되었는데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가장 먼저 간행(刊行)된 대학신문(大學新聞)의 효시(嚆矢)이다. 그 이후(以後) 1946년(年) 《연희(演戱)타임스》와 1953년(年) 《연희춘추(演戱春秋)》를 거쳐, 1957년(年) 《연세춘추》로 제호(題號)를 변경(變更)하면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연세춘추는 학기(學期)(한 학기(學期)에 약(約) 12회(回), 방학(放學) 중(中) 1회(回)) 중(中) 시험(試驗) 기간(期間)과 그 다음 주(週)를 제외(除外)한 매주(每週) 월요일(月曜日)에 발행(發行)하고 있으며 2005년(年) 9월(月) 웹진 《연두》를 창간(創刊)함으로써 인터넷 신문(新聞) 의 역할(役割)을 강화(强化)하였다. [65] 신문사(新聞社)의 위치(位置)는 미(美)우관 302호(號)에 있다.
  • 연세학보사(延世學報社): 《연세학보(延世學報)》는 제(第)2캠퍼스의 독자적(獨自的)인 신문(新聞)으로 1987년(年)에 창간(創刊)되었다. 창간(創刊) 초기(初期)의 제호(題號)는 《연원학보(淵源學報)》이며, 1994년(年)부터 《연세학보(延世學報)》로 제호(題號)를 변경(變更)하여 발행(發行)하고 있다. 원주(原州)캠퍼스만의 독자적(獨自的)인 신문(新聞)으로 교내(校內)에서 일어나는 학내(學內) 행사(行事) 및 학술(學術) 연구(硏究) 성과(成果), 학생(學生) 활동(活動) 등(等)의 보도(報道)를 기본(基本)으로 하며 문화(文化)·학술(學術)·사회(社會) 등(等) 전반적(全般的)인 사안(事案)에 대(對)해서도 다루고 있다. 현재(現在) 격주간(隔週刊) 발행(發行) 체제(體制)로 한 학기(學期)에 6번(番) 신문(新聞)을 발행(發行)하고 있다. [66]
  • The Yonsei Annals: 《The Yonsei Annals》는 1962년(年) 《연세춘추》의 부속지(附屬肢)로 최초(最初) 창간(創刊)되었다. 1967년(年) 1월(月)에 발간(發刊)이 중지(中止)되었다가 5개월(個月) 후(後) 재발간(再發刊)되었으며 1968년(年)에는 《연세춘추》의 자매지(姊妹紙)로 승격(昇格)되었다. 1970년(年)부터는 본격적(本格的)인 대학영자신문(大學英字新聞)으로서의 면모(面貌)를 갖추게 된다. 《The Yonsei Annals》는 연(年) 8회(回)(3~6월(月), 9~12월(月)) 매월(每月) 초(初)에 발행(發行)된다. 2007년(年)부터는 연세춘추사(社)에서 분리(分離)되어 독립(獨立)된 기관(機關)으로 운영(運營)되고 있다. [67]
  • 연세(延世) 교육(敎育) 방송국(放送國): 연세(延世) 교육(敎育) 방송국(放送國)(Yonsei Educational Broadcasting Station, YBS)은 1959년(年) 체신부(遞信部)로부터 방송국(放送局) 인가(認可)를 받아 대학방송국(大學放送局)으로 개국(開局)하였다. 그 후(後) 박정희(朴正熙) 정권(政權) 당시(當時)의 정보통신법(情報通信法)에 대학무선방송(大學無線放送)이 저촉(抵觸)된다는 이유(理由)로 호출부호(呼出符號)와 주파수(周波數)를 반납(返納)하였다. 현재(現在) 매주(每週) 월요일(月曜日)부터 금요일(金曜日)까지 아침, 낮, 저녁 세 차례(次例)(2시간(時間) 10분(分))에 걸쳐 캠퍼스 내(內)에 설치(設置)된 스피커와 인터넷을 통하여 다채로운 형식(形式)의 프로그램으로 방송(放送)을 하고 있다. 5월(月) 대동제(大同祭) 기간(期間)에 청송(靑松)대에서 열리는 국내(國內) 유일(唯一)의 야외(野外) 방송제(放送制) ‘숲속의 향연(饗宴)’, 9월(月) 연고제(軟膏劑) 때 열리는 ‘연고연합방송제(軟膏聯合放送祭)’를 개최(開催)하고 있다. [68]
  • 연세(延世) 매지 방송국(放送局): 연세(延世) 매지 방송국(放送局)(Yonsei Maeji Broadcasting Station, YMBS)은 1982년(年)에 대학(大學) 방송(放送) 최초(最初)로 스테레오 방송(放送)을 시도(試圖)하며 개국(開國)한 원주(原州)캠퍼스의 언론기관(言論機關)이다. 현재(現在) 아침, 낮, 저녁 세 차례(次例)에 걸쳐 학내(學內) 스피커를 통해서 정규(正規) 음성(音聲) 방송(放送)을 실시(實施)하고 있다. 2003년(年)에는 인터넷 방송(放送)을 시작(始作)하였다. [69]
  • YTV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인터넷 선교(宣敎) 방송국(放送局): YTV 선교(宣敎) 방송국(放送局)(Yonsei TV Gospel Broadcasting, YTV)은 2003년(年)에 개국(開國)한 원주(原州)캠퍼스의 선교방송국(宣敎放送局)이다. 현재(現在) 채플과 연세대학교의 대학교회(大學敎會)에서 영상촬영(映像撮影) 및 편집(編輯)을 하고 있다.

기타 [ 편집(編輯) ]

  • 연세대학교 응원단(應援團): 연세대학교 응원단(應援團)은 응원단장(應援團長) 1인(人) 체제(體制)로 이어져 오다가 1960년대(年代) 말(末)에 단장(團長)-부단장(副團長)-총무(總務) 3인 체제(體制)로 거듭나면서 응원단(應援團)이 조직(組織)된다. 신촌(新村), 원주(原州)캠퍼스가 통합적(統合的)으로 운영(運營)된다. 응원단(應援團)은 신입생(新入生) 오리엔테이션, 정기(定氣) 및 비정기(非定期) 연고전(延高戰),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등(等)에서 응원(應援)을 담당(擔當)한다. 응원단(應援團) 출신(出身)의 유명인(有名人)으로 조풍연 , 이만섭 , 임성훈 등(等)이 있다. [70] 응원단(應援團)이 주관(主管)하는 행사(行事)와 응원곡(應援曲)은 응원단(應援團) 홈페이지에서 확인(確認)할 수 있다.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신촌) 학생홍보대사(學生弘報大使) ‘I.N.延’: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대외협력처(對外協力處) 홍보(弘報)팀에 소속(所屬)되어 캠퍼스 투어, 홍보물(弘報物) 촬영(撮影), 의전(儀典) 등(等) 학교(學校) 홍보(弘報)의 최전선(最前線)에서 활동(活動)하는 재학생(在學生)들로 이루어진 교내(校內)의 공식(公式) 홍보단체(弘報團體)이다. 2002년(年) 활동(活動)을 시작(始作)한 이래(以來) 연간(年間) 600여개(餘個)의 팀, 약(約) 4만(萬) 5천(千) 명(名)의 국내외(國內外) 방문자(訪問者)들에게 캠퍼스 투어를 통해 연세대학교를 소개(紹介)하고 있다. 매달(每달) 넷째 주(週) 토요일(土曜日)에는 개인(個人) 방문객(訪問客)을 대상(對象)으로 한 대규모(大規模) 정기견학(定期見學)을 진행(進行) 중(中)이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申請)이 가능(可能)하다. 2022년(年) 기준(基準)으로 총(總) 35명(名)의 홍보대사(弘報大使)가 활동중(活動中)이다. [71]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원주(原州)) 학생홍보대사(學生弘報大使) ‘연홍’: 원주(原州)캠퍼스는 연홍이라는 별도(別途)의 학생홍보대사(學生弘報大使)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 연세극예술연구회(延世劇藝術硏究會): 중앙(中央) 연극(演劇) 동아리인 연세극예술연구회(延世劇藝術硏究會)는 1920년대(年代) 연희전문학교 시절(時節)부터 시작(始作)되었고, 1953년(年) 공식(公式) 발족(發足)한 단체(團體)이다. 지금(只今)까지 100회(回)의 정기(定期) 공연(公演)과 58회(回)의 소극장(小劇場) 공연(公演)을 통해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뿐 아니라 대한민국(大韓民國) 연극사(演劇史)에 큰 획(劃)을 그었다. 연세극예술연구회(延世劇藝術硏究會) 출신(出身)의 유명인(有名人)으로 임택근(任宅根) , 오현경 , 표재순, 오태석 , 명계남 , 이대연 등(等)이 있다. 1965년(年)부터 5년(年)마다 노천극장(露天劇場)에서 동문합동공연(同門合同公演)을 올리고 있으며 2번(番)의 정기(定期) 공연(公演)과 2번(番)의 소극장(小劇場) 공연(公演)을 매년(每年) 올리고 있다. [72]
  • 락그룹 ‘소나기’: 1986년(年) '연제전자음악회(蓮堤電子音樂會) 소나기'라는 동아리(써클)로 출발(出發)하였으며 이후(以後) 1989년(年) 연세대학교의 정식(正式) 단체(團體)가 된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최초(最初)의 락그룹 동아리이다. 매년(每年) 연고전(延高戰)과 5월(月) 대공연(大公演), 11월(月) 가을 공연(公演) 등(等) 정기(定期) 공연(公演)과 학내(學內) 주요(主要) 행사(行事)의 연주(演奏)를 담당(擔當)하고 있다. 소나기는 1990년(年) MBC 대학가요제(大學歌謠祭) 에서 《누군가》라는 곡(曲)으로 대상(對象)을, 1995년(年) 《엇갈림 속에서》라는 곡(曲)으로 은상(銀賞)을, 2001년(年) 《청춘가(靑春歌)》로 대상(大賞)을 수상(受賞)하였다. [73]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기수단(氣手段) Blue Knights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기수단(氣手段) Blue Knights는 1997년(年)부터 활동(活動)을 시작(始作)하였고,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과 하반기(下半期) 합동응원전(合同應援戰)에서 기수응원(騎手應援)과 특별응원(特別應援)을 담당(擔當)하고 있는 교내(校內) 특별자치단체(特別自治團體)이다. 기수단원(期數團員)들은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 하반기(下半期) 합동응원전(合同應援戰) 뿐만 아니라 새내기 새로배(倍)움터에서의 응원(應援)OT, 상반기(上半期) 합동응원전(合同應援戰) 등(等)에서 응원(應援)을 이끌고 있다.

연례(年例) 행사(行事) [ 편집(編輯) ]

무악대동제(洞祭)와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 편집(編輯) ]

크리스마스 트리 점등식(點燈式)
(신촌캠퍼스, 매년(每年) 12월(月) 초(初))
  • 무악대동제(舞樂大同祭)(毋岳大同祭): 무악대동제(洞祭)는 매년(每年) 5월(月)에 3일간(日間) 개최(開催)되는 학생(學生) 축제(祝祭)이다. [74] 1957년(年)부터 61년(年)까지는 창립기념일(創立記念日)에 각종(各種) 행사(行事)가 진행(進行)되었고 1962년(年)부터 ‘무악제전(舞樂祭典)’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本格的)인 축제(祝祭)가 치러졌다. 축제(祝祭)에 오락(娛樂) 위주(爲主)의 백양제(制)와 학술제(學術祭)가 등장(登場)한 것은 1964년(年)부터이며 1970년대(年代)에 ‘무악축전(舞樂祝電)’으로 명칭(名稱)을 변경(變更)하고 체계적(體系的)인 행사(行事)의 짜임새를 갖추게 되었다. 1987년(年)이 되어서야 ‘무악대동제(舞樂大同祭)’라는 명칭(名稱)으로 바뀌고 90년대(年代) 이후(以後)부터 현재(現在)의 대동제(大同祭)와 유사(類似)한 형태(形態)로 축제(祝祭)가 진행(進行)되었다. [75] 총(總) 이틀에 거쳐 백양로 장터(場터) 및 주점(酒店), 동아리 공연(公演), 연세(年歲)인 장기(長技)자랑 콘테스트, 개막제(開幕祭) 및 폐막제(閉幕祭)가 진행(進行)되며, 삼일(三日)째 저녁에는 ‘아카라카를 온누리에’가 열린다. [76] 개막제(開幕祭)를 시작(始作)으로 백양로에는 각(各) 자치단위(自治單位)의 장터(場터)와 주점(酒店)이 세워진다. [74] 2011년(年) 동아리 공연(公演)에서는 총(總) 119팀이 공연(公演)을 신청(申請)하였고, 공연(公演)은 백양로 삼거리(三거리), 백주년기념관(百周年記念館) 앞, 독수리상(禿수리像) 옆에서 이틀 동안 진행(進行)되었다. [76] 대동제(大同祭) 마지막 날 저녁에는 청송(靑松)대에서 연세교육방송국(延世敎育放送局)(YBS)에서 주최(主催)하는 방송제(放送制) ‘숲속의 향연(饗宴)’이 진행(進行)된다. [74]

A)
저 멀리서 들려오는 북소리
고릴라는 가슴 치며 춤춘다
식인종(食人種)의 가마솥은 끓는데
타잔 녀석 지금(只今)쯤은 졸거(卒去)다
일어나 이제는 응원(應援)을 해야지!
B)
앉고 서고 STOP!
뛰고 뛰고 뛰고 뛰고
앉고 서고 STOP!
뛰고 뛰고 뛰고 뛰고
소리치며 다시 한 번(番) 힘을 내서
뛰어라!
(구성(構成): A-B-간주(看做)-A-B-B)

〈원시림(原始林)〉
  • 아카라카를 온누리에(Akaraka): ‘아카라카를 온누리에’는 무악대동제(舞樂大同祭) 삼일(三日)째 저녁에 연세대학교 응원단(應援團)이 주최(主催)하는 응원(應援)제로 1986년(年)부터 시작(始作)되었다. [77] ‘아카라카’라는 명칭(名稱)은 연희전문학교 시절(時節)부터 사용(使用)된 연세대학교의 교호(交互)(校號)의 일부(一部)이다. [78] 아카라카의 정확(正確)한 기원(起源)은 없지만 옛날 로마 시대(時代) 에 장군(將軍)이 개선(改善)하기 전(前) 황제(皇帝) 앞에서 외치던 구호(口號)를 딴 의성어(擬聲語) 라고 한다. 이 말은 설립자(設立者)인 언더우드가 다녔던 프린스턴 대학교(大學校) 에서 쓰이던 것으로 언더우드에 의(依)해 사용(使用)되기 시작(始作)하였다. 이 외(外)에도 독수리(禿수리)가 날개짓하는 소리, ‘가락’이란 말의 앞뒤에 ‘아’를 붙인 말 등(等) 아카라카의 뜻에 대(對)한 많은 설(說)이 있다. [79] ‘아카라카를 온누리에’는 총(總) 3부(部)로 진행(進行)되며, 1부(部)에서는 중앙(中央)동아리 공연(公演), 2부(部)에서는 가수(歌手)와 연예인(演藝人)의 축하(祝賀) 공연(公演), 3부(部)에서는 응원(應援)제가 이어진다. 원주(原州)캠퍼스는 신촌캠퍼스와는 별도(別途)로 아카라카를 진행(進行)하고 있다. [74]
  • 응원곡(應援哭): 첫 응원곡(應援曲)은 1931년(年)에 현제명 이 연희전문학교의 응원가(應援歌)로 미국(美國) 대학(大學)의 응원곡(應援哭)을 개사(開寫)하여 사용(使用)하면서 등장(登場)하였다. [70] 응원단(應援團)에서는 매년(每年) 연고전(延高戰) 출정식(出征式) 및 응원(應援) 오리엔테이션에서 응원곡(應援哭) 신곡(新曲)을 발표(發表)하고 있다. [80] 어렵게 만든 7~8개(個)의 신곡(新曲) 중(中)에서 학생(學生)들의 호응(呼應)을 얻어 그 다음해 응원가(應援歌)로 사용(使用)되는 경우(境遇)는 3~4곡(曲)에 불과(不過)하다. 1989년(年)에 제작(製作)된 〈원시림(原始林)〉은 가장 대표적(代表的)인 응원곡(應援曲)이며 2005년(年)에 발표(發表)된 〈연세여(延世餘) 사랑한다〉도 많이 불린다. [81] 이 외(外)에도 〈J에게〉, 〈고.밟.꿈〉, 〈러닝맨〉, 〈3초전(秒前)〉, 〈서시(序詩)〉, 〈 해야 〉 등(等)이 있다.
  • 교가(校歌)와 구호(口號): 현재(現在) 사용(使用)되는 교가(校歌)는 〈연세의 노래〉로 백낙준(白樂濬)이 작사(作詞)하고, 박태준 이 작곡(作曲)하였다. [82] 교가(校歌) 이외(以外)에도 〈연세(延世) 찬가(讚歌)〉가 같이 사용(使用)되고 있다. [82] 구호(口號)는 ‘아카라카’, ‘쾌지나’, ‘독수리(禿수리) 함성(喊聲)’ 등(等)이라는 제목(題目)의 다양한 구호(口號)가 있는데 대표적(代表的) 구호(口號)인 ‘아카라카’는 다음과 같다. [83]
아카라카! 아카라카(아라(阿羅))칭 아카라카(아라(阿羅))쵸 아카라카(아라(阿羅)) 칭칭 쵸쵸쵸

랄랄라 시스붐바 연세(延世) 선수(選手) 라플라
헤이 연세(延世) 야(野)!

연고전(延高戰) [ 편집(編輯) ]

파일:20051105 044.jpg
2006년(年)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 잠실(蠶室) 야구장(野球場) )

연고전(延高戰)(延高戰)은 애교심(愛校心)을 고양(高揚)하고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양교(兩校)의 친선(親善)을 도모(圖謀)하기 위한 목적(目的)으로 [84] 스포츠 경기(競技) [85] 를 비롯한 강연(講演) [86] , 온라인 게임 [87] , 사회공헌활동(社會貢獻活動) [88] [89] 과 같은 다양한 분야(分野)에서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와 승부(勝負)를 겨루는 행사(行事) 일체(一切)를 의미(意味)한다. 연고전(延高戰)과 유사(類似)한 대학교(大學校) 스포츠 대항전(對抗戰)으로 영국(英國)의 옥스퍼드 대학교(大學校) 캠브리지 대학교(大學校) 조정(調整) 경기(競技)와 일본(日本)의 와세다 대학(大學) 게이오기주쿠 대학(大學) 의 ‘ 소케이센 ’(早慶戰) 등(等)이 있다. 연고전(延高戰)은 매년(每年) 9월(月)에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5개(個) 종목(種目)의 운동부(運動部) 선수(選手)들과 맞붙는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 [84] 과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 이외(以外)의 기간(期間)에 열리는 ‘비정기(非定期) 연고전(延高戰)’ [90] 으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와 관련(關聯)하여 교내(校內)에 축구부(蹴球部), 럭비부, 야구부(野球部), 농구부(籠球部), 아이스하키부(部) 등(等) 5개(個) 종목(種目)의 스포츠단체(團體)가 활동(活動)하고 있다. [91] 흔히 일컬어지는 ‘연고전(戰)’이라는 명칭(名稱)은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을 의미하며 [92] , 아래에 이어지는 설명(說明)도 ‘정기(定期) 연고전(延高戰)’에 관(關)한 것이다.

  • 연고전(延高戰)의 역사(歷史): 연세대학교의 전신(前身)인 연희전문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전신(前身)인 보성전문학교 는 1925년(年) 5월(月) 30일(日)에 열린 조선(朝鮮) 체육회(體育會) 주최(主催) ‘제(第)5회(回) 전조선(前朝鮮)(全朝鮮) 정구대회(庭球大會)’에서 처음으로 맞붙었다. 양교(兩校)의 실질적(實質的)인 첫 전면시합(全面試合)이 열린 것은 1927년(年) 경성운동장(鏡城運動腸) 에서 거행(擧行)된 제(第)8회(回) 전조선(前朝鮮) 축구대회(蹴球大會) 준결승(準決勝)에서의 연희전문학교 축구부(蹴球部) 보성전문학교 축구부(蹴球部) 의 대결(對決)이었다. 1943년(年)에 징병제(徵兵制) 가 실시(實施)되어 시합(試合)이 중지(中止)되기 전(前)까지 연희전문학교는 보성전문학교를 상대(相對)로 한 축구대회(蹴球大會)에서 31전(錢) 14승(勝) 17패(敗)를, 농구대회(籠球大會)에서 62전(錢) 32승(勝) 30패(敗)를 기록(記錄)하였다. [93] 정기전(定期戰)은 광복(光復) 이후(以後) 1945년(年) 12월(月) 21일(日)부터 이틀간(間) 열린 ‘제(第)1회(回) 연보(年譜) OB 축구대회(蹴球大會)’를 통해 부활(復活)하였다. 이듬해인 1946년(年)에는 양교(兩校)의 교명(校名)이 바뀌었으며 [94] [95] [96] 이에 따라 ‘연보전(年譜展)’이라는 명칭(名稱) 또한 ‘연고전(戰)’으로 바뀌었다. 1946년(年)부터는 축구(蹴球) 농구(籠球) 의 재학생(在學生) 간(間) 정기전(定期戰)이 매년(每年) 열리게 되었고, 1956년(年)에는 야구(野球) , 럭비 , 빙구 의 세 종목(種目)이 추가(追加)되었다. 오늘날과 같은 규모(規模)의 연고전(延高戰) 기틀이 마련된 것은 1959년(年)의 일이다. 1961년(年)부터 1964년(年)까지는 5·16 군사정변(軍士政變) 등(等)의 이유(理由)로 정기전(定期戰)이 열리지 않았다. [93] 1965년(年)부터는 이틀 동안 다섯 경기(競技)가 일제히(一齊히) 치러지는 지금(只今)과 같은 경기방식(競技方式)이 완전히(完全히) 자리를 잡았다. [97] 한동안 ‘민족해방제(民族解放制)’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98]
  • 정기전(定期戰)의 명칭(名稱)과 일정(日程): 매년(每年) 9월(月)에 열리는 정기전(定期戰)(정기친선경기대회(定期親善競技大會))은 연고(軟膏) 양교(兩校)가 매년(每年) 번갈아 주관(主管)한다. 정기전(定期戰)의 공식적(公式的)인 명칭(名稱)은 정기전(定期戰)을 주최(主催)하는 학교(學校)의 이름을 뒤에 붙이는 방식(方式)으로 정(定)해지는데, 연세대학교가 주최(主催)하는 정기전(定期戰) 행사(行事)인 경우(境遇) ‘고연전(戰)’이 정식(正式) 명칭(名稱)이 되는 식(式)이다. [99] 그러나 정식(正式) 명칭(名稱)은 실질적(實質的)으로 방송(放送) 중계(中繼)나 신문(新聞) 보도(報道) 등(等)의 공식(公式) 석상(席上)에만 사용(使用)될 뿐이며, 연세대학교에서는 연고전(延高戰), 고려대학교에서는 고연전(戰)이라는 명칭(名稱)으로 통용(通用)된다. [100] 연고전(延高戰)을 며칠 앞두고 신촌(新村) 오리엔테이션과 원주(原州) 오리엔테이션, 양교(兩校) 합동(合同) 오리엔테이션이 각각(各各) 진행(進行)된다. [101]
  • 연고전(延高戰)에 대(對)한 평가(評價): 연고전(戰)이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자긍심(自矜心)을 고취(鼓吹)하는 전통적(傳統的)인 스포츠 친선(親善) 경기(競技)이며 [102] 대학(大學) 스포츠 발전(發展)에 이바지하였다는 [103] 평가(評價)와 더불어 시대적(時代的) 맥락(脈絡)을 저버린 채 즐거움만 추구(追求)하며 [102] 폐쇄적(閉鎖的)인 엘리트 의식(意識)을 부추긴다는 비판(批判)이 있다. [104] 한편(한便) 선수(選手)들 간(間)의 충돌(衝突)이나 경기(競技) 파행(跛行) 사태(事態) 등(等)의 지나친 성적(性的) 지상주의(至上主義)도 부정적(否定的) 측면(側面)으로 지적(指摘)되고 있다. [103] 신촌(新村)과 안암의 상가(商街) 일대(一帶)에서 벌어지는 연고전(延高戰)의 뒤풀이 문화(文化)와 주변(周邊)을 고려(考慮)하지 않은 응원(應援) 태도(態度)에 대(對)한 비판(批判)도 있다. [105]

개설(開設) 학과(學科)·전공(專攻) [ 편집(編輯) ]

학부(學部)와 대학원(大學院) 과정(過程)이 모두 개설(開設)되어 있다. 일반대학원(一般大學院)과 전문대학원(專門大學院), 특수대학원(特殊大學院)으로 구분(區分)되어 있다. 2009년(年) 개원(開院)한 법학전문대학원(法學專門大學院) 은 120명(名)을 배정(配定)받았고 [106] 의과대학(醫科大學)과 병행(竝行) 운영(運營)되고 있는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은 2015년(年)부터 폐지(廢止)되어 의과대학(醫科大學) 체제(體制)로 복귀(復歸)한다. [107]

교육(敎育) 방침상의(方針相議) 특징(特徵) [ 편집(編輯) ]

국제(國際) 교류(交流) [ 편집(編輯) ]

신촌캠퍼스의 글로벌 라운지

국제처(國際處)에서는 국제(國際) 교류(交流)의 갈래로 교환학생제도(交換學生制度)(Student Exchange Program)와 방문학생제도(訪問學生制度)(Visiting Student Program)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교환학생제도(交換學生制度)는 학생교환(學生交換) 협정(協定)이 체결(締結)된 외국(外國) 대학(大學)에 파견(派遣)되어 학업(學業)을 계속(繼續)하며 본교(本校)에서 학점(學點)을 인정받는 프로그램이다. 파견(派遣) 기간(期間) 동안 학비(學費)는 본교(本校)의 등록금(登錄金)을 납부(納付)한다. [108] 방문학생제도(訪問學生制度)는 본교(本校)와 파견(派遣) 대학(大學)에 모두 수업료(授業料)를 납부(納付)하지만 본교(本校) 등록금(登錄金)의 일부(一部)를 장학금(奬學金)으로 지급(支給)한다. 교환학생제도(交換學生制度)는 학생교환수(學生交換手)가 균형(均衡)을 이룰 때만 가능(可能)하지만 방문학생제도(訪問學生制度)는 이와 상관(相關) 없이 다수(多數)의 학생(學生)을 파견(派遣)할 수 있어 지원(支援) 기회(機會)가 폭넓다. [109] 방문학생제도(訪問學生制度)의 파견(派遣) 대학(大學)으로는 미국(美國) 아메리칸 대학교(大學校) ,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州立) 대학교(大學校) , 일리노이 공과대학교(工科大學校) ,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大學校) , 영국(英國) 노팅엄 대학교(大學校) , 킹스 칼리지 런던 등(等)이 있다. [110] 이 외(外)에도 외국(外國) 대학(大學)에서 자기(自己) 부담(負擔)으로 수학(受學)하고 본교(本校)에서 학점(學點)을 인정(認定) 받는 SAP(Study Abroad Program)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SAP는 휴학생(休學生)의 신분(身分)으로 파견(派遣)되는 것이므로 학기(學期)는 인정(認定)받지 못하며 등록금(登錄金)은 파견(派遣) 대학(大學)에 납부(納付)한다. [111] 또한 GIP(Global Internship Program)는 한 학기(學期) 동안의 해외(海外) 인턴십을 수료(修了)한 후(後) 본교(本校)에서 학기(學期)와 학점(學點)을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112]

2021년(年) 8월(月) 현재(現在) 전(全) 세계(世界) 77개국(個國)의 727개교(個校)(ISEP + 기타기관(其他機關))와 학술(學術) 교류(交流) 및 학생(學生) 교환(交換) 협정(協定)을 체결(締結)하였다. [113] 2010년(年) 5월(月) 연세대학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大學校) 버클리 로스쿨 복수학위제(復讐學位制)를 도입(導入)하였다. [18]

국내(國內) 교류(交流)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學術交流協定) 및 학점교류(學點交流) 협정(協定)이 체결(締結)된 국내(國內) 대학(大學)에서 수학(受學)하며 학점(學點)을 인정받을 수 있다. 교환(交換) 대학(大學)으로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 서강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울산대학교(蔚山大學校) , 카이스트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 성균관대학교 , 전주대학교(全州大學校) , 한남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科學技術大學校) , 계명대학교 , 중앙대학교 가 있다. [114]

채플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의 상징물(象徵物)인 독수리(禿수리) 상(上)

채플(Chapel)은 교목실(喬木室)에서 주관(主管)하는 예배(禮拜) 행사(行事)이며 재학생(在學生)은 채플을 4학기(學期) 이상(以上) 이수(履修)하여야만 졸업(卒業)이 가능(可能)하다. 성적(成跡)은 패스(P)와 논(論)패스(NP)로 처리(處理)된다. [115] 학부(學部)채플은 매주(每週) 월요일(月曜日)부터 금요일(金曜日)까지 대강당(大講堂)에서 실시(實施)되고 있다. 채플은 교회(敎會)의 일반적(一般的)인 예배(禮拜)와 다르게 강사(講師)가 말씀을 전(傳)하는 방식(方式)으로 이루어지며, 교외(郊外) 강사(講師)와 교내(校內) 강사(講師)가 격주(隔週)로 초빙(招聘)된다. 한 학기(學期)에 2 ~ 3회(回) 정도(程度) 음악(音樂), 무용(舞踊), 뮤지컬, 연극(演劇) 등(等)의 실험(實驗)채플을 실시(實施)한다. 연세(延世) 116주년(周年) 창립기념(創立記念) 주간(週間)에 연합(聯合)채플을 개최(開催)한 계기(契機)로 매년(每年) 재학생(在學生), 교직원(敎職員) 등(等)이 모두 참여(參與)하는 연합(聯合)채플을 창립기념주간(創立記念主幹)과 감사절(感謝節)에 노천극장(露天劇場)에서 개최(開催)하고 있다. [116]

졸업인증제(卒業認證制) [ 편집(編輯) ]

재학생(在學生)은 졸업(卒業)을 하기 위해서 최소(最小) 126 ~ 140학점(學點) 이상(以上)의 각(各) 대학별(大學別) 졸업학점(卒業學點)을 취득(取得)하는 것 이외(以外)에도 소속(所屬) 대학(大學) 또는 학과별(學科別)로 지정(指定)된 졸업인증요건(卒業認證要件)을 충족(充足)하여야 한다. 신촌캠퍼스 및 국제(國際)캠퍼스 학생(學生)은 영어인증(英語認證)이 요구(要求)되는데 “연세영어인증(延世英語引證)” 이상(以上)의 영어인증(英語引證) 요건(要件)을 충족(充足)하여야 하며 외부(外部) 공인영어시험(公認英語試驗) 성적(性的)으로도 영어인증(英語認證)의 취득(取得)이 가능(可能)하다. 이와 같은 영어인증제(英語認證制)는 2010학년도(學年度) 이후(以後) 신입생(新入生)과 2012학년도(學年度) 이후(以後) 편입생(編入生)에게 적용(適用)된다. 미래(未來)캠퍼스 학생(學生)은 대학별(大學別)로 지정(指定)된 외국어(外國語) 및 정보인증요건(情報認證要件)을 충족(充足)하여야 하는데 원주의과대학(原州醫科大學)은 미래(未來)캠퍼스의 졸업인증요건(卒業認證要件)에서 제외(除外)된다. [117]

운동부(運動部) [ 편집(編輯) ]

축구(蹴球) , 야구(野球) , 농구(籠球) , 아이스하키 , 럭비 등(等) 여러 종목(種目)의 운동부(運動部)를 운영(運營)하고 있다.

위상(位相) [ 편집(編輯) ]

대학(大學) 본부(本部)인 신촌캠퍼스의 언더우드관

2007년(年) 7월(月) 세브란스 병원(病院)이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國際醫療機關評價委員會)(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로부터 인증(認證)을 받았고, 2008년(年) 9월(月)에는 교육인적자원부(敎育人的資源部) 의 2007년도(年度) SCI 논문(論文) 분석(分析) 결과(結果) SCI 논문수(論文數) 세계(世界) 96위(位)로 도약(跳躍)하였다. 이듬해 2009년(年) 3월(月) 동서문제연구원(東西問題硏究院) 발행(發行) 저널이 《Global Economic Review》에 대한민국(大韓民國) 최초(最初)로 SSCI에 등재(登載)되었다. 2009년(年) 10월(月) 영국(英國) 더 타임스 의 세계(世界) 대학(大學) 평가(評價)에서 151위(位)를 기록(記錄)하였으며, 영국(英國) QS 세계(世界) 대학(大學) 평가(評價)에서 2010년(年) 142위(位), 이듬해인 2011년(年) 129위(位)를 기록(記錄)하였다. [18] 2010년(年) 12월(月) 학술정보원(學術情報院)이 교육과학기술부(敎育科學技術部) 주관(主觀)의 전국(全國) 대학도서관(大學圖書館) 평가(評價)에서 1위(位)로 선정(選定)되었으며, 2011년(年) 9월(月)에 시행(施行)된 교원양성기관(敎員養成機關) 평가(評價)에서도 1위(位)를 차지했다. 2011년(年) 10월(月) 14일(日) 영국(英國)의 경제(經濟) 주간지(週刊誌) 이코노미스트가 발표(發表)한 ‘세계(世界) 100대(代) 풀타임 MBA’ 순위(順位)에서 연세대 GMBA는 국내(國內) 최초(最初)로 유일(唯一)하게 순위권인(順位圈人) 세계(世界) 76위(位)에 랭크되어,국내 MBA 스쿨 중(中) 유일(唯一)하게 풀타임, 파트타임 MBA 모두 세계(世界) 100위권(位圈)에 진입(進入)하였다. 한편(한便) 연세대 경영대학(經營大學)은 2012년(年) 유럽경영대학협의회(經營大學協議會)(European foundation for Management Development)로부터 EQUIS 인증(認證)을 획득(獲得)하여, 대표적(代表的)인 국제(國際) 인증(認證)인 AACSB, EQUIS와 국내(國內) 인증(認證)인 KABEA까지 받은 국내(國內) 유일(唯一)한 경영대학(經營大學)이 되었다. 또한, 2012년(年)에 121명(名)이 합격(合格)한 것을 포함(包含)하여 1992년(年) 이래(以來) 약(約) 2,450여명(餘名)에 달(達)하는 공인회계사(公認會計士)를 배출(輩出)하였는데, 이는 국내(國內) 대학(大學)의 누적(累積) 합격자수(合格者數)로는 가장 높은 수치(數値)이다. 그리고 2012년(年) 기업분석(企業分析) 전문업체(專門業體)인 한국(韓國)CXO연구소(硏究所)가 국내(國內) 1천대(千臺) 기업(企業)의 CEO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연세대 경영학과(經營學科) 출신(出身)이 40명(名)으로 단일(單一) 학과(學科) 기준(基準)으로는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18] 2013년(年), 환태평양(環太平洋) 대학(大學) 협회(協會) (APRU)에 가입(加入)하게 되면서 아시아태평양(太平洋) 지역(地域)의 명문(名門) 대학(大學)으로부터 우수(優秀)한 교육(敎育)프로그램과 탁월(卓越)한 연구력(硏究力)을 가진 대학(大學)으로 평가(評價)받음을 입증(立證)했다. [119] 또, 2014년(年)에는 동아시아(東아시아) 연구형 대학(大學) 협회(協會) (AEARU)에 가입(加入)함으로써 동아시아(東아시아)의 여러 연구중심대학(硏究中心大學)들과 다차원적(多次元的) 국제협력(國際協力)의 발판(발板)을 더욱 공고히(鞏固히) 했다. [120]

동문회(同門會) 및 출신(出身) 유명인(有名人) [ 편집(編輯)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출신(出身) 교우(敎友)들의 모임인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총동문회(總同門會)는 1960년(年) 4월(月)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 동문회(同門會)와 세브란스 동창회(同窓會) 통합(統合)으로 창립(創立)한 기관(機關)이며 연세대학교의 다양한 사업(事業)과 장학재단(奬學財團)을 운영(運營)을 통해 모교(母校)를 지원(支援)하고 있다. 현재(現在) 총동문회(總同門會)의 회장(會長)은 제(第)27대(代) 회장(會長)인 박삼구(朴三求) 전(前) 금호(錦湖)아시아나그룹 회장(會長)이다. 1993년(年) 5월(月)에는 연세대학교 동문회관(同門會館)이 준공(竣工)되었다. [121] 문학사(文學史) 에서는 김수영 시인(是認), 윤동주(尹東柱) 시인(是認)(시인(詩人)인 동시(同時)에 수필가(隨筆家)이기도 하다.), 소설가(小說家) 인(人) 김유정(金裕貞) 작가(作家), 동요(童謠)(어린 음악대(音樂隊)), 동화(童話)(꽃과 대포(大砲))를 쓴 아동문학가(兒童文學家)인 김성도 작가(作家), 4.19 학생운동(學生運動)의 리더이며 가야 신라토기(新羅土器) 기증자(寄贈者)인 김병철(金炳哲) 회장(會長), 김우중(金宇中) 회장(會長) 등(等)이 연세대학교에서 공부(工夫)했다.

연세우유(牛乳) [ 편집(編輯) ]

연세우유(牛乳)는 연세대학교에서 설립(設立)한 학교법인(學校法人)으로 되어 있는 기업체(企業體)이며, 1962년(年) 3월(月) 미국(美國) 헤퍼 프로젝트(Heifer Project 책임자(責任者): 트락몰튼 감리교(監理敎) 목사(牧師)) 지원금(支援金)으로 캐나다 로부터 젖소 10두(豆)를 기증(寄贈)받아, 1971년(年) 3월(月) 연세우유(牛乳)의 시중(市中) 판매(販賣)를 시작(始作)하여, 1993년(年) 충청남도(忠淸南道) 아산시(牙山市) (당시(當時) 아산군(牙山郡))에 공장(工場)을 신설(新設) 및 준공(竣工)했고, 1998년(年) 6월(月) HACCP (식품위해요소(食品危害要素) 중점관리기준(重點管理基準)) 우유(牛乳)(축산물(畜産物))부문(部門) 최초(最初) 인증(認證) 획득(獲得)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主要) 제품(製品)으로는 우유(牛乳) , 두유(豆乳) , 음료(飮料) 등(等)이 있다. 계열사(系列社)로는 연세생활건강(延世生活健康)이 있다.

주해(註解) [ 편집(編輯) ]

  1. 연세대학교는 “너희가 내 말에 거(居)하면 참으로 내 제자(弟子)가 되고 진리(眞理)를 알지니 진리(眞理)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는 성경(聖經)(요한복음(요한福音) 8:31~32)을 바탕으로 진리(眞理)와 자유(自由)의 정신(精神)을 체득(體得)한 지도자(指導者)를 양성(養成)한다. [1]
  2. 학교법인(學校法人)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정관(定款)에 따르면 이사회(理事會)의 이사(理事)는 기독교계(基督敎界) 2인(人), 연세대학교 동문회(同門會) 2인(人), 총장(總長)(예겸이사(例兼理事)) 1인(人), 사회유지(社會維持) 4인(人)(연세대학교 출신(出身) 2인(人), 기독교계(基督敎界) 인사(人士) 2인(人)), 개방이사(開放理事) 3인(人)으로 구성(構成)된다.기독교계 이사(理事)는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醫學專門學校)와 연희전문학교의 창립(創立)에 공헌(貢獻)한 교단(敎壇)에 소속(所屬)된 목사(牧師)로 한다. [2] 현재(現在) 정관(定款)은 2011년(年) 10월(月)에 개정(改正)되었으며, 기존(旣存) 정관(鼎冠)에서는 대한예수교장로회(大韓예수敎長老會)(통합(統合)) 1인(人), 기독교대한감리회(基督敎大韓監理會) 1인(人), 한국기독교장로회(韓國基督敎長老會) 1인(人), 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1인(人), 연세대학교 동문회(同門會) 2인(人), 총장(總長)(예겸이사(例兼理事)) 1인(人), 사회유지(社會維持) 5인(人)(연세대학교 출신(出身) 3인(人), 협력교단(協力敎團)의 교계인사(敎界人士) 2인(人))으로 구성(構成)되었다. [3]
  3. 본래(本來) 용재관이었으나 2012년(年) 10월(月) 철거(撤去)되었으며 그 자리에 경영관(經營觀)이 건립(建立)되었다. [27]
  4. 현재(現在) 흥아유신기념탑(記念塔)은 ‘연세 역사(歷史)의 뜰’(옛 수경원 정자각(丁字閣) 뒤뜰)에 전시(展示)되어 있다. 기념탑(記念塔)의 비문(碑文)은 조선(朝鮮) 총독(總督) 미나미 지로 의 글씨이다.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건학정신(建學精神)·이념(理念)”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017년(年) 9월(月) 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7년(年) 9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2. “〈학교법인(學校法人)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정관(定款)〉, 《연세대학교 규정(規定)집》”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2011. 2015년(年) 3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12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3. “〈학교법인(學校法人)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정관(定款)〉, 《연세대학교 대학요람(大學要覽)》” (PDF)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2011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4. “학교(學校) 현황(現況)”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 2020년(年) 7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5. “학교(學校) 브로슈어”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 2022년(年) 10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6. 본교(本校) 소속(所屬) 학부학생(學部學生)은 1년간(年間) 송도(松島) 국제(國際)캠퍼스에서의 기숙사(寄宿舍) RC 생활(生活)이 의무(義務)이다.
  7. 박형우, 〈올리버 알 에비슨의 생애(生涯)〉 Archived 2011년(年) 12월(月) 12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延世)의사학》 제(第)13권(卷), 1호(號), 2010년(年) 6월(月), 9쪽.
  8. 심볼 Archived 2017년(年) 9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9. 상징(象徵) Archived 2017년(年) 9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0. 심볼마크 Archived 2017년(年) 9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1. 이상규(李相奎) (2011년(年) 5월(月) 19일(日)). “한국(韓國) 찾는 선교사(宣敎師) 줄이어”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11년(年) 8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조국현 (2011년(年) 6월(月) 19일(日)). “가난한 조선(朝鮮) 민중(民衆) 돌보던 '인술(仁術)의 요람(搖籃) '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11년(年) 8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권문수 (2010년(年) 4월(月) 10일(日)). “연세의료원(延世醫療院) 역사(歷史)는 '알렌=제중원(濟衆院), 에비슨=세브란스 ' . 메디파나 뉴스. 2013년(年) 12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4. 이지현 (2006년(年) 4월(月) 21일(日)). “앨런과 광혜원(廣惠院)”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11년(年) 8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5. 박형우, 박윤재 (2009년(年) 7월(月) 24일(日)). " 세브란스병원의 '세브란스'는 도대체(都大體) 누구? " . 프레시안 . 2011년(年) 8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6. 박형우, 박윤재 (2009년(年) 8월(月) 12일(日)). “최초(最初)의 의사(醫師)가 된 백정(白丁)의 아들” . 프레시안 . 2011년(年) 8월(月) 10일(日)에 확인(確認)함 .  
  17. 연세(延世)발자취 세브란스 의과대학(醫科大學) Archived 2011년(年) 3월(月) 15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8. 사(社) 자(者) 차(次)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연표(年表)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9. 서한기 (2006년(年) 1월(月) 30일(日)). “제중원(濟衆院) 적통(嫡統) 놓고 서울대병원(서울大病院)-세브란스 신경전(神經戰)”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20. 연세(延世)발자취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 Archived 2013년(年) 10월(月) 2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1.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8쪽.
  22. 손용석 (2011년(年) 6월(月) 5일(日)). “이한열(李韓烈) 열사(烈士)와 6·10 항쟁(抗爭)” . 한국일보(韓國日報)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23. 홍성원 (2007년(年) 4월(月) 24일(日)). ' 연세대(延世大) 한총련 사태(事態)' 배후조종(背後操縱) 용의자(容疑者) 11년(年)만에 구속(拘束)” .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 2011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24. 신촌캠퍼스 소개(紹介) Archived 2012년(年) 1월(月) 1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5.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울문화재(文化財),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스팀슨관(館)”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26. 연세의 공간(空間)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7. 이지은 (2012년(年) 10월(月) 15일(日)). “65년(年) 역사(歷史) 연세대 도서관(圖書館) ‘용재관’ 헐린다” .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7년(年) 12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28.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36쪽.
  29.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울문화재(文化財),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아펜젤러관(館)”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30.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서울문화재(文化財),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언더우드관”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31.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35쪽.
  32. 이설(異說) (2007년(年) 5월(月) 7일(日)). “가장 오래된 동상(銅像) ‘延大언더우드상(上)’”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1년(年) 8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33. “연세대(延世大) '청송(靑松)대 ' . 한국일보(韓國日報). 2003년(年) 10월(月) 5일(日)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34. 유지영 (2004년(年) 12월(月) 6일(日)). “도심(都心)속 사랑고백(告白) "더 짜릿해요 " .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35.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32쪽.
  36. 박물관(博物館) 소개(紹介) Archived 2010년(年) 4월(月) 10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37. 김태균 (2010년(年) 3월(月) 3일(日)). “연세대(延世大) 송도(松島) 국제(國際)캠퍼스 개교(個校)”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1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38.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다빈치형(型) 인재(人材)" TIF 과목(科目) 도입(導入)” . 한국일보(韓國日報). 2011년(年) 6월(月) 13일(日) . 2011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39. 이가영 (2011년(年) 3월(月) 2일(日)). “국제(國際)캠, 힘찬 새 발걸음 내딛다”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5일(日)에 확인(確認)함 .  
  40. 김우섭 (2013년(年) 3월(月) 1일(日)). “원룸·고시촌(考試村) 30%가 `빈 방(房)`…먹자골목도(度) `한산(閑散)`” . 한국경제(韓國經濟) . 2013년(年) 3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41. 정동진 (2008년(年) 3월(月) 17일(日)). “삼애캠퍼스가 뭐에요”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42. 황세원 (2011년(年) 5월(月) 8일(日)). “연세대 원주(原州)캠퍼스, 기부(寄附)로 세워져… '사랑의 빚' 사회기여(社會寄與)로 갚는다”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11년(年) 8월(月) 11일(日)에 확인(確認)함 .  
  43.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24쪽.
  44.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30쪽.
  45. 의료원(醫療院) 조직(組織) Archived 2012년(年) 4월(月) 22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 의료원(醫療院) 홈페이지.
  46. 세브란스병원(病院) Archived 2012년(年) 4월(月) 22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 의료원(醫療院) 홈페이지.
  47. 병원(病院) 소개(紹介) Archived 2011년(年) 7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강남(江南)세브란스병원(病院) 홈페이지.
  48. 병원(病院) 소개(紹介) Archived 2012년(年) 4월(月) 24일(日) - 웨이백 머신 , 용인(龍仁)세브란스병원(病院) 홈페이지.
  49. 건강보험평가원(健康保險評價院)
  50. 병원(病院) 소개(紹介) Archived 2011년(年) 1월(月) 2일(日) - 웨이백 머신 ,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精神健康病院) 홈페이지.
  51. “병원(病院) 소개(紹介)” . 연세대학교 원주(原州)세브란스기독병원(基督病院) 홈페이지. 2013년(年) 8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52. 민동영 (2003년(年) 1월(月) 17일(日)). “延大기증(寄贈) 亞太재단(財團) 명칭(名稱) 김대중(金大中) 기념관(記念館)으로”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1년(年) 8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53. 신촌캠퍼스 건물(建物) 소개(紹介) Archived 2010년(年) 3월(月) 17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54. 남준기 (2005년(年) 10월(月) 28일(日)). “국정기록(國政記錄) 관리(管理), 조선시대(朝鮮時代)보다 못해” . 내일신문(來日新聞) . 2011년(年) 8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55. 이승만(李承晩) 대통령(大統領) 연구(硏究)에 헌신(獻身)해 온 유영익 국제학대학원(國際學大學院) 석좌교수(碩座敎授) , 《연세공감(延世共感)》, 2001-11-16
  56.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에 대(對)한 올바른 역사적(歷史的) 평가(評價)는?" , 《CBS》, 2011-10-03
  57. 조이영 (2006년(年) 5월(月) 12일(日)). “연세대(延世大) 언더우드家 기념관(記念館) 확장(擴張) 개관(開館)”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1년(年) 8월(月) 17일(日)에 확인(確認)함 .  
  58. “학도호국단(學徒護國團)규공포(恐怖)(學徒護國團規公布)” . 경향신문(京鄕新聞). 1949년(年) 9월(月) 28일(日) . 2011년(年) 6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59. 이정주 (1999년(年) 11월(月) 29일(日)). “연세(延世) 1백년(百年)을 돌아본다”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60. “97개(個)大 호국단(護國團)(護國團)발단(發端)” . 경향신문(京鄕新聞). 1975년(年) 6월(月) 30일(日) . 2011년(年) 6월(月) 29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61. “연세춘추로 본 '연세'의 발자취” . 연세춘추. 2004년(年) 9월(月) 20일(日).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62. 학생복지처(學生福祉處) 소개(紹介)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63. 자치단체(自治團體) 소개(紹介) Archived 2012년(年) 7월(月) 7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64. 이유진; 이정규 (2019년(年) 1월(月) 4일(日)). “서울권(圈) 유일(唯一) ‘연세대 총여학생회(總女學生會)’도 폐지(廢止)…역사(歷史) 속으로” . 《 한겨레 . 2019년(年) 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65. “연세(延世)미디어 연세춘추”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013년(年) 12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66. “연세(延世)미디어 연세학보사(延世學報社)”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013년(年) 12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67. “연세(延世)미디어 The Yonsei Annals”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013년(年) 12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68. “연세(延世)미디어 연세(延世) 교육(敎育) 방송국(放送國)”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013년(年) 4월(月) 1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3년(年) 3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69. “연세(延世)미디어 연세(延世) 매지 방송국(放送局)”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2013년(年) 12월(月) 1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70. 응원단(應援團) 역사(歷史) Archived 2010년(年) 7월(月) 25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 응원단(應援團) 홈페이지
  71. 학생홍보대사(學生弘報大使) I.N.延 Archived 2013년(年) 4월(月) 27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72. “중앙(中央) 연극(演劇) 동아리 연세극예술연구회(延世劇藝術硏究會)” . 연세춘추 웹진 연두(軟豆). 2010년(年) 9월(月) 5일(日).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6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73. 소나기 소개(紹介) Archived 2014년(年) 10월(月) 15일(日) - 웨이백 머신 , 소나기 홈페이지.
  74. 김재희, 이민주 (2011년(年) 5월(月) 16일(日)). “연세인(延世人)들의 뜨거웠던 청춘(靑春), 백양로를 달구다”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75. 김혜진 (2010년(年) 5월(月) 16일(日)). “무악제전(舞樂祭典)→무악축제(舞樂祝祭)→무악대동제(舞樂大同祭), 우리학교(學校) 축제(祝祭)의 역사(歷史)!” . 연두(軟豆).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76. 김재희 (2011년(年) 5월(月) 9일(日)). “대동제(大同祭), 11~13일(日) 간(間) 펼쳐져”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77. 응원단(應援團) 활동(活動) Archived 2010년(年) 7월(月) 25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 응원단(應援團) 홈페이지.
  78. 교호(交互) Archived 2012년(年) 8월(月) 8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79. 취재부(取材部) (1999년(年) 11월(月) 29일(日)). “연세(年歲)를 상징(象徵)하는 것들의 기원(起源)”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80. 오지은, 이제연 (2008년(年) 9월(月) 8일(日)). “연고전(延高戰)의 서막(序幕) 알린 연세의 밤&합동응원전(合同應援戰)”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81. 김민지 (2005년(年) 9월(月) 20일(日)). “연고(軟膏) 응원문화(應援文化) 그 역사(歷史) 속으로”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8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82. 노래 Archived 2017년(年) 9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83. 구호(救護) Archived 2017년(年) 9월(月) 9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84. “정기(定期) 고연전(戰)”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응원단(應援團). 2013년(年) 10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6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85. 손지혜(智慧) (2011년(年) 6월(月) 26일(日)). “2011 고연전(戰) '돌아온 호랑이(虎狼이), 고려대의 승리(勝利)로 막(幕)내려 ' . 한경(韓經)닷컴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86. 강건택 (2007년(年) 10월(月) 2일(日)). “고려(高麗)ㆍ연세대 `강의(講義)도 고연전(戰) '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87. 문권모(門權謀) (2001년(年) 6월(月) 11일(日)). ' 사이버 고연전(戰)' 연다…기업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88. 김수한(金守漢) (2010년(年) 3월(月) 30일(日)). “‘봉사활동(奉仕活動) 고연전(戰)’ 펼쳐진다” . 헤럴드경제(헤럴드經濟)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89. 김병채 (2007년(年) 10월(月) 4일(日)). ' 피 터지는' 고연전(戰)? '피 나누는' 고연전(戰)!”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90. “비정기(非定期) 고연전(戰)” . 고려대학교응원단(高麗大學校應援團). 2011년(年) 11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91. “스포츠단체(團體)”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92. 한상용 (2008년(年) 5월(月) 1일(日)). “허정무(許丁茂).홍명보 등(等) 축구(蹴球) 스타들의 고연전(戰) 추억(追憶)”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93. “고연전(戰) 역사(歷史)”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응원단(應援團). 2013년(年) 10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6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94. “건국동량(輛)(建國動梁)의새요람(擬鰓搖籃)(搖籃)” . 동아일보(東亞日報). 1946년(年) 5월(月) 20일(日) . 2011년(年) 7월(月) 2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95. “연표(年表)” .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 2011년(年) 7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96. “연희대학교(演戱大學校)”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2013년(年) 10월(月) 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7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97. 김다혜 (2011년(年) 5월(月) 22일(日)). “캠퍼스 가득한 크림슨, 비슷해 보여도 다 달라요” . 고대신문 . 2011년(年) 6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98. “고연(高延) 민족해방제(民族解放制) 오늘부터 6일간(日間)” . 동아일보(東亞日報). 1990년(年) 10월(月) 8일(日) . 2011년(年) 7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99. 김일환 (2005년(年) 9월(月) 22일(日)). “100년(年) 호랑이(虎狼이) vs 120년(年) 독수리(禿수리)” . 한국일보(韓國日報). 2011년(年) 11월(月) 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7월(月) 28일(日)에 확인(確認)함 .  
  100. 강현식 (2006년(年) 7월(月) 29일(日)). 《세상(世上) 밖으로 나온 심리학(心理學)》. 네모북스. 134쪽. ISBN   89-90795-31-1 .  
  101. 김병무 (2006년(年) 9월(月) 18일(日)). “연고제(軟膏劑), 우리 모두 다 함께 가는거야!” . 연세춘추. 2011년(年) 12월(月) 12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1년(年) 6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102. 이민주 (2010년(年) 9월(月) 6일(日)). “연고전(延高戰)을 바라보는 시선(視線)을 뒤집는다면” . 연세춘추. 2018년(年) 5월(月) 20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8년(年) 5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103. 이혜진 (2010년(年) 11월(月) 17일(日)). “고연전(戰)에 제안(提案)한다, 제(第) 3부(部) 우리 밖의 고연전(戰)” . SPORTS KU . 2011년(年) 8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104. 우승현 (2003년(年) 9월(月) 16일(日)). ““학벌의식(學閥意識) 부추겨” 안티고연전(戰) 운동(運動) 일부(一部) 고대생(高大生) 문제(問題) 제기(提起)” . 문화일보(文化日報) . 2011년(年) 8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105. 탁현하(涿縣下) (2007년(年) 10월(月) 7일(日)). “연고전(延高戰), 올해도 ‘그들만의 축제(祝祭)’” . 쿠키뉴스 . 2011년(年) 8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106. 최창봉, 김희균 (2008년(年) 1월(月) 30일(日)). “로스쿨 예비(豫備)大서울권(圈)15곳 1140명(名),지방(脂肪)10곳 860명(名) 잠정(暫定) 확정(確定)” . 동아일보(東亞日報) . 2011년(年) 6월(月) 7일(日)에 확인(確認)함 .  
  107. 유석재 (2010년(年) 9월(月) 2일(日)). “서울대 연세대 등(等) 11곳, 의학전문대학원(醫學專門大學院) 폐지(廢止)했다.”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11년(年) 8월(月) 23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08. 교환학생제도(交換學生制度) Archived 2012년(年) 12월(月) 16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09. 방문학생제도(訪問學生制度)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10. 파견대학(派遣大學) 소개(紹介) Archived 2013년(年) 6월(月) 14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11. SAP Archived 2013년(年) 12월(月) 13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12. GIP Archived 2012년(年) 1월(月) 31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13.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211쪽.
  114. 국내대학교환(國內大學交換)프로그램 Archived 2010년(年) 2월(月) 6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홈페이지.
  115.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186쪽.
  116. 채플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교목실(喬木室) 홈페이지.
  117.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위의 책(冊), 186 ~ 192쪽.
  118. 박상숙 (2012년(年) 9월(月) 6일(日)). “‘CEO 최고(最高) 요람(搖籃)’ 명패(名牌) 바뀌었다…연대 경영학과(經營學科) 서울대(서울大) 누르고 1위(位)” . 서울신문(서울新聞) . 2013년(年) 1월(月) 14일(日)에 확인(確認)함 .  
  119. 박태진 (2013년(年) 9월(月) 26일(日)). “연세대(延世大), 환태평양(環太平洋) 대학(大學) 협회(協會) 가입(加入)” . 이투데이 . 2013년(年) 9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120. 김병덕 (2014년(年) 11월(月) 27일(日)). “연세대(延世大), 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東아시아硏究中心大學協議會) 가입(加入)” . 파이낸셜뉴스 . 2015년(年) 1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121. 총동문회(總同門會) 소개(紹介) Archived 2011년(年) 8월(月) 24일(日) - 웨이백 머신 ,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총동문회(總同門會) 홈페이지.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