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엘가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에드워드 엘가 (1931년(年))

제(第)1대(代) 엘가 준남작(準男爵) 에드워드 엘가 ( Sir Edward Elgar, 1st Baronet , 1857년(年) 6월(月) 2일(日) ~ 1934년(年) 2월(月) 23일(日) )는 영국(英國) 낭만주의(浪漫主義) 작곡가(作曲家) 이다.

생애(生涯) [ 편집(編輯) ]

영국(英國) 서부(西部)의 중도시(中都市) 우스터 의 교외(郊外) 브로드히드 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악보상(惡報償)을 경영(經營)하는 교회(敎會) 오르가니스트이자 피아노 조율사(調律師)였는데, 엘가 본인(本人)이 "음악(音樂)의 흐름이 집이나 점포(店鋪) 안에 넘쳐, 나는 언제나 음악(音樂)에 젖어 있었다"라고 소년시절(少年時節)을 회상(回想)하고 있듯이 매우 유복(裕福)한 환경(環境)에서 자랐다. 16세(歲) 때 아버지의 뜻에 따라 법률가(法律家)가 되기 위하여 런던의 한 변호사(辯護士) 사무소(事務所)에 취직(就職)했으나 음악(音樂)이 자신(自身)의 천직(天職)임을 깨달은 그는 거의 독학(獨學)으로 음악(音樂)을 배워 고향(故鄕)에 돌아와 글리 클럽의 피아니스트 겸(兼) 지도자(指導者), 교회(敎會) 오르가니스트,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 등(等)으로 일하였다. 곧 오케스트라의 지휘(指揮)도 하게 되었고 이 악단(樂團)을 위한 편곡(編曲)도 맡아보으며 이러한 경험(經驗)을 토대(土臺)로 점차(漸次) 관현악법(管絃樂法)과 지휘법(指揮法)의 기술(技術)을 체득(體得)하였다. [1]

1889년(年)에 결혼(結婚)한 엘가는 런던으로 이주(移住)하여 아내의 따뜻한 격려(激勵)로 대규모(大規模)의 작품(作品) 창작(創作)에 몰두(沒頭)하였다. 그러나 그 성과(成果)가 세상(世上)에 알려지기까지는 꽤 긴 시간(時間)이 걸렸다. 1891년(年)에 런던의 소음(騷音)을 피(避)하여 고향(故鄕)으로 이사(移徙)하여 여기서 13년(年)을 지내며 칸타타 《검은 기사(記事)》(1893), 《올라프 왕(王)》(1896) 등(等)을 작곡(作曲)하였다. 오랜 기다림과 인내(忍耐) 끝에 일약(一躍) 엘가의 명성(名聲)을 높인 작품(作品)이 1899년(年)에 런던에서 초연(初演)되었는데, 그 곡(曲)이 바로 《 수수께끼 변주곡(變奏曲) 》이다. 자작(自作)의 주제(主題)를 바탕으로 한 변주곡(變奏曲)이며 엘가는 각(各) 변주(變奏)에 친구(親舊)들, 부인(否認) 앨리스 및 자기(自己) 자신(自身)의 음악적(音樂的) 초상(肖像)을 묘사(描寫)하였다. 이 작품(作品)은 1901년(年)에 독일(獨逸)에서도 소개(紹介)되어 호평(好評)을 받았고 오늘날에는 엘가의 작품(作品) 중(中)에서 가장 대중적(大衆的)인 것이 되었다. [1]

1900년(年)에 버밍검(檢) 음악제(音樂祭)에서 초연(初演)된 오라토리오 《제론(制論)티우스의 꿈》은 엘가의 명성(名聲)을 한층(한層) 국제적(國際的)인 것으로 만들었다. 영국(英國) 합창음악수법(合唱音樂手法)을 계승(繼承)하여 탁월(卓越)한 합창(合唱)의 처리(處理)와 효과적(效果的)인 관현악법(管絃樂法)으로 신비적(神祕的)인 아름다움을 보였다는 평가(評價)를 받으며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는 진실로(眞實로) 대가(大家)의 작품(作品)이라고 격찬(激讚)했다. 1902년(年)에는 에드워드 7세(歲) 의 대관식(戴冠式)을 위한 송가(頌歌)의 작곡(作曲) 의뢰(依賴)를 받았으며, 1903년(年) 《사도행전(使徒行傳)》, 1906년(年) 《신국》의 2개(個)의 오라토리오를 완성(完成)하였다. 그 뒤 2개(個)의 교향곡(交響曲), 바이올린 협주곡(協奏曲), 서곡(序曲)과 알레그로, 교향시(交響詩) 《팔스타프》 등(等) 규모(規模)가 대규모(大規模)의 작품(作品)들을 발표(發表)하였다. [1]

drawing of an ageing man in left profile; he has receding white hair and a large moustache
1919년(年)의 모습.

1914년(年), 제(第)1차(次) 세계(世界) 대전(大戰) 이 발발(勃發)하자 그는 애국심(愛國心)으로 몇 편(篇)의 작품(作品)을 만들었으나 그것들은 음악적(音樂的)으로 앞선 것만은 아니었다. 대전(大戰)이 종결(終結)된 뒤 그는 바이올린 소나타, 현악(絃樂)4중주곡(重奏曲), 피아노 5중주곡(重奏曲)(1918), 첼로 협주곡(協奏曲)(1919)을 완성(完成)하였다. 이 작품(作品)들은 엘가의 창작력(創作力)의 최후(最後)의 연소(燃燒)를 보인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1]

1933년(年) 10월(月) 8일(日) 대장암(大腸癌) 말기(末期) 진단(診斷)을 받았다. 엘가는 자신(自身)의 주치의(主治醫)에게 사후세계(死後世界) 란 없으며, 완전(完全)한 망각(忘却)만이 있다고 믿는다는 말을 남겼다. [2] 엘가는 이듬해인 1934년(年) 2월(月) 23일(日), 76세(歲)의 나이로 사망(死亡)했다. [3]

음악(音樂) [ 편집(編輯) ]

엘가의 작품(作品)은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等)의 대작(大作)을 포함(包含)하여 그 수(數)도 많지만, 특히(特히) 관현악곡(管絃樂曲) 이 걸출(傑出)한 평가(評價)를 받는다. 엘가의 곡(曲)은 영국인(英國人)답게 견실(堅實)하고 중후(重厚)한 구성(構成)을 보이며, 화려(華麗)하지는 않으나 풍요한 선율미(旋律美)와 화성적(和聲的)인 변화(變化)에 차(車)서 슈만 이나 브람스 에 일맥상통(一脈相通)하는, 동경(東京)에 찬 로맨틱한 서정성(抒情性)을 찬양(讚揚)하고 있다. 엘가는 국제적(國際的)인 명성(名聲)을 떨쳤으며 오래도록 극히(極히) 부진(不振)하던 영국음악(英國音樂) 부흥(復興)의 효시(嚆矢)라는 점(點)에 공적(功績)이 매우 크다는 평가(評價)를 받는다. [1]

작품(作品) [ 편집(編輯) ]

관현악곡(管絃樂曲) [ 편집(編輯) ]

  • 세빌리아냐 Op.7(1884)
  • 프루아사르 서곡(序曲) Op.19(1890)
  • 현(玄)을 위한 세레나데 Op.20(1888~92)
  • 수수께끼 변주곡(變奏曲) Op.36(1899)
  • 코케인 서곡(序曲) Op.40(1900~1)
  • 위풍당당(威風堂堂) 행진곡(行進曲) Op.39(1901~30)
  • 남국(南國)에서 Op.50(1903~4)
  • 서주(序奏)와 알레그로(현악(絃樂) 4중주(重奏)와 현악합주(絃樂合奏)) Op.47(1904~5)
  • 젊은이의 지팡이 Op.1a&b(1867~71, 1907년(年) 개정(改正))
  • 교향곡(交響曲) 1번(番) 내림 가장조(가長調) Op.55(1907~8)
  • 교향곡(交響曲) 2번(番) 내림 마장조(마長調) Op.61(1909~11)
  • 교향곡(交響曲) 3번(番) 다단조(다短調) Op.89
  • 팔스타프 Op.68(1913)
  • 소(小)스피리 Op.70(1914)(현악합주(絃樂合奏), 하프, 오르간을 위한 곡(曲))
  • 폴로니아 Op.76(1915)
  • 낙천적(樂天的)인 판 Op.81(1917, 발레)
  • 세번강(江) 모음곡(모음曲) Op.87(1930(취주악(吹奏樂)판), 1932(관현악(管絃樂)판))
  • 사랑의 인사(人事) OP.12 캐로라인 앨리스 로버츠에게 약혼(約婚) 기념(記念) 선물(膳物)

협주곡(協奏曲) [ 편집(編輯) ]

  • 바이올린 협주곡(協奏曲) 마단조(마短調) Op.61(1909~10)
  • 바순과 관현악(管絃樂)을 위한 로망스 라단조(라短調) Op.62(1910)
  • 첼로 협주곡(協奏曲) 마단조(마短調) Op.85(1918~9)
  • 피아노 협주곡(協奏曲) 다장조(다長調) Op.88 (1932-3, 미완성(未完成))

실내악(室內樂) [ 편집(編輯) ]

  • 로망스 Op.1(바이올린&피아노)(1878)
  • 사랑의 인사(人事) Op.12(바이올린&피아노)(1888)
  • 밤의 노래와 낮의 노래 Op.15(1897, 1899)
  • 바이올린 소나타 마단조(마短調) Op.82(1918)
  • 현악(絃樂) 4중주(重奏) 마단조(마短調) Op.83(1918)
  • 피아노 5중주(重奏) 가단조(가短調) Op.84(1918~9)

피아노곡(曲) [ 편집(編輯) ]

  • 연주회(演奏會) 알레그로 다장조(다長調) Op.46(1901)
  • 소나티나(1889년(年) 작곡(作曲), 1931년(年) 개정(改正))

오르간곡 [ 편집(編輯) ]

  • 오르간 소나타 사장조(사長調) Op.28(1895)

가곡(歌曲) [ 편집(編輯) ]

  • 바다 풍경(風景) Op.37(1897~9)
  • 2개(個)의 노래 Op.41(1901)
  • 7개(個)의 노래(1907)
  • 3개(個)의 노래 Op.59(1910)

합창(合唱) [ 편집(編輯) ]

  • 세 개(個)의 모테트 Op.2(1887)
  • 흑기사 Op.25(1889~92)
  • 생명(生命)의 빛 Op.29(1896)
  • 올라프 왕(王)의 사가(史家)의 장면(場面) Op.30(1896)
  • 카락타(駱駝)쿠스 Op.35 (1897~8)
  • 제론(制論)티우스의 꿈 Op.38(1899~1900)
  • 사도행전(使徒行傳) Op.49(1902~3)
  • 주의(注意) 왕국(王國) Op.51(1901~6)

서훈(徐薰) [ 편집(編輯)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 〈엘가〉
  2. Moore (1984) p. 818
  3. Young (1973), p. 246
  4. “The London Gazette” . 《The Gazette》 (영어(英語)) (런던) (27695): 4448. 1904년(年) 7월(月) 12일(日) . 2016년(年) 10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5.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11 Coronation Honours” . 《The Gazette》 (영어(英語)) (런던) (28505): 4593. 1911년(年) 6월(月) 11일(日) . 2016년(年) 10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6.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28 New Year Honours” . 《The Gazette》 (영어(英語)) (런던) (33343): 6. 1927년(年) 12월(月) 30일(日) . 2016년(年) 10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7.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31 Birthday Honours” . 《The Gazette》 (영어(英語)) (런던) (33722): 3623. 1931년(年) 6월(月) 2일(日) . 2016년(年) 10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8.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33 Birthday Honours” . 《The Gazette》 (영어(英語)) (런던) (33946): 3805. 1933년(年) 6월(月) 2일(日) . 2016년(年) 10월(月) 5일(日)에 확인(確認)함 .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