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여인천하(女人天下) (드라마)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여인천하(女人天下) (드라마)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여인천하(女人天下)
女人天下
장르 막장 , 사극(史劇) , 정치(政治) , 드라마
방송(放送) 국가(國家)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大韓民國)
방송(放送) 채널 SBS
방송(放送) 기간(期間) 2001년(年) 2월(月) 5일(日) ~ 2002년(年) 7월(月) 22일(日)
방송(放送) 시간(時間) 매주(每週) 월요일(月曜日) ~ 화요일(火曜日) 저녁 9시(時) 55분(分) ~ 10시(時) 55분(分) ( 2001년(年) 2월(月) 5일(日) ~ 2001년(年) 8월(月) 7일(日) )
매주(每週) 월요일(月曜日) ~ 화요일(火曜日) 저녁 9시(時) 55분(分) ~ 11시(時) 5분(分) ( 2001년(年) 8월(月) 13일(日) ~ 2002년(年) 7월(月) 22일(日) )
방송(放送) 분량(分量) 1시간(時間)
( 2001년(年) 2월(月) 5일(日) ~ 2001년(年) 8월(月) 7일(日) )
1시간(時間) 10분(分)
( 2001년(年) 8월(月) 13일(日) ~ 2002년(年) 7월(月) 22일(日) )
방송(放送) 횟수(回數) 150부작(部作)
원작(原作) 박종화
기획(企劃) 운군일 → 이종한
연출(演出) 김재형
각본(脚本) 유동윤
출연자(出演者) 강수연
전인화
도지원
이덕화
박주미
이민우(李珉雨)
정태우
최동준
최종환(崔鍾桓)
이효정(李孝貞)
김종결
임혁
한인수
백윤식
김해숙
이휘향
이혜숙
이보희
김영란(金英蘭)
해설(解說) 유강진
여는 곡(曲) 안숙선 - 여인천하(女人天下) Main Title
닫는 곡(曲) 안숙선 - 여인천하(女人天下) Main Title
음성(陰性)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
자막(字幕) 청각(聽覺) 장애인(障礙人)을 위한 자막(字幕) 방송(放送)
데이터 방송(放送) SBS
HD 방송(放送) 여부(與否) SD 제작(製作)ㆍ방송(放送)
외부(外部) 링크  <여인천하(女人天下)> 공식(公式) 홈페이지
외부(外部) 동영상(動映像)
<여인천하(女人天下)> 전회차(前廻車) 무료(無料)보기

여인천하(女人天下) 》(女人天下)는 2001년(年) 2월(月) 5일(日) 부터 2002년(年) 7월(月) 22일(日) 까지 방영(放映)한 SBS 월화(月火)드라마 이며, 월탄(月灘) 박종화 의 역사소설(歷史小說) 《 여인천하(女人天下) 》를 극화(劇化)한 대하사극(大河史劇)이다. 당초(當初) 50부작(部作)으로 종영(終映)할 예정(豫定)이었지만, 작품(作品)의 완성도(完成度)를 높이기 위해, 100회(回)를 추가(追加) 연장(延長)하여 150부작(部作)으로 끝났으며, 국내(國內) 제작(製作) 드라마 중(中) 방송(放送) 횟수(回數)가 가장 많은 역대(歷代) 최대(最大) 기록(記錄)으로 꼽힌다. [1] 한편(한便), 해당(該當) 작품(作品)의 연장(延長)에 따라 후속(後續)으로 기획(企劃)된 [2] 16부작(部作) 미니시리즈 《 나쁜 여자(女子)들 》은 수목극(水木劇)으로 편성(編成)이 변경(變更)됐다.

방송(放送) 시간(時間) [ 편집(編輯) ]

방송(放送) 채널 방송(放送) 기간(期間) 방송(放送) 시간(時間) 방송(放送) 분량(分量)
SBS TV 2001년(年) 2월(月) 5일(日) ~ 8월(月) 7일(日) 매주(每週) 월(月) ~ 화(火) 오후(午後) 9시(時) 55분(分) ~ 오후(午後) 10시(時) 55분(分) 1시간(時間)
8월(月) 13일(日) ~ 2002년(年) 7월(月) 22일(日) 매주(每週) 월(月) ~ 화(火) 오후(午後) 9시(時) 55분(分) ~ 오후(午後) 11시(時) 5분(分) 1시간(時間) 10분(分)

주요(主要) 내용(內容) [ 편집(編輯) ]

이 드라마는 크게 3부(部)로 나누어서 구성(構成)되는데, 1부(部)는 난정의(難正義) 어린시절과 기묘사화(己卯士禍) , 2부(部)는 난정의(難正義) 결혼(結婚) 생활(生活)과 문정왕후(文定王后) 보필(輔弼), 3부(部)는 난정의(難正義) 몰락(沒落)을 다루었다. 중종(中宗) , 문정왕후(文定王后) , 윤임(尹任) , 정난정(鄭蘭貞) , 윤원형 등(等)의 실존(實存) 인물(人物)의 권력투쟁(權力鬪爭)과 몰락(沒落)을 다루고 있다.

등장(登場)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주요(主要)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척신(隻身) 윤원형 의 첩. 문정왕후(文定王后) 의 총애(寵愛)와 신임(信任)을 받았다. 을사사화(乙巳士禍) 에 깊이 관여(關與)하였으며 윤원형(尹元衡)의 권세(權勢)를 배경(背景)으로 상권(商權)을 장악(掌握)하여 전매(專賣), 모리 행위(行爲)로 많은 부(富)를 축적(蓄積)하였다. 정경부인(貞敬夫人)의 작호(綽號)를 받았으나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은 뒤 윤원형 의 정실부인(正室夫人) 김씨(金氏)를 독살(毒殺)했다는 사림(士林)의 비판(批判)과 탄핵(彈劾)으로 자결(自決)하였다.
중종(中宗) 의 제(第) 2계비(繼妃). 파산부원군(破産府院君) 윤지임의 딸로 조선시대(朝鮮時代) 이름난 악후(惡後)로도 유명(有名)하다. 권력욕(權力慾)이 강(剛)했으며 장경왕후 의 아들인 인종(人種) 을 시기(猜忌), 질투(嫉妬)하였다. 자신(自身)의 형제(兄弟)들을 이용(利用)해 궁(宮)의 권력(權力)을 장악(掌握)했던 철(鐵)의 여인(女人)이자 왕후(王后).
조선(朝鮮) 중기(中期)의 문신(文臣). 소윤(少尹)의 영수(領袖)이며, 중종(中宗)의 제(第)2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동생(드라마에서는 오빠로 등장(登場)한다). 을사사화(乙巳士禍) 의 공(功)으로 공신(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1547년(年) 양재역 벽서사건(壁書事件)을 계기(契機)로 윤임(尹任) 을 필두(筆頭)로 한 대윤(大尹) 의 잔당(殘黨)을 모두 숙청(肅淸)하였다. 1565년(年) 문정왕후(文定王后) 가 죽자 삭직(削職)되고 강음(强音)으로 귀양간 뒤 자결(自決)하였다.

왕가(王家)의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조선(朝鮮) 의 제(第)11대(代) 임금(賃金). 이복형(異服兄)인 연산군 이 폐위(廢位)된 뒤 대신(代身)들이 일으킨 중종반정(中宗反正) 으로 왕위(王位)에 등극(登極)했다. 평생(平生)을 공신(功臣)들의 눈치와 핍박(逼迫) 속에서 살았으며 궐(闕) 내 여인(女人)들의 시기(時期)와 암투(暗鬪) 속에서 골머리를 썩었다.
중종(中宗) 이 가장 총애(寵愛)했던 후궁(後宮) 중(中) 한 사람. 공신(功臣) 박원종 의 양녀(養女). 중종(中宗) 4년(年) 아들인 복성군 미(美)(嵋)를 낳아 더욱 더 신임(信任)을 얻었다. 1527년(年) 연성위(軟性位) 김희가 그의 부친(父親) 희락당 김안로(金安老)의 사주(使嗾)를 받아, 왕세자(王世子)를 저주(詛呪)하는 '작(作)서의 변(便)'을 조작(造作)하자, 이에 연루(連累)되어 이듬해 폐출(廢黜)된 뒤 사사(社史)당한다.
중종(中宗) 의 모친(母親)이자 성종(成宗) 의 제(第)2계비(繼妃). 중종(中宗)의 전(前) 왕(王)인 폐주(廢主) 연산군(燕山君)때부터 대비(對備)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으로 인해 친아들(親아들)인 진성(盡誠)대군 이 왕위(王位)에 올랐다. 왕실(王室)의 큰 어른으로서 궐(闕) 내 잡음(雜音)을 억제(抑制)하고 왕실(王室)의 평화(平和)를 지키기 위해 노력(努力)하였다.
중종(中宗) 장경왕후 윤씨(尹氏)의 장자(長子). 문장(文章)에 능통(能通)하였으며 지극(至極)한 효심(孝心)으로 많은 이들의 칭송(稱頌)을 받았다. 계모(繼母)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의 끊임없는 경계(警戒)와 시기(時期) 속에서 가슴앓이를 하였으며 결국(結局) 재위(在位) 9개월(個月)만에 의문(疑問)의 죽음을 맞는다.
중종반정(中宗反正) 에 가담(加擔)했던 정국공신(靖國功臣) 홍경주 의 딸. 부친(父親)의 지시(指示)에 따라 궁(宮)에서 일어나는 은밀(隱密)한 사건(事件)까지 탐사(探査)하여 전달(傳達)하는 등(等) 훈구대신(勳舊大臣)들의 정치적(政治的) 스파이를 자청(自請)했다. 인종(人種) 즉위(卽位) 후(後) 모반(謀反) 사건(事件)에 연루(連累)되어 탄핵(彈劾)을 받지만 궁(宮)에서 떠나는 것으로 종결(終結)된다. 88세(歲)에 이르기까지 장수(長壽)했다.
원정공신(遠征功臣) 안탄대 의 딸로 부친(父親)의 성격(性格)을 닮아 검소(儉素)하고 어진 성품(性品)을 지녔다. 중종(中宗) 과의 사이에서 덕흥군 ( 덕흥대원군(大院君) )을 낳았으며 훗날(後날) 선조(宣祖) 의 할머니가 된다.
중종(中宗) 장경왕후 윤씨(尹氏)의 딸. 희락당 김안로 의 아들인 연성위(軟性位) 김희 의 아내이다. 21살의 젊은 나이에 산후병(産後病)으로 고생(苦生)하다가 흉거하였다.
중종(中宗)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尹氏)의 아들. 재위(在位) 초반(初盤) 어린 나이로 인(因)해 문정왕후(文定王后) 가 수렴청정(垂簾聽政)하였으며 강성(强盛)한 왕(王)으로 성장(成長)하지 못했다.
인종(人種) 의 아내. 인종(人種) 이 승하(昇遐)한 뒤 명종(明宗) (경원(敬遠)대군)이 왕위(王位)에 오르자 공의대비(醫對備) 에 올랐다.
중종(中宗) 의 제(第)1계비(繼妃). 효혜공주 인종(人種) 의 모친(母親). 인종(人種) 을 낳은 뒤 25살의 나이에 산후병(産後病)으로 죽음을 맞았다. 대윤(大尹) 의 필두인(筆頭人) 윤임(尹任) 의 여동생(女同生).
중종(中宗) 의 정실부인(正室夫人). 부친(父親)인 신수근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역신(逆臣)으로 살해(殺害)되자 역신(逆臣)의 자식(子息)이 왕실(王室)의 국모(國母)로 있을 수 없다는 공신(功臣)들의 주장(主張)으로 인해 폐위당했다.
중종(中宗) 과 후궁(後宮) 경빈 박씨(朴氏) 의 아들. '작(作)서의 변(便)' 사건(事件)에 연루(連累)되어 모친(母親)인 경빈과 함께 억울(抑鬱)한 죽임을 당(當)한 뒤 복원(復元)된다.
중종(中宗) 과 후궁(後宮) 창(窓)빈 안씨(安氏) 의 아들. 덕흥군 의 친형(親兄).
중종(中宗) 과 후궁(後宮) 창(窓)빈 안씨(安氏) 의 아들. 훗날(後날) 선조(宣祖) 가 되는 하성군 을 낳았다.
중종(中宗) 과 후궁(後宮) 희빈 홍씨(洪氏) 의 아들.
금릉군(金陵郡)이 창원황씨(昌原皇氏) 사이에서 낳은 아들. 중종(中宗) 의 숙부(叔父). 문정왕후(文定王后) 명종(明宗) 을 회초리로 때린 사건(事件)에 크게 반발(反撥)하여 정치적(政治的)으로 대립(對立)하다가 죽음을 맞았다.
조선(朝鮮) 의 제(第)10대(代) 임금(賃金). 중종반정(中宗反正) 으로 폐위(廢位)된 뒤 교동도(喬桐島) 로 귀양을 가 31세(歲)의 일기(一期)로 병사(病死)한다.

그 외(外) 인물(人物) [ 편집(編輯) ]

명나라(明나라)의 인물(人物) [ 편집(編輯) ]

삽입곡(揷入曲) [ 편집(編輯) ]

  • 여인천하(女人天下)의 배경(背景) 음악(音樂)은 중요(重要)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第)23호(號) 가야금(伽倻琴) 산조(散調) 및 병창(竝唱) 보유자(保有者)인 안숙선 명창(名唱)( 1947년(年) ~ )이(李) 불렀으며, 안숙선 명창(名唱)은 드라마 종영(終映) 후(後) 방영(放映)된 특집(特輯) 프로그램에도 출연(出演)하였다.

수상(受賞) 경력(經歷) [ 편집(編輯) ]

종영(終映) 후(後) 특집(特輯) 프로그램 편성(編成) [ 편집(編輯) ]

  • 2002년(年) 7월(月) 23일(日) 특집(特輯) 《대하사극(大河史劇) 여인천하(女人天下), 찬란(燦爛)한 꿈의 기록(記錄)들》 편성(編成)하였으며, 진행자(進行者)는 한선교(韓善敎) 김미화(金美花) 가 맡고 연출자(演出者) 김재형과 출연자(出演者)들이 게스트로 출연(出演)하여 드라마 제작(製作) 중(中) 있었던 일들에 대(對)한 후일담(後日談)을 들려주었다.

결방(決放) 사유(思惟) 및 2회(回) 연속(連續) 방영(放映) [ 편집(編輯) ]

참고(參考) 사항(事項) [ 편집(編輯) ]

  • 불미(不美)스러운 일로 < 태조(太祖) 왕건(王建) >의 연출(演出)을 포기(抛棄) [6] 하고 KBS를 떠나 SBS로 이적(移籍)한 김재형 감독(監督)이 처음 연출(演出)한 드라마로, 재기(再起)에 성공(成功)한 작품(作品)이기도 한데 SBS는 1991년(年) 이후(以後) 타방송사(他放送社)에서 옮겨 온 김재순(91년(年) 3월(月) KBS에서 이적(移籍)했으며 98년(年) 3월(月) 제작위원(製作委員) 자격(資格)으로 SBS에 사표(辭表) 제출(提出) 후(後) 프리랜서 선언(宣言)) 고석만(95년(年) 3월(月) MBC에 사표(辭表)를 제출(提出)한 뒤 [7] SBS 제작위원(製作委員)으로 자리를 옮겼고 98년(年) 6월(月) SBS에 사표(辭表) 제출(提出) 뒤 프리랜서 선언(宣言)) PD 등(等) 간판급(看板級) 연출자(演出者)의 퇴사(退社) 후(後) 쓸만한 국장급(局長級) PD 공백(空白)에 시달리자 김재형 감독(監督)을 SBS와 계약(契約)을 맺은 뒤 연출(演出)을 담당(擔當)하는 형식(形式)으로 데려왔으며 KBS는 IMF 등(等) 여러 가지 문제(問題) 때문에 19기(期)(97년(年))를 끝으로 공채(公採) 탤런트 제도(制度)를 선발(選拔)하지 않아 김재형 감독(監督) 사건(事件) 외(外)에도 강성연 사건(事件) 때문에 [8] 한바탕 홍역(紅疫)을 치뤄 캐스팅 비리(非理) 사건(事件)이 여러 차례(次例) 발생(發生)하기도 했다.
  • 선정성(煽情性) 및 폭력성(暴力性) 시비(是非) 문제(問題)로 큰 질타(叱咤)를 받기도 했다. [9] [10]
  • 여러 차례(次例)에 걸친 연장(延長) 때문에 극(劇)의 집중력(集中力)이 심각(深刻)하게 떨어졌다는 지적(指摘)을 받았다. [11]
  • 송윤아 , 채림 , 채시라 , 이태란 등(等)이 주역(主役) 물망(物望)에 올랐으나 송윤아 채림 은 사극(史劇)이란 이유(理由)로, 채시라 는 임신(妊娠) 때문에, [12] 이태란 은 한중합작(韓中合作)드라마 촬영(撮影)과 스케줄이 겹쳐 고사(固辭)하는 등(等) 캐스팅 문제(問題)로 어려움을 겪였다. [13]
  • 기사(記事) '인어(人魚) 아줌마? 장서희'에 따르면, 장서희 가 경빈 박씨(朴氏) 역(驛)에 캐스팅되었으나 [14] 고위간부(高位幹部)의 의견(意見)으로 교체(交替)된 바 있었으며 강수연 은 담당(擔當) PD(김재형)의 KBS 시절(時節) 마지막 연출작(演出作)인 용(龍)의 눈물 원경왕후 역(役) 물망(物望)에 올랐지만 [15] 고사(固辭)했고 이덕화 용(龍)의 눈물 이방원(李芳遠) 역(驛) 물망(物望)에 올랐으나 [16] 스스로 포기(抛棄)했다.
  • 강수연 은 해당(該當) 드라마로 1회당(回當) 500만(萬) 원의 출연료(出演料)를 받았는데, 이는 사상(史上) 최고(最高) 액수(額數)로 기록(記錄)되었다. [17]
  • 9.11 테러 속보(速報)로 인해 [18] 정규(正規) 편성(編成)을 잠시(暫時) 중단(中斷)하였다.

네트워크 방송사(放送社) [ 편집(編輯) ]

방송(放送) 권역(圈域) 방송사(放送社) 비고(備考)
수도권(首都圈) SBS 프로그램 제작국(製作局)
부산(釜山)/경남권(慶南圈) PSB 부산방송 (현(現) KNN 부산경남방송(釜山慶南放送) )
울산권(蔚山權) ubc 울산방송(蔚山放送)
대구(大邱)/경북권(慶北權) 대구경북(大邱慶北) TBC
대전(大戰)/충남권(忠南圈) TJB 대전방송(大田放送)
충북권(忠北圈) CJB 청주방송(淸州放送)
전북권(全北權) JTV 전주방송(全州放送)
광주(光州)/전남권(全南圈) kbc 광주방송(光州放送)
강원권(江原圈) GTB 강원민방(江原民放) (현(現) G1 ) 2001년(年) 12월(月) 15일(日) 개국(個國)
제주권(濟州圈) JIBS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濟州國際自由都市放送) 2002년(年) 5월(月) 31일(日) 개국(個國)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이준목 기자(記者) (2006년(年) 11월(月) 8일(日)). “박수(拍手)칠 때 떠나지 못하는 드라마들” . 데일리안(데일리안) .  
  2. 이우인 (2012년(年) 9월(月) 23일(日)). “[연출(演出)노트-4탄(彈)] 최문석CP "조인성 소지섭 '발리' 캐스팅, 지금(只今)도 뿌듯 " . TV리포트 . 2022년(年) 5월(月) 3일(日)에 확인(確認)함 .  
  3. 2022년(年) , 5월(月) 7일(日) 뇌출혈(腦出血) 로 인(因)한 심정지(心停止) 로 별세(別世) 했다. 향년(享年) 55세(歲)
  4. “김형범, " '여인천하(女人天下)'서 1인(人) 7역(驛)까지 해봤다", 스포츠투데이, 2009-04-04” . 2022년(年) 5월(月) 19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09년(年) 5월(月) 9일(日)에 확인(確認)함 .  
  5. 최승현 (2002년(年) 1월(月) 1일(日)). “SBS 연기대상(演技大賞)에「여인천하」전인화.강수연” . 연합뉴스(聯合뉴스) . 2018년(年) 5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6. 이지형 (2001년(年) 1월(月) 29일(日)). “‘여인천하(女人天下)’ 촬영장(撮影場)서 만난 김재형 PD” . 조선일보(朝鮮日報) . 2015년(年) 10월(月) 12일(日)에 확인(確認)함 .  
  7. 김도형 (1995년(年) 3월(月) 30일(日)). “MBC 고석만PD 사표(辭表) 프리랜서 선언(宣言)” . 한겨레신문(新聞) . 2021년(年) 11월(月) 22일(日)에 확인(確認)함 .  
  8. 권정숙 (1999년(年) 2월(月) 6일(日)). “강성연'전(前)속파기(破棄)'홍역(紅疫) 2억(億)1000만(萬)원 물어낼판” . 한겨레 . 2022년(年) 5월(月) 4일(日)에 확인(確認)함 .  
  9. 이창형 (2001년(年) 4월(月) 21일(日)). 어떡해 방송위원회(放送委員會) “TV드라마 '이상기류(異常氣流)' 흐른다” |url= 값 확인(確認) 필요(必要) ( 도움말 ) . 세계일보(世界日報) . 2015년(年) 11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 깨진 링크 ( 과거(過去) 내용(內容) 찾기 )]
  10. 김희연 (2001년(年) 10월(月) 8일(日)). ' 폭력천하(暴力天下)'된 '여인천하(女人天下)',"눈뜨고 보기 너무 참혹(慘酷)했어요 " . 경향신문(京鄕新聞). 2016년(年) 3월(月) 10일(日)에 여인천하(女人天下) SBS 원본(原本) 문서(文書) |url= 값 확인(確認) 필요(必要) ( 도움말 )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5년(年) 11월(月) 30일(日)에 확인(確認)함 .  
  11. 한승주 (2002년(年) 4월(月) 3일(日)). “[문화(文化) 읽기] 시청률(視聽率) 지상주의(至上主義)에 빠진 드라마” . 국민일보(國民日報) . 2018년(年) 5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12. 김가희 (2001년(年) 9월(月) 16일(日)). “김상중·송윤아 ”사극(史劇) 출연(出演)할걸”” . 일간스포츠 . 2016년(年) 7월(月) 31일(日)에 확인(確認)함 .  
  13. 배동진 (2001년(年) 3월(月) 10일(日)). ' 사극(史劇)에 맺힌 한(限) 이제야 풀어요 ' . 부산일보(釜山日報) . 2018년(年) 4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14. 박현진 (2003년(年) 2월(月) 16일(日)). “토크토크-장서희” . 매일경제(每日經濟)(스포츠서울) . 2024년(年) 1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15. 김희연 (2001년(年) 1월(月) 15일(日)). “월드스타‘난세(亂世)의 풍운녀(風雲女)’로 돌아오다” . 경향신문(京鄕新聞) . 2021년(年) 7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16. 이정희(李正姬) (1997년(年) 7월(月) 10일(日)). “SBS「이웃집여자(女子)」호남역 이덕화, 막노동(막勞動)꾼 변신(變身)” . 부산일보(釜山日報) . 2021년(年) 11월(月) 24일(日)에 확인(確認)함 .  
  17. 양문석 (2003년(年) 5월(月) 1일(日)). “KBS 드라마 '장희빈(張禧嬪)' 실패(失敗)는 누구 책임(責任)?” . 대자보(大字報) . 2018년(年) 4월(月) 26일(日)에 확인(確認)함 .  
  18. “美테러 속보(速報) 누가 빨랐나?...속보, 심층보도(深層報道) 뉴스전문(專門)채널 MBN” . 매일경제(每日經濟)(시티라이프). 2001년(年) 9월(月) 19일(日) . 2024년(年) 1월(月) 19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

SBS 월화(月火)드라마
이전(以前) 작품(作品) 작품명(作品名) 다음 작품(作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