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언어학(言語學) -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본문(本文)으로 이동(移動)

언어학(言語學)

위키백과(百科),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百科事典).

언어학(言語學)
학문명(學問名) 언어학(言語學)

언어학(言語學) (言語學, 영어(英語) : linguistics )은 인간(人間)의 언어(言語)를 과학적(科學的)으로 연구(硏究)하는 학문(學問)이다. [1] [2] 인간(人間)이 사용(使用)하는 언어(言語)의 기능(機能)과 본질(本質)을 과학적(科學的)으로 연구(硏究)함으로써 인간(人間)이 가지고 있는 문법(文法)과 같은 의식적(意識的) 또는 무의식적(無意識的)인 지식(知識)을 체계화(體系化), 규칙화(規則化)하는 것에 그 연구(硏究) 목적(目的)이 있다. 인지(認知) 및 사회적(社會的)인 부분(部分)도 다루기 때문에 인문학(人文學) 뿐 아니라 사회과학(社會科學) , [3] 자연과학(自然科學) , [4] 인지과학(認知科學) 으로 분류(分類)되기도 한다. [5]

언어(言語) 체계(體系)의 분석(分析)은 크게 문장(文章)의 구조(構造)와 규칙(規則)에 대(對)한 통사론(統辭論) , 의미론(意味論) , 단어(單語)의 구조(構造)에 대(對)한 형태론(形態論) , 음성학(音聲學) , 음운론(音韻論) , 화용론(話用論) 으로 구분(區分)한다. [6] 이외(以外)에도 진화(進化) 등(等) 생물학적(生物學的) 방법론(方法論)을 사용(使用)하는 생물언어학(生物言語學) , 심리학적(心理學的) 요소(要素)를 고려(考慮)한 심리언어학(心理言語學) 등(等)의 분과(分科)도 존재(存在)한다.

언어학(言語學)은 이론적(理論的)인 연구(硏究)와 실용적(實用的)인 연구(硏究)를 모두 포괄(包括)한다. [7] 이론언어학(理論言語學) 언어철학(言語哲學) 등(等) 인간(人間) 언어(言語)의 이론적(理論的)인 부분(部分)을 다룬다. 응용언어학(應用言語學) 언어교육(言語敎育) 이나 문해(文解) 와 같이 보다 실용적(實用的)인 목적(目的)을 가지고 연구(硏究)한다.

언어현상(言語現象)을 어떤 관점(觀點)으로 연구(硏究)할지에 따라 여러 방식(方式)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다. 시간(時間)을 기준(基準)으로 어떤 한 순간(瞬間)의 상태(狀態)를 연구(硏究)하는 공시언어학(共時言語學) 과 시간(時間)에 따른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는 통시언어학(言語學) 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고, 다룰 수 있는 언어(言語)의 개수(個數)에 따라 다중언어(多重言語) 와 단일언어(單一言語)로 그 대상(對象)을 구분(區分)할 수도 있고, 아이와 어른으로 구분(區分)할 수도 있으며, 학습(學習)한 것과 습득(習得)한 것으로 구분(區分)할 수도 있다. [8]

분야(分野) [ 편집(編輯) ]

언어학(言語學)의 연구(硏究) 분야(分野)를 나누는 가장 큰 구분(區分) 중(中)의 하나는 어떤 한 순간(瞬間)의 언어(言語) 상태(狀態)를 연구(硏究)하는 공시언어학(共時言語學)과 시간(時間)에 따른 언어(言語)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는 통시언어학(通時言語學)을 구분(區分)하는 것이다.

다음은 언어학(言語學)을 구성(構成)하는 가장 기본적(基本的)인 이론(理論) 분야(分野)이다. 이러한 구분(區分)은 언어(言語)가 낮은 단계(段階)의 소리에서 높은 단계(段階)의 뜻까지 위계적(位階的)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는 관점(觀點)에 기반(基盤)한 것이다. 그러한 위계적(位階的)인 구조(構造) 속에서 어떠한 대상(對象)을 중점적(重點的)으로 연구(硏究)하는가에 따라 구분(區分)한 것이다.

  • 음성학(音聲學) 은 음성(音聲)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대(對)한 학문(學問)
  • 음운론(音韻論) 은 화자(話者)가 말할 때 심리적(心理的)으로 구분(區分)하는 소리(음운(音韻))에 대(對)한 학문(學問)
  • 문자론(文字論) 은 문자(文字)에 대(對)한 학문(學問)
  • 형태론(形態論) 은 단어(單語)의 내부(內部) 구조(構造)에 대(對)한 학문(學問)
  • 통사론(統辭論) 문장(文章) 의 내부(內部) 구조(構造)에 대(對)한 학문(學問)
  • 의미론(意味論) 은 단어(單語)의 의미(意味)와 단어(單語)의 조합(組合)에 따른 의미(意味) 변화(變化)에 대(對)한 학문(學問)
  • 화용론(話用論) 은 대화(對話)에서 화자(話者)의 말이 어떻게 사용(使用)되는가에 대(對)한 학문(學問)
  • 텍스트언어학(言語學) 또는 담화론(談話論)은 가장 큰 언어단위(言語單位)인 텍스트 또는 담화(談話)에 대(對)한 학문(學問)

위에서 형태론(形態論)과 통사론(統辭論)을 문법론(文法論)으로 묶기도 한다. 다음 분야(分野)들은 그 연구(硏究)의 역사(歷史)가 매우 오래된 분야(分野)들로 전통언어학(傳統言語學)의 분야(分野)로 인식(認識)되기도 한다. 어휘론(語彙論)은 단어(單語)들의 체계(體系)를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에 해당(該當)하고 어원론(語源論)은 언어(言語)의 시간적(時間的)인 변화(變化), 방언학(方言學)은 언어(言語)의 공간적(空間的)인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이다.

어떠한 차원(次元)에서 언어(言語)를 연구(硏究)하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야(分野)들이 존재(存在)한다. 이러한 구분(區分)은 위에 제시(提示)된 대상(對象)들을 어떠한 입장(立場)에서 또는 어떠한 방법론(方法論)을 가지고 연구(硏究)하는가를 구분(區分)하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적(歷史的)인 차원(次元)에서 음운론(音韻論)을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는 역사음운론(歷史音韻論), 전산적(電算的)인 차원(次元)에서 의미론(意味論)을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는 전산의미론(電算意味論), 이론적(理論的)인 관점(觀點)에서 통사론(統辭論)을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는 이론통사론(理論統辭論) 등(等)으로 불린다.

논리학(論理學) , 수학(數學) , 컴퓨터 과학(科學) , 통계학(統計學) 등(等)의 방법론(方法論)을 이용(利用)한 접근법(接近法)들도 존재(存在)하며 이들은 순수(純粹)한 언어학(言語學)이 아니라 학제간(學際間) 연구(硏究)로 인식(認識)되기도 하며 때로는 실용적(實用的)인 성격(性格)이 강(剛)해 응용언어학(應用言語學) 으로 인식(認識)되기도 한다.

또한 언어(言語) 의 어떤 측면(側面)을 대상(對象)으로 연구(硏究)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학(言語學)이라는 학문(學問)을 대상(對象)으로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도 존재(存在)한다. 언어학(言語學)의 방법론(方法論)에 대(對)한 추상적(抽象的)인 연구(硏究)를 하는 메타언어학과(言語學科) 언어학(言語學)의 역사(歷史)를 연구(硏究)하는 언어학사(言語學史)가 있다.

이외(以外)에도 언어학(言語學)의 하위(下位) 분야(分野)로 인식(認識)되기도 하고 문학(文學) 의 한 분야(分野)로 인식(認識)되기도 하는 문체론(文體論)과 수사학(修辭學), 철학(哲學) 의 한 분야(分野)로 인식(認識)되는 기호학(記號學) 등(等)이 있다.

응용(應用) 분야(分野) [ 편집(編輯) ]

언어(言語)와 관련(關聯)된 실질적(實質的)인 분야(分野)를 다루는 응용언어학(應用言語學) 에는 언어(言語) 관련(關聯) 교재(敎材) 개발(開發), 교수법(敎授法), 번역(飜譯)과 통역(通譯), 사전(事前) 편찬(編纂), 언어치료(言語治療), 언어정책(言語政策), 전산처리(電算處理) 등(等) 다양(多樣)한 분야(分野)가 존재(存在)한다.

인접(隣接) 분야(分野)와 학제적(學制的) 연구(硏究) [ 편집(編輯) ]

언어학(言語學)은 연구(硏究) 주제(主題)에서 문학(文學) , 철학(哲學) , 인류학(人類學) , 심리학(心理學) , 인지과학(認知科學) 등(等) 공유(共有)하는 부분(部分)이 있다. 언어(言語)를 연구(硏究)하는 분야(分野)들은 서로 겹치는 부분(部分)들이 많기 때문에 어느 특정(特定) 학문(學問) 분야(分野)의 하위(下位) 분과(分課)로 분류(分類)하기 어려운 경우(境遇)가 많다. 이러한 분야(分野)들은 흔히 학제적연구(學際的硏究)라고 불린다. 이들은 언어학(言語學)을 비롯한 여러 학문(學問)들 사이의 경계(境界)에 놓여 있으며 일부(一部) 분야(分野)는 언어(言語)에 관련(關聯)된 것임에도 불구(不拘)하고 언어학자(言語學者)들에 의(依)해서는 거의 연구(硏究)되지 않는 경우(境遇)도 있다.

커리큘럼 [ 편집(編輯) ]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는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 부산대학교 ,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 ,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등(等)과 같이 주요(主要) 언어학(言語學)에 대(對)한 커리큘럼을 가진 언어학과(言語學科)들은 전공(專攻) 학위(學位)에서 문학사(文學史)로 분류(分類)하고 있다. [9] [10]

같이 보기 [ 편집(編輯) ]

참고(參考) 도서(圖書) [ 편집(編輯) ]

  • 김방한 (2001), 언어학(言語學)의 이해(理解), 민음사. ( ISBN   89-374-5429-7 )
  • 김선미 (2003), 언어(言語)와 언어학(言語學) 이론(理論), 한국문화사(韓國文化史). ( ISBN   89-5726-073-0 )
  • 김진우 (2007), 언어(言語) - 이론(理論)과 그 응용(應用), 탑출판사(塔出版社). ( ISBN   9788934201083 )
  • 김진호 (2004), 언어학(言語學)의 이해(理解), 역락. ( ISBN   89-5556-277-2 )
  • 배주채 (2015), 언어학개론(言語學槪論), 태학사(太學士). ( ISBN   9788959667260 )
  • 송완용 (1999), 언어학(言語學) 기초이론(基礎理論), 신아사. ( ISBN   89-86964-12-0 )
  • 이건수 (2000), 언어학(言語學) 개론(槪論), 신아사. ( ISBN   89-8396-142-2 )
  • 이석규 (2001), 텍스트 언어학(言語學)의 이론(理論)과 실제(實際), 박이정. ( ISBN   89-7878-493-3 )
  • 이철수, 문무영, 박덕유 (2004), 언어(言語)와 언어학(言語學), 역락. ( ISBN   89-5556-270-5 )

각주(各州) [ 편집(編輯) ]

  1. Halliday, Michael A.K. ; Jonathan Webster (2006). 《On Language and Linguistic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vii쪽. ISBN   978-0-8264-8824-4 .  
  2. “What is Linguistics? |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 《www.linguisticsociety.org》 . 2022년(年) 2월(月) 8일(日)에 확인(確認)함 .  
  3. “Social Science Majors, University of Saskatchewan” . 2015년(年) 9월(月) 6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6년(年) 2월(月) 6일(日)에 확인(確認)함 .  
  4. Boeckx, Cedric. “Language as a Natural Object; Linguistics as a Natural Science” (PDF) . 2010년(年) 7월(月) 23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PDF)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5. Thagard, Paul, Cognitive Science ,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08 Edition), Edward N. Zalta (ed.).
  6. Adrian Akmajian, Richard A. Demers, Ann K. Farmer, Robert M. Harnish (2010). 《Linguistics》 6판(板). The MIT Press. ISBN   978-0-262-51370-8 . 2012년(年) 12월(月) 14일(日)에 원본(原本) 문서(文書) 에서 보존(保存)된 문서(文書) . 2012년(年) 7월(月) 25일(日)에 확인(確認)함 .  
  7. “Studying Linguistics |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 《www.linguisticsociety.org》 . 2022년(年) 4월(月) 1일(日)에 확인(確認)함 .  
  8. Francis, Alexandre. 《Theory in Social and Cultrual Anthropology: An Encyclopedia》 (영어(英語)). SAGE Publishing. 184?187쪽. ISBN   9781412999632 .  
  9. [참고]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학칙(學則) 제(第)2장(張) 학위수여규정(學位授與規定) 및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학칙(學則) [별표(別表)1]대학(大學)(학부(學部)), 학과(學科)(부(簿))별(別) 수여(授與) 학위명(學位名), 부산대(釜山大) [별표(別表)5-1] 학사과정(學士課程) 학과(學科)(부(簿))별(別) 수여(授與) 학위명(學位名)[제(第)75조(條) 관련(關聯)] 등(等)
  10. [참고](커리어넷-학과정보,언어학과)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List.do

외부(外部) 링크 [ 편집(編輯) ]