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게 문명(文明)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에게 문명(文明) 그리스 에게해(에게海) 에 있었던 청동기(靑銅器) 시대(時代) 문명(文明) 이다. 에게 문명(文明)은 서로 교류(交流)하던 크레타섬 , 키클라데스 제도(諸島) , 그리스 본토(本土) 세(歲) 개별(個別) 지역(地域)의 문명(文明)을 이르는 말이다. 청동기(靑銅器) 시대(時代) 초기(初期)에 크레타섬 미노스 문명(文明) ? 크레타 문명(文明) 이라고도 한다?이 들어섰으며, 키클라데스 제도(諸島) 그리스 본토(本土) 에는 각자(各自) 고유(固有)한 문화(文化)가 있었다. 초기(初期) 헬라딕 시대(時代)에 키클라데스 문명(文明) 그리스 본토(本土) 까지 영토(領土)를 확장(擴張)하였고, 그리고 중기(中期) 미노스 시대(時代)에는 크레타섬 에도 영향(影響)이 미쳤다. 기원전(紀元前) 1450년(年)(후기(後記) 헬라딕, 후기(後記) 미노스 시대(時代))부터 그리스의 미케네 문명(文明) 이 크레타에 진출(進出)하였다.

미케네 문명(文明) 전성기(全盛期)의 에게 해(海) 주위(周圍) 도시(都市) 분포(分布). 클릭하면 구체적(具體的) 지명(地名)을 확대(擴大) 확인(確認)할 수 있다.

발굴(發掘) [ 편집(編輯) ]

19세기(世紀) 중엽(中葉)만해도 전설(傳說) 속에 묻혀있던 에게 문명(文明)을 1870년(年) 하인리히 슐리만 소아시아(小아시아) 서북부(西北部)에 있는 트로이아 로 지목(指目)되는 곳을 비롯하여 9개(個)의 성채(城砦)와 도시(都市)를 발견(發見)했다.

이에 1900년(年)부터 영국(英國)의 고고학자(考古學者) 아서 에반스 크레타섬 북부(北部)에서 크노소스 를 발굴(發掘)하여 ' 미노스왕(王)의 미궁(迷宮) '으로 알려진 궁전(宮殿)을 발견(發見)하였다. 이러한 고고학적(考古學的) 발견(發見)으로 인해 트로이아 전쟁(戰爭) 의 사실성(寫實性)이 확실(確實)해지고 그리스 문화(文化) 보다 앞선 시기(時期)에 에게해(에게海) 주변(周邊)에 고도(高度)의 청동기(靑銅器) 문명(文明) 이 성립(成立)해 있었다는 사실(事實)이 알려졌다. 에반스는 크레타섬 발굴(發掘)에서 선형(線型) 문자(文字)(線上 文字)가 기록(記錄)된 여러 점토판 문서(文書)(土版 文書)를 발견(發見)하였다. 1952년(年) 벤틀리스 선형(線型) B 문자(文字) 를 해독(解讀)하는 데 성공(成功)하여 미케네 문명(文明) 에 관(關)한 연구(硏究)가 획기적(劃期的)인 단계(段階)에 접어들었다. 에게 문명(文明)은 미노스 문명(文明) 그리스 트로이 를 포함(包含)한 미케네 문명(文明) 으로 크게 구분(區分)한다.

미노스 문명(文明) [ 편집(編輯) ]

크레타 를 중심(中心)으로 발전(發展)한 미노스 문명(文明) (기원전(紀元前) 3650년경(年頃)-기원전(紀元前) 1170년경(年頃))은 오리엔트 의 영향(影響)을 받으면서 기원전(紀元前) 3000년(年) 중엽(中葉)에 청동기(靑銅器) 시대(時代)로 들어섰으며, 기원전(紀元前) 2000년(年) 이후(以後)에는 선문자(線文字) A 를 쓰게 되었다. 이 문명(文明)은 인도유럽어족 의 언어(言語)를 사용(使用)했다기보다는 소아시아(小아시아) 에서 온 이주민(移住民)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기원전(紀元前) 2000년경(年頃)에 접어들면서 비약적(飛躍的)인 발전(發展)을 하여 전성기(全盛期)를 맞이하였다.

미노스 문명(文明) 시대(時代)의 크레타섬 의 지도(指導)
여왕(女王)들로 보이는 세 여성(女性)이 그려진 크노소스 궁전(宮殿)의 프레스코화(畫)

크노소스 (Knossos)의 궁전(宮殿)은 기원전(紀元前) 1570년(年)과 기원전(紀元前) 1500년(年)에 파괴(破壞)되었다가 재건(再建)되었는데 그 원인(原因)은 지진(地震)이라고도 하고 이 무렵 이집트에서 추방(追放)된 힉소스 의 침입(侵入)이라고도 하나 확실(確實)하지는 않다. 기원전(紀元前) 1450년(年)에는 선문자(線文字) A 대신(代身) 선문자(線文字) B 가 나타나는데, 이는 이 무렵 미케네 인(人)들이 크레타섬 을 지배(支配)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크노소스 의 문명(文明)은 기원전(紀元前) 1400년(年) 크노소스 궁전(宮殿)이 파괴(破壞)되어 재건(再建)되지 못하고 멸망(滅亡)하였다. 1960년대(年代)의 새로운 발굴(發掘)에 의(依)해 산토리니섬 의 화산폭발(火山爆發)로 인한 화재(火災)와 지진(地震) 해일(海溢) 이 원인(原因)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미노스인(人)은 해상무역(海上貿易)에 종사(從事)하였고 도자기(陶瓷器) 제조(製造)술이 뛰어났다. 미노스 사회(社會)는 전체적(全體的)으로 활달(豁達)하고 유복(裕福)하고 상류층(上流層)은 쾌적(快適)한 생활(生活)을 보냈다. "미노스의 예술(藝術)은 화려(華麗)하고 생생하며, 인간성(人間性)과 개성(個性)에 충만(充滿)해 있다. 바다와 태양(太陽), 수목(樹木)과 꽃, 축제(祝祭)와 스포츠에 도취(陶醉)되어 있었다." M.Rostovtzeff, Greece(Galaxy Books, 1963), pp 28~29 [ 출처(出處) 필요(必要) ] 위와 같이 미(美)노스 예술(藝術)은 고대(古代) 이집트 의 영향(影響)을 받았으나, 곧 독자적(獨自的)인 발전(發展)의 길을 걸었다. 미노스 예술(藝術)의 대표적(代表的)인 사례(事例)는 궁전(宮殿)의 프레스코화(畫) 이다.

미케네 문명(文明) [ 편집(編輯) ]

미케네 문명(文明) 의 주요(主要) 지역(地域)
고대(古代) 그리스 본토(本土)

미케네 의 문자(文字)인 선형(線型) B 문자(文字) 를 해독(解讀)함으로써 미케네 문명(文明) (기원전(紀元前) 1600년경(年頃)-기원전(紀元前) 1100년경(年頃))의 담당자(擔當者)는 그리스인(人) 의 선조(先祖)라는 것이 확인(確認)되었다. 그리스인은 기원전(紀元前) 2000년경(年頃)부터 남하(南下)하여 그리스 본토(本土)에 자리잡고 원주민(原住民)과 혼합(混合)하였다. 그들은 그리스 본토(本土)와 펠로폰네소스반도(半島) 에 여러 작은 왕국(王國)을 건설(建設)하였고, 미케네는 펠로폰네소스의 여러 왕국(王國) 중(中) '황금(黃金)의 미케네'로 일컬어질 정도(程度)로 부강(富强)한 맹주(盟主)가 되었다. 미케네는 미노스 문명(文明) 을 흡수(吸收)하면서 발전(發展)하였다.

테세우스 의 전설(傳說)은 미노스와 그리스 본토(本土)와의 관계(關係)를 보여준다. 기원전(紀元前) 15세기(世紀) 중엽(中葉)에는 미케네가 크노소스를 지배(支配)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미(美)노스 문명(文明)이 몰락(沒落)한 뒤에는 미케네가 에게해(에게海) 의 패자(敗者)가 되었다. 트로이아 전쟁(戰爭) (기원전(紀元前) 1240~30; 일설(一說)에는 기원전(紀元前) 1260년경(年頃))은 전설(傳說)과는 달리 강대(强大)해진 그리스 본토(本土)의 소왕국(小王國)들이 미케네를 맹주(盟主)로 결합(結合)하여 소아시아(小아시아)로 진출(進出)한 원정(遠征)이었다. 미케네는 기원전(紀元前) 12세기(世紀)에 결국(結局) 그리스인의 마지막 이주자인(移住者人) 도리아인(人) 에 침략(侵略)을 받고 몰락(沒落)하였다.

미케네는 미노스와는 달리 상무적(尙武的)이며 군사적(軍事的)인 성격(性格)이 강(剛)했다. 정치적(政治的)으로 공납제(貢納制)를 기초(基礎)로 한 왕정(王政)으로 호메로스 에 나오는 그리스의 여러 왕(王)들에 비하여 약(弱)한 편(便)이었다. 공유지(公有地)와 사유지(私有地)가 공존(共存)하였는데, 공유지(公有地)가 있다는 것은 즉(卽) 공동체적(共同體的)인 성격(性格)이 아직도 강(剛)하다는 것을 말하며, 사유지(私有地)가 있음은 평민(平民)이 경제적(經濟的) 자립(自立)을 누리고 있으며 미케네의 국왕(國王)이 오리엔트적 전제군주화(專制君主化)하는 것을 억제(抑制)한 요인(要因)임을 보여준다. 미케네 사람들도 제우스 포세이돈 등(等)의 후대(後代) 그리스 사람이 믿었던 신(神)들을 믿었으나 미(美)노스인(人)들이 믿었던 뱀의 여신(與信)을 더 신봉(信奉)했던 것 같다. 미케네의 사회구조(社會構造)는 국왕(國王) 밑에 귀족적(貴族的)인 전사계급(戰死階級)이 있었고 다음에 관료(官僚)인 서기(書記), 그 밑에 상인(商人)과 농민(農民)이 있었으며 최하층(最下層)에는 노예(奴隸)가 있었다. 노예제(奴隸制)는 주로(主로) 왕실(王室)을 중심(中心)으로 발달(發達)하였다. 이렇듯 미케네 사회(社會)는 오리엔트 사회(社會)와 그리스 사회(社會)의 중간(中間) 단계(段階)였다.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이 문서(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현(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配布)한 글로벌 세계(世界)대백과사전 의 내용(內容)을 기초(基礎)로 작성(作成)된 글이 포함(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